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6년] 세계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6. 12. 24.

■ 세계 주택가격,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했지만 위기 가능성은 낮은 편(IMF 등)

ㅇ 2008년 금융위기를 유발한 신용증가와 달리 재고부족 등이 가격상승 원인

ㅇ 57개 주요국의 주택가격이 반영된 IMF 세계주택가격지수는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하였고, 이로 인한 주택가격 급락과 경기침체 발생 불안을 일부에서 제기

- 최근 세계적인 금리상승이 현실화되면서 높은 비중의 대출을 통해 매입한 주택 구매자의 이자부담이 늘어 주택가격의 하락압력 상존

ㅇ 하지만 최근의 주택가격 상승은 일부 국가 혹은 도시에 편중된 성향을 나타내는 등 동조성이 부족하여 주택시장을 통한 향후 위기 재연 가능성은 낮은 편

- 57개국은 금융위기 이후 주택가격의 하락 지속(18개국, 그룹1), 2012년부터 점진적 회복 (18개국, 그룹2), 금융위기 이후 제한적인 하락 후 빠른 속도의 상승(21개국, 그룹3) 등의 3개 그룹으로 구분하면, 각국의 국내 주택가격도 지역별 상승률 편차가 존재

- 금융위기 이전 주택가격 상승은 과도한 신용증가에 의한 결과였다면, 최근에는 장기간 주택공급 부족이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 독일,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은 주택재고의 확대가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

ㅇ 대부분의 국가에서 주택가격의 과도한 상승과 이에 따른 금융시장 혼란 방지를 위한 주택대출 통제, 주택공급 확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선제적 조치를 추진

- 특히 중국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매입 계약금 최저한도 인상, 3주택 이상 보유자 구매 제한을 시행하고 있으며, 유럽체계적위험관리위원회(ESRB)는 주택부문이 취약한 8개국에 대한 경고를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주택시장 안정을 촉구


<그림1> 세계 주택가격지수 추이(2010년=100)

<그림2> 그룹별 주택가격지수 추이(2010년=100)



■ 세계경제 전반

ㅇ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140억달러로 통계작성 이후 최고 수준(로이터)

- 유럽의 주요 거래소인 Bitstamp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875달러로 금년 초 435달러에서 2배 이상 올라 2014년 1월 이후 최고 수준. 비트코인 거래의 대부분은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위안화 가치 하락이 원인일 가능성


■ 미국

ㅇ 3/4분기 성장률(확정치), 전기비연율 3.5%로 잠정치보다 0.3%p 상향(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시장예상치(3.3%)를 상회하여 2014년 3분기 이후 최고치. 이는 개인소비가 잠정치(2.8%)보다 늘어난 3.0%로 확대되었으며, 인프라투자와 지적재산권 증가가 주요 요인

- 순수출과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잠정치와 큰 폭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변동이 큰 두 항목을 제외한 국내 최종수요는 2.1% 증가. 기업의 설비투자는 4.5% 줄었으나 잠정치(-4.8%)보다 감소폭 축소

ㅇ 11월 내구재수주, 전월비 4.6% 감소·비국방자본재는 예상을 상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 발표에 의하면, 같은 달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비국방자본재(핵심 자본재) 수주는 전월비 0.9% 늘어나 예상치(0.4%)와 지난 10월(0.2%)를 상회

- 전체 내구재 수주 부진은 변동성이 큰 민간 항공기 수주 감소(-73.5%)에 기인하며, 운송 장비를 제외한 내구재 주문은 0.5% 증가. GDP 산출에 사용되는 핵심 자본재 출하는 0.2% 증가하면서, 전월 –0.3%를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

- 무디스의 Ryan Sweet, 설비투자가 안정을 찾아가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동안 미국 경제의 약점이었던 설비투자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

ㅇ 11월 개인소비지출(PCE), 전월비 0.2%로 예상(0.3%)을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달 개인소득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미국 경제가 4/4분기에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 물가조정 후 개인소비지출은 전월에 이어 0.1% 증가. 근원 PCE 물가는 전년동월비 1.6% 올라 전월(1.7%)보다 상승세 둔화

