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6년] 세계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6. 11. 10.

국제유가, 감산합의에도 OPEC 공급과잉 문제로 상승세는 제약될 가능성(미즈호 등)

ㅇ 미국 셰일오일 생산성 확대 등이 주요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전망

ㅇ 지난 9월 OPEC의 산유량 감산합의 이후 원유시장의 수급 안정화 기대감 등으로 국제유가는 배럴당 50달러대에 이르면서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일부 국가의 통계관련 문제제기와 쿼터 합의실패 등은 감산에 악재로 작용

ㅇ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은 OPEC 산유국들의 감산합의 불발,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성 증대 등이 원유가격에 하방압력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 지난 2년간 사우디아라비아 등 OPEC 공급조정자(swing producer)들은 미국 셰일기업들을 원유시장에서 퇴출시켜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량 경쟁(공급과잉)을 했으나, 관련 효과는 미미하다는 평가

- 아울러 셰일오일 생산량 증대 가능성 확대로 원유시장의 우려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감산 합의를 무효화하거나 불발될 경우에 기존 석유 카르텔의 효율성과 신뢰성 하락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

- 시추기술의 발전 등으로 미국 셰일오일 기업들의 효율성은 크게 제고된 가운데 생산 비용은 40달러 전후로 크게 감소. 이는 저유가 추세 속에서 셰일오일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켰고 장기적으로 국제유가 추가 상승을 제약할 가능성이 높은 편

ㅇ 원유시장에서 OPEC 산유국과 미국 셰일기업 간의 가격경쟁 지속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장기화 등으로 향후 국제유가의 상승세 지속 여부는 불투명


<그림 1> 미국 셰일기업에 대한 OPEC의 대응전략


<그림 2> 셰일오일 및 WTI 생산비용 추이



미국

ㅇ 10월 ISM 서비스업지수, 54.8로 시장예상치(56.1)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FT)

- 같은 기간 대표적 구성항목인 신규수주(60.6→57.7)와 고용(57.2→53.1) 부문이 9월보다 부진하면서 전월(57.1)대비 2.3p 하락

- 씨티의 Adnrew Hollenhorst, 서비스업 지표가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50을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 오히려 연준의 완만한 금리인상 기조에 적절한 수치라고 설명

ㅇ 10월 서비스업 PMI, 54.8로 전월(52.3)대비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마킷에 따르면, 같은 기간 서비스업 PMI는 작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신규수주가 54.0으로 호조를 보인 것이 주요 요인. 종합 PMI는 9월보다 2.6p 상승한 54.9를 기록

- 마킷의 Chris Williamson, 견고한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물가상승, 기업 경영 여건 개선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평가

ㅇ 3/4분기 생산성, 전기비 연율 3.1%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WSJ)

-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비농업 부문 노동생산성은 시장예상치(2.2%) 이상으로 향상되면서 4분기 만에 개선. 이는 지난 2년 간 가장 큰 폭의 상승. 그러나 전년동기비 기준으로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어 노동생산성 기조는 여전히 약한 상황

- 노동자 1인당 생산과 시간당 임금이 3.4%로 대폭 증가하였고, 이는 견조한 노동시장과 임금상승 압력을 반영. 노동시간은 0.3% 증가에 그쳐 2/4분기(1.7%)대비 둔화

- Capital Economics의 Paul Ashworth, 2009년 중반 이후부터 시작된 생산성 향상의 둔화가 지속될 경우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미국 경제의 장기 경제성장률은 2%에 훨씬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

ㅇ 10월 4주차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 3개월 만에 최고 수준(로이터, 블룸버그)

- 노동부에 따르면, 26만5000건으로 시장 예상치 및 전주와 비교하여 각각 9000건과 7000건 상회. 4주 이동평균은 25만 7750건으로 전주대비 4750건 증가, 다만 고용개선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30만건을 87주 연속 하회. 연속수급신청건수는 202만6000건으로 예상치와 전주에 비해 각각 7만7000건, 1만4000건 감소

- Barclays의 Michael Gapen, 최근 신규실업급여 청구건수가 늘었지만, 전체적으로 이번 결과는 여전히 노동시장이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평가

ㅇ 9월 제조업 수주, 전월비 0.3%로 3개월 연속 증가(로이터, 블룸버그, FT)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 수주 증가율은 시장예상치(0.2%)를 상회했으나, 전월(0.4%)보다는 둔화. 항목별로는 신규수주가 0.3% 증가한 반면 국방과 항공을 제외한 핵심 자본재 수주가 1.3% 감소하였고, 수주잔량이 4개월 연속 축소

ㅇ 10월 해고건수, 3만740건으로 5개월 최저치(블룸버그, CNBC)

- Challenger, Gray & Christmas에 따르면, 10월 해고건수는 전월보다 31% 감소. Challenger의 CEO인 John A. Challenger는 경제 전반이 비교적 견조하며, 고용주들이 향후 3~6개월 내에는 큰 변동성이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

ㅇ 3/4분기 도시 주택가격, 수급 불균형 등으로 상승(블룸버그)

-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 지속적인 주택공급 부족으로 도시주택 가격상승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발표. 같은 기간 총 178개 도시 중 155개 지역의 단독주택 가격 중앙값이 전년동기비 상승

- NAR의 Lawrence Yun, 낮은 모기지 금리와 일자리 창출 확대 등으로 주택구매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 그러나 공급부족이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모기지 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주택 구매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

ㅇ 여론조사, 예상 격전지 중서부 지역에서 클린턴 후보가 우세(로이터)

- 로이터 발표에 따르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영향을 크게 받는 러스트 벨트(Rust Belt)에 속한 미시건, 오하이오, 펜실베니아에서 클린턴 후보가 우세

- 자동차 산업이 발달한 미시건에서는 클린턴 후보 지지율이 40%, 트럼프 후보 지지율이 36%였으며, 철강 및 중공업이 발달한 오하이오와 펜실베니아에서는 클린턴 후보와 트럼프 후보의 지지율이 각각 45%와 38%

- 한편 New York Times/CBS와 Washington Post/ABC는 10월 28일~11월 1일 시행된 조사 결과에서 클린턴 후보가 트럼프 후보에 각각 3%p와 2%p 앞섰다고 발표


유럽

ㅇ ECB, 경제 완만한 속도로 확대ㆍ주택시장 버블 신호 부재(로이터)

- 유로존 경제가 완만한 속도의 확대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나 글로벌 성장 둔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에 의한 하방 위험 상존. 소비 등은 계속해서 개선될 것으로 전망. 세계무역이 부진하지만 감소세가 바닥에 위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

- 주택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이르렀지만, 펀더멘털에 기초한 상승 궤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7년과 같은 버블의 신호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

- 연간 실질 주택가격 상승률은 장기 평균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진단하면서, 주택가격의 상승이 지난 2년 동안 지속되고 있으나 여전히 초기 단계이며 역사적으로 주요 상승 사이클은 대략 9년 동안 지속되었다고 설명

ㅇ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시 동유럽 충격 클 소지(블룸버그)

- 영국의 EU 이탈 결정에 따른 단일시장 접근 제한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금융, 교역, 노동시장 등의 경로를 통해 역내 여타국 대비 상대적으로 동유럽에서 크게 나타날 전망

- 국가별로는 2021년까지 하드 브렉시트 발생에 따른 국내총생산 감소폭은 루마니아와 불가리아가 8% 가장 크고, 우크라이나와 발틱 3국은 4.2%로 추정

ㅇ 잉글랜드 은행, 금리(0.25%) 동결ㆍ인플레이션 전망 상향(로이터, 블룸버그)

- 통화정책 회의에서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규모도 기존의 국채 4350억 파운드, 회사채 100억 파운드를 유지. 2017년 성장률 전망치는 8월의 0.8%에서 1.4%로, 인플레이션 예상은 2.0%에서 2.7%로 상향 조정

-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금년 안에 추가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없으며, 목표 이상의 인플레이션 용인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물가 상승이 너무 가파르게 나타날 경우 오히려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발표

- 브렉시트에 따른 단기 충격 우려는 줄었지만 장기적으로 EU 단일시장에 대한 접근 제한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진단

- 파운드 약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긴축으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경우 생산과 고용의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과도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

- 한편 카니 총재는 통화정책위원들이 금리결정에서 아무런 정치적 압력을 느끼지 않았다고 언급하여, 메이 총리의 중앙은행 통화정책 비난에서 나타난 정치적 갈등이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

- Investec의 Philip Shaw, 금리와 관련된 기존 입장 변경은 중앙은행이 실제로 금리 인상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보다는,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의도된 발언이라고 평가

ㅇ 독일 중앙은행 바이트만 총재, ECB의 QE 프로그램 연장은 부적절(블룸버그)

- ECB는 현행 양적완화 프로그램의 경기와 물가제고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 인내심을 가질 필요. 유로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부진하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고, 향후 2~3년 내 성장률은 잠재 수준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 편

- 인플레이션압력 확대는 단기 실질이자율을 낮춰 확장적 통화정책과 유사한 효과를 유발.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0.5%로 최근 2년 내 최고수준으로 개선 

-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시 정부의 공공지출 확대 유인이 줄어들고 금융시장의 위험자산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부작용이 우려. 아울러 금융기관의 수익 감소와 가계의 저축선호 증대 등도 불안요인

ㅇ 영국 법원, EU 탈퇴 협상에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고 결정(블룸버그, WSJ)

- 고등법원은 정부가 의회의 승인 없이 EU 탈퇴 절차를 정한 리스본 조약 50조를 발동할 수 없다고 판단. 6월 국민투표 당시 의회에서는 EU 잔류 지지파가 다수를 차지

- 내년 3월까지 EU 탈퇴 협상을 진행하려는 메이 총리의 계획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정부는 항소의 뜻을 밝히면서 향후 일정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 대법원은 이 사건의 심리를 12월 5~8일에 하겠다고 발표

- 유로그룹 데이셀블룸 의장, 영국 고등법원의 이번 결정이 메이 총리의 계획을 혼란스럽게 하여 EU 탈퇴 협상 관련 불확실성을 높이게 될 것으로 전망

- 이론적으로 의회가 EU 탈퇴를 저지할 수 있지만 실제로 저지할 것이라는 예상은 많지 않으며, Daiwa Capital Market의 Chris Scicluna는 영국이 EU와 탈퇴 관련 협상을 시작할 때 의회는 여러 주제에 대해 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할 것으로 전망

ㅇ 영국, 국민투표 새롭게 시행되면 EU 잔류 선택(로이터)

- 조사기관 BMG에 따르면, 45%가 잔류를, 43%는 탈퇴를 선택. 무응답자는 12%. BMG의 Michael Turner, EU 탈퇴가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영국 시민들의 확신이 흔들리고 있다고 분석

ㅇ 독일 쇼이블레 재무장관, 기업의 조세회피 대응방안 강화 방침(로이터)

- 기업의 조세 피난처에 위치한 페이퍼컴퍼니를 통한 거래내역을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조세회피 발생 시 거래은행에 책임을 전가할 계획. 독일기업은 향후 직간접 경로를 통한 해외지분의 10%를 금융당국에 보고하도록 의무화

ㅇ 스페인 라호이 총리, 신규 내각 구성(FT)

- Guindos 경제장관, Montoro 재무장관, Banez 노동장관 등 경제 관련 인사들은 유임에 성공. 특히 Guindos 장관은 유럽위원회의 대화 상대로 평판이 좋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이번 인사를 긍정적으로 평가

- 정부는 유럽위원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적자 한도에 맞추어 새로운 예산안을 편성하고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데, 라호이 총리가 이끄는 중도우파 국민당이 의석 과반 획득에 실패했기 때문에 향후 국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전망

ㅇ 유로존 9월 실업률, 10.0%로 5년 만에 최저 수준(로이터, 닛케이, Economic Calendar)

- 통계청에 따르면, 고용회복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실업률은 7월부터 3개월 연속 제자리. 국가별로 독일이 4.1%로 낮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그리스와 스페인은 각각 23.2%, 19.3%를 나타내 역내 국가별 격차는 여전

- 최근 유로존 제조업 PMI가 호조를 나타내고 실업률은 3개월 연속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신중한 가운데 고용을 늘리고 있으며 유로존의 경제 성장과 신뢰가 개선되고 있다는 의미

ㅇ 영국 10월 종합 PMI, 서비스부문 호조에 54.8으로 1월 이후 최고 수준(로이터)

- Markit에 따르면, 이번 결과를 고려할 때 유로존의 4/4분기 GDP 성장률은 0.4% 이상을 나타낼 전망. 서비스업 PMI도 54.5로 전월의 52.6에서 올라 금년 1월 이후 최고치. 특히 기업의 비용 상승 압력이 5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

- 유로존 경제가 6월 브렉시트 투표의 충격을 벗어나고 있다는 기대 증가. Markit의 Chris Williams, 10월에 나타난 여러 긍정적 경제 지표들은 경제의 성장 모멘텀을 강화하여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

ㅇ 독일 10월 신차판매, 전년동월비 5.6% 감소(닛케이)

- 연방자동차청(KBA)에따르면, 같은달신차(승용차) 판매대수는26만7000대로, 전년동월비로는 4.9% 늘어난 281만8500대를 나타내 시장의 회복세는 지속. 차종별로는 폭스바겐 판매는 19.7% 감소하고, 시장점유율은18.8%까지하락

ㅇ 터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7.2%로 전월(7.3%)보다 둔화(블룸버그, rttnews)

- 통계청, 같은 기간 섬유가격 오름폭 둔화 등으로 시장예상치(7.4%)를 하회. 인플레이션압력 완화로 금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정부 목표(7.5%)에 부합될 가능성이 높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구사 여력이 제고


