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세계 경제 소식들 - 불확실성, 주가 고평가, 포퓰리즘, 부의 불평등

by 성공의문 2017. 12. 22.

■ 세계경제 전반

ㅇ 세계 금융시장, 연준의 정책 불확실성 ‧ 주가 고평가 가능성 등이 주요 리스크(로이터) 

- 내년도 세계 금융시장의 주요 리스크로는 다음의 5가지 요인이 거론. 

- 첫째,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가 투자자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 특히 미국 연준은 내년 초 옐런 의장의 임기가 종료되어 시장에서는 이후 새롭게 취임하는 파웰 차기 의장이 통화정책을 어떠한 방향과 속도로 이끌어 나갈지 예측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

- 둘째, 상장지수펀드(ETF)의 성장에 따른 리스크. EY의 조사에 따르면, ETF 투자 규모는 2005년 이후 현재까지 10배 증가했으며, 향후 수년간 연간 평균 15%의 성장이 기대. 최근 포함하는 상품의 범위가 지나치게 확대되며, 2008년 금융위기 때처럼 장중에 ETF 지수와 기초자산 간의 부조화 발생 가능성 상존

- 셋째, 주식시장 붕괴 가능성. 12월 FTSE의 세계지수와 미국 S&P 500이 전년동월비 각각 20%, 18% 오르는 등 최근 주식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음에도 투자자들 가운데 그 동안의 장기 상승을 고려하여 시장의 급락을 우려하는 의견이 확산.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투자자들은 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상품에 투자를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투자 포지션의 증가는 전체 금융시장의 혼란을 증폭시키는 역효과를 초래. 윈턴의 David Harding, 예방책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

- 넷째, 헤지펀드도 시스템 리스크 초래 가능. 대형 헤지펀드들이 자산 유형별 분류 등을 통해 관련 위험성을 분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약세장 (bear) 시각이 지속되는 상황을 견딜 수 있을지는 불확실. 헷지펀드는 통상적으로 레버리지 비율이 높아 시장의 급격한 변동 시 이로 인해 손실도 급격히 증가하고 변동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

- 다섯째, 가상화폐 관련 위험. 비트코인 가격이 하루에 80%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총 가치가 3500억달러를 기록하는 등 디지털 경제의 성장과 함께 가상화폐 투자가 급격하게 증가. 하지만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가상화폐의 특성상 기술적 결함을 노린 해킹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신흥국 경제, 자국의 고유 리스크보다 주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핵심 변수(블룸버그) 

- 오랫동안 세계경제에서 신흥국 비중이 커지는 반면 미국, 유럽, 일본 등 기존의 선진국의 비중은 감소. 중국의 과도한 부채는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등 신흥국 고유의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증가

- 중남미 여러 국가의 정치적 상황도 세계 경제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 하지만, 향후 신흥국 경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자체적인 요인보다 여전히 연준, ECB 등 주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

- 특히 내년은 연준의 통화긴축, ECB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예상되어 이들 은행의 정책은 신흥국에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전망

- 인도네시아나 브라질은 기준금리 인하 여력이 있으나 연준이 기준금리 3회 인상이라는 시장의 예상보다 공격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신흥국 금융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들 국가의 통화정책도 결국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또한 ECB와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완화를 유지하나 경제성장과 물가상승이 지속되면 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 정상화가 불가피. 연준의 통화긴축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이들 은행의 기조 변화는 금리의 급격한 상승과 심리적 불안을 초래하여 신흥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전망

ㅇ 채권가격, 경기회복과 주요국 국채 공급 증가 등으로 하락 압력 가중(블룸버그) 

- 상원 통과로 트럼프 정부의 세제개혁안의 내년부터 시행될 전망. 이는 경기부양 효과를 나타내며 전반적인 금리 상승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여, 시장에서는 이미 내년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3%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이 증가

- 12월 20일 미국채와 독일국채 10년물 금리는 뚜렷한 이유 없이 7bp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이는 세제개혁안 시행과 이에 따른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 이를 고려할 때 그 동안 지속되었던 수익률곡선의 평탄화 현상은 약해질 가능성

- 국채공급 증가도 하락 요인. 연준은 경기회복에 대차대조표 축소에 나설 것이며 이에 따라 미국채 공급이 폭발적으로 확대될 전망. JP 모건은 내년 미국채 발행규모가 1조3000억달러로 금년의 2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

- 독일중앙은행도 내년 1830억유로의 국채 발행을 계획하여 금년의 1720억유로보다 늘릴 예정. 한편 그 동안 미국채 매입에 적극적이었던 외국인 매수세도 금리상승 가능성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채권가격 하락 압력이 더욱 높이는 요인

ㅇ 대중영합주의, 대중의 지지는 받지만 실제 정책에서 많은 오류 발생(FT) 