- 임금·급여는 0.1% 줄어들었으며, 저축은 7809억달러로 전월(8091억달러)보다 감소하며 2015년 5월 이후 최저치

- 4CAST-RGE의 David Sloan, 소득은 여전히 저조한 임금에 의해 억제되고 있다고 평가

ㅇ 10월 FHFA 주택가격지수, 전월비 0.4% 상승하여 예상에 부합(블룸버그, Economic Calendar)

- 연방주택금융청(FHFA)에 따르면, 연간으로 6.2% 상승. 현 주택가격은 이전 최고시점인 2007년 3월보다 6% 높은 수준이며, 전저점인 2011년 1분기보다 30% 이상 상승

- 주택부문은 단기간 강세를 유지하겠으나, 현 상승률을 유지하기는 힘들 것으로 지적. 이는 주택가격상승률이 소득증가율을 넘어서고 있어, 상승여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분석

ㅇ 11월 시카고 연은 전미활동지수, -0.27로 전월(-0.08)비 하락(블룸버그, MarketWatch)

- 시카고 연은 발표에 따르면, 같은 달 경제활동동향을 보다 잘 나타내는 3개월 이동평균치는 전월(–0.20)보다 개선된 –0.14. 동 지수는‘0’이 추세 성장을 나타내며, -0.70 이하가 되면 경기침체를 의미

- 무디스의 Steven Shields, 미국 경제가 평균 이하의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초여름 강한 성장세를 보인 이후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있다고 평가. 다만, 3개월 이동평균치는 지난 8월보다 개선

ㅇ 11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동일(블룸버그)

- 컨퍼런스보드에 따르면, 주택착공허가건수 감소와 제조업 부진 등이 주가 호조, 소비자심리 개선 등을 상쇄하여 전월(0.1%)과 시장예상치(0.2%)를 하회

- 컨퍼런스보드의 아타만 오질디림(Ataman Ozyildirim), 2016년 경제는 완만한 속도로 성장했다고 언급하며, 2017년 상반기에도 완만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ㅇ 12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11로 전월(1)대비 큰 폭 상승(블룸버그, Economic Calendar)

- 4개월 연속 기준치(0)를 상회하면서, 2014년 5월 이후 가장 강한 추세. 생산지수는 전월비 15p 개선된 24를 기록했으며, 신규수주, 수주잔고, 출하량 모두 전월보다 개선. 고용지수는 9p 오른 10으로 2014년 5월 이후 최고치. 다만 수출지수는 달러화 강세에 대한 우려로 하락

ㅇ 12월 3주차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 전주대비 2만1000건 증가한 27만5000건(로이터, 블룸버그)

- 노동부 따르면, 같은 기간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는 전주(25만4000건)와 시장예상치 (25만7000건)를 모두 상회. 4주 이동평균은 26만3750건으로 전주비 6000건 증가


■ 유럽

ㅇ 이탈리아 BMPS, 민간자본을 통한 증자 실패로 구제금융 불가피(닛케이, 로이터, FT, WSJ)

-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는 ECB의 연내 자본확충 기한 충족을 위해 민간자본을 통한 증자 등을 추진했으나, 목표액인 50억유로 확보에 실패하면서 사실상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이 유일한 대안으로 부상

- BMPS 은행은 21일까지 채무의 주식전환을 위해 투자자를 모집하였으나, 확보된 자금규모는 20억유로에 불과. 증자의 핵심역할을 담당했던 카타르 국부펀드의 불참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

- 정부는 증자 실패에 대비해 은행지원을 위한 예산을 이미 확보. 의회는 전일 BMPS 뿐만 아니라 건전화가 필요한 여타 은행의 구제를 위한 채권발행을 승인하여 재원마련이 가능할 전망

- 일각에서는 BMPS 은행에 대한 공적지원은 향후 2~3개월 이내에 완료되고 금융지원 규모는 50억유로가 될 것으로 예상

- EU는 정부의 은행 지원 시 채권자 손실부담을 명시. 이탈리아 정부는 소액 투자자의 손실부담 완화를 위해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 경우에 따라 투자자 손실부담 없이 공적지원을 인정하는 조항이 있으나, EU의 인정 여부가 관건

ㅇ ECB, 유로존 인플레이션 확대 및 세계 경제 성장 가속 평가(로이터, 블룸버그)

- ECB의 월간보고서에 따르면,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은 연말에 1%를 상회하고, 세계 경제는 금융위기 이전의 성장속도를 하회하겠으나 성장 지속 전망 