중국

ㅇ 10월 차이신/마킷 서비스업 PMI, 52.4로 4개월 만에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 이는 전월(52.0)보다 상승한 것이며, 신규사업 회복이 고용확대로 연결.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합한 종합 PMI는 9월 51.4에서 10월 52.9로 오르고, 시장은 정책이 기업경기 호조로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 

- 10월 서비스업 PMI는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PMI와 같이 중국경제가 안정궤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구성항목은 신규사업이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일부 기업은 시장여건 개선으로 수요가 회복

- 고용은 2개월 연속으로 확대되고,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사업의 전망도 전월보다 개선되었지만, 8월보다 다소 하회. 경쟁격화가 가격에 영향을 미쳐, 대부분의 기업이 비용의 매우 일부만 전가하고 있다고 응답

ㅇ 1~3/4분기 상장기업 순이익, 전년동기비 2% 증가(닛케이)

- 금융정보회사 다즈후이(大智慧)에 의하면, 이는 부동산 기업과 자동차와 레저 산업의 호조가 주요 요인. 철강 가격이 회복되면서 철강 부문 기업도 흑자로 전환되었으나, 자원·채굴, 기계, 운수 과잉설비 구조에 따라 큰 폭으로 이익 감소

- 상하이와 심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전체 2942개 상장기업 순이익은 2조781억위안으로, 부동산 기업이 전체 수익을 견인. 자동차와 레저 기업 순이익은 모두 20% 이상 늘어났는데, 그 중 자동차는 소형차 감세 혜택이 판매 증가의 원인

- 아울러 소득 증가로 가전, 식품 부문 소비가 늘어나 순이익 확대. 다만 구조적 불황 업종은 개선 가능성이 낮은 편. 기계는 24%, 자원 · 채굴은 90% 순이익이 감소. 유가하락과 중국 경제둔화의 영향으로 천연가스, 원유생산, 석유제품 모두 부진했기 때문

- 전체 상장기업은 순이익 증가로 전환되었으나, 중국경제의 위험요인은 상존. 정부는 부동산가격 억제를 강화했으며, 부동산 거래량도 한계에 근접. 또한 지방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정비를 가속화하고 있는데 재정난이 점차 확대. 이에 순이익 증가의 지속 가능성 여부는 불투명

ㅇ 주요 석탄 기업, 시장 안정화를 위해 자율적으로 가격 인하(FT, 블룸버그)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에 따르면, 11월 1일 기준 석탄 재고는 6538만톤으로, 이는 8월보다 37% 증가. 중국국영석탄그룹은 석탄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1톤당 10위안의 가격 인하를 표명 

- 정부는 석탄 공급과잉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 감산 목표의 80%를 충족한 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겨울철 수요증가에 대비한 석탄 증산을 허용. 이에 주요 석탄기업은 석탄가격의 변동성을 제어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조치

ㅇ 독일 가브리엘 경제장관,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요청(로이터)

- 60여개 기업 대표들과 5일간의 중국 일정을 진행 중인 가브리엘 장관은 중국이 하루아침에 독일과 같이 개방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외국기업이 중국 기업과 동등한 여건에서 중국 내 경쟁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발언

- 또한 안보와 에너지 등 일부 전략적 산업을 제외하고 중국의 독일 내 투자를 적극적으로 환영. 금년 중국의 독일 투자는 총 103억유로를 기록, 작년의 2억6300만유로와 비교하여 급증


일본

ㅇ 일·러 경제협력, 각료회담 등으로 진행 가속화(닛케이)

- 경제산업성 세코우 히로시게(世耕 弘成) 장관은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경제개발부의 울류카예프(A. Ulyukayev) 장관과 회담을 통해, 12월 푸틴 대통령의 일본 방문 전까지 약 30개 경제협력 안건에 대해 구체화할 것을 합의

- 이는 아베총리가 5월 정상회담에서 제안한 8개 경제협력을 바탕으로 구성. 8개 경제협력 안건은 (1)건강, (2)도시건설, (3)중소기업 간 교류, (4)에너지,

(5)산업의 다양화·생산성 향상, (6)극동 산업 진흥·수출의 기지화, (7)첨단기술, (8)인적 교류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인도, 상품소비세 세율 확정(로이터, 닛케이)

- Arun Jaitley 재무장관은 상품소비세(GST:Goods and Service Tax)의 세율을 5%, 12%, 18%, 28%의 4단계로 확정 발표. 상품의 표준세율은 12%, 18%이나, 서비스의 표준세율은 미정. 소비자물가지수 산정 품목의 절반에 해당하는 생필품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예정

- 부가가치세의 일종인 GST는 각 주별로 상이했던 간접세제를 하나로 통일하여, 기업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정부 핵심정책. 내년 4월부터 적용을 추진 중. GST 도입 후 5년간 세수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담배 등 일부 품목에는 28%의 세율에 임시로 추가 세율을 부과할 예정

ㅇ 호주, 9월 무역수지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1년 8개월 만에 최저 수준(로이터, 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달 무역수지는 12억2700만호주달러로 시장예상치(17억호주달러)를 크게 하회. 정책금리를 동결한 호주 중앙은행(RBA)이 5년에 걸쳐 통화정책 완화 국면이 종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부상하는 가운데 9월 무역통계를 이를 강화하는 내용

- 9월 수출은 전월비 2% 늘어났으며, 석탄과 금속의 가격상승이 이를 뒷받침. CommSec의 Savanth Sebastian, 무역수지 적자 축소는 원자재 가격상승의 본격화를 시사 

- 반면 통계청은 9월 무역통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아직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으며, 수출 증가로 향후 무역수지 적자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을 주장. 시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 무역수지 적자 해소로 연결될 것이라고 예측

ㅇ 이집트 중앙은행, 3%p 금리인상 및 환율 자유화 결정(블룸버그, FT)

-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기존 11.75%에서 14.75%로 3%p 올려, 금년 3월과 6월 각각 1.5%p, 1.0%p에 이은 3번째 금리인상 단행

- 한편 외환 암시장 근절을 위해 환율 자유화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환율은 달러당 약 9파운드에서 13파운드로 하락. 또한 외화예금과 인출액 제한을 철폐하여 환율의 자유로운 변동을 허용

- 이번 결정은 IMF로부터 3년간 120억달러를 받기 위한 사전 조치. 앞서 IMF와 이집트는 차관 제공에 합의했지만 IMF 이사회의 최종 승인을 받기 위해서 새로운 통화정책 도입 필요성이 제기. 통화정책회의 결과 발표 이후 증시는 8% 이상 급등 출발


세계경제 전반

ㅇ 주요 중앙은행, 정책 효과의 정확한 판단을 위해 GDP 디플레이터 채택이 필요(FT)

- 주요 중앙은행들이 대부분 2%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만 달성에 실패.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이 국내 기업 및 노동자의 가격 결정 뿐 아니라 국제 무역과 환율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주장

- 따라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의 효과를 정확히 판단하려면 자국 내 물가만을 측정하는 GDP 디플레이터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 환율 또는 유가의 변동이 크게 증가해도 GDP 디플레이터가 받는 영향은 제한적

- 영국, 미국, 일본의 GDP 디플레이터가 2014년 중반 2.0%대에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유가하락이 낮은 인플레이션의 원인이었다는 미국 연준과 잉글랜드 은행, 일본은행의 주장은 정책 효과가 작었다는 사실을 가리기 위한 핑계에 불과

- 한편 영국에서는 최근 파운드 약세로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지만 GDP 디플레이터는 1.0%에 전후에 머물고 있어 이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불필요


미국

ㅇ 곡물 수출 급증, 자유무역 옹호론자의 기반을 확대(FT)

- 이번 대선에서 무역 정책과 관련하여 많은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콩을 중심으로 한 곡물 수출이 3/4분기 GDP 성장률 호조에 긍정적으로 작용. 미국 내 곡물 생산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의 곡물 수출 증가는 농민들의 소득 확대에 크게 기여

- 금년 미국의 옥수수와 콩 수출은 전년비 각각 91%와 26% 늘었고, 이에 운송 및 저장 등 관련 부문 기업의 이익도 대폭 증가. 농무부에 따르면 옥수수와 콩 수출은 내년에 각각 사상 최대, 9년 만에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이번 대선에서 클린턴 후보와 트럼프 후보가 모두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에 대해 재고 의사를 나타내는 등, 자유무역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피력. 하지만 농업협회(Farm Bureau)는 TPP가 체결되면 농가 수입 44억달러 늘어날 것이라며 자유무역을 적극 지지

ㅇ 금융시장 보다 대선을 주시·Fed, 12월 금리인상 시사에도 반응은 경미(닛케이)

- 연준은 11월 FOMC 이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12월 금리인상을 시사. 이에 다우 주가는 4개월 만에 저가를 나타냈지만, FOMC로 인한 직접적 반응은 일시적. 시장참여자는 불확실성이 큰 8일 대선 향방에 더 주목하고 있음이 선명

- 성명서에서는 최근 물가상승률이 확대되고 있음을 적시하고, 지금까지 금리인상 조건이 정비되고 있지만, 보다 확실한 증거를 관망한다는 표현을 강화. 시장에서는 12월 금리인상을 강하게 시사했다고 평가

- 골드만삭스의 Jan Hatzius, 성명서의 표현 중 수정되지 않은 내용은 현재 금리인상에 단지 일부의 추가적인 증거밖에 필요 없음을 의미한다고 지적. 12월 금리인상은 75%의 확률이라는 예상을 유지 

- 성명서를 기초로 주식매도는 단기간 내 안정되었는데, 이는 시장의 관심이 연준보다도 대선을 향하고 있기 때문. 트럼프 승리 시 경제와 정치, 대외관계가 혼란 속으로 빠져들 시나리오를 크게 의식하고 있는 상황

- BofA의 Michelle Meyer, 연준은 11월 성명서에서 연내 금리인상을 위한 조건을 구축했다고 제시하면서, 다른 조건이 변함없으면 이라는 단서조항을 부연 

- 아울러 클린턴이 승리하고 공화당이 하원 다수를 차지한다는 시장의 기본 시나리오라면, 12월 금리인상을 막을 수 없다고 주장. 이는 반대의 상황으로 트럼프가 승리할 경우에 금리인상이 어렵다고 제기 

- 미국 금리선물 시세는 클린턴 후보의 메일 문제 재연 전후로 변동이 큰 편. 이에 성명서 내용보다는 트럼프의 대선 승리로 시장이 동요하고, 연준의 금리인상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리스크가 시장에 확산

- 2일 뉴욕시장에서는 성명서 공표 직후 증시, 채권, 외환시장의 반응이 상이한 모습을 보였는데, 채권시장에서는 장기금리가 하락하였고, 이에 영향을 받아 일시적으로 10월 10월 이후 엔고·달러화 가치 하락 상황이 전개

- 이는 미국 금리인상을 의식한 미국 채권과 엔화의 매도보다는 대선의 불확실성을 배경으로 리스크 회피가 강화되어 미국 국채·엔화의 매입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

- 연준의 금리인상보다도 트럼프 리스크에 주시하는 상황에서 시장의 긴장도는 매일 고조되고 있는 상황

ㅇ 증시, 대선 후 급락 대비한 헤지 매매 증가(로이터)

- 다음 주 대선을 앞두고 클린턴 후보와 트럼프 후보가 접전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트럼프 후보의 승리 시 발생할 수 있는 급락에 대비한 헤지 거래 급증. 로이터에 따르면 클린턴 후보의 승리가 미국 주가에 유리하게 작용.

- 지난주까지 클린턴 후보가 트럼프 후보를 지지율에서 앞섰지만 최근 이메일 조사 재개로 두 후보의 차이는 크게 줄었고 이에 투자자들의 동요가 확산

- 증시의 불안 심리를 나타내는 CBOE 변동성지수(VIX)는 최근 오르기 시작하여 7주 만에 최고 수준까지 상승. Charles Schwab의 Randy Frederick, VIX 옵션과 S&P500 ETF 옵션의 이례적인 거래량 증가는 헤지 수요가 증가한다는 의미

- 11월 1일 S&P500 ETF 옵션의 거래량은 380만개로 일평균의 1.5배 기록. 또한 선거일 다음날인 11월 9일 만기를 맞는 옵션의 내재변동성은 22.2%로, 옵션들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 이번 주 월요일 로이터 설문조사에 따르면 FBI의 이메일 수사 재개에도 불구하고 클린턴 후보가 여전히 트럼프 후보를 지지율에서 5% 앞섰지만, ABC와 LA Times의 조사에서는 트럼프 후보가 오히려 클린턴 후보를 각각 1%p, 2%p 앞선 상황

ㅇ 연준, 노동시장의 이해로 작년과 같은 과오는 감수하지 않을 전망(WSJ)

- 연준은 12월 FOMC에서 금리인상 신호를 발신했지만, 작년 금리인상으로 발생한 혼란을 회피하고자 주력할 가능성. 이는 노동시장의 이해를 이전보다 심도 깊게 점검하기 때문. 작년 12월 연준 금리인상은 시장예상 밖은 아니며, 금년 4회 인상 전망이 의외

- 당시 시장은 2차례 금리인상만을 예상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 연준이 강경한 태도에서 전환된 이유는 이후 2개월에 걸쳐 시장이 불확실성에 빠진 것이 주요 요인. 주가급락, 강달러 진행,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신흥국의 부채문제가 고조

- 작년 12월 금리인상 전 1년 간 입수 가능한 통계에서 미국은 매월 평균 22만명의 고용이 늘어나고 실업률이 5.8%에서 5.0%로 하락. 이는 노동시장의 유휴자원이 빠른 속도로 해소되어 임금이 급속도로 가속화되기 시작하는 단계로 진입할 가능성 시사

