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 미국의 감세조치, 쌍둥이 적자 외에 채권시장의 해외의존도 심화 유발(WSJ)
-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수지 적자로 인해 자국 일자리 감소를 언급하고 있지만, 자신의 경제정책인 감세로 인해 재정수지 적자가 확대될 경우에 무역수지 적자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무역수지 적자가 미국의 저축 대비 과잉 투자 등에 비롯된 것이라는 이론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실업률이 4.1%까지 하락해 신규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한 생산노동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입 증가는 경기과열을 억제하는 효과가 내재
- 골드만삭스는 과거 재정수지 적자가 100달러 늘어날 때마다 무역수지 적자는 35달러 증가했다고 분석. 의회예산처(CBO)도 감세가 성장률, 금리, 달러화 가치를 올려 수입을 늘리고 수출을 줄일 수 있다고 제시
- 의회예산처는 감세로 인해 향후 10년간 GDP가 0.7% 증가할 수 있으나 GNP 증가 폭은 0.4%에 불과할 것으로 추산. 이는 감세에 따른 성장효과의 1/3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돌아갈 것임을 시사
○ 달러화 가치의 안정, 세계 증시의 변동성 억제에 긍정적 영향(WSJ)
- 최근 세계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된 것과 달리 외환시장은 안정세. 만약 외환시장의 변동성도 높아졌다면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증폭되었을 것으로 추정 - 외환시장 안정은 미국 달러화 약세가 주요 요인. 2016년 말 IMF가 미국 달러화 가치는 10~20% 과대 평가되어있다는 발표 이후 달러화 지수가 13% 하락하며 주요국 통화가치는 대부분 적정치에 근접
- University of Kiel의 Valentyna Ozimkovska은 외환시장의 불확실성 증대는 투자자의 해외 주식매입 축소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장기간의 주요 통화가치 안정화가 세계 자본의 흐름을 원활하게 뒷받침한다고 주장. 특히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이 내부적으로는 자국 경제 뿐 아니라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고 있어 세계 금융시장 여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
- Salient Partners LP의 Ben Hunt, 연준이 기존과 같이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강조한다면, 당분간 달러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의 평탄화, 성장률과 통화정책의 부조화 가능성을 반영(WSJ)
- 최근 미국 국채금리 10년물과 2년물의 차이는 0.428%p로 2007년 이후 최저. 성장 기대를 반영하는 10년물 금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이는 시장에서 성장률이 장기적으로 연준의 목표인 2.2%를 달성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기 때문. 반면 기준금리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2년물 국채금리는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를 반영하여 상승세 지속. 이에 시장에서는 연준이 경제가 감내할 수 없을 정도로 기준금리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 BMO TCH Core Plus Bond Fund의 Daneila Mardarovici, 경제 전반에 유동성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 금융시장이 매파적 통화정책을 감내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하다고 지적. 다만 일부에서는 수익률곡선의 평탄화가 반드시 경기침체를 의미하지 않으며, 당국에서 경제 여건에 맞게 정책을 유연하게 구사할 것으로 기대.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윌리엄스 총재, 기준금리 상승기에 평탄화가 발생을 일반적 현상이라고 언급
○ 미국 대형은행의 1/4분기 실적 호조, 감세정책 등이 영향(WSJ)
- 1/4분기 주요 대형은행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발표. 같은 기간 미국 4대 대형은행의 이익은 전년동월비 35% 증가. 그 중 감세 효과 기여도는 14%p로, 25억달러 수준. 해당 금액이 큰 규모는 아니지만, 감세안의 의회 통과가 없었다면 씨티와 BofA의 실적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에 머물고, 웰스파고의 경우에는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 감세 외에도 대형은행의 이익 증가를 견인한 요소는 다수 존재. BofA는 고정 영업비용(감가상각비, 인건비 등) 및 부실자산의 감소, 씨티는 전반적인 영업 호조가 실적 개선에 기여
- 이에 시장에서는 감세 효과가 은행권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지만, 다양한 부문의 영업 개선과 비용감소 등에서 성과를 제고하였음을 고려할 때 향후 대형은행의 실적 개선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다만 Zion Research의 Ravi Gomatam은 은행 실적을 평가할 때 감세 효과보다는 대출 등 주요 영업부문의 이익 증가 지속 여부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Fed 인선, 개혁보다는 연속성과 안정성을 중시(WSJ)
