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세계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7. 2. 10.

■ 중국, 부채의 주식화로 국영기업의 재무건전성 제고 추진

ㅇ 과거 사례로는 정부의 의지와 달리 부채의 주식화 과정에 난항 예상

ㅇ 중국 기업의 실적은 2016년에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회복. 국영기업 이익은 2015년 전년보다 21.3% 감소했지만, 2016년 1~11월에는 철강과 석탄 기업의 실적 호조로 전년동기비 8.2%로 개선

- 국영기업의 경영호전은 투자확대가 주요 요인. 투자분야별로는 부동산 개발투자와 인프라 투자 등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 성장률을 견인

ㅇ 투자주도의 성장은 기업의 부채 증가 등으로 인해 중국 경제에 어려움으로 작용할 우려

- 기업 부채의 급증은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연결될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데, BIS에 의하면, 중국 기업의 부채는 2016년 6월말 명목 GDP 대비 167.6%로 과거 경제적 위기에 빠진 국가 수준을 상회

ㅇ 정부 예측대로 국영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위한 부채의 주식화가 전개될지는 불투명

- 중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 부채의 주식화를 추진했지만, 실패로 끝났다는 평가가 우세. 은행으로부터 자산운용사로 1.2조의 부실채권이 이동했지만, 회수율은 17.4%에 머물러 관련 규모의 확충을 정부에서 수행

- 아울러 좀비 기업의 명확하고 유효한 정의가 없고, 부채의 주식화는 시장주도로 전개되어야 하지만, 관련 대상은 주로 국영기업과 국영은행 등이 주류

<그림 1> 과거 경제위기국의 기업부채 비교

<그림 2> 광공업 분야 기업의 총자산이익률 추이

■ 세계경제 전반

ㅇ 2016년 12월 OECD 경기선행지수, 미국·독일 등은 전월보다 상승(로이터)

- OECD가 발표한 같은 달 경기선행지수는 주요국(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이 이전 달에 비해 올랐으나, 전체 32개국의 평균은 99.9로 전월과 같았으며, 장기 평균인 100을 하회. BRICs 국가 중 인도를 제외하고 경기선행지수는 모두 상승

- 주요 선진국 중 영국은 2016년 12월 99.5로 전월보다 0.2p 올랐는데, 브렉시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있지만,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OECD는 평가

■ 미국

ㅇ 트럼프, 입국제한 관련 사법부 비판 강화(로이터)

- 재판소가 매우 정치적이라고 언급하면서, 국가안전보장을 저해한다고 판단하면, 어떠한 인물이라고 입국을 정지하는 대통령 권한이 법에 명기되어 있다고 주장

■ 유럽

ㅇ IMF, 그리스의 성장 촉진을 위해서는 연금예산 축소와 감세가 필요(로이터)

- 연금 예산 삭감 대신 세제 기반 확대, 세율인하 등을 통해 빈곤층 지원 등에 재정지출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 현 상태에서는 과세가 면제되는 세대가 필요 이상으로 존재하며, 인프라 투자 등으로 그리스 경제발전에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

- 그리스 부채 감면조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집약되는 가운데 1년 전과 비교할 경우, 부채의 지속 가능성 등에 필요한 조치 견해 격차는 줄고 있다고 언급

- IMF의 그리스 부채상황 평가에 대해 유로그룹의 데이셸블룸 의장은 지나치게 비관적이라고 언급하고, 유로존이 그리스의 부채감면에 대응할 가능성을 부정. 그리스는 IMF의 평가와 달리 부채문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제시. 향후 관련 내용을 재검토하겠다고 부연

ㅇ 프랑스, 2017년 재정수지 적자 목표 축소 목표 달성은 기대난(로이터)

- 회계원은 연차보고서에서 공공지출을 과소평가하고, 과도한 세입 전망을 기초로 재정수지 적자 목표를 설정했기 때문에 목표 달성은 매우 어렵다고 평가. 금년 정부는 공공부문 적자의 GDP 비율을 2.7%로 낮추는 목표를 설정

- 금년 공무원 급여는 3% 이상 오르고, 상승률은 2011~16년 전체 수준과 동등하다고 제시. 올랑드 대통령은 이슬람 과격단체 관련 안전보장 지출 확대로 공무원 급여를 인상. 이전 기간 재정수지 적자 축소의 상당부분은 금리저하에 기인한다고 분석

ㅇ 프랑스 중앙은행, 1/4분기 성장률은 전기비 0.3%로 예상(로이터)

- 1월 제조업의 신뢰지수는 101로 전월(102)에서 하락하고, 서비스업의 신뢰지수는 101로, 이전 달의 100에서 상승하여 2011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ㅇ 프랑스 대선후보 르펜 경제고문, 중앙은행 총재에게 화폐발행 계획을 설명(블룸버그)

- Bernard Monot, 작년 9월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에게 중앙은행의 권한을 되찾아, 화폐를 발행하고 재정지출에 이용할 계획을 설명. 르펜은 유로화 동맹을 이탈하여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회복하고, 복지나 채무상환 자금을 확보할 계획

- 빌루아 드 갈로 총재는 이 같은 방안에 부정적 의사를 나타내며, 시장의 변동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제도와 통화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ㅇ 아일랜드 배드뱅크, 선순위채무의 95%를 상환(FT)

- 아일랜드 경제위기로 설립된 배드뱅크는 유로존의 경기회복 등으로 인해 아일랜드 은행 구제비용의 95%를 회수. 국가자산관리국(National Asset Management Agency)은 2010년 302억유로의 국채를 발행하여, 은행의 위험대출자산을 인수, 당시 구매된 대출의 장부가치는 740억유로였으며, 국가자산관리국의 자금 회수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 그러나 국가자산관리국은 전일 10억9000만달러의 선순위채권이 상환되면서, 총 286억9000만유로가 상환됐다고 발표

ㅇ 프랑스 총선, 르펜의 승리 가능성·2가지 시나리오는 모두 희박(블룸버그)

- 골드만삭스는 관련 시나리오로, 투표율이 40% 미만이거나 국민전선의지지 기반이 2015년 12월 지방선거 시 700만명 전후에서 3배 이상을 가정했지만, 모두 가능이 낮다고 진단

ㅇ 잉글랜드은행 부총재, 기업투자는 민간의 브렉시트 반응에 좌우(로이터, FT)

- Cunliffe, 영국의 EU 이탈 이전까지는 기업투자가 약한 상태를 지속할 것이며, 이탈 이후로는 가계와 기업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지적. 또한 금융위기 이후 영국의 생산성은 실망스러운 수준으로, 이는 저조한 임금성장률의 원인이라고 설명

- 기업에 과소투자(underinvested) 여부를 묻는 조사에서, 기업의 1/3 정도가 지난 5년간 투자한 금액이 너무 적었다고 평가. 금융위기의 후유증으로 투자에 나서지 않은 기업들의 70%가 위험 회피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9년 이후 투자수익률 저조로 연결되었다고 지적

- 최근 규제완화 요구에 대해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은행규제는 필요하다며, 누구도 다시 금융위기가 발생하기를 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

ㅇ 폴란드 중앙은행, 예상대로 기준금리 1.50%로 동결(FT)

- 미국 투자은행 BBH는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예정보다 빠르게 긴축을 강행할 가능성 제기. ING는 폴란드 중앙은행이 지속적인 경기회복을 위해 금년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지 않는다고 분석하며, 2016년 4/4분기 재고는 늘어난 반면 투자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고 지적

■ 중국

ㅇ 2016년 4/4분기 경상수지(속보치), 376억달러 흑자(로이터)

- 국가외환관리국에 의하면, 같은 기간 자본 및 금융수지는 376억달러 적자였으며, 2016년 연간 경상수지는 2104억달러 흑자였으며, 자본 및 금융수지는 470억달러 적자. 이에 따라 GDP 대비 경상수지는 1.9%, 아울러 국가외환관리국은 자본흐름 리스크는 대체로 제어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금년 자본 및 금융수지는 적자가 지속되겠지만, 적자폭은 축소될 것이라고 예상

ㅇ 위안화 표시 무역결제 비율, 2016년 12월에는 3년 만에 최저(로이터)

-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에 의하면, 이는 자본유출 규제 강화와 위안화 가치 하락 전개 등으로 위안화의 관심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라고 평가. 작년 12월 위안화 무역결제액은 중국 상품 무역전체의 11.5%로, 전년동월의 28%에서 크게 저하

■ 일본

ㅇ 1월 일본은행 통화정책 주된 의견, 장기금리 제로로 유지(로이터, 닛케이)

- 미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인 금리상승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2%의 물가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현 장기금리 목표를 유지해야 한다고 다수 위원이 지적. 아울러 관련 목표와 방침을 견지하기 위해 관련 효과를 면밀하게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

- 장기금리를 제로로 유지하기 위한 국채매입 운용에 대해서도 금액과 시점, 회수 등은 실무적으로 검토된다고 밝히면서, 일일 운용조작에 의해 미래 정책 견해를 제시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

- 미국의 장기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 금리운용이 더 어려워진다고 제시. 국채매입액은 시장의 반응을 보다 신중하게 바라보고 감액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

ㅇ 2016년 12월 경상수지, 1.1조엔 흑자·작년 연간으로는 20.6조엔 흑자(로이터, 닛케이)

- 재무성에 의하면, 같은 달 경상수지는 1조1122억엔으로, 시장예상치(1조2945억엔)를 하회. 무역 및 서비스 수지는 5202억엔 흑자였으며, 1차소득수지는 6759억엔 흑자인 반면 2차소득수지는 839억엔 적자. 2016년 경상수지는 20조6496억엔 흑자

ㅇ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무역수지 적자 관련 트럼프 정부에 이해를 강구(로이터, 닛케이)

- 2016년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에서 국별로 일본이 중국 다음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내용과 관련 트럼프 정부의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대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국과 경제관계가 심화·발전할 수 있도록 대응할 방침

ㅇ 일본은행 1월말 보유 국채잔액, 358조엔으로 발행액의 40%를 초과(로이터, 닛케이)

- 일본은행 통계에 따르면, 같은 달 일본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국채잔액이 358조1977억엔으로 전체 국채발행잔액 894조3357억엔의 40.1%를 차지. 일본은행은 2013년 4월 이후 국채매입을 시작하여, 2014년 10월부터 연간 80조엔의 국채를 매입

-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효과 기대 등으로 금리상승 압력이 확대. 이에 일본은행은 목표 장기금리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대량의 국채매입이 강요되는 상황. 크레디트 스위스의 시라카와 히로미치 (白川浩道), 일본은행의 국채매입에 따른 시장의 왜곡으로 장기금리는 1%p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

ㅇ 1월 은행과 신용금고 대출 증가율, 전년동월비 2.5%로 전월보다 소폭 축소(로이터, 닛케이)

- 일본이 발표한 같은 달 대출잔액(평균 잔액 기준)은 511조953억엔으로 4개월 연속 증가세. 이는 M&A와 아파트 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 증가 등이 주요 요인

ㅇ 1월 대내 주식투자, 1192억엔 매도(로이터, 닛케이)

- 재무성이 발표한 자료에서 같은 달 대외 채권투자는 1조6210억엔 순매도를 나타낸 가운데 대내채권 투자는 1조6841억엔 순매수

ㅇ 1월 길거리 경기지수, 미국 신정부 불확실성과 근로개혁 등으로 7개월 만에 악화(로이터, 닛케이)

- 내각부에 의하면, 같은 달 경기 Watcher 조사에서 경기 현황판단지수는 49.8로 전월보다 1.6p 하락. 2~3개월 이후 미래 경기판단지수는 49.4로 전월비 1.5p 하락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미국 에너지정보청(EIA), 2017년 자국 원유생산은 소폭 하향 조정(로이터)

- 일일 생산량을 898만배럴로 내다보면서, 전년보다 10만배럴 증가할 것이라고 제시. 기존 예상치보다 0.3% 감소한 것으로, 멕시코만의 생산 증가세 둔화를 반영. 셰일업체의 OPEC 감산에 따른 생산증가로 세계 원유재고 축소가 없을 것으로 예상

ㅇ 인도, 예상 외로 금리동결·통화정책 완화 종료 시사(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레포금리를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6.25%로 유지. 이는 작년 고액권 폐지에 따른 경제적 영향과 물가동향 확인 등이 배경. 아울러 정책은 완화에서 중립적으로 변경하기로 결정

- Phillip Capital의 Anjali Verma, 인도 중앙은행의 결정은 의외라고 논평하고,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소멸되었다고 진단. 중앙은행의 물가목표는 4%이나 작년 12월 물가상승률은 3.4%로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 이에 시장에서는 금리인하 여지가 있다고 분석. 하지만 중앙은행은 물가상승률 둔화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 가격이 주요 원인이므로, 물가가 목표 수준에 확실하게 근접하는 상황을 중시