- 이후 새로운 고용은 매월 평균 18만7000명이 창출되었지만, 노동시장 참여가 늘어난 결과로 실업률은 5.0%에서 정체. 이에 연준과 시장에서 고려하는 것보다 노동시장의 유휴자원은 더 많았음을 인지. 따라서 유휴자원 문제는 통화정책에서 중요한 요소

ㅇ 12월 금리인상, 트럼프 후보의 대선 승리 여부가 주요 변수(WSJ)

- 연준은 11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실제로 금리인상 단행 여부는 8일 대선 결과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연준은 경제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통화정책을 결정하여, 선거의 영향은 크지 않으나 이번 대선은 예외

- 공화당 트럼프 후보가 보호무역주의와 감세를 주장하고 있어, 향후 대선 승리시 기존 경제정책의 대폭 수정이 불가피. 트럼프 후보의 정책이 향후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의 판단은 시기상조이나, 당선 시 불확실성 증대로 위험자산 투자가 크게 위축될 전망

- 민주당 클린턴 후보는 규제강화와 부유층 증세 등을 공약으로 내세워 마찬가지로 투자자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하나, 기존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아 불확실성은 낮은 편 

-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트럼프 승리 시 주식시장은 11~13% 하락하나, 클린턴이 당선될 경우에는 2~3% 상승 가능성이 우세. 주가하락은 부의 감소를 통해 향후 경기회복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연준의 12월 금리인상 결정에 부담요인

- 연준의 정책운용에 독립성이 요구되나, 정치적 결정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시 정책변경은 필요. 금년 여름 연준은 영국의 EU 이탈을 둘러싼 국민투표 경계감으로 금리 인상을 보류

- 트럼프 후보의 대선 승리가 미국 달러화 환율에 미칠 영향은 불명확. 트럼프의 정책이 세계경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여,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미국 달러화 매도압력이 증대될 소지 상당


유럽

ㅇ 피치, ECB의 자본조달 여건 완화에도 기업 설비투자는 부진(블룸버그)

- ECB의 경기부양을 위한 대규모 양적완화와 마이너스 금리에도 기업의 설비투자 확대를 위한 채권발행은 감소. 기업의 자금 조달비용이 경감되었으나, 확보된 자금은 공장 및 장비 등에 대한 투자보다 M&A와 재융자를 위한 재원으로 활용

- 금년 채권발행 규모는 3220억유로로 최대치를 기록한 2009년(3600억유로)에 근접하나 투자진작 효과가 제한적 수준에 그쳐, 2/4분기 성장률(0.3%)은 전기(0.5%)비 둔화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0.4%)도 여전히 목표 수준을 하회


중국

ㅇ 금융위기, 부채확대로 인한 금융중개기능 악화와 실물부문 전이 시 가능성 상존(로이터)

- 금융위기 회피 여부는 레버리지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중국에 대해 규제 당국과 투자자가 직면하고 있는 의문. 은행 시스템과 그림자 금융 관계가 한층 더 강화되는 가운데 규제당국이 이를 파악하는 것도 점차 곤란한 상황에 직면

- 중국의 부채규모는 큰 폭으로 확대. BIS에 의하면, 비금융부문 부채규모는 2016년 1/4분기까지 GDP의 2.5배로 상승. 아직 개도국인 중국의 부채규모는 미국의 경제규모에 필적하는 수준

- 부채가 성장을 상회하면,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역사가 증명. 중국에 대한 우려는 레버리지의 절대 규모 확대와 부채확대 속도에도 기인. 중국의 대형 및 중소은행, 정책당국의 안전망 외 그림자금융을 연결하는 거래와 금융상품 구조가 복잡함을 의미

- 은행자산은 2014년 말 이후 7.1조달러 증가하여, GDP의 2/3 수준. 같은 기간 예금은 3조달러 정도 증가에 그쳤고, 대출증가의 대부분은 4대 국영은행을 제외한 금융회사가 차지. 이는 여타 자금조달로 중소은행 간 경쟁이 격화되고 있음을 의미

- 중소은행 중 저상(浙商) 은행과 진저우(錦州) 은행은 예금보다도 다른 금융기관 자금의 절반 이상을 의존. 이들 은행은 급작스런 신용위기가 발생시 일상적으로 빈번하게 재대출된 범위를 여타 은행이 억제할 가능성 

- 부동산 부문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경영난에 빠진 자산운용사가 파산하면, 소형 은행이 출시한 재테크 상품 가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고객이 예금을 인출하거나 보상을 요구하는 사태가 예상

- 대형은행은 소형의 은행 익스포저 축소가 용이하지 않은데, 단기 차입비용이 치솟을 경우, 소형은행 대출 회수 등을 위해 자산 매각 등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

- 인민은행에 따르면, 2014년 말 은행의 비은행에 대한 채권은 11.2조위안에서 금년 8월 말 25.2조위안까지 급증. 투자자문사인 Rhodium에 따르면, 랴오닝성성징(盛京) 은행의 재테크 상품가치는 2014년 대비 754%나 상승. 관련상품 발행주체는 자산 운용사와 증권사

- 이들 자산은 경기부진에 빠진 지방경제와 연관. 재테크 상품은 단기간 환금이 가능하지만, 대출기간이 긴 편. 충격 발생 시 자금부족이 발생할 가능성. 하지만 인민은행은 은행과 비은행 간 거래되는 자산 규모 파악이 쉽지 않은 상황

- 인민은행은 대형 금융기관의 파산을 현금발행으로 수급할 수 있겠지만, 부채가 계속 확대되는 경우에 수정 전략이 필요. 대출의 감소와 둔화는 디폴트 연쇄로 이어질 우려가 내재. 이는 금융권에서 비롯하여 실물경제로 이어지는 위기로 전이될 소지

ㅇ 외환보유액, 위안화 약세 · 자본유출 · 외환시장 개입 등으로 대규모 감소를 전망(블룸버그)

- ANZ 은행의 Khoon Goh와 Exante Data LLC의 Jens Nordvig, 10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대규모 자본유출과 위안화 약세에 따라 800억달러 했을 것이라고 지적. 또한 위안화 약세에 따라 인민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 시장에서는 외환보유액이 260억달러 줄었을 것으로 예상하나, 실제로는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것으로 주장. 이러한 외환보유액 축소는 인민은행의 외환시장개입, 위안화 약세, 자본유출에 따른 결과라고 분석

- 아울러 2016년 1월 이후 외환시장 불균형이 가장 확대되었는데, 이는 인민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 관련 비용은 150억달러이며,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은 3조860억달러에서 800억달러로 줄었을 것이라고 예측

- Commerzbank의 Zhou Hao,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단기간에 늘어날 가능성은 불투명하며, 10월 외환보유액은 310억달러 감소를 예상. 다만 미국 대선에 따른 달러화 강세와 미국 금리 인상 시 외환보유액 감소폭이 확대될 소지

ㅇ 인민은행, Money Market 금리 인상으로 금융 리스크 억제(블룸버그)

- 인민은행은 그림자 금융의 확대에 따른 레버리지 리스크 축소 방법으로 통화 긴축의 전통적 수단인 정책금리 인상 대신, Money Market의 금리 인상을 선택. 이는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자본유출 방지에도 일조

- ANZ의 Raymond Yeung, 인민은행은 정책금리 인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자본조달 비용의 증가를 피하면서, 자산가격의 버블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Money Market의 금리인상을 선택 

- 인민은행이 이와 같은 긴축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이유는 그 동안의 경기부양책이 성과를 내면서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 궤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 GDP 성장률은 3분기 연속 6.7%를 나타냈고, 최근 기업이익 증가 및 생산자물가 상승 등이 발생

- Mizuho의 Jianguang, 정책 당국은 이와 같은 새로운 긴축 수단을 통해 불필요한 유동성 증가를 방지하는 동시에, 과도한 긴축 신호를 보내지 않아 실물경제에 필요한 자금이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2017년 유가, 배럴당 평균 56달러로 큰 상승은 없을 전망(WSJ)

- 14개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 유가 전망에 따르면, 브렌트유는 배럴당 평균 56달러, WTI는 54달러로, 지난 여름 전망치(70달러)보다 하향 조정

- 금년 여름부터 셰일가스 기업들은 현재의 유가 수준에서도 채산성 확보 가능한 일부 지역에서 시추를 확대 중. 지난주 미국의 원유 비축량은 1400만배럴 이상 증가하여 사상 최대 증가폭을 보였으며, 원유 생산량도 2주 연속 증가

- 9월 미국의 셰일가스 DUC(시추 후 미완성 유정)의 수는 5069개로, 이는 과거 유가 하락으로 중지되었던 DUC 개발이 최근 재개되면서 1월보다 500개 이상 감소한 수치 

- Commerzbank의 Carsten Fritsch, 10월의 유가 상승은 기대 심리로 인한 일시적인 효과로, 미국의 생산 확대로 공급과잉이 심화되면 추가적인 유가 상승은 기대난

- 향후 유가의 향방은 OPEC의 감산 성공 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나 지난주 실무자 회의에서 구체적인 감산 분담안을 확정짓는데 실패하고, 이라크와 이란이 감산 면제를 요구하는 등 감산 합의 가능성은 낮은 편



미국, 세계경제의 선도 역할은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Goldman Sachs 등)

ㅇ 미국의 소비주도 성장 지속 여부가 신흥국 경제안정을 좌우할 주요 변수

ㅇ 세계경기순환(global business cycle)을 통한 각국 간 동조화 현상은 금융위기 이후 이전에 비해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지역 및 각국 경제의 주요 대외요인

- 1970년대 석유파동기와 2012년 EU의 재정문제 등이 발생한 직후 전세계 경기는 급격한 하강을 경험 <그림 1>

- 다만 금융위기 이전에는 세계경기순환이 전세계 실질경제성장률 변동성의 40%를 차지했으나, 이후 20% 가량으로 축소되고 지역 요인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 <그림 2>

ㅇ 미국은 세계경기순환에 선행하는 특징을 지니면서 세계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은 세계경기순환에 더 민감하고 신흥국은 상대적으로 지역 및 국가별 영향에 의존도가 큰 편

- 미국은 세계경기순환을 1년정도 선행하고 있으며, 유로지역 경기와 상관관계가 큰 편

- 중국 등 신흥국은 지역과 국가의 경기상관관계가 컸으며, 일본은 세계경제와 역내 경기에도 높은 비중을 차지

ㅇ 향후에도 미국이 세계경기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될 것으로 보여, 미국 경제의 향방이 세계경제의 여전히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

- 특히 미국의 소비주도 성장 여부는 선진국간의 교역 확대는 물론 신흥국이 지닌 과잉 생산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세계경기 회복의 선순환 고리 형성에서 중요


<그림 1> 세계경기순환 추이


<그림 2> 세계경기순환이 선진국과 개도국에 미치는 영향



세계경제 전반

ㅇ 10월 전세계 제조업 PMI, 52.0로 2014년 10월 이후 최고치(블룸버그, 마킷)

- 같은 달 JP 모건과 마킷이 발표한 전세계 제조업 PMI는 전월(51.0)대비 1.0p 상승. 구성항목별로는 생산과 신규수주가 모두 2년 내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재고감소는 다소 완화

- 지역별로는 신흥국(50.9)보다는 선진국(53.0)의 상승폭이 컸으며,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개월, 2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개선. 특히 중국의 제조업 생산 증가는 5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 유로존PMI도 33개월내 최고치를 보인 가운데 영국도 양호한 수준 전개


미국

ㅇ 11월 FOMC, 정책금리 동결·성명서는 12월 금리인상 관측 뒷받침(로이터, 블룸버그, WSJ, FT, 닛케이)

- 11월 2일에 열린 FOMC에서 연방기금(FF) 금리를 0.25~0.5%로 동결. 성명서를 통해 금리인상 근거가 계속 강화되고 있다(has continued to strengthen)면서 12월 인상 가능성을 뒷받침

- 물가상승 압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지적. 에너지 가격 하락에 따라 단기적으로 저조할 것이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중기적으로 2%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기업 설비투자가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가계소비 지출이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

- 다만 노동시장의 지속적인 개선에도 실업률은 큰 변화가 없고 물가가 목표치를 하회하고 있어 약간의 추가적인 근거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고 발표. 9월 FOMC 성명서와 같은 문구에 약간의(some)란 표현을 추가하여 금리인상 시점에 가까워졌음을 시사

- 지난 회의에서 금리인상을 주장했던 보스턴 연은의 로젠그렌 총재가 금리동결에 찬성하면서 8대2로 금리동결을 결정


ㅇ 무디스 예측 모형, 클린턴 후보의 당선 예상(로이터)

- 무디스가 경제·정치상황을 기초로 구축한 선거예측 모형에서 유가하락과 오바마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배경으로, 8일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 클린턴이 승리한다고 전망. 무디스 모형은 레이건 전 대통령 당선 이후 9차례 대선 예상에서 적중

- 무디스 모형은 후보자 개인의 특징보다 경제·정치상황을 주목하여 현 여당 후보의 지지 여부를 예측. 경제는 세대별 실질개인소득의 2년간 변화, 주택과 가솔린 가격 등의 요인이 반영. 정치는 이전 대선에서 각주 여당 득표율, 현 대통령의 지지율 등을 평가

- 무디스의 Dan White, 2016년 선거 주기는 일반적인 상황과 상이하여, 유권자가 경제·정치상황 변화에 과거와 다른 반응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고, 각주의 예상 등 모형의 예측 결과에 리스크가 다소 있다고 주장

ㅇ 주요 경제학자 모임, 반트럼프 의사를 나타내며 킅린턴 지지를 표명(블룸버그)