- 다만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원자재 수출국의 부정적 영향, 중국 경제의 리밸런스, 미국 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 전망의 불투명성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

ㅇ 이탈리아 은행권 위기 해결 소요액, 정부 제시규모를 크게 상회(블룸버그)

- 이탈리아 은행권이 대차대조표의 부실채권처리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제시한 구제금융 패키지 규모를 크게 상회한 520억유로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 블룸버그 추계에 의하면, 부실채권 매각에 필요한 금액은 대손준비금 증가분 부족에 상당

-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의 증자계획으로 연내 조달이 난항을 겪고 있는 50억유로 이외에 유니크레디트의 부실채권 180억유로에 해당되는 80억유로의 준비금도 포함

- 여타 금융회사의 부족액은 유니크레디트 부실채권 매각액에 대한 준비금 증가액 비율을 활용하여 추정. 이탈리아 정부는 BMPS 등 은행권에 안전망을 제공하는 대응으로, 공적차입 상한을 최대 200억유로로 확대하는 것을 의회에 요구

- 도이체방크의 Paola Sabbione, 유니크레디트 등 금융회사가 자본시장으로부터 자금, 자산매각, 내부유보 활용을 통해 200억유로 정도를 조달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이탈리아 부실채권 위기해결에 공적자금은 300억유로 수준이 필요하다고 분석

- 아울러 BMPS를 포함한 일부 상장 은행은 부실채권 처리에 필요한 자금의 부분적 조달이 가능하다면서, 정부는 나머지 부족분을 확충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지적

ㅇ 영국 의회의 재무 특별위원회, 통화정책의 효과 검증(로이터)

- 잉글랜드 은행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정책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으로 인하했으며, 대규모 국채매입을 단행. 또한 지난 6월 영국의 EU 이탈 결정 이후 추가적인 완화조치 시행

- 이에 재무 특위는 중앙은행의 정책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와 인플레이션의 효과적인 제어 여부를 점검할 방침. 카니 중앙은행 총재는 중앙은행의 운영에 대해서 정치인의 지시는 받지 않는다고 반박하면서, 고용과 성장의 최종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강조

ㅇ EU, 현금 등의 반입감시 강화를 포함한 새로운 테러자금 대책 제안(로이터)

- 유럽위원회는 역외에서 현금과 귀금속 반입 등의 감시를 강화할 방침. 이는 유럽에서 과격단체의 테러자금원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 새로운 대책안에는 우편과 화물수송을 사용한 현금과 선불카드의 세관검사를 강화

- 현재 EU 역내 출입에는 현금 1만유로 이상 소지하는 경우에 세관신고가 의무화되어 있지만, 새로운 규정에는 1만유로 미만이라도 범죄행위가 의심되는 경우에 압류가 가능. 아울러 테러자금원 동결과 범죄자 관련 압수에 역내 공통규정을 제안

- 가입국 간 차이로 범죄행위를 빠져나갈 수 있는 내용을 막기 위해 자금세탁에 대해서도 최소한의 공통 규정 적용을 각국에 요구. 또한 유럽위원회는 미국과 유럽 간 도입된 테러자금추적프로그램을 역내에 도입할 것인지 검토

ㅇ 독일 중앙은행, 소비자물가 상승압력으로 ECB의 금리인상 필요 증가(FT)

- 바이트만 총재, 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늘어나고 은행시스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소비자물가 오름폭이 확대되고 있어 ECB는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긴축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각국은 재정완화를 통해 대내외 경기 하방압력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

ㅇ 독일 재무부, 4/4분기 성장률 가속화 전망(로이터)

- 재무부는 월간 보고서에서 견조한 가계지출과 수출경기 호조를 배경으로 같은 기간 성장률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평가. 안정된 노동시장과 물가의 완만한 상승으로 소비가 여전히 호조를 보인다고 분석. 또한 광공업 수주 회복과 제조업 업황 개선 등을 강조

- 독일 경제연구소(DIW)는 4/4분기 성장률을 0.4%로 예상. 통계청은 1월 12일에 4/4분기와 2016년 연간 성장률을 발표할 예정

ㅇ 영국,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가계지출 증가로 전월보다 소폭 개선(로이터)

- 조사회사인 GfK가 발표한 같은 달 소비자신뢰지수는 –7로 11월의 –8에서 다소 개선되었으나, 2017년에는 물가상승률 확대로 인한 가계의 구매력 저하,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둔화될 전망.