- 인도 중앙은행은 2017회계연도(2017년 4월~2018년 3월) 성장률이 급격하게 회복될 전망이라고 제시. 모디 총리의 고액권 폐지 기저효과가 소비 증가로 반영된다고 기대. 파텔 총재는 중립적 통화정책으로 정책 유연성이 제고된다고 지적

ㅇ 이란 석유장관, OPEC 감산은 2017년 하반기에 보다 확대할 필요(로이터)

- 2017년 상반기 OPEC 산유량은 감산합의로 일일 3250만배럴이 될 전망. 아울러 잔가네 석유장관은 OPEC이 배럴당 60달러를 바람직한 유가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

ㅇ 멕시코, 1월 자동차 생산은 국내 수요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비 4.1% 증가(로이터)

- 자동차공업협회(AMIA)가 발표한 같은 달 멕시코 자동차생산대수는 27만8542대로, 생산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출용이 감소한 반면 내수용 판매는 호조. 주요 무역대상국인 미국으로 수출은 –1.8%를 기록

ㅇ 대만,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2.3% 올라 전월(1.7%)보다 확대(FT)

- 행정원 주계처에 의하면, 같은 달 소비자물가는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 외에 보육비용이 올라 전월보다 상승폭이 커졌다고 발표. 근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작년 12월 전년동월비 0.8%를 나타냈지만, 금년 1월에는 1.7%를 기록

ㅇ 태국,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기준금리 현 수준 유지(로이터)

- 기준금리인 익일물 레포금리를 과거 최저수준인 1.50%로 동결. 태국경제는 정부지출이 뒷받침하고 있으나, 주요 선진국의 경제와 통화정책 방향성에 불확실성이 남아 있고, 개인소비와 민간투자의 증가율은 완만하다고 지적

ㅇ 카타르 에너지 장관, 감산협조의 연장 판단은 시기상조(로이터)

- 알 사다 장관, 시장에서 감산합의 준수로 공급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고 견해를 밝히고, 감산협조를 연장할지 여부는 5월 회의에서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지적

ㅇ 뉴질랜드, 사상 최저수준의 기준금리 동결하며 시장 예상과 부합(닛케이)

-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현 1.75%로 동결 조치. 작년 11월 0.25%p 인하한 이후 현 수준을 유지

■ 세계경제 전반

ㅇ 금융시장, 최근 경기상승에도 정치적 불확실성 등은 미반영(FT)

- 최근 6개월 간 세계경제는 점진적 회복을 보였으며 전 골드만삭스 회장 Jim O’Neill는 금년 세계경제가 4% 이상 성장할 것이라고 발언. 금융시장도 트럼프랠리와 연준의 금리인상 기대를 반영하여 주가가 상승하고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등 긍정적, 하지만 시장은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에 기초한 무역전쟁이 미칠 악영향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제가 완전히 오도될 수 있다고 지적

- 금주 프랑스와 독일 국채 스프레드가 2012년 경제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낸 배경은 시장이 정치적 흐름을 잘못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 정치권에서는 프랑스 대선에서 르펜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우려를 표시

■ 미국

ㅇ 노동시장, 숙련노동자 부족 현상이 현저(WSJ)

- WSJ과 Vistage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2/3 정도가 직원 연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1년 전보다 증가. 이에 기업이 비숙련노동자를 채용하여 직업교육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숙련이 필요한 제조업 취업자가 증가할 전망

- 전미자영업연맹(NFIB)은 노동시장에서 일정 수준을 갖춘 구직자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 다만 구직 중단자와 상용직 고용을 희망하는 파트타임 근로자를 포함한 실업률은 높고, 제조업의 저학력·저숙련 근로자는 예전보다 직업훈련을 원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

- 경기회복으로 자발적인 퇴직자 수가 작년 11월에는 8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이는 임금상승을 견인. 작년 12월 제조업 부문의 임금은 전년동월비 3.4% 올라, 전체 노동자 임금 상승률 2.9%를 상회 

- 공구제조업체 Mountz의 Brad Mountz, 노동수요가 커져 구직자가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ㅇ 달러화의 안정 여부, 여타국의 구조개혁 등이 주요 변수(FT)

-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정책의 불확실성, 무역협정 관행의 변화 등으로 불안한 상황에 직면. 트럼프 정부 출범과 동시에 상승한 달러화는 일시적으로 진정되었다가 금융규제 완화 신호로 다시 강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 새로운 미국 행정부는 기존 무역패러다임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공식 통화가치 평가에 대한 관행을 뒤집는 상황을 연출. 트럼프 대통령 진영은 강한 달러를 불평하고, 독일, 일본을 포함하여 중국 이외 국가를 통화조작국으로 비난, 그러나 향후 달러화 향방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논평하기 어렵지 않은 편. 향후 유럽과 일본의 경기회복기에 구조적인 개혁이 어느 정도 전개될 것인지에 좌우되며, 관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 미국경제의 초과 성과가 좌우

- 트럼프와 의회가 추진하는 규제완화와 세제개혁을 포함한 친성장 정책은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하나 여타 국가의 무역정책 보복에 따라 부분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여파가 나타날 가능성 내재

- 무역관행 변화가 달러화에 미치는 영향은 첫째, 미국에 유리한 경제와 통화정책으로 여타 선진국과 차별화가 나타나, 통화가치는 상승할 전망. 

- 둘째, 정치적 상황은 초기에는 추가 달러화 가치 상승을 요구하지 않지만 변동성이 커질 여지 존재

- 셋째, 달러화 흐름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여타 국가가 경제개혁 도전에 부응하는지에 좌우. 개혁이 순조로우면, 세계경제의 균형은 지속 가능하고, 달러화는 질서 있게 안정. 실패 시 미국 내 정치적 반발과 신흥국에는 위협요인

ㅇ 핌코, 미국 연준과 잉글랜드 은행 등은 통화냉전에 참여(블룸버그)

- Joachim Fels, ECB와 일본은행, 인민은행은 2016년 하반기 통화가치를 인하하려고 시도했지만, 미국 금융당국은 금리 인상 기대 억제로 대응하고 있다고 주장. 잉글랜드 은행은 기준금리 결정 보류와 동시에 경제 전체의 잉여인력이 있다고 강조, 하지만 이는 잉글랜드 은행이 파운드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기 위한 방편이며, 냉전은 표면적인 분쟁이 아니라 기습적인 언행에 의해 전이된다고 설명

- 트럼프 정부는 달러화 강세를 용인할 가능성이 낮지만, 보호무역주의를 이용할 가능성이 낮다고 지적. 일본 등 對美 수출국을 과장하기 않기 위해 자국통화 가치 상승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 유럽

ㅇ 유럽 문제, 정치적 리스크가 채권시장에 반영(WSJ)

- 프랑스 선거가 수주 남아 있는 상황에서 10년물 프랑스와 독일의 국채금리 차는 0.5%p 확대되어,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0.76%p에 근접. 이탈리아와 포르투갈 등 여타국에도 관련 여파가 전개되어, 북부와 남부 유럽의 국채격차가 본격화

- 독일 국채금리가 하락하는 반면 프랑스는 상승하여 재정위기 이후 유럽채권시장의 불균형을 조정한 ECB 드라기 총재 등 통화정책 담당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파생

- 시장에서는 프랑스 선거에서 극우정당이 승리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작년 브렉시트와 미국 대선 등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선거결과는 오리무중. 유럽의 문제는 근본적인 것으로, 투자자 우려는 프랑스는 물론 독일에도 관련

- 독일은 유로존이 공정한 경쟁여건과 강력한 성장을 위해 중심 역할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

ㅇ Bruegel, 브렉시트 이후 영국 은행권 자산 유럽으로 이전·3만명 고용 상실(블룸버그)

- 런던에 거점을 두고 있는 대형 은행은 영국이 EU 이탈 이후 1조8천유로의 상당한 자산을 유럽 대륙으로 이전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한편 영국에서 최대 3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리스크가 있다고 조사연구기관인 Bruegel은 추산

- 1조8천억 자산은 영국 은행권 전체 자산의 17%에 상당. 시장참여자와 정보교환을 통한 Bruegel의 분석에 의하면, 런던의 도매금융 업무의 35%가 역내 고객과의 거래라고 추정

- 2019년으로 예상되는 영국의 EU 이탈에 따라 런던 거점 하에서는 여타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패스포트 제도가 종료될 가능성이 높고, 금융기관은 도매금융 업무를 여타 역내 국가로 이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

- 사무처리부문의 다수가 런던이나 여타 지역에 머물러도 적어도 EU 27개국에 배치되는 새로운 사업체는 독립된 이사회와 전문경영진과 트레이더가 필요

- JP 모건의 Jamie Dimon은 예상보다 많은 고용 이전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으며, HSBC의 Stuart Gulliver도 런던 투자은행 수입의 20% 정도를 창출하는 인원이 파리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ㅇ 영국 이민정책, 노동력 부족으로 장기 경기둔화 초래(WSJ)

- 브렉시트 지지자들은 영국으로의 이민 유입이 과도하다고 주장. 그러나 시장에서는 영국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이민이 필요하다고 지적. 인력컨설팅 기업 Mercer에 따르면, 영국 태생의 노동자 수는 2013년에 최고치에 이르렀으며, 이민이 없으면 노동력이 감소한다고 분석

- 이민 제한을 EU 이탈 지지자들의 요구 수준까지 줄일수록, 인구 통계와 경제 여건은 악화. 메이 총리가 공언한 대로 이민자를 연간 10만명 수준으로 축소할 경우, 2030년까지 인구증가율은 7%인 반면 경제활동인구는 3% 늘어나는데 그칠 전망

- 이민 제한으로 인해 기술노동자의 부족현상 심화되나, 저임금 이민자에 대한 노동수요가 영국민으로 대체될 가능성은 낮은 편. 기업은 자동화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거나, 국외로 사업을 이전할 수 있다고 지적, 또한 엄격한 이민 제한은 영국 정부의 재정수지 적자 심화로 이어질 전망. Mercer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낙관적인 이민제한정책을 가정하더라도 근로자 1000명이 부양할 고령자는 현재 277명에서 346명으로 증가, 이에 영국 정부는 이민자들이 영국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음을 확인받을 필요가 있어, 이민억제로 인해 일본과 같은 장기 경기침체 국면에 빠질 위험을 회피할 필요

ㅇ 그리스 개혁심사, 난항을 보이면서 채무불이행 우려 확대(로이터)

- 그리스 국채 상환일이 7월 17일로 예정된 가운데 그리스와 EU 및 IMF의 논의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국채가격 하락세 지속. 그리스 개혁 심사가 7월 초까지 완료되지 않을 경우, 그리스는 부채상환 자금 확보가 불투명한 상황

- 그리스는 최근 제3차 재정지원을 대가로 다양한 개혁을 이행하기로 합의했으나, 금년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에 대한 반발을 두려워해 지원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상황

- 지난 7일 그리스 국채가격은 상환기일이 가까워졌음에도 액면가를 하회하고 있으며, 이는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반영되었기 때문. 그리스의 CDS 프리미엄도 크게 올라 향후 5년간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확률이 50% 정도인 상황으로 확대

- 소시에테제네랄의 Yvan Mamalet, EU 개별 국가의 정치 일정이 가까워질수록 개혁심사를 완료하기는 어려운 상황. 3월 초는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로 보이며, 이를 놓치면 7월 부채상환도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

ㅇ ECB와 잉글랜드 은행 총재, 브렉시트의 영향에 시각차(FT)

- 카니 잉글랜드 은행 총재, 브렉시트 현실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시장 변동성 문제는 영국을 넘어 유럽 금융시장에 커다란 혼란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 하지만 드라기 ECB 총재는 금융산업의 적응력을 고려했을 때, 위기의 발생 가능성은 낮으며 브렉시트로 인한 비용은 영국에 집중될 것이라고 주장

- 카니 총재는 영국과 유럽의 금융시장이 완전히 분리될 경우, 유럽 국가가 파생상품 시장이 존재하는 런던의 금융시장을 활용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 이는 유럽 은행과 기업의 재무제표에 존재하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단 상실로 직결될 우려, 아울러 금융시장의 유동성을 고갈시키고 국제 보험 계약의 이행 여부에 의구심을 더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심화될 가능성 지적, 그러나 각국 유럽의 중앙은행 총재는 브렉시트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산 우려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 관련 리스크 발생가능성이 높지 않으며, 발생 가능성과 결과를 조절할 수 있다는 확신이 배경