- 노벨경제학 수상자를 포함한 370명의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선 후보가 실행 가능한 경제정책에 대한 신중한 평가보다 음모론을 주장하며 유권자를 기만하고 있다고 발언 

- 트럼프 후보는 미국에 파괴적이고 위험한 선택이며,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민주주의 제도와 경제뿐만 아니라 후세의 번영에도 위협요인으로 작용

- 이에 대해 트럼프 후보 경제고문인 캘리포니아 대학의 Navarro 교수는 트럼프의 경제정책은 성장가속, 임금상승, 세수 확대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반박

- 트럼프 후보는 경기성장을 위해 감세, 북미자유협정(NAFTA) 재협상을 공약하는 반면 클린턴 후보는 교역 강화, 부유층 증세 등을 주장

ㅇ 10월 민간부문 고용, 14만7000명으로 시장예상치(17만명)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FT)

- ADP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기간 민간부문 고용은 전월(20만2000명)을 크게 하회하면서 5개월 최저치를 기록. 이는 건설업 고용이 9월보다 1만5000명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요인 

- 무디스의 Mark Zandi, 기업이 적합한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일자리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견고한 수준이라고 주장. 다만 건설, 교육, 광산업은 부진하다고 평가


유럽

ㅇ 독일 정부 경제자문 패널, 2017년 성장률 예측치를 1.3%로 하향 조정(로이터)

- 이는 기존 1.6%에서 0.3%p 낮춘 것으로, 정부의 같은 기간 전망치(1.4%)보다 낮은 수준. 2016년 성장률 예상치는 1.9%로 제시하여 기존의 1.5%보다는 상향 조정. 정부의 금년 성장률 예상치는 1.8%

- 영국의 브렉시트로 역내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적 불안이 확대될 것으로 우려되어, EU는 건설적 협상을 통해 영국 이탈을 방지할 필요 강조. 메르켈 총리, 협상과정에서 4가지 기본 자유(인력, 상품, 서비스, 자본) 보장 원칙을 고수하나, 갈등을 최소화할 방침

ㅇ 유로존 10월 제조업 PMI(확정치), 독일경제 호조 등으로 경기확장국면 지속(로이터, 블룸버그)

- Markit에 발표에 의하면, 같은 기간 제조업 PMI(확정치)는 53.5로 독일 경기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물가가 회복을 보이면서 속보치(53.3)에서 상향 조정. 종합 PMI에 반영되는 생산지수는 2014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인 54.6으로 개선

- Markit의 Dobson, 생산, 신규주문, 신규수출 등 대부분의 세부 항목이 개선되어 4/4분기 제조업 경기의 회복지속 가능성이 확대. Capital Economics의 Brown, 제조업 경기 활황은 ECB의 통화정책 구사여력 제고에 기여하나, 근원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저조하여 추가완화 조치는 불가피

- 국가별로는 독일 제조업 PMI(55.0, 속보치: 55.1)가 미국과 아시아신흥국 수출 증가 지속으로 전월(54.3)비 상승하였으며, 프랑스(51.8)와 이탈리아(50.9)도 신규 주문 증가에 힘입어 경기 호·불황 기준인 50을 상회

ㅇ 영국 카니 중앙은행 총재, 재임 중 추가 금리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로이터, FT)

- 잉글랜드 은행의 카니 총재는 국립 경제사회연구소(NIESR)에서 금리 관련 견해를 밝히면서, 금리인상이 2019년 3/4분기 중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주장. NIESR은 금년 영국 성장률을 이전 1.7%에서2%로, 2017년은 이전 1%에서 1.4%로상향 조정

- 파운드화 가치 하락을 배경으로 물가상승률은 2017년에 가속화되어 하반기에 4%에 이르지만, 잉글랜드 은행은 일시적 현상을 평가

ㅇ 영국 재무장관, 유연한 재정지출 등을 포함한 경기부양책 발표 예정(로이터, FT)

- 해먼드 재무장관은 23일 예정된 추계 재정보고에서 필요 시 적극적인 재정정책 구사가 가능하다고 언급. 인프라 투자의 추가 지출은 10~50억파운드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으며, 경기부진 시 재정지출을 늘릴 방침

ㅇ 독일, 10월 실업률은 6.0%로 통일 이후 최저 수준(로이터, 블룸버그, FT)

- 연방고용청에 따르면, 같은 달 신규 고용자 수요 증대 등으로 실업자 수(계절 조정)는 1만3000명 감소한 266만2000명

ㅇ 영국, 10월 주택가격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4.6%로 9월보다 둔화(로이터, 블룸버그)

- 주택금융회사인 Nationwide 발표에 따르면, 같은 달 전월비 기준 주택가격 상승률은 전월비 0.3%로 시장예상치인 0.2%를 상회했으나, 전년동월비로는 시장예상치(5.0%)보다 낮은 수준을 보여 EU 이탈 결정 이후 주택시장 부진을 시사

- 경제경영연구센터(CEBR), 6월 국민투표 이후 영국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주택경기의 불확실성이 반영되고, 내년 주택가격 상승률은 2.6%로 올해(6.9%)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

ㅇ 영국 10월 건설업 PMI, 7개월 내 최고 수준으로 개선(로이터, 블룸버그)

- CIPS/Markit에 따르면 같은 기간 건설업 PMI는 52.6으로, 주택 호조 등에 힘입어 시장예상(51.8)과 달리 전월(52.3)비 상승. Pantheon Macroeconomics의 Tombs, 향후 전망은 신규 건설착공 감소와 건설비용 상승 등이 예상되어 여전히 불안

ㅇ 10월 영국 소매가격, 전년동월비 –1.7%로 전월보다 하락폭 축소(로이터)

- 소매협회가 발표한 같은 달 소매가격은 전월 –1.8%에서 하락폭이 줄어들었으며, 브렉시트 결정에 따른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소매가격이 내년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 시사

- 소매협회 Helen Dickinson, 수입가격 상승 영향은 내년 1/4분기에 가시화 예상. 잉글랜드 은행은 4/4분기 물가 보고에서 관련 요인을 감안, 물가전망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은 편


중국

ㅇ 정부, 소형차의 감세조치 연장 검토(로이터, 닛케이)

- 이는 자동차 생산·판매를 통한 경기부양 조치로, 감세조치를 중단하면 내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확대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재정부, 공업정보화부, 교통운수부 등은 합동 간부회의에서 소형차 감세의 영향을 논의. 재정부는 예정대로 중단을 요구했으나, 공업정보화부는 1년 연장을 주장. 교통운수부는 도시의 교통체증이 심각해 자동차 급증에 따른 대응이 어렵다고 지적

- 중국 성장률에서 소비의 기여율은 70%인데, 3/4분기 소비는 전년동기비 10% 증가. 그 중 0.5%는 자동차 판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관련 조치를 통해 소비를 확대하여 경제안정 유지가 목표

- 소형차 감세는 2015년 10월에 도입되어, 배기량 1600cc 이하 소형차의 자동차 취득세를 10%에서 5%로 인하. 이에 2016년 1~9월 신차판매대수는 전년동기비 13% 늘어나, 2016년 연간 판매대수는 2013년 이후 3년 만에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할 전망

- 그러나 감세 연정을 조기에 결정하면 기존 마감기한인 연말에 자동차 수요를 줄일 가능성도 존재하나, 감세를 중단할 경우 내년 자동차 판매 위축우려가 확대

ㅇ 공산당, 당내 규율 강화를 위한 새로운 규정 발표(신화, 닛케이)

- 10월말 개최한 18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2가지 당내 규정을 발표. 널리 알려진 시진핑 주석의 권력 집중 외에 부정행위 적발을 책임지는 중앙규율검사위원회의 권한 강화가 강하게 반영

- 새로운 규정 중 하나는 2003년 제정한 당내 감독조례의 개정으로, 기존에는 잠정시행의 위상이 부여되었지만, 공식적으로 인정. 중앙규율검사위원회와 조직부가 협의한다는 조례 해석권이 중앙규율검사위원회로 단일화되어 권한강화가 선명

- 다른 하나의 규정은 새로운 정세 속에 당내 정치에 관한 준칙에서 집단지도 체제를 최고원칙 중 하나로 명시했지만, 관련 표현이 삭제. 개인 전횡의 반대라는 기존 문구도 사라지고, 집단지도체제의 의미가 약화

- 또한 새로운 준칙에는 당내 인사에서 연령 등으로 편향적인 의사결정을 단호하게 시정한다는 내용을 포함. 구체적 기준의 언급은 없지만, 시진핑이 검토하고 있는 최고지도부의 정년 연장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에 무게

- 이번 새로운 규정은 시진핑이 당내에서 일정 권력을 견고하게 구축했음을 시사


일본

ㅇ 일본은행 구로다 총재, 대외 불안요인에 대응하여 추가 조치 가능(로이터)

- 중위원 재무금융위원회에서 성장과 물가 하방압력이 지속되어, 향후 필요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발언. 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2% 물가목표 달성 예상시기를 종전의 2017년에서 2018년으로 연기하였으나, 물가 하방 리스크는 여전

- 신선 식품을 제외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가운데 유가 하락과 신흥국의 성장 감속 등의 대외 불안요인이 물가 회복의 주된 걸림돌로 작용. 한편 일본은행의 통계 모형을 개선하여 GDP 등 경제지표의 정확도를 제고할 방침

-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일본은행의 통화정책이 공조하면 거시경제정책의 효과가 증대된다고 강조. 또한 재정정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채의 신뢰도 유지가 중요하며, 이에 정부의 재정건전화를 촉구

- 아울러 연간 6조엔을 매입하고 있는 ETF는 특정 주가 수준에 목표를 두고 시행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 향후 ETF 매입으로 주식시장 내 일본은행 비중이 크지 않도록 유지하고, 지방채 매입은 지자체별 차별화로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

- 통화정책 완화의 출구전략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이러한 논의는 시장에 불필요한 변동성을 초래한다고 지적. 또한 일본은행의 지방채 매입 가능성도 일축

- 금리 상승에 따른 보유 국채의 평가손실 위험에 대해 대차대조표에서 국채는 상각원가법을 채택하고 있어, 시가 변동은 손익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강조

ㅇ 2/4분기 역수입, 232억달러로 2012년 1/4분기 이후 최저(닛케이)

-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중국 등 아시아의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해 만든 제품을 일본에 다시 판매하는 역수입이 축소. 이는 아시아 인건비 상승과 엔화 약세에 따라 자국 내 생산이 늘어났기 때문 

- 전세계 역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에서 2/4분기 역수입 매출은 101억달러로 5년 9개월 만에 최저수준

- 경제 성장에 따른 인건비 상승으로 역수입의 장점은 사라지고 있으나, 현지 소비시장은 확대. 같은 기간 중국 현지법인의 중국 시장 매출은 381억달러로 최고치. 이에 따라 전체 매출에서 현지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70%로 상승

ㅇ 환율변동의 영향, 백색가전의 해외생산 증가로 1990년보다 확대(로이터)

- 일본은행의 경제 및 물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냉장고ㆍ세탁기ㆍ에어컨ㆍ전자레인지 등 백색가전의 해외생산 증대로 환율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

- 1990년 초~2010년 말에는 환율이 10% 변동할 경우 내구소비재 가격이 0.5%p 미만으로 움직였으나, 2000년 초~2016년 6월에는 2.5%p까지 확대. 이에 따라 10%의 환율 변동이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도 각각 0.1%p에서 0.5%p로 증대

ㅇ 10월 기초통화량, 11개월 연속 최고치 경신(로이터, 닛케이)

- 일본은행이 발표한 같은 달 시중의 현금과 금융기관의 보유자금을 나타내는 일본은행 당좌예금 잔고 합계인 기초화폐(자금공급량)의 잔액은 417조6291억엔을 기록. 10월 기초통화량의 평균 잔액은 전년동월비 22.1% 늘어난 413조8966억엔

- 구성항목별 월간 평균잔액은 금융기관의 보유자금을 나타내는 당좌예금이 전년동월대비 29.0% 늘어난 312조7923억엔, 지폐는 5.0% 늘어난 96조4126억엔, 화폐는 0.9% 증가한 4조6917억엔. 일본은행은 물가목표 달성 시까지 기초통화량 확대를 지속할 방침

ㅇ 10월 소비자태도지수, 42.3으로 전월비 0.7p 하락하며 3개월 만에 악화(로이터, 닛케이)

- 내각부의 소비동향조사에 의하면, 태풍 등에 따른 채소가격 상승 등이 소비심리에 부정적으로 반영되었다고 평가. 이는 생활물가 상승과 구매력 저하로 연결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OPEC 감산합의, 감산 제외 국가의 생산 증산으로 무산 위기(블룸버그)

-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최근 감산 면제를 요청한 회원국들이 10월에 원유를 추가적으로 증산. 국가별로 리비아, 나이지리아, 이란은 일일 40만 배럴, 이라크의 경우 일일 5만 배럴의 원유생산이 증가

- 여타 OPEC 회원국이 대폭 감산을 단행하지 않을 경우, 향후 OPEC 감산합의 불발 우려가 확대

ㅇ 호주 9월 주택착공허가건수, 전월비 8.7% 감소(블룸버그, FT)

-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이는 8월(-1.8%)과 시장예상치(-3%)를 모두 하회하며, 지난 11월 이후 최대 낙폭. 전년동기비로는 -6.4%로 8월(10.3%)과 예상치(2.1%)보다 낮으며, 3달만에 처음으로 하락

