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

대만의 새로운 '무퇴비화 기술'

by 성공의문 2012. 11. 2.

대만의 새로운 퇴비화 기술 탐방기


필자는 5월 15일부터 20일까지 이 기술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만을 방문하였다. 중간에 흙살림 이태근 회장이 현장을 둘러보았다. 겉으로 보면 기존의 용기내 퇴비화 방식과 유사해 보이는데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을 택하고 있다.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비료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발상으로 접근하여 혁신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


농업의 역사에서 보면 유기물은 가장 중요한 비료자원이었고 오랫동안 이 유기물을 이용하여 생산을 해 왔다. 유기물은 한번은 살아있었던 물질을 의미한다. 동물이든 식물이든 살아있는 물질에는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영양성분을 분해하여 안정된 상태로 만들어 농업에 이용해 온 것이 퇴비 또는 유기질비료였다. 이 분해하는 과정이 퇴비화라고 불리는데 보통은 1달에서 1년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느린 과정이었다.


무퇴비화 기술은 이러한 퇴비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시간에(1시간) 모든 종류의 유기물을 퇴비로 만드는 기술이다. 그것이 가능할까? 퇴비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믿기 어려운 기술일 것이다. 퇴비화가 탄소와 질소의 적절한 비율과 적당한 습도 하에서 미생물 작용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과정임에 비해 무퇴비화는 이러한 발상을 뛰어넘는다. 우리의 몸 안에서 유기물이 소화되는 과정과 유사한데 유기물을 적절한 조건하에서 효소를 작용시켜 바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이다. 퇴비화 과정 없이 퇴비를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원리를 기계로 구현하는 과정도 우리의 소화시스템을 닮았다.


이 기술은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가축분뇨의 분해나 퇴비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산가스 등의 가스배출은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의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무퇴비화 기술에서는 탄소배출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배출 제로라는 획기적인 의미가 있다. 즉 퇴비를 생산하면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비난(?)을 들을 필요가 없고 오히려 탄소크레딧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기술은 효소가 유기물과 반응하여 탄소를 오히려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소 저장기술로서도 의미를 갖기 시작한다. 실제로 이 무퇴비화 기술과 관련하여 토양에 탄소를 저장하는 새로운 기술도 개발하고 있었다. 


이 개념은 자연계에서 토양이 10,000년에 걸쳐 형성하는 부식함량이 0.5% 수준인데 이것을 인위적으로 1년만에 성취하는 기술이다. 단순히 토양유기물 함량의 증가가 아니라 토양 부식함량의 증가라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특이한 점은 기존의 퇴비화 과정을 거쳐 만드는 퇴비에 비해서 영양성분이 더 많다. 분해되어 공기중으로 휘발되는 성분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영양성분이 많겠지만 원래의 유기물과 비교해보아도 성분이 약간 증가한다는 점이다. 이는 원유기물에 효소를 반응시키면서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점 때문에 무퇴비화 기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처리시간이 아주 짧다. 완성된 퇴비를 만드는 과정이 3-8시간이다. 반응시간은 이미 1시간이면 충분하고 나머지 시간은 수분을 날리는 과정이다. 기존의 퇴비화과정이 3개월에서 1년이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대단히 혁신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처리기간이 짧기 때문에 퇴비를 만드는 공간이 아주 적다. 기존 퇴비화 과정처럼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셋째,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다. 

넷째, 퇴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없기 때문에 수질오염이 전혀 없다. 

다섯째, 기존 퇴비화 과정에서는 이산화탄소 발생이 40-60%가 되는데 비해 무퇴비화기술에서는 전혀 없다. 

여섯째, 따라서 최종 제품의 품질은 고급 유기질비료가 된다.


이 기술은 다양한 원료를 처리할 수 있다. 

첫째로 농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계분, 돈분, 우분 등의 축분, 시장에서 발생하는 채소 쓰레기, 농장에서 발생하는 볏짚 등의 유기물, 산에서 발생하는 전정목 및 산림부산물, 버섯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퇴비로 만들 수 있다. 

둘째 유기성 산업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생선 등을 가공하는 통조림 공장, 도축장, 주정공장, 식당에서 나오는 음식쓰레기, 시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쓰레기, 병원, 호텔에서 나오는 유기성 쓰레기,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오니류, 기타 유기성 쓰레기를 처리한다. 

이외에도 학교, 군대, 감옥, 단체급식소 등에서 나오는 음식쓰레기도 모두 처리한다. 물론 이들 유기성 쓰레기는 기존의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무퇴비화 기술을 이용하면 단시간에 대량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기술을 한국에서는 흙살림이 보급하는 것으로 협의하였다. 이와 함께 1년만에 토양부식 함량을 0.5%씩 증가시키는 기술도 완성 되는대로 흙살림이 공식적으로 보급하기로 합의하였다.


<글:오과칠(흙살림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