- 시장은 브렉시트로 최악의 경우, 런던 금융시장 유동성의 10% 수준인 250억유로에서 500억유로가 유출될 가능성 지적. 이에 EU 시장을 대체할 시장을 모색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

ㅇ 채권시장, ECB 자산매입 프로그램으로 금융시장 왜곡 현상 심화(FT)

-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시행한 자산매입 프로그램으로 ECB의 자산규모는 1.5조유로 수준. 이에 ABN Amro의 Joost Beaumont는 채권시장의 상당 부분이 왜곡되고 있다고 제기

- 채권매입프로그램의 주요 대상인 국채의 전체 매입 규모는 1.34조유로에 상당하며 이는 수익률을 저하시켜 시장에서 차입비용 하락으로 연결. 매입과정에서 국가별로 상이한 수익률을 동일하게 매입했지만 각국의 정치 리스크 발생으로 이에 대한 재평가 필요성이 부상

- 담보부채권의 일종인 커버드 본드의 비중은 2280억유로 수준이며, 대부분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시장 안정화를 위해 매입. 하지만 이후 ECB가 양질의 채권을 구매하며 투자대상을 잃은 투자은행이 해당 분야에서 사업을 철수하는 현상 발생

- 자산유동화증권의 매입은 2014년 이후 진행되고 있지만 경기부양의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지적. 아울러 환매시장을 통한 양질의 국채와 채권의 대규모 매입으로 환매시장에서 수요를 지나치게 끌어올리는 등 시장 왜곡 우려 확대

■ 중국

ㅇ 유동성 공급, 인민은행의 금리인상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편(FT)

- 중국 정부는 경기부양에서 기업부채 축소를 위해 주력하는 가운데 금리인상과 유동성 축소에 초점. 그러나 금리인상은 주로 채권시장에서 금융자산 버블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 주요 목적, 그러나 강력한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의 대출 증가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시장은 관측. 이유는 시진핑 주석이 2015년과 같은 채권시장 버블 파열을 원하지 않기 때문. 중국 정부는 이와 관련 신중한 접근을 유지할 방침

- Macquarie Securities의 Larry Hu, 중국은 금년 안정성에 주력할 것이며, 이는 경제적, 금융의 안정을 의미. 중국경제가 과열되지 않았지만, 2~3개월 내 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보여, 통화정책 완화가 불가피하다고 평가

- 일부 금리인상에도 공개시장 조작과 유동성기구의 기준금리 변경은 기업대출과 주택담보대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민은행의 예금 및 대출금리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금리인상이 단행되었지만, 매년 비공식적인 할당의 경신을 반영하여 월간 대출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 반면 공개시장 조작과 중기유동성기구는 주로 은행 간 대출에 영향. 시장은 금리인상이 주로 채권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진단

- NatWest Markets의 Harrison Hu, 정책효과는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단기 자금시장에서 낮은 금리는 은행 간 차입을 높이는 효과를 줄 것이나, 채권시장의 랠리는 약화될 것이라고 분석

- 중국의 금융시스템은 은행 간 금리가 실물경제에 원활하게 전달되는 선진국과 상이. 국가가 운영하는 금융시스템에서는 은행 간 시장에서 발생하는 것과 관계없이 규제기관에서 국영은행의 신용할당 등에 커다란 영향력 보유

- 최근 비은행 대출이 증가하면서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 상관관계가 강화. 채권은 기업의 자금조달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 비은행 금융기관은 부분적으로 자금시장에서 대출자금을 조달

- UBS의 Wang Tao는 5년 전에 비해 시장금리가 전체 신용의 40% 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 여전히 은행은 경제의 주요 원동력으로 영향력을 행사, 그림자 금융은 자금조달비용이 높고 규제강화로 작년과 같이 급속하게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GDP 성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신용증가가 필요하므로, 은행대출과 여타 방법은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

ㅇ 외환시장의 자본규제 효과, 향후 미국 금리인상이 좌우(WSJ)

- 1월말 외환보유액이 3조달러를 하회했으나, 전월비 123억달러 줄어들어 7월 이후 가장 낮은 감소폭을 기록. 이는 외환보유액에서 달러 이외의 통화가 뒷받침하고 있기 때문

- 위안화 유출 규제 강화는 통화정책 긴축기조 강화와 함께 외환보유액 감소세를 낮추려는 중국 정책 목표의 일환. 아울러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을 일정 부분 진정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

- 최근 규제강화 대상인 위안화 유출과 대외직접투자는 2016년 4/4분기에 모두 큰 폭으로 축소.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Julian Evans-Pritchard, 대외직접투자는 작년 11월 220억달러에서 12월에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예년과 상반된 결과

- 통화정책도 2015년 중반에 자금유출 압력이 강해진 이후 긴축기조로 전환. 이는 채권수익률을 상승시켜 자산의 투자매력을 확대. 최근 단기금리가 상승하면서, 인민은행은 공개시장 조작을 통한 단기금융시장 자금공급에 2차례 연속 실시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호전적인 발언에 신경을 쓰고 있는 중국의 당국자에게 위안화 안정화는 정치적으로도 긍정적. 다만 불확실성은 연준의 금리인상이며, 금리인상은 위안화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ㅇ 자본유출에 따른 위안화 약세 여부, 외환보유액 감소보다 중요(로이터)

- 1월 말 중국 외환보유액은 당국의 자본유출 강화 등으로 인해 감소 속도가 둔화되었으나, 3조달러를 하회. 이는 상징적이고 목표수준을 강조하는 중국 당국에게는 놀라운 상황이 전개된 것이라고 지적

- 중국의 외환보유액의 지속적 감소는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서지 못하게 하려는 시도 때문. 인민은행은 외환시장에 개입을 반복했으나, 향후 더욱 개입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 이는 미국 재무부가 4월 환율보고서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에 기인, 다만 환율조작국 지정에는 달러화의 향방이 좌우. IMF의 지침에 따라 중국에 요구되는 최저 외환보유액은 2조6000억달러로 아직 여유가 있다는 점에서, 중국은 외환 감소가 월간 130억달러 이하로 유지되기를 희망

- 시장에서는 위안화 약세가 향후에도 5% 정도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 자본유출 가속화에 따른 위안화 약세는 미국의 보복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외환보유액 수준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

■ 일본

ㅇ 실질임금, 근로개혁과 물가상승 등으로 2017년에는 하락 압력 확대 예상(닛케이)

- 2016년 근로자의 임금은 비교적 양호했으며, 고용여건 개선 등으로 실질임금은 5년 만에 전년 수준을 상회. 유가와 물가의 하락은 가계의 구매력 상승에 기여. 하지만 2017년에는 낙관적 전망이 어려운 상황

- 우선 근로개혁으로, 시간 외 근무를 줄이는 한편 정부와 민간은 근로방식 개혁에 나서고 있으며, 기업도 관련 수당을 축소시키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 또한 유가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도 실질임금 상승을 어렵게 하는 요인

- 금년 노사 협상으로 어느 정도 임금인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초점. 하지만 미국 트럼프 정부 영향으로 경제의 미래를 간파하기 어렵고, 이에 기업이 임금상승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원유 선물시장, 공급과잉 완화 조짐에 따른 유가 상승 예측 우세(WSJ)

- 원유시장에서 주시하는 지표 중 원유의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관계에서 공급과잉 완화될 조짐. 2년 전부터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은 contango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원유를 즉시 매각하는 것보다 저장하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것을 의미, 그러나 주요 산유국이 작년 11월말에 일일기준 180만배럴을 감축에 합의하면서, 원유시장에서 근월물 가격 상승. BofA와 골드만삭스는 2017년 2/4분기부터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을 초과하는 Backwardation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다만 일부에서는 OPEC이 감산합의를 유지해도 미국 셰일오일 생산 증가로 인해 공급과잉이 해소되지 않아, Backwardation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 것으로 예상

- 원유시장의 투기적 수요는 수급 균형에 근접하고 있어 유가 상승세가 나타날 것이라는 견해로 증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1월 말 원유선물 순매수는 10년 내 최고 수준, 또한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선물에 대한 수요 증가

- 헤지펀드는 근월물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으며, contango 상황에서는 근원물을 차월물로 차환(roll-over) 과정에서 보다 높은 가격을 지불. 하지만 Backwardation 상황에서는 차환과정에서 차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선물 매수에 나서는 상황

ㅇ 브라질, 고용과 소비부진 등으로 경기회복 속도는 더딜 것으로 전망(FT)

- Euromonitor에 따르면, 고용창출과 신용을 통해 이루어진 소비의 급락으로 2016년 가계당 평균소비가 2014년보다 9% 하락. 가계소비가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2014년 수준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2025년이 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

- 가계당 평균소비는 2014년 68000헤알에서 2016년 61800헤알로 떨어졌고, 금년에는 61400헤알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 Euromonitor의 An Hodgson은 브라질 경제가 회복보다 다소 진정된 상황이라고 언급

- Hodgson는 시장에서 중산층 확대와 신용대출을 통한 소비회복 기대가 있었지만, 부채로 어려움이 있으며, 소비 주도형 성장 모델에 더 이상 의존할 수 없다고 주장 

- 금융위기 이후 브라질 경제는 다른 신흥국에 비해 소비 의존도가 높았고, 2016년 GDP 대비 소비비중은 61.8%. 하지만 연체채무 비율이 작년 9월(24.6%)에서 금년 1월(22.7%)로 감소하는 등 대부분의 가계가 최근 부채를 줄이는 경향

- 가계소비 하락은 일자리 감소에서 기인한 것으로 2016년 12월 기준으로 1년 동안 11000만명이 일자리를 상실. 하지만 브라질 국립통계원(IBGE)에 따르면, 산업생산은 2015년(-8.3%), 2016년(-6.6%)에 2년 연속 부진하여 경기하강의 원인으로 작용

- 브라질 산업개발연구원(IEDI)의 Rafael Cagnin도 금융위기 이후 실적이 회복되지 못한 산업생산이 브라질 경기침체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며, 자본재 및 소비내구재 생산이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에 40% 이상 감소했다고 설명


■ 영국, 소프트 브렉시트에도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 상존

ㅇ 주력업종인 금융업 침체로 인한 생산성과 신형 영국병 재발 가능성 잠재

ㅇ 하드 브렉시트는 영국에게 편익보다 비용이 크다는 사실은 확연. 이는 파운드화 가치의 하락이 구매력 저하라는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져, 생산 활동 증대라는 긍정적 효과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 편, 만약 파운드화 절하와 정부의 산업발전대책 등으로 생산거점의 자국 회귀가 진행되더라도 관련 움직임은 중장기적 시각에서 볼 필요가 있고, 소비심리 저하가 더 심각

ㅇ 영국의 성장을 견인한 금융업도 중장기적으로 쇠퇴할 전망. 예를 들어, 유로화 결제청산 기능이 유로존으로 이전하면, 런던의 국제금융센터로서 위상이 약화 

- 금융업과 관련이 높은 산업도 경쟁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이민자에 의해 유지되었던 금융 이외 서비스업의 생산성도 저하되면서 경제 전체의 생산성 침체가 예상

ㅇ 정부와 중앙은행은 EU 이탈에 따른 경기부진을 줄이기 위해 총수요정책을 구사하겠지만, 금융업 성장 저하로 영국의 잠재성장률이 축소되어 공급측면의 심각한 충격이 도래, 이로 인해 영국은 향후 저성장과 고물가라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 놓일 수 있으며, EU 이탈 배경을 고려할 경우에 공급측면을 중시하는 구조개혁 가능성이 낮아지는 상황, 아울러 브렉시트로 인해 영국은 극복이 곤란한 신형 영국병이 재발하게 되고, 무엇보다 하드브렉시트의 경우에 영국이 지닌 금융기능을 상실할 가능성

<그림 1> 소비자물가와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

<그림 2> 유럽 국별 통화가치 하락의 상품수출 효과

■ 미국

ㅇ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완전고용에 이르지 못해 완화적 통화정책 필요(로이터)

- 카슈카리 총재는 물가상승 위험이 높지 않고 금융안정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험도 없다고 설명. 만일 통화정책이 실패하더라도 조기 긴축에 따른 것보다는 완화정책 지연에 의한 것이 좋다고 언급

- 시장에서는 정부의 재정부양책을 고려하고 있지만, 자신은 이를 경제 전망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기대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너무 인식할 필요는 없다는 견해를 피력

- 노동비용 증가율도 둔하고, 다른 주요 선진국의 물가상승 압력이 낮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미국 내 가파른 물가상승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지적

ㅇ 필라델피아 연은 하커 총재, 연내 3차례 금리인상 지지(로이터)

- 고용과 임금의 호조가 지속될 경우에 3월 FOMC에서 금리인상은 선택사항이라고 주장. 금리인상은 성장률 확대와 노동시장 회복세 지속이 전제조건이라고 지적. 아울러 소비자보호를 위해 성장세가 커지는 핀테크 기업 규제 강화 등을 언급

