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콩 적정 재식거리 및 파종기
작두콩은 기상조건에 따라 일년생 또는 다년생으로 생육하며, 초장이 10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잎은 trifoliolate형으로 엽폭이 5∼14cm 엽장이 7∼20cm 정도로 크며, 꽃은 연속적으로 핀다. 건조 종실는 100g당 318칼로리를 함유하며 14.9%의 수분, 27.1g의 단백질, 0.6g의 지방, 53.8g의 탄수화물, 11.6g의 섬유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지고 있다. 또한 종실에는 아직까지 정확한 화학성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화농성 질환( 치질, 축농증 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콩의 경우 파종기 및 재식거리에 대한 많은 시험이 이루어져 단위면적당 분지수와 분지절수는 유한신육형이 무한신육형보다 많으며 주경절수는 무한신육형에서 많고 밀식할 수록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작두콩은 근래에 도입된 작물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재배법이 확립되지 않아 파종기 및 재식거리가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1】 적정 파종기 구명시험
1. 파종기에 따른 개화소요일 수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종기가 3월 25일에서 5월 5일로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는 4∼28일 단축되었는데 밤의 기온 상승 때문으로 생각된다. 광에 노출된 콩의 종자는 낮의 기온에 관계없이 밤의 높은 기온이 개화 및 협의 형성을 촉진하는데 이와 같은 결과, 작두콩의 개화는 일장보다 온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2. 파종기에 따른 지상부 생육상황
경장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3∼89cm 감소하였는데 이는 생식생장기에 접어듦에 따라 영양생장이 억제된 결과로 생각된다. 주경절수는 4월 25일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으며 개체당 분지수는 4월 15일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표 1). 경태는 대체적으로 4월 5일 파종구까지는 증가하다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개체당 협수 및 립수도 4월 5일 파종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표 2) 탈협이 야간의 저온조건에서 심하게 유발되며 개화가 늦어짐에 따라서도 유발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개체당 립수는 파종기가 가장 늦은 5월 5일 파종구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립비대시의 탈립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개체당 립수의 증가는 개체당 협수의 증가 및 협당 립수의 증가로 인하여 이루어졌다. 100립중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19g 감소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100립중이 생육기간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와 일치되는 경향이였다. 10a당 수량은 4월 5일 파종구에서 307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체당 립수의 증가가 직접적인 수량증가를 가져왔기 때문이였다. 이와 같은 결과, 비닐하우스에서 작두콩 재배시 적정파종기는 4월 상순으로 판단되였다.
【시험2】 적정 재식거리 구명시험
4. 재식거리가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경장은 길어지는 경향이었다(표 3). 주경절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체당 분지수도 0.1∼0.5개 증가하였다. 유한신육형 콩의 경우에도 같은 경향이며 ㎡당 63개체에서 33개체로 감소함에 따라 분지수가 2.8∼1.6개 증가한다는 보고와도 일치하였다. 경태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3∼0.6mm 굵어졌다.
5.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수량간의 관계
개체당 협수는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0.5∼3.5개 증가하였고 개체당 립수도 7.8∼28.4개 증가하였으며 100립중도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표 4).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경장, 분지수, 경태 및 수량구성요소에서 증가를 보였으나, 10a당 종실수량에서는 휴폭 60cm 주간 30cm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의 확보로 인하여 283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무한신육형이 유한신육형에 비하여 절수, 립수, 100립중의 주경의존도가 크며, 따라서 밀식조건에서 많은 수량이 가능하다는 보고와 일치하였으며 비닐하우스에서 작두콩 재배시 적정재식거리는 60×30cm가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6. 인용문헌
김홍식외 3인. 한작지.35(1).
김홍식외 3인. 한작지 38(2).
박금용외 4인. 한작지 32(4).
박승의 1970. 강원농시보고서
이장우외2인. 1977. 경기농시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