- 저금리와 높은 부동산수요에도 불구하고 시장예상을 하회하는 하락을 기록했으나, 민간부문 주택착공 허가는 전월비 2.3% 증가

ㅇ 뉴질랜드 3/4분기 실업률, 취업자 증가 등으로 시장예상치(5.1%) 하회(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실업률은 4.9%로 전기(5.0%)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취업자 수는 249만4천명으로 전기비와 전년동기비 기준 각각 1.4%, 6.1% 상승


세계경제 전반

ㅇ 전세계 화학산업 동향, 세계경제의 선행지표 역할(FT)

- 이는 화학 산업 규모가 농업, 에너지에 이어 3위에 해당하며, 모든 국가는 플라스틱, 제약, 세제, 섬유 등 다수의 화학제품을 사용하기 때문

- 화학산업을 나타내는 지표는 American Chemistry Council(ACC)의 Global Chemical Capacity Utilization(CU%)인데, 이는 IMF의 GDP 지표와 큰 상관관계가 존재. 그러나 IMF의 GDP는 시차(time lag)가 있지만, ACC의 CU%는 매월 말 측정되어 비교적 실시간 지표로평가

- IMF의 전세계 GDP 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경기 선행지표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공신력이 비교적 위축. 그러나 ACC의 CU%는 개별 국가의 경기전망을 유추할 수 있어 중요성이 확대

- 따라서 이러한 화학산업 지표로 세계경제를 선행하여 예측할 수 있으며, 주요국의 경기판단이 가능. 실제로 2016년 CU%는 매월 하락하여 현재 78.7%를 기록했는데, 이는 2009년 3월(77.7%) 수치와 근접하여 세계 경기에 관한 우려가 확대되는 상황

ㅇ 매크로 헤지펀드, 국채금리 상승으로 수익률 반등(WSJ)

- 전세계 국채금리 상승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채권, 외환, 주식 등에 투자하는 매크로 해지펀드의 10월 수익률이 반등

- Caxton Association, 10월 수익률은 5.1%로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Rubicon Fund Management, 채권과 외환투자로 10월에 7.8% 수익률 나타내는 등 글로벌 대형 헤지펀드들의 수익률이 모두 상승

- 이는 지난 수년간 대규모 국채매입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적극적인 통화정책 완화가 시장 변동성을 줄여 헤지펀드들의 수익률이 악화되었으나, 최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의 한계 인식이 고조되며 국채금리가 상승했기 때문

- Aberdeen Asset Management의 Stephen Coltman은 미국의 12월 금리인상 전망으로 매크로 펀드들이 반등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으며, 이에 매크로 헤지펀드들은 단기채 금리하락과 장기채 금리상승에 주목하고 있음을 시사

ㅇ 세계화의 불만,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로 해소 가능(로이터)

- 브렉시트, 트럼프·르펜의 정치적 부상을 두고, 세계화로 일자리를 잃은 취약계층의 정치적 불만 표출은 불가피하며 점차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 대두. 그러나 일자리의 감소는 경제 발전의 자연스러운 결과로서, 적극적인 정부 정책이 중요

- 산업혁명 이후로 지식·기술의 발전과 무역 증가가 생산성을 향상시켜 같은 제품생산에 필요한 노동은 지속적으로 감소. 노동시간이 줄면서 교육·여가 등에 소비되는 시간은 증가했고, 기존 일자리 감소를 새로운 수요에 맞는 직업이 대체하여 국민들의 생활수준은 크게 향상

- 세계화로 선진국 고임금 일자리가 신흥국의 저임금 근로자에게 이전되는 현상도 정부가 나서 노동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나누거나 노인과 환자의 요양시설 확대, 인프라 설비 확충 등으로 신규 직종을 만들어 활성화할 필요


미국

ㅇ 금융시장, 대선 불확실성 확대로 외국인 투자 저조(WSJ)

- 대선에서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당선확률이 트럼프 공화당 후보보다 우위에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에도 해외투자자의 미국 투자비중은 축소

- 이는 지난 6월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앞두고 실행된 여론조사의 결과가 실제와는 달라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었고, 최근 FBI의 클린턴 후보 이메일 스캔들 재조사 결정으로 대선결과의 불확실성이 증폭되었기 때문

- PredictWis, FBI의 이메일 수사에도 클린턴의 대통령 당선 확률은 87%로 전망. EPFR Global에 따르면, 해외 투자자는 지난 1주일 동안 5억77000만달러 주식을 순매도

- 알리안츠의 Kristina Hopper, 미국 대선의 결과가 예측과 다르게 나타난다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된다는 우려 확산 등으로 외국인들의 투자심리가 악화되었다고 평가 

- 실제로 브렉시트 국민투표 직후 S&P500 지수는 3.6%, Stoxx Europe 600 지수는 7% 하락했고 파운드화는 30년 만에 최저치 기록. 아울러 10월에 시행된 콜롬비아 국민투표에서도 예상과 달리 투표 결과가 부결되면서 이후 증시와 통화가치가 급락

- BNP 파리바의 Colin Graham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미국 대선과 12월 금리인상이 결정되면, 미국의 투자비중 확대를 고려할 것이라고 시사. 클린턴이 당선될 경우에 미국 주식 시세는 급등할 것이라고 전망

ㅇ 은행권, 기업의 인수합병 확대로 향후 실적 개선 기대(FT)

- 미국 대선은 기업 의사결정에 매우 큰 불확실성 요인이나 경영진들은 이와 무관하게 대형 인수합병을 추진. 이에 은행권의 10월 자문수수료 등이 역대 최고 수준 

- 부티크 자문사인 Moelis & Co의 Jeff Raich는 경영진이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을 경영하려는 의지가 매우 강해 대선 등 단기 불확실성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고 설명

- 금년 1/4분기 시장이 부진하면서 기업이 인수합병과 자금조달 계획을 미루었고, 이는 은행의 IB 부문 수익성 악화로 연결. Dealogic에 따르면, 2016년 현재까지 합병과 자본조달 관련 수수료는 600억달러로 작년 동일 시점(658억달러)보다 낮은 상황

- 금주 GE의 Baker Hughes 인수(250억달러), CenturyLink의 Level3 인수계획(340억달러), Blackstone의 TeamHealth 인수계획(61억달러) 등의 발표로 M&A 부문 수익 증가가 기대

- 기업이 대선 결과와 무관하게 저렴한 자본조달 비용을 이용하여 기업가치 확대를 추구. 씨티의 Ray McGuire, 경영진이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현재 수익성과 건전성 모두 긍정적이며, 자본조달 여건 개선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설명

- 금년 M&A 관련 수입이 전세계 9위인 Evercore Partners의 Roger Altman은 현재 경기여건은 6개월 간 유지될 것이며, 추가적인 인수합병 건수가 상당할 것으로 전망


유럽

ㅇ ECB 확장적 통화정책, 장기적으로 유로존 경기회복의 장애요인(FT)

- ECB가 장기간 유지하고 있는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유로존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대두

- 독일 경제정책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s Experts)는 ECB가 근본적인 구조개혁 없이 마이너스 금리와 대규모 자산매입정책에 장기간 의존하게 되면, 향후 금융시장 불안은 증대되고 유로존의 경제가 지속가능한 회복 국면에 진입하기 어렵다고 지적

- 또한 금융시장에 자산매입프로그램 연장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ECB는 800억유로 상당의 국채 매입규모를 축소하거나 종결할 필요성이 있다고 부연

- 아울러 재정, 사회, 노동시장 정책 등은 EU 주요국의 통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일부 회원국이 구조개혁, 재정규율 등이 부재한 상태에서 확정적 재정정책을 지속한다면 유로존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경고

ㅇ 독일, 공정한 투자와 경쟁조건을 통한 시장개방 의사 강조(FT)

- 최근 독일 경제부는 중국 펀드의 독일 반도체 회사 Aixtron 인수를 중단한 가운데, 중국은 독일에 확산되는 보호주의적 성향에 우려 표명. 이는 로봇업체 쿠카(Kuka) 등 많은 독일 기업이 중국 자본에 인수되면서 기술유출에 대한 불안이 반영

- 독일 메르켈 총리는 규제를 EU 전체 차원으로 확대해 기술부문에 대한 독일의 경쟁력을 지킬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중국은 물론 해외투자에 대하여 개방적인 입장을 고수

- 아울러 국제적 맥락에서 공정한 투자와 경쟁조건의 필요성 지적하며 시장의 상호주의 필요성 강조. University of Wurzburg의 Peter Bofinger은 독일기업을 인수하려는 중국기업들은 늘고 있는 반면에 독일이나 다른 외국 기업들의 중국투자는 어려워지고 있음을 지적

ㅇ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세계 중앙은행의 파운드화 보유 비중 축소(로이터)

- 영국의 EU 이탈로 경제적 충격이 불가피한 가운데 하드 브렉시트 발생으로 세계 중앙은행의 파운드화 자산 규모가 큰 폭 줄어들 가능성. 2015년 영국의 GDP 대비 경상수지 적자는 5.9%로 1948년 이후 최대수준

- 영국 정부는 재정수지 균형을 위해 매년 수천억파운드의 해외자본 유입이 필요하며, 외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를 위한 파운드화 수요가 안정적인 자금공급의 역할을 수행

- IMF에 따르면, 세계 중앙은행은 매년 300억달러 규모로 파운드화 자산을 늘리고 있으며, 이는 영국 경상수지 적자의 1/4에 해당. 국제 외환보유액에서 파운드화 비중(5%%)은 미국 달러화(63%), 유로화(20%)에 이어 3번째이나, 향후 줄어들 소지 상당

- S&P, 최근 파운드화가치 급락은 통화의 신뢰도를 저하시켜, 국제준비통화의 역할에 위협.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를 하회할 시 국채신용등급 하향 조정 가능성이 증대 

- 준비통화로서 파운드화의 중요성은 외환보유액의 4.5%를 차지하는 일본 엔화와 유사. 다만 일본은 세계 경제규모 3위이고, 영국과 달리 1980년 이후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 

- 잉글랜드 은행 발표에 따르면, 9월 해외 투자자의 국채투자 규모는 132억7000만파운드로 12개월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으나, 10월 메이 총리의 하드 브렉시트 가능성 언급으로 무역가중 기준 파운드화가치는 사상최저 수준으로 하락

- 세계 중앙은행은 단기 금융시장 변동성에 의해 준비통화의 보유 규모를 급격히 조정하지 않으나, 향후 점진적으로 파운드화 수요를 줄여 자산비중을 축소할 여지는 높은 편


중국

ㅇ 중국 경제부진,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가로의 부정적 여파 불가피(WSJ)

- 최근 정부의 대응으로 중국경제는 일시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향후 기존 문제로 인한 리스크는 상존. 경제개혁은 완만하고, 제조업에 보조금을 주는 경기부양책과 신용의 급속한 확대는 지속

- IMF는 중국이 경기 확장기에 세계무역을 통해 성장을 촉진한 것과 동일하게 중국경제의 변화가 현 각국의 성장 감속 요인이라고 지적. 이에 중국경제의 둔화 속도가 가속화되면, 세계경제의 변동성이 커질 우려

- 우선 중국과의 무역비중이 높은 각국은 중국경제가 둔화될 경우에 가격파괴로 인해 중국의 수요가 크게 줄어들어 타격을 받을 가능성. 그 중 중국수요에 크게 의존하는 원자재 수출국의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

- 중국경제 부진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아시아 국가에도 전이될 소지. 몽골은 중국의 급격한 경기둔화와 원자재 가격하락 등으로 경제가 붕괴되어 IMF와 긴급지원을 협의. 앙골라 등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도 중국의 무역의존도가 높아 난관에 직면

ㅇ 미국 대선 이후 새로운 정부의 對中 정책, 강경 일변도로 나올 가능성(WSJ)

- 현재 중국에 대한 미국의 태도는 정책 전반에 걸쳐 강경한 편. 클린턴과 트럼프 모두 무역과 투자, 남중국해에 이르기가지 다양한 쟁점에서 기존 이상으로 강경한 노선을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

- 이에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미국 대선을 앞두고 위상 강화에 나서 지도부의 핵심이 되었으며, 경제적·군사적 약진으로 미국과 전략적 라이벌 관계로 나설 준비를 구축 

- 클린턴은 오바마에 비해 무역문제에서 엄격한 태도를 견지하여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둘러싸고 중국 정부에 이의를 제기할 방침. 4월 연설에서 자신이 대통령이 될 경우, 중국 지도자는 국제적 규범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

- 트럼프는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하며, 클린턴과 마찬가지로 중국과의 관계에서 실패는 없음을 시사. 이처럼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복잡하게 전개되어 미국의 선택사항도 좁아지고 있는 상황

- 동아시아의 긴장도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소송 중인 수역에서 중국의 행동은 이전보다 적극적. 시진핑 지도부의 남중국해 인공섬 건설 등에 대해 미국과의 마찰 가능성도 잠재

ㅇ 신흥국 지수 MSCI 편입, 기업 지배구조 규제 미비 등이 주요 저해요인(FT)

- 중국정부는 자국 증시의 외국인 투자확대 등을 위해 상하이와 홍콩 증시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후강퉁과 적격 외국인 기관투자자(QFII) 등을 시행하여, MSCI 신흥국 지수 편입을 노력 

- 반면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중국증시 상장기업의 지배구조 규제 미비와 기업정보의 불투명 등으로 중국의 신흥국 지수 편입을 우려. Ecstrat의 JP Smith, 지배구조가 불안한 기업에 대한 잘못된 정보에 근거하여 투자할 가능성이 상당

-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에 따르면, 금년 중국기업의 지배구조 평가는 43%로, 2010년 49%에서 하락한 반면 인도는 2010년 49%에서 금년 55%로 오름세가 지속. 이는 중국 정치와 규제 여건 악화 등이 주요 원인