ㅇ 주요 IT 업체, 이슬람권 7개국 입국 제안에 반대 의견 제시(닛케이)

- 애플, 구글 등 IT 기업 127개사는 미국 대통령의 명령을 헌법위반으로 제소한 워싱턴주 등을 지지한다는 의견서를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제출. 이들 기업은 미국 기업이 가장 우수한 인력을 고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

ㅇ 2016년 12월 구인건수, 550.1만건으로 전월보다 소폭 감소(로이터)

- 노동부에 따르면, 같은 달 구인건수는 전월(550.5만건)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이직률은 2%로 전월의 2.1%에서 다소 하락

ㅇ 2016년 12월 무역수지, 443억달러 적자로 전월보다 3.2% 감소(닛케이)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달 시장예상치인 447억달러를 소폭 하회. 2016년 연간 상품무역수지 적자는 7501억달러로 전년대비 1.6% 감소한 반면 서비스 수지는 2478억달러 흑자. 이에 연간 무역수지는 5023억달러 적자로 2012년 이후 최고치

- 국별로는 중국에 대한 무역수지가 3470억달러 적자로, 전체의 46%를 차지. 다음으로 일본, 독일, 멕시코 순.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는 개선되는 추세. 이는 은행권 수익개선과 IT 기업의 성장 등으로 서비스 수지 흑자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 하지만 트럼프가 지적하는 무역문제는 수출이 여전히 강달러 등으로 부진. 자본재 수출 외에도 소비재도 감소세

ㅇ 2016년 12월 소비자신용잔액, 141.6억달러로 증가(로이터)

- Fed에 따르면, 같은 달 소비자신용잔액은 예상치인 200억달러를 하회

■ 유럽

ㅇ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와 ECB 꾀레 이사, 미국의 환율 발언을 비판(로이터)

- 빌루아 드 갈로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G7의 국제행동 규범은 통화절하 경쟁이나 외환시세에 관한 일방적인 발언을 삼가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지적. 미국 정부에 대해 유럽을 비판하기 전에 국제관행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

- 꾀레 이사는 유로화 하락은 의도적이지 않으며, ECB는 특정 목표 수준의 외환시세가 없다고 언급. 아울러 유로화 가치는 현 경제상황에 적합하다고 강조

ㅇ ECB 드라기 총재, 트럼프 대통령의 유로화 하락 유도 비판을 반박(닛케이)

- ECB는 2011년 이후 외환시장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 대규모 통화정책 완화가 필요한 유럽과 인플레이션을 경계하는 미국의 경제상황이 달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

- 트럼프의 금융규제 완화 추진은 위기 전 상황의 반복을 초래할 수 있어 반대 의사를 피력 

ㅇ IMF, 그리스의 재정수지 흑자 목표(GDP 대비 1.5%) 달성 가능(로이터)

- 그리스 성장률이 구제금융 영향으로 장기간 1%대 미만이지만, 2018년 재정수지 흑자 목표는 GDP 대비 1.5% 수준이면 달성할 수 있다고 지적

ㅇ EU 집행위 카타이넨 부위원장, 미국과 유럽의 TTIP 협상 지속은 가능(로이터)

-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기간 중 범대서양투자무역동반자협정(TTIP)에 대한 비판적 언급이 없었으므로, 아직 협상 여지가 있다고 주장. TTIP는 미국에 중요하지만, 유럽에게도 제조업, 그 중 중소기업에 매우 의미가 있다고 강조

ㅇ 독일 중앙은행 바이트만 총재, 미국 통화문제는 자국에 있다고 지적(로이터)

- 환율조작이 달러화 강세라는 미국 정부의 논리는 사실무근이며, 최근 달러화가치 상승은 미국 내부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 정치가 무역장벽을 만든다고 언급하면서, 통화전쟁은 결국 패배만을 부른다고 강조

- 유로존의 통화정책은 독일이 아닌 역내 전체의 물가안정이 목표인 ECB가 수행한다고 역설하여 미국의 주장을 일축. ECB 통화정책 완화 기조는 현 시점에서 적절하다고 언급하며, 물가목표가 달성되면 즉시 자산매입 축소에 나서야 한다고 제시

- 초완화 통화정책에도 유럽의 기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물가목표를 달성 시 통화정책을 전환할 필요가 있고, 금리상승이 각국 정부의 재정 지속 가능성을 악화시켜도 이는 동등하게 적용된다고 입장을 피력

ㅇ 독일 여론조사, 여당 지지율 2위로 하락(로이터)

- 빌트(Bilt)紙에 따르면, 메르켈 총리의 기독교 민주·사회동맹(CDU·CSU)의 지지율은 30%인 반면, 중도좌파 성향의 사회민주당(PSD)의 지지율은 31%로 1위 기록

- 기독교 민주·사회동맹과 사회민주당은 현재 연정을 구성하고 있지만, 금년 9월 연방의회(하원) 선거에서 집권당 위치를 놓고 경쟁. 한편 정부의 관용적 난민정책을 비판하는 우파정당 독일을 위한 대안(AfD)은 12%의 지지율로 3위

ㅇ 독일, EU 규정 내에서 공공투자 확대 가능(로이터)

- Bertelsmann 재단과 조사기관 Prognos는 독일리 새로운 부채를 제한하는 국내 법과 EU 규정을 위반하지 않고, 성장 가속화를 위한 공공투자 확대가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이에 의하면, 공공투자로 경제가 성장하면, 부채는 축소되는 한편 차입도 늘릴 수 있다고 강조

ㅇ 독일 勞使政, 보호무역주의 반대 공동 성명 발표(로이터)

- 보호주의가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자유무역 보호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입장 표명

-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직접적 비난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경제 번영은 시장과 사회의 개방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치·경제의 보호주의 추구는 옳지 않다고 주장

ㅇ 잉글랜드 은행 포브스 정책위원, 물가상승 가속 시 조기 금리인상 필요(로이터)

- 잉글랜드 은행은 최근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인상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고 밝혔지만, 정책결정과 관련하여 중앙은행 내부에서 의견이 나뉘고 있음을 시사

- 최근 발표된 지표들은 경제가 향후 수 개월 내에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물가상승의 징후가 나오고 있다고 평가. 경제가 상승세를 유지하고 경제지표의 개선이 지속되는데 이는 금리인상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의미라고 언급

ㅇ 영국 정부, 주택보유 촉진과 세입자 지원 방안을 검토(로이터)

- 임대주택 공급 확대와 임차인 보호 강화를 추진. 주택건설 허가를 받은 업체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건설에 착수하지 않을 경우 징계를 내려 시장에서의 과도한 수요 우위를 억제

ㅇ 영국, 정부의 EU 이탈 전략을 국민 과반수가 지지(로이터)

- 조사회사 ORB에 따르면, 응답자의 53%가 EU 이탈에 대한 정부정책에 지지입장을 표명 

ㅇ 독일, 2016년 12월 산업생산 지수는 전월비 3.0% 하락(로이터, 블룸버그)

- 경제부가 발표한 같은 달 산업생산지수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부진 영향 등으로 하락률이 2009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 제조업에서는 자본재 생산이 취약한 모습을 보였으나, 경제부는 제조업과 건설업 수주 호조는 향후 생산에 긍정적 요인이라고 설명

- ING의 Carsten Brzeski, 저조한 산업생산이나 2016년 12월 부진은 동계 기온이 매우 낮은데다 성탄절 특수요인 등이 반영되었다고 주장. 코메르츠 은행의 Ralph Solveen, 경제부 전망에 동의하고, 산업생산이 금년 1월에 크게 회복한다고 예상, 반면 ING의 Carsten Brzeski는 향후 전망에 대해 신중한 태도. 영국의 EU 이탈과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등이 산업생산 증가세를 억제할 것이라고 지적

ㅇ 프랑스, 2016년 무역수지 적자는 34억2천만유로로 전월보다 축소(로이터)

- 관세청에 의하면, 11월(43억7천만유로)에 비해 줄었는데, 이는 에어버스의 수출 증가 등이 주요 요인. 2016년 무역수지 적자는 481억유로로 2015년(450억유로)보다 확대

■ 중국

ㅇ 1월 말 외환보유액, 2011년 2월 이후 처음으로 3조달러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FT, WSJ)

- 국가외환관리국, 1월 말 외환보유액이 2조9980억달러로 전월보다 123억달러 줄었다고 발표. 아울러 관련 원인으로, 인민은행의 외화매도를 들었으며, 국내외 다양한 경제여건에도 외환보유액 변동은 정상적이라고 평가, 특히 외환보유액 감소폭이 작은 것은 해외로 자본유출 속도가 둔화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 연간 기준 2016년 외환보유액은 3200억달러 감소. 시장 일부에서는 외환보유액 감소로 2015년과 동일하게 중국이 통화가치를 낮출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

- Forecast의 Chester Liaw, 외환보유액이 3조달러를 밑돌아 자본규제와 위안화의 유동성 긴축이 지속될 것으로 진단. 다수 시장분석가는 1월 달러화 가치의 상승 기조가 지속되어, 중국의 외환보유액 감소폭은 더 커졌을 것이라고 지적

- 코메르츠 은행의 Zhou Hao, 외환보유액 3조달러 하회는 중국이 시장개입 전략을 다시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언급. 위안화 가치 하락세가 둔화된다는 시장의 견해가 변경되지 않으면, 외환보유액 감소는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

ㅇ 주영(駐英) 대사, 브렉시트에 따른 중국기업 대응 필요성 지적(로이터)

- 류샤오밍(劉暁明) 주영국 대사, 중국 정부는 영국의 선택을 존중하고, 영국과 EU 양자가 수용할 수 있는 준비가 빨리 이루어지도록 기대한다고 주장. 특히 영국에서 사업을 하는 금융 관련 기업이나 유럽 거점을 두는 기업은 예방책이 필요함을 역설

ㅇ 정부, 인터넷 감독강화를 위한 새로운 위원회 설립 검토(로이터)

- 작년 사이버 보안 법안을 가결. 이를 당국은 증가하는 해커 공격 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주장했으나, 해외자본과 인권단체 등을 이를 비판. 이에 중국 정부는 인터넷 규제 정책 등을 조정하기 위한 위원회 설립을 검토할 방침

ㅇ 상장기업, 연이은 공시 위반·매출 계정은 허위 과다(닛케이)

- 상하이 증권거래소는 공시위반 기업의 2015년 3/4분기 매출 대부분이 허위라고 발표 

ㅇ 1월 신규대출, 사상 최고치 경신 가능성 제기(블룸버그)

- 당국은 수일 이내 발표 예정인 1월 신규대출이 사상 최고치인 2016년 1월(2조5000억위안)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 블룸버그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2조4100억위안 늘어난 것으로 예상

ㅇ 위안화의 해외 사용, 2016년 10.5% 감소(로이터)

-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의 산출 지수에 의하면, 주요 국제거점에서 중국 위안화 이용은 감소. 위안화세계화지수(RGI)를 통해 오프쇼어에서 위안화 거래상황을 측정하는 관련 지수는 국가 간 결제와 해외의 위안화 표시 예금 등을 통해 산출

- 스탠다드차타드는 자본시장 규제 강화와 개입 등의 우려로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 아울러 중국 당국의 자본유출 규제로 금년에도 오프쇼어에서 위안화의 이용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 

■ 일본

ㅇ 일본은행, 엔화 약세 유도 논란으로 美·日 정상회담 앞두고 어려움 직면(블룸버그)

- PIMCO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기존의 완화정책 유지를 원하나 정상회담을 앞두고 엔화 약세를 유도한다는 미국의 비난을 우려. 최근 투자자들은 미국의 엔저 비판으로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완화 의지에 의구심을 갖기 시작

- Mitsubishi UFJ의 Lee Hardman, 이번 주 예정된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통화정책에 비판적인 자세를 나타낼 가능성에 따라 엔화가치가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

ㅇ 1월 외환보유액, 1조2315억달러로 4개월 만에 증가 전환(닛케이)

- 재무부, 작년 12월과 비교하여 146억7000만달러 늘어났으며, 특히 유로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이번 결과를 견인. 이외에 보유채권의 이자수입 확대와 금 가격 상승 등도 외환보유액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

ㅇ 2016년 12월 실질소비활동지수, 102.8로 전월비 1.0% 하락(닛케이)

- 일본은행에 발표에 따르면,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소비의 영향을 제거하면 지수는 101.6으로 발표된 수치에 비해 1.2% 낮은 수준 기록

ㅇ 예금보험기구, 예금 보험료율 인하 검토(닛케이)

