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국가·원자재
ㅇ 인도네시아, 자본유출 우려 등으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닛케이)
-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4.75%에서 유지. 이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이 다수 존재하는 등의 요인이 작용. 작년에는 6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했지만, 민간은행이 대출금리를 낮추는 효과에 회의적 시각이 우세. 또한 중앙은행은 은행과 기업이 구조조정 과정에 있다고 지적. 장기화된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하여 금리인하의 긍정적 효과를 제한하고 있다고 강조
ㅇ 대만, 3월 해외수주액은 12.3% 늘어나 8개월 연속 증가세(닛케이)
- 경제부에 따르면, 같은 달 해외수주액은 411억달러로, 정밀기기가 증가세를 주도
ㅇ 오만, 에너지 산업의 민영화 추진(FT)
- 국영 에너지 기반시설의 일부 민영화를 추진. 이는 경제 다각화와 유가의 지속적 하락 속에 새로운 자본 확충이 배경. 오만은 지난 2년 간 GDP의 17%에 달하는 재정수지 적자에 직면하여 해외시장에서 자본을 차입
ㅇ 캄보디아 중앙은행, 일본의 가상통화 기술 채택(닛케이)
-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가상통화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결제 수단을 개발. 이는 일본의 핀테크 벤처기업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 해외 중앙은행이 일본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을 채택한 사례가 최초
ㅇ 뉴질랜드, 1/4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년 만에 최고치(로이터)
-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비 2.2%를 나타내, 전기(1.3%)보다 확대. 하지만 중앙은행은 금리를 최저 수준을 유지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전망
- JP 모건의 Tom Kennedy, 근원 물가 수준은 여전히 낮고 상승률은 목표치로 회귀하고 있어, 중앙은행이 금리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촉진과 전세계 불확실성으로 금리를 최저 수준으로 유지
ㅇ 베네수엘라, 반정부 시위 확대 속에 제2의 시리아 가능성 대두(닛케이)
- 베네수엘라의 정치적 혼란이 심각한 단계에 진입. 높은 물가와 생필품 부족 등으로 경제가 파탄에 직면한 가운데 정권에 반발하는 야당은 최대 규모의 시위를 개최. 이에 정부는 무력으로 탄압하여 사망자가 발생
- 마두로 대통령은 대법원을 통해 야당이 다수를 차지하는 의회의 기능정지를 명령. 국제사회의 비난으로 이를 철회했지만, 이후 야당 지도자의 정치활동 금지 등 강경자세를 지속
- 베네수엘라는 중남미 국가 중 부유한 편에 속했지만, 1999년 출범한 반미좌파 정부는 원유수입으로 얻은 자산을 국민에게 분배. 이를 통해 빈부격차가 줄어들었지만, 유가하락과 가격통제 실패로 경제가 피폐
- 2018년 대선이 예정되어 있으나, 마두로 대통령은 무력을 사용하여 독재로 향할 가능성이 내재. 식료품과 의약품 부족으로 국민의 불만이 고조되고, 장기화되는 혼란으로 인접국인 브라질과 콜롬비아로 난민이 증가
ㅇ 전세계 석유제품, 중국의 과잉공급으로 가격 하락 압력 가중(WSJ)
- 중국 내 석유제품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원유 정제 수용능력도 2000년 이전과 비교하여 2000~2015년 기간 3배 증가. BP에 따르면 중국의 연간 석유제품 공급은 소비 규모 대비 20% 초과. 이에 정체 업체들은 잉여 경유와 휘발유에 대한 수출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국영석유공사는 금년에도 전년비 원유 정제 수용능력과 휘발유 수출이 각각 5%, 55%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정부는 통상적으로 유망 부문에 대한 집중투자를 통해 관련 업체의 성장을 유도. 경제가 양호한 시기에는 이러한 전략이 유효하지만 최근과 같이 성장 둔화 장기화 시기에는 과잉공급의 문제를 초래
- 금년 위안화 환율 안정, 국내수요 회복 등 경제 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과잉공급 해소는 어려운 상황. 중국 내 과잉공급이 지속된다면, 이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출 증가와 가격 하락의 여파는 아시아와 유럽까지 확대될 전망
ㅇ 신흥국 자본흐름, 2014년 2/4분기 이후 처음으로 유입(FT)
- 네덜란드 투자청에 따르면, 신흥국 자본흐름은 작년 4/4분기 2380억 달러 유출에서 금년 1/4분기 286억 달러 순유입을 기록하여 유입 전환
- 국제금융협회는 신흥국 10개국 자본흐름이 1월 551억 달러 유출에서 2월 358억달러 유입으로 전환되어 2015년 1월 이후 처음으로 긍정적이라고 지적
- NN Investment Partners의 Maarten-Jan Bakkum은 투자자들이 세계 교역 성장, 원자재가격 상승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 다만 중국의 자본통제 및 규제강화 등 일시적 요인이 주요하게 작용했을 가능성
- Bakkum은 위험심리에 가장 예민한(high-beta) 브라질, 터키, 인도네시아, 인도의 자본흐름에 큰 변화가 나타났으며, 한국과 대만은 기업들의 해외투자 확대 측면에서 선진국 방식에 가까워 자본유출이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 다만 2016년 급등했던 EM 성장모멘텀지수가 2~3월 하락한 것이 신흥국들의 디레버리징과 관련 있을 경우 민간소비와 투자 확대 제한, 자본흐름이 부정적으로 전환될 우려도 지적