- 금년 1월 금융당국의 주식매매거래중단제도(서킷브레이커) 한시적 시행으로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었으며, 국영기업의 민영화 지연 등도 중국기업 투자에 부정적으로 영향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신흥국으로 충격은 제한적(블룸버그)

-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이 가시화되면서 신흥국의 자본유출 우려가 증대되고 있지만, 주가·통화가치·원자재 가격 상승, 경기 전망 개선, 외환보유액 확충 등으로 자본 이탈 강도가 과거보다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 Capital Economics의 Krystal Tan, 지난 2013년처럼 12월 금리인상 여부는 신흥국 시장에 악재로 작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

- IMF는 지난 10월 신흥국의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를 4.2%로 상향 조정했으며, Capital Economics은 상품가격 상승과 중국경제의 안정 등으로 신흥국의 경제가 지난 1년 동안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고 추정

- 아울러 브라질 헤알화가 올해 달러 대비 24% 상승하는 등 중남미 국가에서도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고 있는 상황. 골드만삭스 Alberto Ramos, 지난 2년 간 신흥국의 교역조건 개선으로, 미국 금리인상의 신흥국 충격을 상쇄시킬 것이라고 평가


아시아 신흥국, 미국 통화정책과 탈동조화는 외환시장 안정 등에 기인(Mitsui Sumitomo 등)

ㅇ 미국의 점진적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단기간 내 통화정책의 긴축 가능성은 낮은 편

ㅇ 과거 아시아 신흥국은 미국 통화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최근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정책금리 인하 혹은 완화적 수준의 동결을 결정하며 차별화 

- 미국은 작년 12월에 이어 금년 연말에도 양호한 경제성장률, 노동시장 안정 등을 배경으로 0.25%p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70%대로 높은 편

ㅇ 아시아 신흥국의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탈동조화 현상은 환율 안정, 저물가 등에 기인하며, 향후 금리조정 여지는 충분

- 2015년 이후 대규모 부채로 5대 취약국(Fragile Five)에 속하여 외환시장의 불안이 컸던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환율은 2015년 미국의 금리인상 이후에도 안정적인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아시아 국가도 이와 유사한 흐름

- 2014년 유가 급락 영향으로 아시아 신흥국의 물가는 하락세가 지속되었으며 2015년 하반기 유가 상승 전환 이후에도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낮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 

- 아시아 신흥국 중 인플레이션 목표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인플레이션 목표의 상한을 크게 하회하고 있어 통화정책의 추가 완화 여력이 존재

ㅇ 연준이 중시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의 전년동월비 상승률이 2%에 미달한 가운데 시장은 점진적 인상을 내다보고 있어, 아시아 신흥국 통화정책이 단기간 내에 완화에서 긴축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낮은 편


<그림 1> 달러화 대비 취약 5개국 통화 가치 추이


<그림 2> 아시아 신흥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세계경제 전반

ㅇ 10월 전세계 M&A 규모, 초대형 안건 지속으로 최고치 경신(블룸버그)

- 같은 달 M&A 총액은 4890억달러로 기존 최고수준인 2007년 4월의 4710억달러를 상회. CenturyLink의 Level 3 Communications 인수(340억달러), GE의 Baker Hughes의 합병 등이 주요 요인

- 법무법인 Jones Day의 Bob Profusek, 기본적인 원동력은 아직 존재한다. 저성장은 대부분 나쁘지만, M&A 시장에서는 자본시장이 매우 완화적이어서 유리하다고 지적. 불과 8건의 거래가 10월 M&A 총액 중 3000억달러를 차지

- 금년 최대 M&A는 10월 22일 발표된 AT&T의 타임워너 인수로 규모는 854억달러. 금년 들어 지금까지 합의가 성사된 100억달러 초과 대형 M&A는 32건.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금년에는 52건을 기록한 작년을 제외하고 2007년 이후 최고수준


미국

ㅇ 10월 ISM 제조업 지수, 51.9로 전월비 0.3p 상승(블룸버그, WSJ, FT)

- 구성 항목별로 신규수주(55.1→ 52.1)가 부진한 반면 생산(53→ 54.6)과 고용(49.7→ 50) 지수가 호조를 보여 전월(51.5)과 시장예상치(51.6)를 모두 상회

- Amherst Pierpont Securities의 Stephen Stanley, 10월 ISM 제조업 지수의 상승폭은 완만한 성장을 시사하며, 최근 침체된 제조업의 가파른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 또한 기업의 고용은 증가하는 반면 설비투자는 여전히 부진하다고 설명

ㅇ 9월 건설지출, 전월비 0.4% 감소(로이터, 블룸버그, CNBC)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건설지출은 전월(-0.5%)보다 감소세가 둔화되었으나, 시장예상치(0.6%)를 하회. 이는 주택 이외의 공장, 병원, 도로 등 민간건설 지출이 8월보다 1.0% 줄어 9개월 만에 크게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

ㅇ 10월 제조업 PMI, 53.4로 2015년 10월 이후 최고치(블룸버그, Business Insider)

- 마킷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 PMI는 9월(51.5)대비 1.9p 상승. 생산이 상승(9월:52.5→10월:55.5)하면서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낸 것이 주요 요인

- 마킷의 Chris Williamson, 금년 들어 가장 긍정적인 수치이며, 내수와 수출확대에 힘입어 생산이 증가했다고 설명. 다만 기업의 고용이 크게 확대되지 않는 것은 설비투자에 신중한 입장이기 때문이라고 지적

ㅇ 10월 신차 판매, 영업일수 감소와 법인판매 둔화 등으로 부진(로이터, WSJ, NYT)

- WardsAuto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신차판매는 연율 1790만대로 전년동월비 –6.0%를 기록. 같은 기간 미국 3대 자동차기업 중 2개가 판매 감소. 업체별로는 GM이 25만8626대로 -1.7%, FCA는 17만6609대로 -10%

- JD 파워의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미국 자동차판매는 전년동월대비 7% 감소. 높은 인센티브, 저금리, 저유가에도 불구하고 소매판매가 감소하는 것은 자동차 시장이 고점을 지났음을 시사한다고 평가


유럽

ㅇ EU,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방지대책 마련(WSJ)

- EU는 애플 등 다국적 기업의 조세포탈 등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면서, 역내 글로벌 기업은 중대한 변화에 직면할 전망. 유럽위원회는 다국적 기업의 자산 보유 및 매출 발생 지역에 따라 납세를 요구하는 공통 법인세 부과기준(CCCTB)을 발표

- EU는 기준 변경을 통해 조세회피 방지뿐만 아니라 회원국이 제공하는 세제혜택도 억제할 방침. 8월 유럽위원회는 아일랜드 정부에 애플에 대해 130억유로 세금 추징을 권고. 이는 아일랜드가 1991~2007년 애플에 제공한 세금감면이 불법이라고 판단한 데 기인

- 신규 규정이 전면적으로 시행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나, 기업은 대응방안 마련에 착수. CCCTB가 시행되기 위해 EU 회원국의 승인 이후 각국 의회의 비준이 필요하며, 규정 적용은 2단계로 시행

- 1단계로 역내 사업규모가 7억5000만유로를 상회하는 기업은 회계 규칙에 따라 과세대상 이익 산출이 요구되고, 2단계가 되면 기업은 자산, 직원, 매출의 3가지 기준에 따라 세금을 지불

ㅇ 유럽안정화기구 (ESM), 그리스는 2017년에 자본시장 복귀 예상(로이터)

- ESM의 Klaus Regling, 그리스가 경제 개혁을 지속한다면 내년에 자본시장에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 금융위기로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키프로스 등 5개국을 지원했고, 그 중 4개국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

- 그리스 당국은 그리스 국채가 ECB의 자산매입프로그램의 매입대상으로 허용되면 1~2차례 소규모 국채발행에 나설 것이며, 이는 시장의 수요 확인과 경제 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투자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설명

- 또한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 이후 역내 반유럽 정서가 확산되고 있으나, 유로존 경기회복이 지속되고 있어 불필요하게 정치 및 재정통합 강화 압력을 확대할 필요는 없다고 부연

ㅇ 1년 이내 EU 이탈 가능성, 이탈리아가 그리스를 추월(로이터)

- 독일 센틱스에 따르면,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년 이내 이탈리아가 EU를 이탈할 가능성은 9.9%로 2012년 6월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그리스(8.5%)를 추월. 2012년 당시 그리스가 이탈할 가능성은 70%

ㅇ 유럽증권감독청(EMSA), 브렉시트로 영국 감독기관과의 이해 충돌 우려(로이터, 블룸버그)

- Rameix 위원, 영국의 EU 이탈 결정으로 유럽증권감독청내 영국 대표(금융감독청, FCA)와의 이해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영국은 향후 단일시장 접근 제한으로 런던의 금융거점 유지를 정책 우선순위에 두어, 청산소 규제 등의 협의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

ㅇ 독일 정부, 해외기업의 자국 기업 인수는 공정한 경쟁 필요(로이터)

- 독일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해외투자에 대해 자국시장 개방이 당연하다고 이해하며, 제조업 거점인 독일은 불공정한 경쟁 여건에서 효과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고 제시

- 가브리엘 경제부 장관, 중국은 독일 기업의 주요 기술을 전략적으로 인수하지만, 해외자본을 통한 중국기업 M&A에는 차별적 조건을 부여하여 보호하고 있다고 비판

ㅇ 이탈리아의 Passera 장관, BMPS 은행 구제안 철회(로이터, FT)

- Passera 전 경제개발부 장관,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 은행과 금융지원 조건 등에 이견을 보여, 구제안을 철회하기로 결정. 현재 BMPS 은행에 구제안을 제출한 은행은 280억유로의 부실채권 매각과 선순위 채권스왑을 통한 50억유로 자본확충을 제안한 JP Morgan이 유일

- 유럽위원회는 연내 BMPS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와 자본확충 실패 시 관련 규정 준수를 요구하고 있어, 렌치 총리는 12월 국민투표 부결 시 사퇴압력이 가중될 소지

ㅇ 잉글랜드 은행 카니 총재, 2019년 6월까지 임기연장 결정(로이터, WSJ)

- 잉글랜드 은행은 EU 탈퇴 이후 경과를 지켜보기 위해 카니총재의 임기를 1년 연장하기로 결정. 카니총재는 2013년에 일반적인 8년 임기가 아닌 5년이라는 한시적 조건으로 취임

- 카니 총재, 리스본조약 50조에 따른 이탈 절차 이후까지 임기를 연장하여 영국이 유럽과 새로운 관계 구축 과정에서 질서 있는 이행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

ㅇ 스위스 중앙은행, 미국 대선 동향 주시·통화가치 상승 압력 억제에 주력(로이터)

- 토머스 조던 총재, 현저하게 과대평가되고 있는 스위스 프랑화 가치를 낮추기 위한 행동에 준비하고 있다고 인식을 표명. 스위스 프랑화는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승리한다는 견해가 커질수록 안전자산으로 간주되는 매입이 커지고 있는 상황

- 미국, 유럽, 중국 등이 국제무역에 우호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한편 보호무역주의를 억제하는 조치 추진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미국이 자유무역에 역행하게 되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스위스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

- 조던 총재는 환율개입과 마이너스 금리가 통화정책의 주축이라고 지적. 통화정책의 목표는 스위스 프랑화 가치 상승 압력을 흡수·경감하는 동시에 경제를 지원하고, 물가상승률을 플러스로 회귀시키는 것이라고 제시

ㅇ 스위스 9월 소매매출, 전년동월비 -2.3%로 14개월 연속 감소세(FT)

- 통계청에 따르면, 이는 시장 예상치(-2.2%)를 하회하나 전월(-2.8%)보다는 개선된 수치로, 저금리 기조에도 소비심리가 회복되지 않은 것이 주요 원인. 식료품, 담배 등의 판매는 0.2% 증가했으나, 비식품 부문이 -4.4%로 전체 감소를 견인

ㅇ 영국 10월 제조업 PMI, 54.3으로 전월(55.5)대비 소폭 하락(로이터)

- 마킷/CIPS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 PMI는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내수도 양호한 모습을 보였으나 2년간 최고치였던 9월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 

- 마킷의 Rob Dobson, 10월 영국 제조업은 견조하며, 4/4분기에는 성장궤도에 복귀할 예상. Capital Economics의 Paul Hollingsworth, 영국 제조업은 4/4분기 호조가 예상되며, 성장률은 3/4분기 –1%에서 4/4분기에는 1%로 전환될 전망

- 다만 Pantheon Macroeconomics의 Samuel Tombs, 신규 사업전개와 추가 설비투자의 지연된 상태에서 제조업은 당분간 파운드화 가치 하락의 수혜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

ㅇ 영국 의약 및 항공업계, EU 이탈에 따른 대응 요청(로이터)

- 영국 정부가 최근 닛산자동차에 대해서 EU 이탈 시 정책지원을 약속한 가운데 주력 산업인 제약과 항공업계도 정책지원을 요구. 이는 브렉시트에 따른 무역장벽 때문이며, 해외 인재채용과 EU의 연구보조금 격차 발생 등의 우려도 반영

- 영국 바이오산업협회(BIA)의 Steve Bates, 의약품과 생명공학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기반이 요구된다고 주장. 에어버스 영국지사의 Paul Kahn,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항공업계도 브렉시트의 영향에 직면하고 있다며 지원을 호소

- 현재 의약품은 유럽 의약품감독국(EMA), 항공부품은 유럽항공안전청(EASA)의 보증을 받으면 유럽 단일시장에서 판매가 가능하나, 향후 EU 이탈 후 발생할 수 있는 무역장벽은 업계의 장애요인 

- 또한 EU의 연구보조금의 격차와 유럽권 학계와의 연구개발 측면에서도 부정적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