- GfK의 Joe Staton, 향후 EU이탈 협상과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영향이 소비심리에 반영될 것이라고 강조 

ㅇ 영국, RICS는 2017년 주택가격이 평균 3% 상승할 것으로 예상(로이터)

- 영국왕립감정평가사협회(RICS: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s)는 신규주택의 공급부족으로 가격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평가. 영국의 부동산시장은 금년 6월 브렉시트 직후 부진했지만, 이후 상승세로 전환되는 한편 주택수요도 안정 조짐

- RICS의 Simon Rubinsohn, 판매용·임대용 주택 재고부족이 지속되고, 판매가격과 임대료를 뒷받침한다고 언급

ㅇ 이탈리아 가계의 은행채 보유 비중, 2012년보다 52% 감소(로이터)

- 이탈리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은행채의 상당부분을 가계가 보유. 이는 경영난을 겪고 있는 몬테 데이 파스키 데 시에나의 구제 과정에서 투자자에게 손실을 부담시키기에는 정치적으로 매우 곤란한 문제

- 다만 가구의 은행채 보유 총액은 2016년 중반 1630억유로로 2012년 3420억유로에 비해 52% 줄어든 수치이며, 은행권도 장기 은행채 보유를 33% 감소


■ 중국

ㅇ 시진핑 주석, 부동산 시장 투기 억제를 재차 강조(로이터)

- 국민들의 주택 수요를 더 잘 충족하기 위해 부동산 거품을 가라앉히고 임대 주택시장을 규제해야한다며, 주택이 주거 공간임을 국가는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또한 새로운 도시 주민의 공급을 개선하기 위해선 구입과 임대보다 뛰어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ㅇ 중국외환관리국(SAFE), 미국 국채보유 비중 축소는 미세조정의 일환(로이터)

- 국채가격 변동에 따른 비중조정은 가능하나 미국 국채는 신용등급과 유동성 측면에서 투자 매력도가 높아, 앞으로 미국 국채투자는 지속될 것이라고 발언

- 인민은행 마쥔(馬駿)이코노미스트, 미국 달러에 대한 평가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며 정부는 위안화의 안정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

ㅇ 외무장관, 미국 정권 이행기에 미중 관계는 새로운 불확실성 직면(로이터)

- 왕이(王毅) 외무장관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는 핵심 이익을 상호 존중할 수 있으면, 양국 경제안정이 지속될 수 있다고 언급. 하지만 양국 관계는 새롭고 복잡한 동시에 불확실한 요소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


■ 일본

ㅇ 재무성, 2017년 초장기물 국채 발행을 늘릴 전망(닛케이)

- 내년 국채발행계획은 국채만기기간을 장기화할 전망.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중단기 국채금리는 마이너스인 가운데, 플러스 금리로 투자자의 수요가 예상되는 40년 만기국채를 추가 발행할 계획. 이는 저금리를 활용하여 이자지급비용을 억제하려는 목적

- 2017년 국채발행총액은 154조엔으로 2016년 대비 8.2조엔 감소. 이는 총액의 70%를 차지하는 차환채와 재정투융자의 재원인 재투채(財投債)감소가 주요 원인. 기관투자자에게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시중발행액도 5.8조엔 줄어든 141.2조엔

- 40년만기국채를 3조원 발행할 계획으로 이는 작년보다 0.6조엔 증가. 다만 마이너스 금리인 5년물, 2년물의 단기채권은 줄일 예정. 노무라증권의 니시키와 마사히로(西川昌宏), 단기채권은 투자자의 수요가 작기 때문에 플러스 금리인 초장기물 국채를 늘려야 한다고 지적

- 초장기물 국채 발행이 늘어나면서 2017년 국채만기의 평균기간은 9년5개월. 국채만기의 장기화는 재조달 수요를 억제하고 이자지급비용을 고정하나, 재정정책이 확대될 소지

ㅇ 10월 실질임금 상승률(확정치), 전년동월비 동일(닛케이)

- 후생노동성, 명목임금(26만 6658엔)은 전년동월비 0.1% 증가. 기본급은 0.2% 늘어나 속보치 0.3% 증가에 비해 증가율이 축소. 보너스 등 특별지급급여는 3.1% 줄고 속보치 대비 0.5% 감소하여 하락폭이 확대. 잔업수당은 1.2% 줄어 속보치 1.4%에서 하락