-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부 주요 요직에 매파적 인물을 지명한 반면 연준 인선에서는 이전 연준 의장의 기조를 지속할 수 있는 인사를 단행. 이는 기존 연준 정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 현 연준 의장의 파월, 부의장으로 지명한 클라리다 컬럼비아대 교수 등은 이를 뒷받침. 파월은 전임 버냉키와 옐런 의장의 정책을 지지했고, 클라리다는 금융위기 이후 시행된 완화정책과 점진적 기준금리 인상에 우호적 견해. 마찬가지로 규제감독을 담당하는 연준 이사에 부시 행정부에서 재직한 퀄스를 지명. 조지워싱턴대 Sarah Binder는 최근 연준의 인선이 부시 행정부 당시와 비슷하다고 제시
- 도이체방크의 Peter Hooper, 연준 인사가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원활한 결정이라고 평가.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분야 정책에서는 급진적인 통화정책 변경과 규제정책의 변화보다는 보수적인 접근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
○ 미국의 셰일원유업체, 과도한 생산설비 증대로 생산 확대는 기대난(WSJ)
- 미국 셰일원유 생산의 중심지인 텍사스州 페르미안 분지의 원유생산 규모는 이란 혹은 이라크와 비슷한 수준.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서 일일 300만배럴의 원유가 생산되며, 이는 2023년까지 2배로 늘어날 전망. 그러나 Fidelity Select Energy Portfolio의 John Dowd는 그간 낮은 생산비용에서 생산이 가능했지만, 최근 셰일원유 생산에 병목현상이 나타나 당초 시장에서 예상했던 생산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고 전망
- 페르미안 분지의 생산량이 추가적으로 증가하면, 파이프라인 용량 부족 문제로 생산업체는 고비용의 운송 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상황. 장비와 노동력 부족 문제도 상존. Primary Vision의 Matt Johnson, 다수 지역에서 셰일원유 생산을 위한 설비 가동률이 수개월 내 10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도 미흡하다고 지적
- Occidental Petroleum의 Steve Chazen, 셰일원유 생산규모가 커질수록 매년 큰 폭의 성장은 불가능하며 조만간 생산정체 국면에 근접할 전망
○ 미국 세제개편의 가계 수혜, 유가 상승으로 상쇄될 우려(FT)
-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휘발유 가격이 갤런당 2.75달러를 나타내 최저치였던 2016년 2월 1.75달러 대비 57% 상승했다고 발표
- 어반 브루킹스 세금정책센터에 따르면, 세제개편을 통한 중산층의 세제 혜택이 2016년 대비 가구당 연 930달러만큼 늘어난 반면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가계 연료비 지출이 400달러 늘어나면서, 가계의 감세효과가 축소될 것으로 추산. 그 중 농촌지역은 도시보다 16% 높은 연료비 지출을 예상. 물류산업이 활성화된 텍사스는 연간 10만달러에 트럭 운전사를 고용하나, 연료비 증가로 수송비 부담이 증가. 유가 상승에 따른 악영향이 노동자에게 전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
- 에너지 정책 센터의 Jason Bordoff, 10년 전 유가 상승은 GDP 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지만, 현재는 해당 부문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 다만 이번에는 가계의 연료비 지출 증가에 따른 감세 효과만 나타날 것이라고 지적
○ 미국 증시, 인플레이션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승세 지속 예상(블룸버그)
- 최근 장기간의 경기상승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 일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될수록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 유지 등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고 주가도 하락할 것으로 우려. 하지만 유가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최근 유가강세는 수요증가보다는 공급부족에 기인. 이는 중동의 긴장이 고조된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긴장이 완화될 경우 공급여건의 개선으로 유가가 다시 하락할 전망. 따라서 인플레이션도 상승폭이 제한될 소지
-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2018년 1.9%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준의 목표인 2%를 하회. 변동성이 높은 유가와 농산물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의 경우도 작년 대비 0.2%p 낮은 수준에서 추이. 따라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당초 시장의 우려만큼 크지 않다면, 투자심리 개선에 따른 주식매입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