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미국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7. 9. 12.


■ 미국

ㅇ 재무부, 연방부채 상한 합의 등으로 1개월물 국채 입찰 규모 확대(로이터, 블룸버그)

- 재무부는 1개월물 재무부증권(TB) 발행액을 350억달러로, 이전보다 75% 늘린다고 발표. 이에 따라 관련 발행규모는 1개월 전 수준으로 회귀, 이러한 가운데 3년물 국채 입찰의 응찰배율은 2.배로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 BMO Capital은 연방부채 상한 조정으로 정부가 재무부 단기채권 발행을 9월에 1천억달러 늘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ㅇ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 8월에는 작년 초 이후 최저(로이터)

- 뉴욕 연은이 실시한 같은 달 소비자조사에서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과 3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각각 2.49%, 2,62%로, 전월의 각각 2.54%, 2.71%를 하회. 이는 2013년 중반 이후 하락세, 해당 지표 흐름이 지속될 경우, 연준은 12월 금리인상을 연기할 가능성. 휘발유 가격은 향후 1년간 4.1% 상승할 것으로 관측

ㅇ 최고재판소, 트럼프 정부의 난민 입국 제한 결정 보류(로이터)

- 난민 입국 규제를 둘러싼 트럼프 정부의 주장을 연방 항소법원이 기각한 결정에 대해 최고재판소를 일시 보류한다고 결정. 항소 법원은 지난 주 난민 재정착 지원단체로부터 보장이 있으면 입국을 인정한다고 판단

ㅇ 골드만삭스, 허리케인의 성장 억제는 제한적(블룸버그)

- 골드만삭스는 허리케인 여파로 3/4분기 성장률을 0.8%p 하향 조정. 다만 이후 소비와 주택, 에너지 관련 투자가 증가하여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


ㅇ 트럼프 대통령, 미국 중심의 무역 정책 실현 문제에 직면(FT)

- 작년 대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는 중국 등 무역수지 불균형 국가에 대한 무역관계 개선. 하지만 취임 후부터 지금까지 실제 성과를 이룬 사안이 부재하며, 향후에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평가

- 첫째, 법률상 대통령이 무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제한적. 법적으로 상대국에 무역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를 결정할 권한은 의회가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다수당인 공화당 의원 대부분은 무역 친화적 성향

- 둘째,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협상 방법이 부적절. 최근 트럼프는 한미 FTA 폐기가 미국에도 큰 타격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 한국에 일방적으로 요구사항을 전달했다가 한국의 거절로 관련 논의가 잠정 중단

- 셋째, 경제 세계주의 세력이 국수주의 세력보다 우세하다고 판단한 기업과 대중은 더 이상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좌지우지 되지 않는 경향. 실제 현재까지 TPP 탈퇴 이외에 트럼프가 추진한 국수주의적 정책이 실현된 사례는 전무

ㅇ 미국 은행권 위험 완화, 금융위기 이후 개선되었지만 시장 기대에는 미흡(블룸버그)

- 트럼프 정부는 은행권 위험이 크게 개선되었다면서 향후에는 경기부양을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 하지만 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은행권 리스크 완화가 시장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평가

- 첫째, 미국 6대 은행의 단순자기자본 비율(유형자기자본/총자산)은 금융위기 직전 3%에서 2017년 7월 8%로 상승. 하지만 미니애폴리스 연은은 현 수준보다 단순자기자본 비율이 2배가 되어야 위기 상황에서 은행 구제금융을 피할 수 있다고 지적

- 둘째, 파생시장에서의 최대예상손실액(Value at Risk)은 1조6000억달러로 금융위기 당시와 유사. 또한 최대예상손실 산출을 위한 변동성 기준도 금융시장이 안정적이었던 작년을 기준으로 위기 발생 시 실제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 관련 위험이 반영되면서 은행 재무제표의 신뢰도는 약화. 5대 은행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1.16달러로 금융위기 시기의 0.50보다는 높지만 2000년대 초의 2.0보다는 여전히 크게 낮은 수준

- 은행이 경기활성화를 위해 일정 수준 위험을 수용해야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아직 규제완화보다는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자본을 확충하고 리스크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