ㅇ 헤지펀드 Odey, 영국 주식 80% 하락 가능성 제기(블룸버그)

- Odey 자산운용의 Crispin Odey, 영국의 EU 이탈 결정으로 경기하강과 인플레이션에 직면할 것이라고 주장. 당사의 주력 헤지펀드 수익률은 연초 대비 –43% 기록 

- 또한 지난 5년간 기업이익이 80% 감소했음에도 FTSE100지수는 같은 기간 30% 상승했다며, 향후 추가적인 하락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


중국

ㅇ 10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전월보다 모두 상승(로이터, 닛케이)

-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같은 달 제조업 PMI는 51.2로 9월(50.4)과 시장예상치(50.4)를 넘어 경제상황이 안정적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10월 서비스업 PMI는 54.0으로 전월(53.7)보다 올라 서비스업 경기가 양호함을 시사

- 차이신/마킷의 10월 제조업 PMI는 51.2로 전월보다 1.1p 올라 경기 호·불황의 판단기준인 50을 4개월 연속 상회하였고, 2014년 7월 이후 2년 3개월 내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이는 생산지수가 2011년 3월 이후 최고치로 오르고 신규수주 지수도 개선되었기 때문

ㅇ 국무원, 정책협조 강화를 통해 투명성 제고 방침(로이터)

- 의료보건 등 신산업의 민간 투자를 촉진하는 한편 공급측면의 개혁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표명.  3/4분기 성장률은 전기와 같았지만, 민간부문 투자와 기술혁신은 제도적 문제로 저조하다는 인식을 공유

ㅇ 주광야오(朱光耀) 재무차관, 중국 부채 리스크 관리 가능하나 과제 상존(로이터)

- 기업부채의 증가세 가속 등에 대한 과제가 남아 있으며, 정부가 이미 국영기업의 부채 리스크를 억제하거나 불식하기 위한 조치를 다수 도입하고 있다고 주장

ㅇ 부유층, 위안화 가치 하락 헤지를 위해 해외부동산 매입을 검토(로이터)

- 후룬재산보고서(胡潤財富報告書)에 의하면, 부유층의 60%는 위안화가치 하락 헤지수단으로 향후 3년 이내 해외부동산 매입을 계획. 투자가 가장 집중되는 국가는 미국, 그 중 서해안이며, 다음으로 영국, 캐나다, 호주, 싱가폴 순

- 도시 부동산가격 급등도 해외부동산 투자에 주목하는 원인이며, 부유층의 56%가 위안화 가치 하락을 우려. 부유층은 자산의 1/3을 부동산 또는 외화예금을 통해 해외에서 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편

- 현재 자산 1000만위안(150만달러 초과) 이상 중국 부유층은 134만명이 존재하며, 이들 자산총액은 60조 위안을 넘지만, 해외 보유자산은 적은 편

ㅇ 시진핑 주석, 핵심지도자로 격상에 따른 독재 가능성 부정(로이터)

- 공산당 중앙정책연구실의 덩마오성(鄧茂生), 시진핑 주석를 핵심지도자로 격상시킨 것은 독재체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개혁 실현을 위해 필수적 조치라고 설명

- 중앙정책연구실은 당 지도부를 위한 정책 제언과 정치이론의 초안을 작성하는 기관으로 핵심지도자는 마오쩌둥, 덩샤오핑, 장쩌민에게만 부여

- 많은 과제에 직면하고 있는 현재의 집단지도체제는 책임을 회피할 우려가 있으며, 1인 지도체제는 독재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

ㅇ 주요 금융기관, 3억위안의 CDS 거래 개시(블룸버그)

- 중국은행간시장교역상협회(NAFMII)에따르면, 자국 은행간 신용부도스왑(Credit Default Swap, CDS) 거래를 중국 4대 은행을 포함한 10개 주요 금융기관에서 10월 31일부터 시행

- 흥업(兴业)은행과 중국은행은 중국연합망락통신(China Unicom)의 회사채가 기초자산으로 구성된 거래를 진행. 상하이은행과 교통은행도 중국석유화공(Sinopec) 회사채의 CDS거래를 실시


일본

ㅇ 일본은행, 통화정책 현상 유지·물가 목표 달성 시기는 2018년으로 연기(로이터, 블룸버그)

- 통화정책회의에서 9월 도입한 장단기 금리 조작 관련 양적·질적완화의 틀을 통한 통화조절 방침 유지를 결정. 기존 2017년으로 설정한 2% 물가목표 달성시기는 2018년으로 연기

- 물가 전망에서는 2017년 소비자물가(생선식품 제외 근원) 상승률 전망을 이전(7월) 1.7%에서 1.5%로 낮추는 한편 2018년 전망치도 1.9%에서 1.7%로 하향 조정. 통화조절 방침은 10년물 국채금리를 0% 정도, 일본은행 당좌예금 일부에 적용하는 정책금리는 –0.1%로 유지

- 아울러 80조엔이 목표인 장기국채매입 수준은 그대로 두는 한편 지수연동형 상장지수 투자신탁(ETF), 부동산투자신탁(J-REIT)의 매입방침도 그대로 유지. 이전 모임과 같이 기우치다카히데(木内登英)와 사토다케히로(佐藤健裕)위원은 장단기 금리조작 등의 방침에 반대입장 표명

ㅇ 구로다 총재, 물가목표 미달은 유가하락 등 전세계 공통된 요인에 기인(로이터, 닛케이) 

- 취임 시 약속한 2년 내 2% 물가목표 달성을 이루지 못한 것에 유감을 표시하며, 유가 하락 등으로 물가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은 주요국 중앙은행도 마찬가지라고 강조

- 2018년 4월까지 임기동안 물가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연임 여부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내각에서 결정할 일이라고 지적

ㅇ 상반기 세수, 15조9525억엔으로 전년동기비 4.8% 감소(닛케이)

- 재무부에 따르면, 이는 7년 만에 감소로 기업의 수익 악화에 따른 저조한 법인세수가 주요 원인. 이에 2016년 세수도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

- 내역별로는 상반기 법인세가 3135억엔으로 전년동기비 46.9% 감소. 이는 기업이 납부한 액수보다 환급금액이 더 컸기 때문. 소득세는 배당에 부과되는 세금이 줄어 4% 줄어든 7조4775억엔을 기록 

- 엔고와 유가 하락에 따라 수입이 줄면서 이에 부과되는 소비세도 감소한 결과, 같은 기간 소비세는 4조3076억엔으로 6.9% 축소.

- 재무부는 2016년 총 세수를 전년대비 2.3% 증가한 57.6조엔으로 예상. 그러나 노무라증권의 니시카와 마사히로(西川昌宏)는 법인 세수가 저조함에 따라 5000억엔~1조엔 정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ASEAN 10월 제조업 PMI, 49.2로 전월비 1.3p 하락(닛케이, WSJ)

- 닛케이 발표에 따르면, 글로벌 수요 침체와 인도네시아·태국의 신규 해외수주 감소로, 3개월 만에 경기 전망을 판단하는 기준인 50 이하로 하락

- ING의 Tim Condon, 인도네시아 PMI의 하락폭은 다소 크지만, 기후 요인이 작용한 것이며, 성장 위주 정책이 지속되고 있다며 성급한 비관론 경계

ㅇ 태국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0.3% 올라 7개월 연속 상승세(닛케이)

- 상업부에 따르면, 같은 달 소비자물가는 주요 품목인 식료품 가격은 0.9% 상승 

ㅇ 인도네시아 10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3.31% 상승(닛케이)

- 통계청에 의하면, 같은달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전월(3.07%)보다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중앙은행 목표(3~5%)의 하한선에 가까운 수준. 이에 경기부양을 위한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상존 

ㅇ 호주 중앙은행, 정책금리 1.50%로 3개월 연속 동결(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향후 1년간 경제가 잠재성장률에 근접한 수준으로 확대될 것이며, 점차적으로 성장속도는 가속화되고 인플레이션은 향후 2년에 걸쳐 개선될 것으로 전망

- 필립 로우 총재, 일부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지난 수개월간 크게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 이에 시장은 주택가격의 큰 폭 상승과 주택 관련 대규모 대출 우려 확산으로 향후 중앙은행이 금리인하에 더 신중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ㅇ 캐나다, 8월 GDP 성장률은 전월비 0.2% 기록(FT, 블룸버그)

-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GDP 성장률은 전월(0.4%)에 이어 3개월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으며, 전년동월비로는 1.3%.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6월부터 호전된 에너지 분야가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

ㅇ 캐나다 중앙은행, 통화정책의 효과 감소 우려로 물가목표 수준 유지(로이터)

- Poloz 총재는 추가적인 금리 인하 여지를 확보하기 위해서 1~3%인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 수준의 상향 조정을 검토했었다고 주장

- 그러나 실질적으로 3% 이상의 물가상승률을 달성하기 어렵고, 비전통적인 초저금리 정책의 불안 요소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향후 5년간 인플레이션 목표 수준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

ㅇ 국제유가, 이라크의 감산 면제 요청 등으로 하락 예상(블룸버그)

- OPEC은 8년 만에 감산에 합의했으나, 이란과 나이지리아, 리비아 이외에 이라크도 감산 면제를 요청하면서 WTI 가격 하락 예상 매도포지션이 5주 만에 증가. OPEC 회원국 간의 의견 불일치가 OPEC과 비OPEC 산유국 간의 생산조정 실패로 연결

- The Private Client Group of U.S. Bank 의 Mark Watkins, OPEC이 감산에 합의하는 것은 불가능할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 기대되는 것은 증산 동결로 이란과 나이지리아, 리비아는 이전 생산량 수준까지 증산이 용인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

ㅇ 아연 가격, 공급부족 등이 반영되며 5년 만에 최고치(FT)

- 런던금속거래소에서 거래된 아연 가격은 톤당 2485달러로, 원자재 가격 상승 속에 금년 50%의 오름세를 보였는데, International Lead and Zinc Study Group에 의하면 2017년 아연의 공급은 248000톤 부족이 예상이 반영


세계경제 전반

ㅇ VIX 매도 감소, 시장의 공포가 다시 도래할 가능성 시사(WSJ)

- 금년에는 미국 주식시장이 안정되는 가운데 시장의 불안심리 저하에 투자한 경우는 성공한 사례가 많은 편. 하지만 최근에는 상황이 반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에서는 9월 VIX의 저하를 예상하는 헤지펀드 비율이 과거 최고치

- 도이체방크의 Rocky Fishman, 금년 들어 관련 전략이 매우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점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변동성이 상승하면 빠른 시간 내 손실로 전환될 수 있다고 지적

- VIX는 민주당 대선후보 클린턴의 이메일관련 FBI 수사 재개 발표로 5.4% 상승. 시장에서는 해당 사건이 선거에 예기치 않은 결과로 이어질 우려가 고조. 이전에는 헤지펀드가 매도 해소로 기울었던 상황. CFTC에 의하면, 9월 상순 이후 VIX 선물의 매도는 21% 감소

- 또한 ETF의 자금유출입에서 변동성상승이 예상. FactSet에 의하면, 10월 25일까지 1개월간 변동성 상승으로 수익을 내는 ETF에 8억2200만달러가 유입된 반면 매도 포지션의 ETF로부터 3억2600만달러가 유출

- 이러한 조정은 단기간 내 시장 움직임과 연결되는 대선과 금리인상 우려를 반영. 연준은 11월 FOMC에서 금리인상을 연기하지만, 같은 달 성명서에는 12월 금리인상 계획을 시사할 가능성 

- 그러나 VIX 매도는 주가하락 시 손실이 커질 우려. CFTC에 따르면, VIX 선물이 1%p 상승 시 헤지펀드는 매도 포지션으로 인해 1억6300달러의 손실을 보는 것으로 추정. 브렉시트 결정 익일 S&P 500 주가지수는 3.6% 하락하고, VIX는 8.5%p 급등

- WealthSource Partners의 Bryan Sullivan, 6억달러가 넘는 자금을 운용했던 브렉시트 국민투표 직전에 VIX 단기선물 ETF 7만6000주를 매입. 이는 새로운 전략이었지만, 투자가치는 단시간 내 26% 급감했다고 주장

- 아울러 주요 선거가 있는 연도에는 불확실성을 배경으로 변동성 상승 우려가 커지기 때문에 최근 관련 거래가 줄고 있다고 밝히면서, 연말에 걸쳐 많은 요소가 변동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

ㅇ 세계 해운업계, 금년 세계 상위 20개사 모두 적자 예상(WSJ)

- 프랑스 선사 CMA CGM의 Rodolphe Saadé, 금년에 그 어떠한 해운업체도 흑자를 기록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에 업체 간 인수합병이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

- 해운업계는 지난 2년 간 최저 수준의 운임으로 인해 경영 악화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 소규모의 선박회사는 생존할 가능성이 낮아져 대기업에 인수를 모색할 것이라고 지적

- 한진해운의 파산으로 급락하던 운임이 다소 안정되었으며, 이는 한진해운 소유의 선박이 운행을 중지한 데 기인. 다만 향후 타 해운사가 선박을 인수하여 운행이 재개될 경우 재차 운임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

- 세계 상위 20위개사의 금년 총 손실액은 최대 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과잉 해상운송력으로 인해 낮아진 운임은 연료비만 충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컨테이너당 운임이 1400달러에서 손익분기점에 이를 것으로 분석

- 미국과 호주, 동남아시아지역에서 해상 수송이 증가하기는 했으나, 아프리카와 남미의 석유수출 물량이 줄어들면서 회복 가능성은 낮은 편. 그러나 유럽이 미약하지만 개선을 보이고, 중국도 완만하게 성장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없을 것으로 평가