- 대중영합주의는 대중의 불만을 자극하고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주장을 펼치기 때문에 강력한 지지를 받을 수 있지만, 문제는 이들 세력이 정권을 획득하고 실제 정책을 실행할 때 발생

- 중산층의 지지로 당선된 트럼프 대통령의 세재개혁안 시행으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혜택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오바마케어의 폐지에 따라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저소득 국민도 크게 늘어날 전망

- 미국은 자국제일주의를 내세우고 있는데 이로 인해 세계사회에서의 영향력이 감소. TPP와 파리기후협정 탈퇴로 기존의 주요 동맹국들은 미국이 기존의 협력관계를 유지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증폭

- 브렉시트를 이끈 영국의 보수당도 EU 탈퇴로 분담금이 감소하여 보건복지 지출이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오히려 EU에 400억유로의 청산금을 지불해야 하고 이에 보건복지 지출은 크게 감소

- 금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중영합주의의 정치권 주류 입성이 실패하여 시장의 우려가 다소 완화. 하지만, 작년에 크게 확산되었던 대중영합주의의 여파가 간과하기에는 결코 작지 않은 상황


ㅇ 부의 불평등, 민주주의 국가의 존립을 위협(FT)

- 2018 세계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의 불평등 속도가 심화. 상위 1% 부의 규모가 미국에서는 하위 88%와 동일하며, 유럽은 51% 수준을 기록

- 본격적인 농경사회 이후 엘리트 계층의 부의 증가 속도는 그렇지 않은 계층보다 항상 빨랐으며, 이로 인한 대중의 불만은 정부 붕괴로 연결. 중세 뿐 아니라 20세기에는 러시아와 중국에서 혁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존 체제가 전복

- 최근 수년간 여러 국가에서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 또한 근본 원인 중 하나가 부의 불평등임을 고려할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구체적으로 저소득층을 위한 적극적인 세제개편과 정부지출 확대 등이 필요

ㅇ 글로벌 채권발행 시장, 내년이후 저금리 시대 마감으로 난관봉착 가능성 (FT)

- 금년 글로벌 채권 발행액(옥션형태 자국통화국채 등 제외)은 6.8조 달러로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으며 Microsoft, AT&T 등 우량기업들의 채권 발행액이 55%가량 차지. 저금리 여건을 활용해 사우디, 아르헨티나 등의 외화국채 발행도 급증

- Fannie Mae, Freddie Mac과 같은 미국 정부 보증기관 및 EIB(European Investment Bank)와 같은 국제기구 채권 발행액도 2016년 수준을 넘어섰으며 모기지채와 커버드본드 발행액도 동반 증가. 이에 따라 JPMorgan, Citigroup 등을 필두로 IB들의 신디케이트 채권발행 수수료 수입도 금년 사상최고치인 300억 달러에 달해 M&A와 채권 트레이딩 부문의 수익 감소분을 상쇄

- Columbia Threadneedle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Gene Tannuzzo는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 수요에 기인한 현상이라고 평가하며 현 금리수준이 유지된다면 기업이나 국가들은 채권을 즉시 발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권고. 그러나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재정위기 이후 채권발행 시장의 호황을 견인해온 미국과 유럽의 통화정책 완화가 마무리되어감에 따라 투자자들의 수요가 유지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증가

- JP 모건 자산운용의 Robert Michaele은 그간 투자자, 차입자 모두 글로벌 통화완화와 자산가격 인플레를 경험해왔지만 2018년은 유동성 장세가 마무리되는 해가 될 것(mark the end of the easy money era)이라고 경고

ㅇ 세계 주요국, 정부부채 증가율 둔화 ‧ 일부 국가에서는 재정긴축 관련 반발 확대(닛케이)

- IMF에 따르면 세계 주요 40개국의 정부부채 증가율은 2008~11년 경제 활성화의 필요성으로 10.2%를 기록한 이후 2014~17년에 2.7%로 급감. 특히 2016~17년은 각각 12개 주요국에서 정부부채가 전년도에 비해 감소. 이는 금융위기와 유럽 재정위기 이후 과도한 정부부채에 따른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긴축재정을 주요 정책기조로 선택한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 독일은 최근 4년, 네덜란드는 2년 연속 정부부채를 줄이고 있는 중. 하지만 재정긴축 부작용에 대한 반발도 증가. 금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3.6%로 작년 3.2%에 비해 개선될 전망이나 금융위기 이전 4~5%에 비해 낮은 수준. 프랑스 정부는 향후 5년간 지출 축소를 약속했는데 이에 대한 국민의 반발이 증폭

- 미국은 세제개편 영향으로 정부부채 확대가 예상되고, 중국과 터키도 확장적 재정정책를 통한 경기회복을 추진 중. 일본 역시 금년 예산안 수정을 통해 국채를 추가 발행할 계획

- IMF는 최근 부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고 관련 불만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지출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