ㅇ 인도, IT 부문의 일자리 창출 효과 감소 추세(FT)
- 매달 100만명의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고 있으나 일자리 공급이 불충분하며, 지난 5년간 사무직 수요는 공장 노동자보다 양호했으나 IT산업의 구조적 변화로 양자 모두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
- 미국의 자국민 고용확대 노력의 일환으로 숙련기술자의 H-1B 비자 발급기준 강화도 인도인 취업부진의 배경. 아울러 코딩 기술보다 데이터 사이언스, 머신러닝, 사이버보안 등에 인재가 필요하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 IT 관계자들은 일자리 창출의 희망은 스타트업에 달려있으나, 필요한 기술을 가르칠 역량이 없다고 지적. 자금조달이 호황을 누렸던 2014~15년과 다르게 최근 투자가 위축되면서 일자리 창출 여건이 악화되었다고 우려
ㅇ 브라질 의회, 부채 축소를 위한 정부의 긴축 조치안 승인(로이터)
- 하원에서는 임금동결과 자산매각 등으로 3년간 부채를 줄이려는 정부의 법안을 승인. 아울러 전체 지방정부가 상환해야 하는 부채 만기를 연장
ㅇ 멕시코, 해외진출 기업의 환류 시 세제감면 조치로 30억페소의 자본유입(로이터)
- 정부는 6월까지 진행되는 멕시코로 돌아오는 투자로 4월 11일까지 2억1200만페소의 재정수입이 창출되었다고 제시. 다만 일부에서는 현재 멕시코에 투자하는 것이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위험하다면서, 관련 계획에 회의적 입장을 표명
ㅇ 러시아, 원유시세는 현재가 적정 · 감산연장에 긍정적(닛케이)
- 노박 에너지 장관은 현 유가는 생산국과 소비국 모두에 적합한 수준이라고 주장. 러시아는 미국,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세계 최대 산유국으로 정책동향은 원유시장에 영향. 2017년 원유생산량은 사상 최고인 5억4900만톤으로 예측. 아울러 노박 에너지 장관은 현 원유시장은 불안정성을 낮추고, 원유생산에 대한 투자의지를 제고하고 있다고 평가. 6월말이 기한인 OPEC과 협조 감산은 성공적으로 실행되고, 연장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
- 원유 시장점유율 확대를 중시하는 러시아는 지금까지 감산합의 연장에 신중하였지만,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증가로 공급과잉 지속되어 러시아가 유가의 대폭 하락 방지에 축을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 또한 높은 수준인 원유생산량 유지를 위해 대규모 유전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전세계 원유수요는 장기적으로 완만한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
ㅇ 호주 중앙은행 4월 통화정책 의사록, 노동시장과 가계부채의 균형 필요성 지적(로이터, FT)
- 중앙은행은 향후 수개월간 노동시장과 주택시장 동향에 주목할 것이라고 발표. 의사록에서는 노동시장 부진과 주택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을 지적. 특히 주택관련 대출증가율이 가계소득을 상회하여 관련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
ㅇ 피치, 터키 국민투표 결과는 향후 터키 성장에 긍정적(FT)
- 피치는 현 정부의 승리가 성장세를 강화하는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진단. 피치의 Peter Fitzpatrick,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하고, 대외 불안을 줄이는 개혁 실시에 긍정적이라고 평가. 아울러 국민투표 승리로 조기 총선을 피하고, 정책을 확고하게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고 지적. 여당은 선진 개혁프로그램을 보유하나, 정치적 여건이 유동적이어서 이를 시행하지 못해 구조적 취약성이 커졌다고 강조
ㅇ 신흥국 자금유입,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로 반전 국면(WSJ)
- 1/4분기 600억달러 규모의 자금이 신흥국으로 유입되었으나, 미국과 중국, 미국과 북한 간 갈등, 프랑스 대선 등 지정학적 불안으로 최근 Neuberger Berman, UBS 자산운용, CCTrack Solution 헤지펀드 등은 투자포지션을 축소 중. 또한 남아프리카, 브라질, 폴란드, 터키의 통화가치는 1/4분기 정점에서 하락. 아울러 러시아의 루블화 흐름은 양호하나 iShare MSCI 러시아 ETF는 금년들어 7% 하락
- MSCI 신흥국 지수는 2016년 상승세에 진입하기 전 3년 연속 하락한 바 있어, 고수익을 추구하던 신흥국 자산매입 추세가 급격한 매도로 돌아설 경우에 당시와 같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및 하락세 여파가 장기화될 우려
- Neuberger Berman의 Thanos Bardas는 전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불안요인이 매우 많은 편이며, 시장의 흐름이 반전될 것으로 예상. 이와 관련하여 프랑스 대선 1차 투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흥국 투자를 보류할 계획
ㅇ 싱가포르, 3월 수출액은 전년동월비 16.5% 늘어나 5개월 연속 증가세(닛케이)
- 국제기업청에 의하면, 석유 제외 같은 달 수출액은 2월 증가율인 21.1%에서 둔화되었지만, 중국과 대만 등 주요 수출대상국 10개국 모두에서 수출이 증가. 중국의 성장둔화 등으로 정체된 수요가 늘어나 싱가포르 경기회복을 시사