ㅇ 원유시장, 미국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공급과잉 문제 발생 우려(WSJ)

- 최근 두 차례 대형 허리케인이 미국을 잇달아 강타하면서, 시장에서는 원유시장 내 과잉공급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이는 텍사스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이르는 미국남부지역 정제시설이 타격을 받았기 때문, 아울러 Capital Economics의 Thomas Pugh, 과거 미국 원유수요를 감소시켰던 카트리나 당시보다 상황이 수요 부진이 심각할 것으로 관측하며, OPEC의 유가 재조정 노력을 무산시킬 수 있다고 언급

- 무엇보다 골드만삭스는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다음 달 원유재고가 4천만배럴까지 증가하고 원유비축은 5억배럴에 이를 것으로 추정. 이에 따라 이전 유가상승 요인인 7~8월 원유재고 감소가 무력화시킬 것이라고 진단, 다만 씨티의 Ed Morse, 허리케인은 단기적으로 시장에 악재이나 장기적으로는 수급균형 요인이라고 주장. 또한 일부 정제시설이 예상보다 빠르게 정제활동을 재개하고 있어 허리케인이 원유시장 내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회의적 시각을 표명


ㅇ 7월 도매재고, 전월비 0.6% 증가·매출은 0.1% 감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가 발표한 같은 달 GDP 산출에 사용되는 자동차 제외 도매재고는 0.7% 증가. 7월 매출속도로 재고를 소진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1.30개월로 2016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ㅇ 7월 소비자신용잔액, 연율환산 전월비 5.9% 늘어나 시장예상치 상회(로이터, 블룸버그)

- 연준에 따르면, 같은 달 소비자신용잔액은 3조7539억달러로 전월보다 185억달러 늘어났으며, 증가율은 전월(3.8%)보다 확대. 해당 지표는 대출 등 차입에 의한 개인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 7월 신용카드 등 리볼빙 지급을 위한 대출은 3.2% 늘어난 가운데 자동차와 교육 대출 등 비리볼빙 대출은 6.9% 증가


ㅇ 트럼프 대통령과 민주당, 12월 중순까지 부채상한을 상향조정 합의(로이터, 블룸버그)

- 정부는 신규 차입 제한과 10월 자금 고갈에 직면했지만, 공화당과 민주당 지도부 등과 부채상한을 단기 내 상향하기로 합의. 공화당은 내년 중간 선거 이후까지 장기 상향조정을 요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야당안을 채택

ㅇ 지역연은경제보고(베이지북), 성장은 가속·인플레이션은 다소 억제(로이터, 블룸버그)

- 경기는 7월부터 8월 중순까지 완만한 속도로 확대된 반면 물가상승세는 소폭 확대되는데 그쳤다고 지적. 12개 지역연은은 고숙련 근로자 구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임금상승 압력은 낮다고 언급

ㅇ 8월 ISM 서비스업 지수, 신규수주와 고용지수의 호조로 전월비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같은 달 ISM 서비스업 경기지수는 55.3으로, 전월(53.9)보다 개선. 다만 허리케인 허비의 영향 등으로 향후 상승세가 다소 완만하게 전개될 것으로 내다보는 관측이 우세. 마킷이 발표한 서비스업 PMI는 56.0으로 2015년 11월 이후 최고치

ㅇ 7월 무역수지 적자, 전월비 0.3% 증가하여 시장예상치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가 발표한 같은 달 무역수지 적자액은 436억8900만달러로 시장예상치인 446억달러를 밑돌았으며, 이는 순수출이 성장에 추가 상승 요소가 될 것임을 시사.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3.0% 늘어난 335억5600만달러, 이는 2016년 8월 이후 최고치. 실질 무역수지는 7월 616억달러로 6월의 608억300만달러에서 증가. 국가별로는 중국에 대한 수출이 3.5% 증가한 반면 EU는 9.8% 감소. 수입은 중국으로부터는 3.1% 증가했지만, EU로부터는 3.7% 감소

ㅇ 하원, 80억달러 규모의 허리케인 허비 피해 지원 승인(로이터)