- 금융기관 파산이 없고, 예금보험 적립금 증가 등이 주요 요인

ㅇ 2016년 12월 경기동행지수, 전월비 소폭 오르면서 2014년 3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닛케이)

- 내각부 발표에 의하면, 같은 달 경기동행지수(속보치)는 115.2로 전월보다 0.1p 상승. 산업생산지수와 중소기업 출하지수가 오른 반면 의류 부진으로 상업용 매출 등은 감소. 2016년 12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비 2.6p 오른 105.2를 기록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대만, 1월 수출은 IT 제품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비 7% 증가(닛케이)

- 경제부에 따르면, 같은 달 수출액은 237억달러로, 주력 IT 산업이 증가세를 견인했으며, 연휴로 영업일이 적었으나 양호한 흐름을 유지. 지역별로는 중국이 7.6% 늘어났고, ASEAN은 11.3% 증가. 수출경기 호조로 2017년 성장률 전망치는 상향 조정될 가능성 고조

ㅇ 홍콩, 2016년 소매매출은 전년대비 –8.1%로 부진(닛케이)

- 작년 소매매출은 4366억홍콩달러였으며, 감소율은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 이는 중국 본토에서 방문하는 여행객이 크게 줄었기 때문

ㅇ 호주 중앙은행, 예상대로 기준금리(1.5%)동결·경제전망은 낙관적 태도(로이터, 블룸버그)

- 작년 12월 발표된 3/4분기 경제성장률은 예상 외로 마이너스였으나, 이후 수년간 3% 전후의 성장률이 지속될 것이라는 중앙은행의 시나리오는 불변이라고 지적. 아울러 물가상승률도 원자재 가격 오름세 등으로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

ㅇ 캐나다 1월 IVEY PMI, 57.2로 전월(60.8)보다 하락(로이터)

- 고용지수는 전월(51.7)보다 상승한 53.5를 나타낸 반면 가격지수는 70.1로 전월(73.8)보다 하락. 하지만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가격지수는 2년 간 70을 상회 

-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6년 12월 건축허가는 전월비 6.6% 감소하여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며, 시장예상치(-4.0%)를 하회

■ 세계경제 전반

ㅇ 세계경제, 정책입안자의 개입보다는 자체적 개혁이 필요(FT)

- 지난 주 미국 노동시장이 인플레이션 상승압력 없는 고용증가를 보이며 경제가 상당한 성장 여력을 보유함을 시사. 이는 여타 선진국에도 해당하는 것으로 최대 생산능력의 하회는 경제활동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수요가 공급 증가를 상쇄하는 것을 의미

- 투자심리는 빠른 성장에 대한 기대가 형성되는 경우에 가능하며 미국 경제학자 Narayana Kocherlakota는 수요의 빠른 증가가 생산능력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

- Gavyn Davies의 모델에 따르면, 전세계 경기가 상승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의 경제는 평균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

- 수년간 상황을 보면, 현 경기회복의 흐름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정책 개입보다는 수요와 공급으로 경제가 자연스럽게 회복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 미국

ㅇ 금융규제 완화, 법적 문제로 실제 이행 시점은 지연될 가능성(WSJ, 로이터)

-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금융규제개혁법 재검토에 서명했으며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이에 대한 구체적 진행을 계획. 하지만 관련법의 수정 권한은 SEC가 아니라 의회에 귀속

- 기업과 투자자 등은 규칙 변경에 의한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으면 소송 제기가 가능. 금융규제 완화에 대한 공식 이의가 제기되면, SEC는 이미 복잡한 규칙을 수정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른 실제 이행 시기도 영향을 받을 전망

- 기존 규칙의 수정은 새로운 규제 마련과 마찬가지로 오랜 기간의 복잡한 과정(현행법과의 충돌 여부 확인 후 새로운 규제 제출→ SEC 내부 투표에 의한 승인→일반의견 모집→ 최종 투표로 승인)으로 진행

- 로체스터대학의 Joel Selogman, 기존 규칙의 수정, 혹은 새로운 규칙의 수용에 상관없이 SEC는 사법심사의 결과를 받아들여야하기 때문에, SEC가 독자적으로 뭔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은 크게 제한된다고 지적

ㅇ 트럼프 공약의 이행, 재정수지 적자의 용인 수준이 관건(WSJ)

- 미국 재정전망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이며, 이를 고려할 때 트럼프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은 재정적자의 용인 수준이 성패를 결정할 전망. 그리고 재정수지 적자 용인 수준은 트럼프 정책이 시장의 기대에 얼마나 부응할 것인지 여부에 좌우

- 금년 미국의 재정수지 적자는 사상 최고치에 이를 전망이어서,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 공약의 완전한 이행은 어려운 상황. 특히 고령화 영향으로 의료 및 연금 비용의 증가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와 소득과 지출의 둔화로 인한 성장 부진 가능성 상존

- 성장이 가속되면 트럼프의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지만, 생산성 및 경제활동인구 증가 둔화로 성장률이 트럼프 공약과 같이 현재 2배인 4% 상승은 기대난. 경기회복 시 낮은 수준의 실업률이 물가상승 압력이 된다는 사실도 위험 요인

- 클린턴 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재정수지 적자 악화를 우려하여, 선거기간에 제시했던 중산층에 대한 감세 공약 이행을 취소.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재정균형보다는 경제성장을 위한 지출과 국방이 중요하다고 주장

ㅇ 금융규제 완화의 목적, 은행권 이익의 확대가 아닌 성장 시스템 구축(WSJ)

- 신정부는 금융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자 위험 수용을 촉구하고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강력한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고 주장

- 이를 위해 금융시스템 안정과 무관하게 비용상승만 초래하는 규제 철폐가 필요. 노동부는 은퇴자 저축의 보호를 위해 금융기관이 고객이익에 부합하도록 규정하는 수탁자 책임 규정을 신설. 하지만 이는 수수료 증가를 초래하여 소액투자자가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

- 기존 금융규제개혁법은 은행비용 증가를 초래하고, 복잡한 체계로 은행대출 축소 압력으로 작용. 규제는 복잡할수록 허점을 찾기 쉽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복잡한 법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 절실

- 금융시장의 패닉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더 나은 방법은 높은 자본기준의 마련. 이는 은행들이 위기 상황에서도 손실을 견디는 것도 가능하도록 지원

- 정부가 대형은행 수익에 악영향을 미치는 규제만을 완화시키는 반면, 소액투자자 혜택을 등한시하고, 자본이 필요한 산업에 유동성 공급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적 체계를 마련하지 않는다면 금융규제 완화에 대한 우려는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

ㅇ 은행권, 스트레스 테스트 난이도 하락 등으로 주주환원 확대 전망(WSJ)

-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규제개혁법의 재검토를 지시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고, 연준은 금년 은행 스트레스테스트 시나리오를 공표. 금년 시나리오는 작년보다 쉬워진 부분도 있고 엄격해진 부분도 존재

- 금년 가장 어려운 시나리오는 작년보다 미국 경제 침체와 상업용 부동산 가격의 하락이 더 심각하다는 측면. 하지만 작년과 달리 단기금리의 마이너스권 진입은 제외하여 스트레스 테스트의 전반적인 난이도는 하락

- 대부분 은행이 지난 수년간 잉여자본을 크게 축적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금년에는 주주환원이 크게 늘어날 전망.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22개 조사대상 가운데 17개 은행이 배당 및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한 주주환원 확대를 계획

- 연준이 배당성향을 전년비 30% 이상 늘린 은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고 밝혀, 금년 은행의 주주환원은 배당금 보다는 자사주 매입이 좀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

- 은행권 배당금 지급은 금년 중순부터 시작되며, 씨티,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은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 정부의 스트레스테스트가 오히려 투자자의 혜택 증가로 이어질 전망

ㅇ 입국제한 명령의 시행 여부, 장기 법적 분쟁이 예상(로이터, WSJ)

- 트럼프 대통령은 이슬람 7개국 국민에 임시 입국제한 명령을 발동했지만, 워싱턴주 연방법원의 제임스 로버트 판사는 트럼프 정부의 조치에 대한 무효 명령을 발동. 이에 미국 법무부가 이번 판결에 불복하고 항소하여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

- 진보성향의 샌프란시스코 항소법원은 워싱턴 연방 법원과 정부 양측에 추가 자료 제출을 요청. 항소법원이 입국금지 명령의 무료를 지지하면 정부의 대법원 상고가 가능하지만, 통상적으로 대법원은 가처분 단계에 있는 법적 다툼에 대한 개입을 회피

- 현재 대법원에는 대법관 1명이 공석인 가운데 진보와 보수측 대법관이 각각 4명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1월 말에 콜로라도주 항소법원의 Neil Gorsuch를 신임 대법관으로 추천. 다만 상원 승인에 의한 정식 임명은 2개월 이후에나 가능

- 신임 대법관이 임명되면 그의 의견이 대법원 판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 입국제한 명령에 대한 의견은 전문가마다 상이 

- 미시건대학의 Richard Primus는 국가안보를 위한 입국제한의 정당성으로 법원을 설득하는 것이 어렵다고 주장하지만,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학의 Jonathan Adler는 법원은 그동안 이민 관련하여 정부에 유리하도록 판결했다고 언급

■ 유럽

ㅇ 프랑스 대선, 우파가 우세하지만 좌파 후보의 약진 가능성도 상당(로이터)

- 대선 경쟁에서 선두를 고수하던 중도우파 프랑수아 피용 총리가 가족 취업 스캔들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무소속 중도성향의 엠마누엘 마크롱 전 경제장관의 지지율이 상승. 하지만 이번 사태는 동시에 좌파 성향의 후보에게도 약진의 기회를 제공

-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극우성향의 마린 르펜 후보와 마크롱 후보가 결선에서 만나고 마크롱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그러나 좌파 후보인 아몬 전 교육부장관과 극좌성향의 장 뤽 멜랑숑 후보와 경제 정책 면에서 유사한 내용이 많으며, 이들은 좌파성향의 환경보호 정당과의 연합도 가능. 최근 조사에서 아몬과 멜랑숑 후보의 지지율을 합하면 25%로 르펜(26)과 마크롱(23%)과 경합이 가능, 다만 좌파 후보들의 연합에는 장애물도 존재. 사회당의 아몬 후보는 극좌 세력이 두려운 존재가 될 수 있고, 멜량숑 후보 지지자들은 아몬 후보를 수용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 그러나 권력에 대한 욕구가 때로는 가능성이 희박한 경쟁자끼리의 결합을 성립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대선 투표에서 극좌 후보와 극우 후보가 경쟁하는 위험을 대비하는 것도 필요

ㅇ 프랑스 르펜 후보, 반세계화 등 보호무역주의 색채 강화(FT)

- 극우 정당인 국민전선당(FN) 소속 르펜 후보는 144개의 공약을 발표. 공약은 배타주의, EU 이탈, 반세계화의 내용을 중심으로 경찰병력 증원, 국경방위 서비스 재도입, 이민 단속 등을 포함

- 르펜 후보의 인종차별주의적 발언을 피하되 통합보다는 동화를 주장하며 무슬림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모든 것을 부정하는 정책과 현명한 보호주의의 천명이 더 많은 지지층을 확보하게 한 주요인

- 보호무역주의 정책에는 정부 주도 산업정책, 제조업 우대, 외국인 근로자 및 수입품에 특별세 부과, 엄격한 통제와 국가 산업에 따른 외국인 투자 등이 포함, 이외에도 르펜 후보는 당선 시 EU 이탈 추진을 주장하며 유로화 폐지, 프랑스 은행으로부터 직접 자금조달, 퇴직연령을 60세로 낮추고 은퇴자에 대한 복지혜택을 늘리는 등 EU 규범과 양립할 수 없는 정책을 약속

ㅇ IMF, 내부 의견 갈등으로 그리스 구제금융 관련 우려 증폭(FT)

- 아직 공개되지 않은 보고서에 따르면, IMF의 일부 인사는 그리스의 부채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향후 급격히 늘어 2060년에는 GDP의 3배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 또한 IMF는 그리스와의 협상 이후 공개한 성명서에서 이례적으로 내부에 의견 갈등이 있음을 인정. 성명서에 따르면, IMF 이사회의 24명 가운데 대부분이 그리스 경제에 대해 긍정적 평가에 동의했지만, 일부는 재정 전망과 부채의 지속 가능성에 다른 의견을 피력, 그 동안 IMF는 유럽 주요국들이 그리스의 부채 경감에 적극적이지 않았다고 비난했지만, 스스로 그리스 부채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평가하면, 이는 그리스 지원의 정당성 상실을 초래하여 구제금융 제공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상존

