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8년] 미국 경제 소식들 - 인구고령화, 미국 우선주의, 금리

by 성공의문 2018. 1. 3.

■ 미국

ㅇ 인구고령화,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미국 채권수요를 뒷받침 (WSJ)

- 2000년 이후 미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40% 이상 늘어나 4920만명에 달하고, 고령층은 은퇴도래 시점에서 채권보유를 확대. 이에 금리인상, 재정수지적자 확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채권시장을 뒷받침할 전망

- Investment Company Institute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채권형 뮤츄얼펀드에 투자하고 있는 개인투자자의 평균연령은 2007년 49세에서 53세로 변화

- 시장에서는 Fed의 금리인상과 세제개혁, 양호한 성장세 등으로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3%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장기금리가 오르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해외투자자들의 미국 국채 수요로 설명. 반면 미국 정부의 국채 발행 자료에 따르면, 고령층 개인투자자의 국채투자가 낮은 장기금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

- 2017년 11월말 미국 국채 입찰에서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은 뮤추얼 펀드 등의 매입액은 9170억달러(49%)로 2010년 20%에서 크게 상승했으며, 해외투자자 매입액은 3160억달러에 불과

- 과거 기술주의 급락 등을 경험한 고령층은 채권을 선호. 미국 국채금리가 3%까지 단기간 내 2배 급등한 2013년 Taper Tantrum 당시에도 일부 고령층 투자자는 주식에서 자금을 인출해 채권을 저가 매입하여 자산 재배분 기회로 활용

ㅇ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기존 세계질서 약화 와 서방국가의 협력 위축으로 연결 (FT)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철저한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국제사회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초래

- 첫째,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질서의 근간인 자유무역과 서구 민주주의 사상의 약화를 초래. 미국이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면서 여타 주요국도 이에 대한 대응으로 관련 조치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국가 간 갈등이 점증.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지지층인 백인 중산층의 이익을 위한 정책을 펼쳐, 서구 민주주의의 법의 중립성(다양한 사회 구성의원의 이익을 반영)을 훼손. 여타 국가에서도 정권 창출 혹은 유지 목적의 특정 지지층을 위한 정책이 확대 시행되고, 대중영합주의도 확대

- 둘째, 서방 주요국의 공조 위축. 미국 정부는 자국의 희생을 강요한다면서 TPP와 파리기후협정 등의 탈퇴를 결정. 그 결과, 전세계가 직면한 국가 간 무역 분쟁,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 해결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 이처럼 서방 주요국의 정책 공조가 과거에 비해 어려워진다면, 이는 향후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중남미의 잠재적 경제위기가 당초 시장예상보다 세계경제에 보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 잠재


ㅇ 실업률이 낮은 일부 도시,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상승 압력 발생(WSJ)

- 미국 경제의 가장 취약점을 제시된 임금상승률은 통화정책 구사에도 난제. 하지만 최근 실업률이 매우 낮은 일부 도시는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상승률을 기록

- 10월 실업률이 2.3%에 불과했던 미니애폴리스는 민간부문의 2/4분기 임금이 전년동기비 4% 올라 전국 평균보다 2배 높은 수준. 덴버, 산호세, 오스틴 등의 도시 등도 실업률과 임금상승률이 이와 비슷한 상황

- 시장에서는 이들 도시가 전문 인력이 매우 중요한 건설, IT, 제조업 등이 발달한 지역으로, 기업 간 필요 인력의 확보 노력이 가시화되면서 임금 오름세도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

- Moody’s Analytics의 Adam Kamins, 일부 도시의 임금상승세는 실업률과 임금의 상관관계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이는 경기상승이 지속되면 향후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평가

- 만일 임금상승에 따른 물가상승이 전국적으로 발생한다면 이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

ㅇ 미국 증시, 경제성장 지속에 따른 금리 상승 등이 하방 요인(WSJ, FT)

- 2017년 다우지수는 25% 상승하여 최근 10년 동안 2번째로 높은 상승률 기록. 이는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의 기업이익 증가율, 주요국의 경제성장 동조화 등이 주요 요인

- 2018년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세제개혁안과 대규모 정부지출 확대 등이 경기상승을 뒷받침할 전망. 하지만 이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 증시의 투자 유출을 초래할 수 있어 주목할 필요

- 최근 발표된 소비심리 지수도 호조. 해당 지표는 향후 소비증가에 따른 경기 호조를 유발하고, 시장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미래가치를 떨어뜨리고 사상 최고 수준인 주가유지의 타당성도 약화시킬 우려

- 역설적으로 정부의 다양한 경기부양 노력이 제한적인 경우에, 저금리가 지속되어 장기간의 주가 상승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할 가능성

- 일부에서는 한반도, 중동, 유럽 등지의 정치적 갈등이 증폭되면서 장기간 낮은 수준에서 지속된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


ㅇ 2017년 12월 FOMC 의사록, 금리인상 속도에 신중론 제기(로이터, 블룸버그) 