- 다만 공화당 보수 진영은 허비 피해 구제조치와 부채상한 한도 상향을 동시에 묶는 방안에 반대 입장 

ㅇ 골드만삭스, 정부 폐쇄 확률을 지난 주 35%에서 15%로 하향 조정(로이터)

- 이는 허리케인 허비의 영향으로 연방정부 부채상안 상향 리스크가 작아졌다고 판단했기 때문. 다만 관련 리스크는 해소된 것이 아니라 지연된 것에 불과하다는 견해


ㅇ 미국의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의 과소평가, 경제 및 금융시장의 위협 요인(WSJ)

- 미국은 부채한도 증액 합의 실패에 따른 정부 폐쇄, NAFTA 협상 타결 실패, 한국과의 FTA 철회, 북한과의 무력 충돌 등 다양한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지만 경제 및 금융시장은 기존 상황을 유지, 이러한 현상은 경제주체들이 리스크가 실제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신뢰하기 때문. 미국의 핵무기 사용은 과거 일본 히로시마 공격이 마지막이었으며, 정부 폐쇄도 엄밀한 기준을 적용하면 1814년 이후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황

- 하지만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보좌관을 역임했던 Marc Sumerlin, 북한은 비이성적이므로 트럼프 대통령의 군사 공격 가능성을 과소평가하지 않도록 경고. 또한 최근 의회의 기능 상실 정도를 고려하면 의도하지 않은 채무불이행 발생 가능성도 상존, 일부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가 만성화되면서 경제 주체들의 리스크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었으며 필요한 준비도 미흡하다고 지적

- 이를 고려할 때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과소평가는 경제 및 금융시장을 위협하는 요인. 금융위기 및 유럽재정 이후 경제 관련 안전장치들이 강화되었지만 역사적으로 동일한 실수가 반복되었음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

ㅇ 미국 의회, 부채한도 증액 등 산적한 문제 해결 위한 일괄타결 가능성(블룸버그)

- 의회는 정부폐쇄를 막기 위한 부채한도 증액, 예산안 마련, 저소득층 어린이 건강보험 지원 등 9월 이내에 처리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으며, 이들 안건은 모두 초당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측면에서 상황은 매우 복잡

- 예산 관련하여 공화당은 방위비 증액을 원하지만, 2011년 합의된 예산안 규정에 따르면, 다른 부문의 예산을 자동 축소해야 하며 이는 비국방 지출 확대를 원하는 민주당의 강한 반발을 초래, 부채한도 증액에 대해서 공화당은 원론적으로 회의적이나 대규모 감세안 통과를 위해 민주당과 협상을 진행. 또한 저소득층 어린이 건강보험 지원은 오바마케어 철폐와 관련하여 양당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

- 양당이 이러한 사안들을 9월 이내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일괄타결(megadeal)이 될 가능성. 즉, 공화당은 방위비 증액과 감세안에서 원하는 바를 얻고 민주당은 비방위비 예산 확대 및 저소득층 건강보험 지원 재정을 획득, 이를 위해 양당은 부채한도 증액에도 타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외에도 오바마케어 수정, 허리케인 복구 긴급예산 등에서도 서로의 요구조건을 수용하여 정부폐쇄 혹은 예산 합의 실패는 피할 전망

ㅇ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 자국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FT)

-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FTA 철회 가능성을 언급. 하지만 최근 북한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의 지정학점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금은 한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여 역내 미국의 존재감을 피력하는 것이 더 적절

-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높아 경제적 관점에서는 한미 FTA가 미국에게 불리하다고 판단 가능. 다만 현 상황에서 미국이 한국과의 국제적 협약을 파기하면, 유럽에 세계 무역시장의 주도권을 상실할 가능성

- EU 위원회는 호주와 뉴질랜드 등과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할 예정. 이처럼 미국과 상반된 EU의 무역정책은 세계시장에서 EU의 영향력 확대라는 결과를 초래,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대로 무역협정이 파기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자동차 업체가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 않고, NAFTA 회원국에 맡기는 외주를 확대하여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규모에 큰 변화가 없을 가능성도 상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