ㅇ 터키, 헌법 개정안 가결은 유럽과의 갈등 증폭을 초래할 전망(WSJ)
- 대통령의 권한 강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 투표 결과 근소한 차이로 가결. 최근 에르도안 대통령은 EU의 내정간섭을 비판하고 사형제 부활을 옹호했으며 불법이민자 송환을 주장하면서 EU와의 기본 합의 파기 가능성도 거론. 이에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무장조직 IS 소탕 작전, 시리아 사태, 이민 유입 등의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 독일 메르켈 총리와 EU 주요 인사들은 사형제도가 부활되면 터키의 EU 가입 협상은 중단될 것이라고 경고
- 터키 정부는 외교정책이 급격히 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그 동안 터키 국민의 무비자 EU 여행이 허가되지 않고 EU 가입 지연에 상당한 불만을 표시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향후 EU와의 관계는 더욱 복잡해질 전망
- EU의 터키 가입 협상 책임자인 Kati Piri는 터키와 같은 헌법을 가진 국가의 EU 가입을 승인할 수 없다며 터키에 대한 강경 입장 고수
ㅇ 아시아 주요국,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은 면했지만 무역마찰 가능성은 상존(로이터)
- 최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환율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는 것을 면하였으나, 트럼프 정부가 무역수지 불균형에 대한 강경한 대응입장을 고수하여 무역마찰 우려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
- 미국은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를 유발하고 있는 중국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판해왔으며, 중국 외에 對美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한국, 일본 등은 환율에 대한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는 감시대상 목록에 포함
- 일본 Norinchukin(農林中金) 연구소의 Takeshi Minami, 미국이 이번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은 것은 북한문제에 대한 중국의 협조를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향후 북한정세의 진전에 따라 입장이 변화할 수 있다고 지적. 또한 미국이 환율조작국을 지정하는 기준으로 외환시장 개입을 평가하기 위한 기간을 기존 1년에서 수년 단위로 변경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무역마찰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전망
ㅇ BRICS 은행, 2017년 대출규모를 최대 30억달러로 확대(닛케이)
- BRICS 은행 카마스 총재, 2017년 대출금액이 당초 25억달러에서 30억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하고, 작년에 이어 위안화 채권 발행 외에도 인도 루피화 표시 채권발행 계획도 공표
- 2016년 대출은 에너지와 교통 분야에 치중되었지만, 금년에는 다양화에 나설 예정이며, 루피화 채권 발행은 당초 3억달러에서 5억달러가 될 것이라고 언급
ㅇ 터키, 대통령 권한 강화 국민투표 결과에서 찬성(51.3%, 반대 48.6%)이 우세(FT)
- 국민투표의 개헌안 주요 내용은 대통령 권한의 대폭 강화로, 총리직을 폐지하고 현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이 국가원수와 행정부를 겸하는 체제로 이행. 이에 따라 에르도안 대통령이 2029년까지 대통령 연임이 가능
- 에르도안 대통령은 신속한 의사결정이 성장에 필요한 안정과 신뢰를 준다고 주장하나 야당은 투표 과정에서 부정을 제기하고 있으며, 3권분립을 저해한다고 반발
ㅇ 이란 석유장관, 대부분의 산유국은 생산량 축소를 지지(로이터)
- 잔가네 장관, 대부분의 산유국이 OPEC의 결정이 확대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란도 이에 동조할 것이라고 언급
ㅇ 인도, 고액권 폐지를 통한 금융 디지털화 확대 목표에도 현금수요는 높은 편(FT)
- 인도는 뭄바이, 방갈로, 첸나이 등의 ATM에서 현금 고갈 현상이 발생. 시장은 고액권 폐지로 시중 유동현금이 2/3에 불과한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고액권 폐지를 지나치게 빨리 시행했다고 지적
- 작년 고액권 폐지의 목표 중 하나는 금융 디지털화 확대. 하지만 시장은 관련 정책이 오히려 목표달성에 저해가 될 수 있다고 우려
- Ambit Capital의 Ritika Mankar은 현금 사용을 어렵게 하는 것이 디지털 거래의 확대로 연결되기 보다는 대부분의 경제활동이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인도 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현재 인도의 현금거래는 고용의 70%, 총생산의 40%를 차지
- FSS의 V Balasubramanian에 따르면, 지난 달 정부의 현금 인출 관련 제한 해제한 후 ATM 거래는 고액권 폐지 이전과 같은 수준을 회복. 인도 최대 ATM 기업 CMS의 Sandhya Menon은 현금 수요 확대로 전 지역에서 현금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