- IMF의 내부 의견 갈등 소식이 전해진 이후, 그리스 국채 2년물의 수익률은 20bp 급등하면서 작년 6월 이후 처음으로 9%를 돌파, 반면 유로그룹의 디셀블룸 의장은 IMF 일부 인상의 그리스 경제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과거의 경제지표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최근의 그리스 경제는 일부 인사들이 우려한 것보다 훨씬 양호하다고 주장

ㅇ UniCredit 은행, 대규모 유상증자 통해 자본구조 개선 시도(FT)

- UniCredit 은행의 CEO Jean Pierre Mustier, 130억 유로 규모의 유상증자 시도의 성공 여부는 자국 최대 규모 은행에 대한 시장의 신뢰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언급. 하지만 은행 산업은 수년간 급증된 부실채권에 기인한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

- 당국은 UniCredit 유상증자의 성공 가능성을 자신하며, 지난 18개월 간 지속된 주가의 하락세가 반전될 것으로 기대. 그러나 시장은 관련 기대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3600억유로 규모의 악성부채의 해결이 관건이라는 지적, 또한 시장은 자본확충이 이탈리아 은행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UniCredit과 같은 대형 은행과 동시에 중·소형 은행의 자본 확충이 동시에 이뤄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분석

- 이탈리아 은행산업의 문제점은 대규모 부실채권의 장기간 보유에 기인. 아울러 시장은 현재와 같은 비효율적인 시스템 아래에서 은행이 자체적으로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우려가 확산, 이러한 상황 속에서 Mustier는 비용절감 노력과 동시에 180억유로에 상당하는 부실채권을 포함한 자산 매각 추진. 또한 향후 3년간 14000개의 일자리 삭감 등을 통해 연간 17억유로의 비용 인건비 감축 시도할 예정

ㅇ 영국의 EU 탈퇴, 협상 시간 부족 등 여러 잠재적 위험에 노출(FT)

- 영국 정부는 EU와의 탈퇴 협상에서 이민자 수용을 제한하면서 자유무역을 유지하여, 최대한 많은 혜택을 얻기 위해 노력. 하지만 이러한 의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 위험에 직면

- 첫째, 양측의 협상 시간은 2년인데 사안의 복잡성을 고려하면 합의 도출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기업은 이에 대한 대비를 위해 그보다 더 신속한 타결이 절실. 시간 부족에 따른 협상 타결 지연은 불확실성을 유발하여 영국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를 초래할 전망

- 둘째, 영국은 EU와 협상에 나서지만, 27개 회원국의 요구가 국가마다 다르며, 영국과 같이 협상 타결이 매우 급하지도 않은 상황. 시간이 지날수록 영국은 협상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여 당초 원했던 결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

- 셋째, 영국은 EU와 미래의 체계를 논의하기에 앞서 탈퇴 조건에 대한 합의가 필요. 하지만 탈퇴 이후 협상에 대한 윤곽이 명확하지 않으면, 탈퇴 조건에 대한 세부 합의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두 가지 협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딜레마에 직면

■ 일본

ㅇ 아베 총리, 트럼프와 정상회담에서 對美 직접투자 확대를 제시할 전망(FT)

- 2월 10일 예정된 미·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는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 확대방안에 대하여 트럼프와 논의할 예정, 이처럼 아베 총리는 트럼프와의 개인적 유대를 강화하는 동시에 미국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정책 수립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미·일 간 무역 긴장을 해소가 주요 목적

- 게이단렌의 사카키바라 회장, 이번 정상회담은 미·일 간 관계 재확인과 함께 정치, 경제, 안보 분야의 협력을 요청. 또한 일본기업이 미국에 투자와 고용에 기여하고 있음을 미국 정부에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

- 아베총리의 제안서의 초안에는 미·일 성장 고용 촉진 계획으로 트럼프 정부가 추진 중인 고속철도와 같은 인프라 산업에 공적연기금을 활용한 자금지원 방안이 포함될 가능성도 제기


■ 유럽, 정부지출은 경기확대에 기여·독일의 재정확대가 경기향방의 관건

ㅇ 당분간 재정정책이 경기상승을 뒷받침하나 독일의 인프라 투자 확대가 과제

ㅇ 유로존 경기확장을 유지하는 요인 중 하나는 정부지출의 증가.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적 기조로, 이는 2018년까지 지속될 전망

- 2014년 하반기 이후 각국의 재정정책은 경기부양을 위한 기조로 전환되는 가운데 유로존 전체로 경기가 확대. 주요국 GDP 대비 정부지출의 성장기여도는 독일을 중심으로 플러스 추이를 보이면서, 성장을 견인

ㅇ 유럽의 지속적인 경기상승을 위해 독일이 추가 재정을 확장해야 한다는 논의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지만, 산출 갭이 거의 균형에 있어 재정확대의 경기부양 효과가 작으므로, 독일의 정부지출 증가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낮은 편

- 독일의 정부지출이 2년간 GDP 대비 1%p 확대 시 유로존 성장률 견인 효과는 금리가 불변일 경우에 0.26%에 불과하고,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은 0.1% 수준에 불과(독일 중앙은행)

ㅇ 유로존의 정부지출은 당분간 안정적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여 경기하강 압력은 낮지만, 중장기적으로 독일의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 중요

- 독일의 재정지출 증가는 중장기적으로 독일의 경쟁력 유지와 성장 지속에 기여하는 동시에 대외 불균형을 시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그림 1> EU 주요국의 정부지출 성장기여도

<그림 2> 주요국의 산출갭 추이

■ 세계경제 전반

ㅇ 금 시세, 트럼프 정책 리스크 등으로 상승세 지속 전망(블룸버그)

- Independent Strategy의 David Roche,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정책 향방은 국제적인 긴장감과 불안감을 초래하고, 중국 등과의 무역 전쟁이 촉발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 이에 트럼프 정책의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확대되면서 금 시세는 2017년 연말까지 6% 상승할 것으로 예상

■ 미국

ㅇ 정유업체, 해외 원유 조달 확대·시장은 계절적 요인으로 분석(로이터)

- 1월 원유수입규모는 작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인 일일 383만배럴. 캐나다산 원유수입은 사상 최고치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원유도 전년 8월 이후 큰 폭으로 확대. 작년 12월에는 감산을 시행 중인 OPEC 국가로부터 수입이 급증

- 국경세 도입 등으로 정유업체가 전략적으로 매입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시장은 계절적 요인이 강하다고 지적. 2018년 시세 상승을 예측한 시장의 매입이 원유 선물시장 옵션에 반영되었다는 견해도 존재

-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헤지펀드를 통한 원유선물과 옵션시장의 순매수가 사상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고 발표. 관련 순매수는 1월 31일까지 주간 기준으로 전주비 1만6826건 증가한 41만2380건으로, 2014년 6월 수준을 상회

ㅇ 1월 노동시장여건지수, 1.3으로 전월비 0.7p 상승(블룸버그, Market Watch)

- Fed에 따르면, 같은 기간 노동시장여건지수는 임금상승 저조에도 불구 고용자수 호조 등으로 상승  Conference Board의 Gad Levanon, 1월 견조한 일자리 증가세를 나타낸 가운데 점차 가속화 될 전망

ㅇ 2월 원유수출, 일일 70~90만배럴에 이르러 사상 최고치에 달할 전망(로이터)

- 에너지정보청(EIA)에 의하면, 월간 기준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는 한편 지난 2년간 시세를 낮춘 원유재고 축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 수출대상은 주로 아시아 국가로, 경질 및 중질유 모두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수출

- 미국산 원유에 대한 북해 브렌트 원유 프리미엄은 1년 만에 높은 수준이어서 가격면에서 우위를 확보. 두바이와의 가격차도 커져 동아시아에서 재정거래 기회도 존재, 이러한 가운데 미국산 원유가 아시아에 대규모 유입되면, 역내 정유설비가 뒷받침되지 않아, 공급과잉이 심화되어 가격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

ㅇ 연준 조사, 2016년 4/4분기 은행의 기업대출 심사기준 다소 완화(로이터)

- 같은 기간 미국 은행의 일반대출 심사기준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기업대출은 다소 완화된 것으로 평가. 또한 조사에 응답한 69개 금융기관 중 1/3은 상업용 부동산, 1/5는 주택용 부동산에 대출 심사기준을 강화했다고 답변

■ 유럽

ㅇ ECB 드라기 총재, 유로존 경제는 여전히 통화정책을 통한 지원이 필요(로이터)

- 물가상승률이 상향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주로 유가로 인한 일시적 요인이라고 평가하면서 이를 ECB는 중시하지 않는다고 주장. ECB는 개별 지표와 물가상승률의 단기적 반응에 영향을 받으면 곤란하다고 지적, 이에 따라 EU 기준 소비자물가 변화가 물가안정을 위한 중기 전망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ECB는 이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고 강조

ㅇ 독일, 그리스 문제를 둘러싼 정부 내 견해는 일치(로이터)

- 정부 당국자는 그리스가 추가 대출을 받는 조건으로, 노동시장 개혁 등 2차 심사 완료가 목표라고 언급. 독일은 IMF가 그리스 구제금융에 참여하지 않으면 현재의 지원은 종료된다고 지적하며, 구제금융 신뢰도 제고를 위해 IMF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

ㅇ 독일, 여당과 사회민주당(중도좌파)의 지지율 격차는 4%p로 축소(로이터)

- 언론 조사에 의하면, 사회민주당 지지율은 29%로 이전에 비해 6%p 상승하여 4년 만에 최고. 여당은 이전보다 4%p 하락한 33%로, 양자 간 격차는 2013년 9월 이후 최저. 아울러 일부 조사에서는 9월 총선에서 사회민주당의 승리를 예상

ㅇ 독일 쇼이블레 재무장관, 유로화 가치는 독일 여건에 비해 낮아 수출확대로 연결(로이터)

- 이는 ECB의 통화정책 완화에 따른 것으로, ECB는 유럽 전체에 맞는 정책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 하지만 통화정책 방향을 비판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 미국은 유로화가 평가 절하되고 있다고 제기하며, 독일은 이에 유리한 상황이라고 강조

- 메르켈 총리는 수입제품에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침에 반대한다면서, 미국이 보호무역주의정책 도입 시 대응을 검토하겠다고 주장. 또한 미국은 독일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무역상대국이므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고 제시

ㅇ 영국 상공회의소, 파운드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업체 수혜는 제한적(로이터)

- 기업 조사결과에서 파운드화 약세로 혜택을 받은 수출업체는 1/4에 머물러, 타격을 입은 수출기업 수와 일치한다고 발표. 조사 기업의 절반 정도는 환율 리스크를 관리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관련 계획이 없다고 응답

- 상공회의소에 의하면, 소규모 기업의 대부분은 해외고객으로부터 파운드화로 대금을 받고 있지만, 원자재 일부는 외화로 지불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경우에 환차손이 발생한다고 지적

ㅇ 독일 2016년 12월 제조업 수주, 전월비 5.2%로 2014년 7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 경제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 수주(계절조정)는 11월(-3.6%)대비 큰 폭으로 호전되며 예상치(0.7%)를 상회. 자본재 수주(19.5%)가 증가세를 견인. 국내외수주는 각각 6.7%, 10% 확대

- 기계산업협회(VDMA)에 따르면, 같은 기간 기계수주는 전년동월비 15% 감소. 이는 국내수주가 7.0% 늘었지만, 해외수주가 22.0% 감소했기 때문

ㅇ 스위스 중앙은행 이사, 자국통화의 이상적 수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로이터)

- 마이클레르 이사, 현재 스위스 프랑은 현저하게 과대평가되어 있다고 지적. 통화가치 관련 국가경쟁력은 혁신 능력과 직면하는 과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 통화정책은 특정 환율 수준에 기초하지 않고, 전반적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

ㅇ 유로존 2월 투자자신뢰지수,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소폭 하락(로이터)

- Sentix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투자자신뢰지수는 17.4로 1월(18.2)보다 저조. 구성항목 중 현황판단지수는 20.5로 2011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기대지수는 14.3으로 전월(20.0)에서 하락

ㅇ 2016년 4/4분기 노르웨이 산업생산, 전기비 3.8%로 상승세로 전환(FT)

- 이는 노르웨이 산업생산의 70% 규모를 차지하는 석유 및 가스 산업 등 광산업 부문이 6.1% 회복되면서 오름세에 견인

■ 중국

ㅇ 검찰당국, 금융범죄에 벌칙 부과를 강화할 방침(로이터)

- 이는 지하경제와 주식시장에서 부정을 비롯한 금융범죄에 연루된 이에게 적용될 전망. 불법 예금회수, 부정한 자금조달 등 경제범죄와 자금세탁, 온라인 다단계 판매방식을 엄격한 처벌로 다스릴 방침

