본문 바로가기

○ 전체 글 보기2071

병든 장과 간을 치유하는 '보리뿌리와 보리잎' [식품과 의약의 도를 말하다⑩] 병든 장과 간을 치유하는 보리뿌리와 보리잎부러진 뼈 이어 주는 데 마법처럼 신기한 효력 겨울에도 잎이 파랗게 살아 있는 풀을 겨울을 능멸(凌蔑)한다고 하여 업신여길 능(凌)자를 써서 능동초(凌冬草)라고 부른다. 파, 양파, 보리, 밀, 마늘, 달래, 맥문동, 석창포 이런 식물들을 능동초라고 할 수 있겠다. 능동초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보리가 있다. 보리는 겨울철에 약한 태양빛을 흡수해 그 전부를 생장(生長)에 활용한다. 곧 에너지 활용도가 가장 높은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보리는 상강(霜降) 전후, 곧 서리가 내릴 무렵에 파종한다. 입동(立冬) 무렵에 싹이 나서 동지, 섣달, 소한, 대한 절기에 무럭무럭 잘 자란다. 몹시 추워서 땅이 꽁꽁 얼어 있을 때에도 보리뿌리 부분.. 2013. 1. 17.
지구에게 있어 인간이란... 2013. 1. 17.
스시가 당신의 뇌를 파괴한다. - 미, 글로벌 포스트 세계의 뉴스를 폭넓게 소개하는 미 뉴스 사이트, 글로벌·포스트가 12월 4일에 「Sushi kills your brain(스시가 당신의 뇌를 파괴한다)」라고 하는 심플하고 과격한 표제의 기사를 게재했다. 왜 이런 기사가 나왔는가 하면 , 상어나 황새치,참다랑어라고 하는 대형의 물고기에 포함되는 수은의 양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물고기를 계속 먹으면 수은의 독의 탓으로, 아이의 뇌의 발달 장해라고 한 다양한 건강 피해가 일어난다고 하는 보고서가 발표되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바다의 물고기는, 이러한 문제에 관한 위험성을 조금은 가지고 있습니다만, 전술한 대형의 물고기는 바다의 식물 연쇄의 상위에 있어, 극히 미량의 수은을 포함한 작은 물고기를 많이 먹고, 수은이 자꾸자꾸 체내에 쌓여 있다고 생각할.. 2013. 1. 17.
200년 전 전통농법 '임원경제지' - 땅과 글이 살아난다. 서유구 ‘임원경제지’ 번역 중에 농사 뛰어든 정명현 임원경제연구소장 달콤하면서도 시큼하고 톡 쏘는 맛이 났다. 경기 군포 동래 정씨 동래군파 종택에서 만난 정명현 임원경제연구소장(43)이 건넨 청주였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정조지(鼎俎志)에 나오는 방법대로 빚은 청주라고 했다. “책에선 ‘열(烈·맵다)하다’라고 했는데 글로만 읽으니 이해가 되지 않았어요. 그래서 직접 담가 봤더니 탄산음료를 마실 때 느껴지는 톡 쏘는 맛을 표현한 것임을 알게 됐죠. 그저 ‘맵다’고 했으면 틀린 번역이 됐을 겁니다. 농사를 짓는 것도 번역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지요.” ‘조선판 브리태니커’로 불리는 임원경제지는 실학자인 풍석 서유구 선생(1764∼1845)이 직접 농사를 짓고 물고기를 잡으며 터득한 실용 지식을 총망라한 .. 2013. 1. 17.
지렁이 분변토의 활용과 경제적 가치 아래는 지렁이 분변토에 대한 뉴욕타임즈의 기사다. 지렁이 분변토로 축산 분뇨를 처리한다는 대목은 한국에서도 관심을 기울일 만하다. 올해(2013년)부터 한국도 가축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지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를 자원화(축산퇴비)한다며 대규모 시설을 지었는데, 거기서 생기는 문제도 골치가 아프다. 자원화 시설이 지어질 곳의 주민들이 악취와 지하수 오염 등을 들며 반대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러한 대규모 자원화 시설의 주변에 가보면 냄새가 나기는 나더라. 대규모 자원화 시설을 짓는 데에는 경제성이란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할 것이다. 그런데 그 크기를 조각조각 나누어 작은 규모의 지렁이 분변토 업체를 만드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이 기사를 보면서 들었다. 그렇게 분산된.. 2013. 1. 17.
김매기 - 논 10㎡당 11포기를 기준으로 관리 논밭에서 흔히 보는 잡초 ‘피’를 확대한 모습. 왼쪽부터 돌피, 강피, 물피. 농과원 “논 10㎡당 11포기 이내땐 안뽑아도 수량 큰 차이없어” 벼의 생육을 방해해 쌀 수확량과 품질을 떨어뜨리는 잡초인 ‘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제적 방제시점이 제시됐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은 2004~2007년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피의 발생밀도에 따라 쌀 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논 1㎡당 피가 1~4본 발생할 때 쌀 수확량은 그렇지 않은 정상 논에 비해 2~8% 적었다. 피가 16~24본 발생할 경우 수확량은 27~35%, 96본가량일 때는 69%가 감소했다. 이 수치를 기계이앙 논에 적용해 생산 및 증수에 드는 비용 등을 종합해 따져본 결과 논 10㎡당 피.. 201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