- 연준은 같은 기간 6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결정했지만, 일부 위원은 물가상승률 정체 등을 이유로 금리인상 속도에 신중한 태도를 견지. 의사록에서는 재정을 통한 부양책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가능성을 언급. 하지만 다수 위원은 물가상승률 정체가 일시적이라고 지적했지만, 혁신과 세계화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 약화 가능성을 강조한 위원도 존재. 복수 위원은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금리인상 속도가 빠르다고 주장

- 세제개혁에 대해 많은 위원은 개인소비와 자본투자에 긍정적 요소라고 예측했지만, 관련 영향은 불투명하다고 평가. 관련 영향의 일부는 이미 경제활동이나 노동시장에 반영되어 있음을 제시

ㅇ 2017년 12월 ISM 제조업 경기지수, 59.7로 전월보다 1.5p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3개월 만에 오른 것으로, 시장예상치(58)를 상회. 지수 구성항목 중 신규수주는 5.4p 상승한 69.4를 나타내, 2004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생산도 1.9p 오른 65.8을 기록

- 지수가 60대를 보이는 것은 해당 항목이 매우 양호한 상황임을 의미. 다만 고용지수는 57.0으로 전월보다 2.7p 하락

ㅇ 11월 건설지출, 전월비 0.8% 증가한 가운데 금액 기준으로는 과거 최대(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가 발표한 같은 달 건설지출은 민간주택의 증가세(1.0%) 등으로 연율 환산 1조2570억달러를 기록. 이에 따라 주택부문이 2017년 4/4분기 성장률을 견인할 것이라는 견해를 뒷받침

- 공공부문은 0.2% 증가율을 보였는데, 주와 지방정부가 0.7% 늘어난 반면 연방정부는 4.8% 감소


ㅇ 미국, 경제성장에 필요한 노동력의 이동성을 저해하는 요소 확대(블룸버그) 

- 노동력의 자유로운 이동은 성장성이 낮은 재래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을 고성장 산업으로 재배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특정 개인 혹은 산업 뿐 아니라 국가경제 성장 촉진에도 중요한 요소. 하지만 미니애폴리스 연은의 Greg Kaplan에 따르면, 미국 주요 산업의 근로자 이동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그 중 2011년은 1991년에 비해 대략 절반 수준에 불과. 이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지역별 임금이나 일자리 특성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거나 맞벌이 부부 모두의 구직이 제한적인 경우 등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

- 특히 경제성장이 양호한 대도시는 대부분 주택과 임대료 가격이 높아 노동력의 새로운 유입을 제한. 경기침체기에 도시를 떠난 가구는 경기가 회복되어도 도시에 다시 들어오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

- 1990년대 정부에서 볼티모어, 보스턴, 시카고 등에 거주하는 가구의 이주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경우, 해당 가구의 소득과 삶의 질이 크게 개선. 이를 고려할 때, 정부는 향후 가구의 이동을 위한 재정 지원을 강화할 필요

ㅇ 미국 대외순투자 포지션 약화, 달러화 약세 지속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FT) 

- 해외의 對美 투자가 과거보다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대외순투자 포지션(NIIP)은 크게 약화. 헤지펀드인 Horseman Capital Management에 따르면, 미국의 대외순직접투자(FDI)는 2000년 이후 최초로 적자 전환. 또한 해외의 미국 주식보유액은 금융위기 이전 미국 GDP 대비 15%에 불과했으나, 최근 35%까지 상승하여 미국의 대외 순투자포지션은 GDP대비 –40%를 초과

- Horse Capital Management의 Russel Clark에 따르면, 대외순투자 포지션의 대규모 변화는 해당국 통화와 채권가격의 약세를 나타내는 성향이 있다는 점에서 달러화와 미국 채권시장의 약세 가능성을 시사

- 한국에서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수년에 걸쳐 대외 순투자포지션이 흑자로 전환되어 2007년 이후 약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던 원화가치가 강세

- 수차례에 걸친 Fed의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달러화 약세 지속은 대외 순투자포지션의 변화를 금융시장이 반영하기 시작한 결과일 가능성

- 만약 이러한 가정이 맞으면 달러화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의 대외순투자포지션 약화에 따른 달러화 약세 지속의 결과는 매우 예측하기 어렵고 험난할 것(both violent and unpredictable)으로 예상


ㅇ 미국 노동력 부족,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연결될 가능성 증대(블룸버그) 

- 취업자 비율이 60.4%에 불과하여 2007년의 63.7%보다 낮아 미국 노동시장의 유휴노동력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분석은 오류이며, 실제 인력부족은 심화

- 일부 지역의 임금 상승과 신규실업급여청구건수의 감소는 시장에서의 노동력 부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편이라는 평가

- 일자리 부족의 원인 중 하나는 남성 근로자를 대체했던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의 감소. 이에 노동부는 근로자가 일자리가 없어 시장에서 이탈하지 않았고, 일자리는 600만개 이상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제시

- 노동시장 상황에 따라 Fed의 예상보다 빠르게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고, 노동시장 수요 증가는 경기확장 국면을 반영. 따라서 기존의 경기부양 통화정책을 축소시킬 필요성이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