- 시장조작, 내부자 거래 등 증권범죄와 세제 회피 등의 범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할 예정. 정부는 P2P 온라인 금융플랫폼의 Ezubao 사기사건을 대표적 사례로 제시

ㅇ 국무원, 도시지역 일자리 창출 등 고용촉진 5개년 계획 발표(로이터)

- 2020년까지 도시지역에 5000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5% 수준을 하회하는 실업률 유지 등을 목표로 설정 

ㅇ 상무부, 미국의 강판 관련 반덤핑 관세 비판(로이터)

- 이에 따라 중국 기업의 권리 보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주장. 미국 상무부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스테인리스 강판 등에 대해 국가보조를 받아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다고 판정. 무역위원회는 미국 기업의 피해여부를 최종 결정

- 중국 기업에 의한 미국 업체 피해가 인정되면, 반덤핑 관세 등이 5년간 부과. 중국 상무부는 중국 기업의 피해 조사 방법이 불공정하다는 증거를 미국이 무시하는 등 WTO 규정을 경시하고 있다고 비난

ㅇ 인민은행, 역환매조건부채권(Reverse RP)을 통한 자금공급 보류(닛케이)

- 6일 공개시장조작의 일종으로 매각 조건부 채권매입을 통한 단기 금융시장에 대한 자금공급을 보류했다고 인민은행은 발표. 시장에서는 이를 역환매조건부채권의 금리인상 등으로 이어지는 단기금융의 긴축 강화로 이해

- 인민은행은 자금공급 보류 이유로, 현재 은행시스템의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인민은행은 3일 역환매조건부채권 금리와 함께 금융기관에 맞는 임시대출기구의 금리도 인상

- 1월 24일에는 중기대출기구라는 별도 자금공급원의 금리도 올린 상황. 인민은행은 단기시장의 참여자가 저금리로 차입한 자금을 기초로 장기 채권 등을 대규모 매입하는 투기행위도 문제로 지적, 이에 시세 반전으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는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단기 시장의 유동성을 긴축하는 움직임을 강화

ㅇ 1월 차이신/마킷 서비스업 PMI, 53.1로 전월(53.4)보다 저하(로이터, 블룸버그)

- 같은 달 사업전망은 60.8로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투입가격도 4년 만에 최고치. 종합 차이신 PMI는 52.2로, 4년 만에 높은 수준이었던 전년 12월(53.5)에서 하락. CEBM은 경기회복이 지속되고 있으나, 물가상승 압력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 아울러 제조업체의 재고 축적이 정체되어, 작년 4/4분기 수준의 성장률 유지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금년 1/4분기 이후 감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

ㅇ 주택시장 과열도시 중 하나인 선전시, 1월 신규주택판매가 전월비 –23.6%(로이터)

- 이는 정부의 부동산시장 규제와 연휴 등이 주요 요인

■ 일본

ㅇ 일본은행 前 부총재, 트럼프의 일본 통화 및 외환정책 비난에 우려 표명(로이터)

- 이와타(岩田元) 前 부총재, 현재 일본은행과 ECB가 시행하고 있는 통화완화 정책은 환율가치 하락 유도 등을 목적으로 두고 있지 않다고 지적

ㅇ 실질임금, 2016년 12월에는 전년동월비 –0.4%로 1년 만에 하락세(로이터, 닛케이)

- 후생노동성에 의하면, 같은 달 명목임금은 전년동월비 0.1% 늘어난 가운데 후생노동성은 임금 기조를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인도네시아 GDP 성장률, 2016년에는 전년비 5.0%(FT)

-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같은 해 4/4분기 경제성장률은 둔화되어, 향후 전망은 불투명. GDP구성항목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소비가 5% 증가하여 성장을 뒷받침. 자동차 판매대수는 106만대로 3년 만에 증가세 전환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출 증가율도 2015년 –2.0%에서 2016년 –1.7%로 부진이 축소. 다만 2016년 4/4분기 성장률은 4.9%로 전기(5.0%)보다 저하. 재정수지 적자로 정부지출이 부진. 인도네시아 정부의 2017년 성장률 목표는 5.1%

ㅇ 호주, 2016년 4/4분기 소매매출은 전기비 0.9% 늘어나 시장예상치와 일치(로이터)

- 통계청이 발표한 같은 해 12월 소매매출은 전월비 0.1% 줄어들어, 2015년 12월 이후 1년 만에 감소세. 소매매출은 호주 GDP의 17%를 차지.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Kate Hickie, 소매매출 부진은 낮은 임금상승률과 고용부진 등에 기인한다고 분석, 아울러 금년 주택경기를 통한 소비상승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 이외에 온라인 소매매출은 2016년 12월 14.1% 증가

ㅇ 호주, 1월 구인광고건수는 전월비 4% 늘어나 증가세로 전환(로이터)

- ANZ 은행 조사에서 같은 달 신문과 인터넷을 통한 구인 광고건수는 전월(2.2% 감소)보다 호전. ANZ의 Felicity Emmett, 구인광고건수 회복, 여타 경기선행지표 개선은 노동시장 부진에도 향후 실업률이 완만하게 하락한다는 견해와 일치한다고 주장

■ 세계경제 전반

ㅇ 해외채권, 환율 리스크 확대 등으로 유럽·일본 투자자들의 매도세 확대(WSJ)

- 마이너스 금리 정책 시행으로 일본과 유럽 투자자들이 지난 수년간 높은 수익률 달성을 위해 해외로 자금을 유출하던 상황과 대조적으로 최근 국제 채권시장에서는 해외채권이 순매도세로 전환

- 일본 재무성, 1월 22일~23일 일본 투자자들이 매각한 해외채권은 1조3000억엔. 지난 12주 동안 순매도는 3조7000억엔으로 2014년 4월 이후 최대치. 유로존 역시 2016년 11월까지 3개월 동안 매각한 해외채권은 159억9000만유로로 2012년 이후 처음으로 순매도세를 기록, 이 같은 변화는 유럽 및 일본과 미국의 국채금리 스프레드가 확대되면서 미국 국채의 매력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위험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환율변동 위험을 헤지 (Hedge)하고 싶은 경향이 반영되었기 때문, 아울러 미국 국채에 대한 국제적인 수요가 증가하면서 달러화 헤지 비용 상승으로 유럽과 일본 투자자들의 미국 국채 매입혜택이 크게 감소

- JP 모건의 Mika Inkinen, 채권 투자에서 가장 유념해야할 요소 중 하나는 환율 변동성이라고 지적. 수익률 격차만 보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이종통화 베이시스(cross-currency basis) 동향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

- 이종통화 베이시스 스왑은 대표적인 해외채권 환헤지 수단으로 최근 유로화를 달러화로 교환하는 스왑 비용이 급증. 1월 말 기준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독일과 일본에 비해 각각 2.0%p, 2.4%p 높았으나, 환헤지 비용을 제외하면 각각 0.06%p, 0.7%p 높은 편에 불과

- 일본과 유럽의 투자자들은 높은 수익률 달성을 위해 환율 리스크를 헤지할 필요가 없는 채권을 중심으로 매수할 전망. 따라서 미국 달러화 가치의 향방은 투자자들의 환헤지 수행 여부에 좌우될 가능성 높다고 지적

- 일본, 유럽의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매입하면서 환 헤지를 하지 않는다면 달러화 표시 채권 수요는 미국 달러 강세를 촉발시킬 가능성. 웰스파고의 Nathaniel Resenbaum, 외국인들의 매수세 확대가 미국 채권 시장의 주요 성장요인이라고 설명, 아울러 유로존의 경제성장 가속화 등이 해외채권에 대한 투자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라고 평가. Nathaniel Resenbaum,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유럽 투자자들의 미국 채권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고 지적

■ 미국

ㅇ 신정부의 금융규제 완화, 대형은행의 의지대로 전개될 가능성 상존(WSJ)

- 트럼프 대통령의 도드-프랭크법 재검토 지시로, 미국 금융업계가 수년간 표방한 목표 실현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민주당과 소비단체의 우려는 커지고 있는 상황. 하지만 대통령 지시가 발동되어도 규제 폐지를 위해서는 상당한 한계가 존재

- 대통령 재검토 목표 규제 완화는 크게 3가지이며, 이를 위해서는 첫째,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내용이 있고, 둘째, 트럼프 대통령이 지명하는 규제당국의 독자적 판단으로 변경이 가능한 완화 내용이 있으며, 백악관이 일방적으로 변경 가능한 규제 완화가 존재, 우선 백악관이 변경할 수 있는 규제완화는 퇴직 저축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에 새로운 규제를 부과하는 신의성실 규정(fiduciary rule). 트럼프 정부에서는 이를 변경하거나 철회가 가능. 이는 다른 금융규제와 달리 노동부에 의해 취급된 규제이기 때문, 아울러 트럼프는 규제당국 담당자를 교체하여 금융규제 정책을 변경할 수 있는데, 연준 은행감독 담당 부의장, 상품거래선물위원회 위원장 지명 등으로 가능. 금융규제 당국이 독자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규제완화는 일부 장애요인이 존재

- 은행의 자기자본규제는 국제적 규정에 서명하여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 또한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도입된 규제의 상당수는 도드-프랭크법에서 의무화되어 있어,  의회의 승인없이 철폐되기가 곤란

- 당국이 우선할 수 있는 작업은 일부 규정에 대해 재량으로 결정되는 내용을 완화하는 조치로, 대형 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와 파산 시 청산 계획(living will) 조건 완화와 볼커 룰의 재해석 등

-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규제완화는 가장 실현이 어려울 전망. 하지만 공화당이 의회 과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어 변수. 민주당은 지방은행과 신용조합의 규제완화, 은행의 총자산 하한을 500억달러로 끌어 올리는 법안의 소폭 변경에는 합의할 가능성, 하지만 민주당은 금융규제의 대폭적인 완화에 반대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양당은 초기정책결정 과정에서 충돌할 소지가 높은 편. 민주당은 퇴직 저축 규제 관련 내용에 우려를 표명, 다만 상원 규정이 애매하여 민주당의 지지가 없어도 공화당만으로 표결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공화당은 금융조사국(OFR)의 예산 삭감과 연방예금보험공사 (FDIC)의 권한을 박탈하는 등 금융규제 완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편

ㅇ 은행주, 트럼프의 금융규제 완화로 배당 확대 등을 통해 상승세 지속 기대(WSJ)

- 트럼프 정부가 도드-프랭크법을 폐기하고 금융규제 완화가 실제로 이행될 경우, 미국의 6대 은행이 사내에 유보하고 있는 완충자본 1000억달러 이상을 배당금 확대와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해 주주 환원이 이루어질 전망, 이에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 규제 완화,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은행들의 주주환원 여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에 힘입어 은행주가 일제히 상승

- RBC Capital Market에 따르면, BofA, 골드만삭스 등 미국 6대 대형은행이 금융 규제당국의 요구에 따라 보유한 완충자본 규모가 1015억7000만달러로 추산 

- 트럼프 당선 이후 금융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은행주들이 상승세를 지속. 대선 이후 KBW 나스닥 은행 지수는 24%나 급등했고, 같은 기간 S&P500 지수는 7.4% 상승

- Roosevelt Investment의 Jason Benowitz, 은행 관련 규제완화 문제가 트럼프 행정부의 우선순위가 될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트럼프의 행정명령이 이처럼 빠르게 이루어진 것은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금융권의 완충자본은 강제 규정이 아니라 연준 등 미국 금융 규제 당국이 바젤은행감독위원회 (BCBS)의 자기자본 규제 표준을 적용했기 때문. 트럼프가 이러한 규제를 변경하기는 어렵지만 연준 인사를 통해 은행권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 등에 영향력 행사가 가능

- 시장에서는 현재 은행권의 완충자본 규모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 그러나 금융 규제 당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서 현재 자본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

- 골드만삭스, 자기자본 투자 규제가 완화되어 미국의 대형은행들이 완충자본 전액을 자사주 매입하면 2018년 주당순이익(EPS)은 평균 13%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금리인상, 임금상승세 둔화에도 트럼프 정책 등이 주요 변수(WSJ)

- 노동시장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나, 임금상승 둔화 등을 감안하면 금년 상반기 동안 연준은 현 금리수준 유지할 가능성 내재. 그러나 고용지표에 대한 평가와 통화정책 전망에 대한 단서로는 불충분

- 임금이 낮은 소매업 고용자수 증가 폭이 임금이 높은 제조업 고용자수를 초과할 경우, 전체 임금수준이 하락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임금의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 잠재, 향후 고용지표 개선 여부와 트럼프 정책 향방 등을 고려하여 연준은 금리인상 단행여부를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예상

ㅇ 트럼프의 비자개혁, IT 대기업에 기회 요인(WSJ)