ㅇ 각국 중앙은행, 효율적 통화정책은 채무불이행 억제 등이 관건(FT)

- 대부분 중앙은행은 디폴트가 없는 신고전주의(neoclassical) 모형을 기반으로 통화정책을 수행. 신고전주의 모형은 자금의 출처, 위험회피정도, 부(wealth), 경제적 유인에 상관없이 가장 생산성이 높은 대상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채무불이행 위험은 없는 상황

- 그러나 실제 경제에서는 파산 등이 발생하는데, 채무불이행, 수익성악화 등과 같은 금융마찰은 향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서 중요한 목표로 설정될 전망 

- 최근 ECB 양적완화에서는 초기에 장기금리를 낮추고, 은행과 금융시스템에 많은 유동성을 공급하여 채무불이행 위험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가 발생

- 그러나 과도한 유동성이 공급되면서 양적완화의 실효성은 낮아지고, 이에 따라 마이너스 금리의 부작용 우려가 확대. 이는 은행, 보험, 연금운용사 등의 금융기관 수익성을 악화시키기 때문

- 이에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으로 발생하는 금융 마찰을 고려할 필요. 이는 은행시스템과 주택시장 등 여타 변수를 주시해야함을 의미. 따라서 중앙은행은 실물 경제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금융마찰을 거시경제 모델에 추가할 필요가 확대


미국

ㅇ 성장률 정상화,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에도 구조적 리스크는 여전(WSJ)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목표(2%) 수준을 하회하나, 경기여건과 통화정책 기조는 인플레이션 압력 가속화를 뒷받침. 3/4분기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로 2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여타 지표들도 임금 상승압력 확대를 시사

- 연준 위원들도 인플레이션의 일시적인 2% 상회를 용인할 방침을 나타내, 글로벌 저물가 기조 탈피 기대감이 확대. 다만 채권시장의 가격 조정으로 변동성이 늘어날 가능성 상존 

-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로 7월 이후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5%p 상승. 국채 수익률 상승은 인플레이션 전망의 재평가를 반영. 최근 물가연동국채(TIPS) 수익률은 향후 10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4%로 예상

- 미국의 과잉설비에 따른 물가하방압력 지속 주장이 제기되나, 경제의 과잉 생산능력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실업률은 5%로 금융위기 수준(10%)대비 크게 개선. 골드만삭스, G7 국가의 7월 실업률은 5.4%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

- 일반적으로 실업률 하락은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 금융위기 이후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역(-)의 관계가 약화되었으나, 2016년 들어 다시 실업률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압력이 증대 

- 선진국 중에서 특히 미국은 노동시장 개선 등에 힘입어 인플레이션 정상화에 근접.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7%를 나타내고 있으나, 의료 비용 측정 등의 기술적 요인을 제외하면 2.0%를 이미 상회할 가능성

- 임금 상승률은 하방압력이 완화.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3/4분기 임금 상승률은 전년비 2.4%로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 금융위기 이전 수준(3~3.5%)을 여전히 하회하나, 생산성 증가율 부진을 감안하면 양호

- 전세계적으로 확장적 통화정책 장기화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은 2017년 이후 경기회복 지속을 위해 재정정책의 성장 기여도를 높일 전망

- 소비자물가 상승 가속과 확장적 재정정책에도 금융위기 이전 성장률의 4%대 회복은 기대난. 고령화 등에 따른 구조적 요인으로 노동 생산성이 저하되어 잠재 성장률 부진이 지속될 전망. 성장둔화는 투자를 위한 대출을 제한하여 금리상승 여지를 제약

- 경기확장국면이 장기간 지속되어 향후 경기후퇴(리세션) 진입 가능성이 증대하고 있어, 인플레이션 가속화에도 성장률의 정상화 여지는 제한적

ㅇ 주가와 채권가격 하락, 인플레이션 기대 등이 반영(WSJ)

- 최근 강달러와 채권수익률 상승은 미국 경제회복을 시사하고 있으나, 시장에서는 경제성장에 저해되지 않는 수준의 인플레이션 확대를 예상. 향후 10년간 예상 평균 물가상승률이 1.74%로 금년 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기대인플레이션도 상승

- 반면 인플레이션과 함께 경제성장 기대를 반영하는 물가연동국채(TIPS)는 브렉시트가 결정된 7월 초 이후 낮은 수준을 지속. 이는 미국 경제성장의 둔화를 예상하기 때문이며, 시장에서는 2016년 경제성장률을 연초 2.5%에서 1.5%로 하향조정

-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매도되면서, 두 자산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형성. 인플레이션 압력은 채권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고,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 한편 달러화 강세에도 원유와 산업용금속 가격의 상승 등 달러화와 원자재가격 간의 이전 관계도 변화

- 이처럼 달러화에 대한 통상적인 관계가 성립하지 않으면서, 신흥국은 과거 강달러 국면에서 발생하는 리스크가 약화. 이례적으로 브라질과 러시아와 같은 자원수출국의 통화가치는 연초 대비 강세

ㅇ 회사채 발행시장, 대형 인수합병 등에 힘입어 활황(FT)

- AT&T(400억달러), Anheuser-Busch InBev(460억달러), CenturyLink(70억달러), DELL(200억달러) 등의 대규모 인수합병 관련 채권이 발행(예정 포함)되면서 연간 채권 발행액이 이미 사상 최대치를 기록

- BofA에 따르면, 인수합병 관련 발행예정(backlog) 채권은 2015년 9000억달러에서 금년 9월 2460억달러로 감소했으나, 일련의 인수합병 발표에 따라 4600억으로 87% 증가

- Dealogic, 금년 현재까지 미국 내 채권발행 규모는 1.4조달러 수준으로 사상 최대치. 전세계 채권발행은 5.8조달러로 작년보다 9% 증가

- 바클레이즈의 Justin D'ercole은 내년 회사채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황이 급변했다고 설명. 지난 6개월간 침체되어있던 M&A가 얼마나 활성화될 것인가를 주목하고 있다면서 대형 인수합병의 파급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 핌코의 Mark Kiesel, 양적완화 등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로 채권 등 안전한 수익자산의 수요가 증가했으며, 이러한 수요 증가가 인수합병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설명

ㅇ 11월 FOMC, 금리동결 이후 12월 금리인상 논거를 강조할 전망(FT)

- GDP 성장률 상승과 지속적인 노동시장 개선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연준은 11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하면서 매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할 전망.

지난 9월 옐런 의장은 노동시장이 물가상승 추가적으로 확장될 여지가 남아있다고 주장

- 11월 FOMC 성명서에는 금리동결과 동시에 인상 근거가 "strengthened"되었다는 표현을 사용하여 12월 인상 가능성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 선물시장에서 12월 금리인상 확률을 높게 관측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문구는 나타나지 않을 전망

- 연준은 완만한 인상 기조를 유지하겠으나, 대선 불확실성 등으로 금년 이후 인상 속도 전망을 위해 12월 회의까지 확인할 필요성이 존재. 내년 금리인상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옐런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고압경제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저 실업률로 지적


유럽

ㅇ 국채 수익률 상승, ECB의 국채고갈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역부족(WSJ)

-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는 채권 투자자에게는 악재로 작용하나, 세계 중앙은행에는 기대 인플레이션 개선을 시사하여 긍정적으로 작용. 특히 유로존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어, ECB의 통화정책 구사 여력을 제고

- ECB는 매달 800억유로의 국채를 매입하고 있으나 수익률이 현행 예치금리(-0.4%)를 하회하는 국채는 대상에서 제외하여, 단기 국채 매입 비중은 저조한 상황

- 독일 국채 수익률은 5월말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여, ECB 채권매입 대상에 포함. UBS에 따르면, 독일 5년 만기 국채의 유동성이 풍부하여 10월 4주 금리의 소폭 상승으로 매입대상에 포함된 국채 규모는 1330억유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 ECB는 국가별 인구와 국내총생산에 따른 납입자본비율(capital key)에 의거해 국채 매입 비율을 결정하여 임의적인 특정 국가의 채권 비중 확대가 불가. 채권부족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채가 매입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경우 문제가 심각

- 골드만삭스, 시장에서는 ECB가 12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채권물량 부족 해소를 위해 예금 금리 이하 수익률을 보이는 국채를 매입 대상에 포함할 전망이 제기되나, 납입자본비율 규정 폐쇄가 문제 해결에 효율적

-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는 ECB의 국채 유동성 우려 해소에 역부족. 포르투갈과 아일랜드 국채 부족은 시장 규모가 원인

ㅇ 영국, EU 이탈은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 무역에도 부정적(FT)

- 영국은 GDP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아 단일 시장 접근 제한에 따른 무역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기대하나, 운송 거리 증가로 인한 제조업 교역 감소는 서비스업에도 부정적으로 작용 

- 이는 법률, 금융 등 서비스 교역이 근본적으로 상품의 부산물(add-ons)이기 때문. 캐나다 서비스 수출자료에 따르면, 교역상대국과의 거리가 1%p 늘어날시 교역규모는 1/3로감소. IMF, 영국은 거리 증가의 부정적 영향이 상품보다 서비스에서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 교역의 전산화에도 운송 거리 증가가 교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과거부터 지속되었으며, 영국처럼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국가에도 적용. 1990년대 이후 세계화가 확대되었으나, 거리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큰 편

- 대부분의 서비스기업이 계약 체결 등을 위해 상대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여행 및 인력 관리 비용 증가 등도 서비스 교역의 부담요인


중국

ㅇ 부채증가와 통화정책 완화 축소, 경기상승세를 제약(WSJ)

- 최근 중국의 경기상승세는 지난 2년간 통화정책 완화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시사. 하지만 저금리 대출에 의존한 성장으로, 통화정책긴축은 경제활동 축소로 연결 

-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Louis Kuijs, 금년 상반기 100위안의 총고정자본형성을 위해서는 70위안의 대출이 요구. 이는 2000년 44위안에서 2015년 62위안으로 점차 증가세

- 인민은행은 은행권 건전성 강화를 위해 재테크 상품 규제와 은행 간 자금거래시장의 유동성을 축소. 이에 연초부터 9월까지 평균 2%인 익일물 금리가 금주들어 2.25%로 상승

- 규제당국이 은행에 부동산관련 대출 억제를 지시하고 있어 중국의 경기회복세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높은 편


일본

ㅇ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시장의 긍정적 기대가 축소(로이터, 블룸버그)

- 이치요시 자산운용사의 아키노 미츠나리(秋野充成), 통화정책회의 내용은 예상한 범위 내에 진행되었으나, ETF 매입은 주식시장을 왜곡하는 행보라고 평가. 이는 주가 하락 위험 시 긍정적일 수 있으나, 거래량을 감소시켜 시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

- SMBC 닛코 증권의 이와시타 마리(岩下真理), 구로다 총재는 물가목표 2% 달성시기 수정에 대해 유가 하락과 신흥국 경제성장 둔화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 이는 외부 요인을 탓하며 스스로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고 주장

- 다이이치(第一)생명경제연구소의 구마노 히데오(熊野英生), 물가목표 달성시기를 연기했음에도 정책을 변경하지 않은 것은 당분간 추가적인 통화정책 완화는 없을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

- 다이와증권의 나가이 야스토시(永井靖敏), 일본은행은 물가목표 달성시기를 공표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완곡하게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 이러한 연기가 일본은행의 비판으로 연결되고 있고, 실패한 인상을 전달하기 때문

- 아울러 일본의 재정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향후 증세와 사회보장에 대한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어, 기업은 가격을 인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 이에 따라 일본은행의 물가 목표 조기달성은 불가능하다고 평가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러시아의 부활, 취약한 경제 기반 극복 여부가 관건(FT)

- Valdai Discussion Club 회의에서 시카고 대학의 John Mearsheimer는 러시아가 다시 중국과 함께 미국에 버금가는 강대국으로 부상했다고 주장

- 그러나 러시아는 금융위기 이후에도 에너지 분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구조 개혁을 추진하지 않았으며,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가 부족한 상황으로, 진정한 강대국으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취약한 경제 기반 개선이 필요

- 러시아 정부의 R&D 투자액은 일본·중국 정부보다 많았으나, 일본과 중국의 민간부문 투자가 정부 투자액의 3배에 달하는 반면, 러시아의 민간투자는 정부보다 적은 수준

-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산권 강화와 안정적인 기업 여건 조성 등의 개혁 조치가 필요하나, 관련 개혁은 집권세력의 권력 기반을 약화시켜 시행 가능성이 낮은 편

ㅇ 세계 광산업체, 향후 광물수요 전망에 따라 투자정책은 다양(WSJ)

- 전세계 광산업체는 중국 경제의 방향에 따라 투자를 확장하거나 가격상승을 주시할지 결정할 전망. 광산 대기업 Rio Tinto는 53억달러에 몽골의 구리 광산을 확장하고 19억달러를 호주의 보크사이트 광산에 투자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 정책 추진

- Rio Tinto는 철광석보다는 구리 가격이 먼저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여 구리의 비중을 확대할 계획. 반면 BHP Billiton은 광물 가격 침체로 기존에 추진하던 호주 남부의 구리광산 확장을 중지하고, 대신 비용절감을 진행

- BHP는 구리 광산 확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폐차에서 회수되는 구리의 양과 에어컨 판매 전망 등을 조사하여 구리 수요를 예측하고자 노력. 에어컨 한 대에는 5.3kg의 구리가 필요하며, 중국은 올해 705억달러의 에어컨 판매액을 기록할 전망

- 과거 광산업계는 잘못된 철광석 수요 예측으로 공급과잉을 초래한 적 있으며, 정치여건 변화나 기술 혁신, 투자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긴 시차 등 다양한 변수로 수요 예측 및 투자계획 수립에 불확실성 상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