-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전문직 취업비자(H-1B) 발급요건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어 H-1B 의존도가 높은 IT 업계에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IT 대기업은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견해가 제기 

- 2016년 승인된 H-1B의 2/3는 IT 종사자에 발급. 당초 H-1B 비자제도는 미국 기업들의 외국인 고급인력 채용을 돕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된 제도였으나, 실제로 미국 IT 대기업의 아웃소싱을 담당하는 인도 기업들이 수혜를 받고 있다고 지적

- Howard University의 Hira, Tata Consultancy Services(TCS), Infosys, Wipro 등 인도 아웃소싱 업체들에게 제공돼 당초 도입 취지와는 달리 미국인을 외면하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악용되고 있다고 비판, 이에 취업비자 발급 기준을 연간 10만달러 이상 고소득 전문 인력으로 한정하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 인텔 등 주요 IT 대기업들의 혜택이 커질 전망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의 H-IB 비자소지 근로자의 임금 중간치는 평균 10만5000만달러로 이는 대형 아웃소싱 5개사의 6만5000만달러 수준을 크게 상회, 다만 애플, 아마존 등 IT 기업들이 이슬람권 7개국 시민권자들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어 반세계화를 추진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과 IT 기업들 간의 대립과 갈등은 지속될 전망

ㅇ 미국 경제, ECB와 일본은행의 QE 부진 시 경기하강 진입 가능성(블룸버그)

- 야누스 캐피털의 빌 그로스, 주요국 중앙은행에 의한 자산매입이 향후에도 금융시장을 지배하고, 금리를 인위적으로 낮게 억제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미국 10년물 금리는 점차 상승하나, 주요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가 채권시장에 반영된다고 지적

- ECB와 일본은행의 QE가 없으면,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5%에 달하여, 미국의 경기하강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주장. 아울러 QE를 마약중독 치료에 비유하고, 투자자는 당분간 이를 받아들이겠지만, 건전하지 않은 자본주의 형태로 결국 부채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

ㅇ 골드만삭스, 트럼프 정책의 리스크 불균형을 우려(블룸버그)

- 대선 이후 투자자의 소비심리 호전은 감세와 규제완화의 실시 효과가 무역과 이민 관련 리스크를 상회하여 발생한 것이나, 금년 들어 신정부의 리스크 균형은 이전보다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

ㅇ 정치·경제적 불안요소, 달러화 가치 변동성 확대 우려(FT)

- 미국 경제·정치적 불안 요소가 존재하지만,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강세. 하지만 시장은 현재의 달러화 강세 랠리를 시작하게 한 트럼프의 감세 및 재정 정책의 실현 여부에 주목

- Pictet Asset Management의 Luca Paolini, 트럼프와 관련된 호재가 달러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는 상황 속에서, 시장은 트럼프의 공약이 실패하거나 시행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

-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가 발표에 따르면 달러 순매수 규모는 4주 연속 감소 추세를 기록. Rabobank의 Jane Foley, 이는 미국 대선 이후 반영된 기대가 안정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여전히 2016년 2/4분기에 비해 달러 매수세는 견고하다고 분석, 하지만 JP Morgan의 Paul Meggyesi, 외환시장에 대한 분석에서 근시안적으로 미국 중심적인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 특히 시장에서 주목해야 될 변수로 거시지표가 아닌 트럼프 정책임을 강조, 아울러 노동 시장 상황의 개선으로 임금이 오를 것이라는 예측과 상반된 결과를 보인 지난 1월 미국 주요 고용지표는 FED가 양적완화정책을 유지하게 할 것으로 기대. 이에 달러화 약세를 야기할 가능성 대두, 그러나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기대 기준금리 등의 상승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달러화 강세의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

ㅇ 자국보호주의와 탈세계화, 인플레이션 우려를 증대(FT)

- 트럼프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와 연준의 세 차례에 걸친 금리 인상 계획은 달러화 강세요인으로 작용. 이는 수출업자에게는 도움이 될 것이지만, 수입업자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하여 환율 상승으로 인한 달러화 부채가 있는 국가의 부담을 가중

- 탈세계화는 인플레이션을 확대하고 투자와 환율에 영향.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금년 신흥시장에 유입되는 자본이 1988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채무불이행과 구조조정 위험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 또한 보호주의와 탈세계화는 경제의 고립을 초래하여 한 국가의 초과수요 또는 초과공급의 분배가 불가능. 따라서 미국과 독일 같은 국가는 높은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아르헨티나, 브라질과 같은 신흥국은 디플레이션에 직면하는 등 인플레이션의 차별화가 예상

-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경제회복을 위한 물가상승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통화정책 입안자들은 경제성장 촉진을 위한 재정개입 의지를 피력. 이러한 재정효과는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될 전망

ㅇ 외환시장,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도 환율 변동성 축소(블룸버그)

-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대통령 발언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던 외환시장에서 변동성이 축소. 유로화 대비 달러화 환율 변동성은 대선 이후 5개월 만에 최고수준으로 확대되었으나, 현재 변동성은 대선 이전 수준으로 회귀

- Societe Generale의 Kit Juckes, 환율이 급변한 원인은 새정부 출범 당시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추세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 노무라의 Andy Soper, 시장에서는 트럼프 발언에 대한 관심은 낮아지고 발언 수위는 익숙해졌다고 지적

■ 유럽

ㅇ 유로존 경제, 역내 금융 불안 등에도 미국보다 높은 성장을 기대(FT)

- 인프라 투자 등 트럼프 경기부양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로존 경제가 예상보다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미국의 경제성장 기대치를 넘어설 전망 

- 영국이 EU 이탈을 결정한 이후에도 유로존의 기업 경기심리, 성장률, 실업률 등 주요 경제지표가 호조를 나타내고 있고, 14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하는 등 유로존 경제에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 또한 이탈리아 은행 부실과 그리스 금융위기 등 우려에도 불구 2016년 4/4분기 유로존 경제성장률은 0.5% 상승을 기록하며 미국보다 개선. 2016년 유로존의 경제성장률은 1.7%로 미국의 1.6%를 상회,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시장전문가들은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금융 불안 문제는 10년 전부터 지속되어왔고, 영국의 EU 이탈의 파급효과도 시장이 우려할 만큼 크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 또한 ECB의 통화완화 정책이 가계소비와 기업대출 증대 등으로 이어지면서 유로존 경제부양에 기여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 Focus Economics, 2017년 유로존 경제에 대해 가장 큰 폭으로 경제성장 전망치를 상향 조정, 다만 역내 금융 시스템 불안,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의 높은 공공부문 부채비율 등 문제가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유로존의 성장이 지속될지 우려가 잠재

ㅇ 스위스 법인세 감면 국민투표, 조세피난처로의 경쟁력 저하 등을 우려(FT)

- 지난 수년간 스위스는 낮은 법인세율 혜택 등으로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해온 가운데 법인세 감면을 두고 자국 내 찬반 논쟁이 확산되면서 세재개편안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할 예정 

- 세재개편 지지자들은 다국적 기업들의 이탈 방지와 자국 내 실업률 유지 등을 위해 찬성을 주장한 반면, 반대론자들은 미국 등 여타 국가들로 하여금 법인세 감면에 대한 보복조치로 경제적 불확실성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

- Serge Dal Busco 재무장관, 기업들에게 세재혜택이 없다면 62,000개의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지적. KPMG의 Peter Uebelhart, 조세피난처로서 작용했던 스위스 경제모델에 경쟁력이 없어질 수 있음을 우려

ㅇ 佛 정치적 불안요소, 프랑스-독일 국채 금리 스프레드 4년 간 최고 수준(FT)

- 프랑스의 극우 정당인 국민전선당(FN) 소속의 르펜 후보의 대선 승리가 유력해짐에 따라 프랑스와 독일 간 10년물 국채금리 차이가 0.74%p를 기록. 이는 채권 투자자가 그간 저평가했던 프랑스의 정치적 위험요소를 채권가격에 반영함으로써 발생

- 르펜의 주요 대선 공약은 프랑스의 유로존 탈퇴와 무질서한 이민의 종식이 주요 골자. 아울러 유로존 탈퇴 시 리디노미네이션의 실시로 2조유로 수준의 국가부채 규모 축소를 시도할 우려, 반면, 현재 프랑스의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저점이었던 2016년 2/4분기의 0.1%에서 1%p 상승한 1.11%p 수준 기록. 이는 정치적 위험요소의 확대와 ECB의 점진적인 양적완화 프로그램 중단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

ㅇ 런던 부동산, 파운드화 하락·유가 상승 등으로 중동 투자 수요 확대(블룸버그)

- 영국의 EU 이탈 결정으로 자국 내 해외투자자 수요가 줄어들면서 상업용 부동산 투자가 위축되었으나, 파운드화 가치가 15% 급락하고, 유가가 전년대비 62% 상승하면서 영국 부동산 내 UAE, 카타르 등 중동 산유국 투자 수요가 증대

- Fidelity International, 2016년 4/4분기 영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동 투자자 비중은 24%로 전년동기비 10% 수준에서 큰 폭으로 확대된 반면 여타 지역에서는 투자 비중이 일제히 감소

■ 중국

ㅇ 부유층, 국내 수요 증가·세계 고급 브랜드 대기업에 리스크(WSJ)

- 중국 정부가 해외에서 구입한 제품의 세율을 인상하고, 고급 브랜드 기업도 중국 내 상품가격을 타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하여 부유층의 소비가 국내로 회귀. 아울러 위안화 가치 하락과 유럽 테러 사건 등도 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배경

- 세계 최대 고급 브랜드 구입계층인 중국인의 소비성향은 중국 본토에 점포를 구축하는 고급 브랜드 기업에 기회요인. 하지만 2670억달러의 시장규모를 지닌 업계 전체에는 중국 이외 점포 매출 감소라는 위협요인이 병존

- 중국 정부는 소비를 국내로 환원하여 세수를 늘릴 방침. 이에 구두와 화장품 등의 수입 시 관세를 인상. 또한 해외에서 구입한 상품 가격과 중국 내 판매가격이 동일하여 국내 소비가 증대되는 효과, 그러나 여전히 양자 간 가격차는 존재. 중국 소비자는 루이비통 가방 구입 시 타국과 비교하여 25% 정도 높은 가격을 지불. 고급 브랜드 기업은 소비자로부터 최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가격의 균형을 고려

■ 일본

ㅇ 국제 영향력 확대, 미국과의 신뢰관계 구축보다 구조개혁이 긴요(WSJ, 로이터)

-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 이후 아베 총리는 지속적으로 미국과의 신뢰구축을 추진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TPP 탈퇴 선언, 일본 자동차 산업 비판, 환율조작국 지명 등의 발언으로 미국과의 신뢰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 또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호주, 영국 등 우방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면서 대외정책 향방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의 제로섬 게임 원칙은 수출 확대 촉진 등에 노력하고 있는 일본 정책과 대립되고 있는 상황, 아울러 아베 총리는 일본 자금을 이용해서 인프라 등 미국 내 투자를 지원 약속하는 등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지만, 향후 대외정책 협상과정 등에서 난항이 예상

- 일본의 영향력 증진과 파급 효과는 제한적. 일본이 세계경제의 견인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 노동시장 규제 완화, 여성지위 향상 등을 위한 구조개혁이 필요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인도 고액권 폐지, 보험업계는 기회로 인식(FT)

- 모디 총리의 현금 유통액 86%를 회수한 고액권 폐지 정책 이후, 독일 알리안츠와 이탈리아의 제네랄리 같은 대형 보험 회사는 600억달러 규모의 은행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 프랑스 보험회사 AXA는 지난 3개월 동안 백만 명 넘는 새로운 고객의 상해 보험 가입을 확보

- 인도 정부는 12개 결제은행에 최대 1400유로에 달하는 소규모 예금을 받아 모바일로 결제하고 송금할 수 있도록 허가. 라이센스에는 보험 상품과 같은 제 3자 금융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

- Bharti-Axa는 작년 11월 인도 최초로 지불은행을 설립한 주요 통신 그룹 Airtel과 계약을 체결했고, 현재 모든 은행 이용고객에게 최대 1500달러의 무료 사고 보험 혜택을 제공

- Bharti-Axa의 Sanjeev Srinivasan은 인도 저소득층이 은행을 이용하게 하는 움직임은 기존 중개인과 대리인을 통해 접근하기 어려웠던 고객층에 접근하고, 새로운 유형의 개인 보험을 제공하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고 발언

- 모디 총리는 고액권 폐지 결정의 주요인은 공식화된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 하는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보험회사의 장기적 전략은 신흥국 시장의 새로운 은행 이용고객 흡수. 인도보험시장은 현재 600억달러에서 10년 안에 2400억달러로 확대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