ㅇ 총무성, 2017년 지방채 발행 계획은 전년대비 3.7% 증가(로이터)

- 총액으로는 11조6257억엔이며, 내역은 일반회계분이 9조1907억엔, 공기업회계분이 2조4350억엔. 지방의 재원부족에 대응하여 발행하는 임시재정대책채권은 4조452억엔

ㅇ 2017년 예산안, 최대 규모이나 구조개혁은 미흡(닛케이)

- 2017년 일반회계 세출총액 97조4547억엔으로 최대규모의 예산안을 확정. 다만 국채발행액을 전년도 수준으로 유지하고 중장기 사회보장비용을 축소하는 구조개혁은 미흡

- 예산안은 보육사의 처우 개선을 위한 재원과 연구개발비를 확대하고 사회보장비용을 5000억엔으로 제한하며 신규국채발행을 0.2% 축소. 향후 세수가 재정수지 균형을 달성하는 관건

- 소득이 높은 70세 이상의 요양비부담 상한액을 올리고 고가 약제가격을 낮추어 사회보장비용의 지나친 증가는 억제했지만, 2020년 이후 급격한 지출 증액의 대비가 마련되지 않아 우려 확대

- 아베정부는 법인세율 인하, 기업지배구조 개선 등을 시행했지만 여전히 재정과 복지안정을 위한 개혁은 부진. 2019년 10월로 재연기된 소비세 인상은 실행여부가 불투명하고 2020년 세입으로 정책비용을 충당하는 재정건전화 목표도 세입증가 속도의 불안으로 불확실

- 사회보장비용은 정책비용의 55%로 고령화 대응에 초점. 향후 저소득층 지원, 육아 확충 등에 집중하여 세출의 재분배가 필요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캐나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1.2% 상승(블룸버그, WSJ)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가솔린(-1.7%)과 과일(-4.5%), 야채(-4.7%) 가격 하락으로 전월(1.5%)과 예상치(1.4%)를 하회

- 중앙은행은 근원인플레이션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지수를 세가지 방법으로 산출해 그 범위로 나타내기로 했으며, 개선된 방법에 따른 근원인플레이션은 1.3~1.9%로 세가지 지수 모두 중앙은행 목표 수준인 2.0% 하회

ㅇ 대만 중앙은행, 시장예상대로 기준금리를 1.375%로 동결(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내년 안정적인 경제 회복세가 예상됨에 따라 2분기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 Perng Fainan 총재, 트럼프가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 미국 경기와 단기적으로는 세계 경기를 부양할 수 있다며, 향후 트럼프의 정책과 반세계화 추세를 주시할 것이라고 발언

- 애플의 스마트폰 수요와 유가 상승으로 전자부품과 석유제품의 수출이 늘어나 10~11월 수출은 예상을 상회하는 호조세를 나타냈으며, 내년에도 신형 아이폰이 하반기 수출을 견인할 전망

ㅇ 필리핀 중앙은행,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0%로 동결(닛케이, 로이터)

- 테탕코 총재는 견조한 가계지출과 정부지출 확대로 내수호조 유지 전망. 중앙은행은 2017년 물가상승률 전망을 3.0%에서 3.3%로, 2018년은 2.9%에서 3.0%로 상향 조정

ㅇ 사우디아라비아, 내년 재정수지 적자는 1980억리얄로 금년의 33%로 축소(닛케이)

- 2017년 예산안에 따르면, 감산 합의에 따른 유가 상승과 석유 이외 부문의 수입 증가로 내년 재정수지 적자폭은 금년(2970억리얄)보다 줄어들 전망. 세입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6920억리얄, 세출은 8% 증가한 8900억리얄로 예상

- 2014년 저유가로 인한 재정악화로 연료보조금을 축소하고 공무원의 급여와 수당을 삭감하는 등 세출축소 개혁에 착수했으며, 이번 예산안은 개혁안 발표 이후 첫 예산 편성


■ 세계경제 전반

ㅇ 2017년 금융시장, 고요 속에 태풍이라는 역설적 전개 지속 전망(로이터)

- 시장의 변동성을 보여주는 지표는 낮은 상황 속에 미국 주가는 최고치를 경신하고, 주가와 환율이 순식간에 급락(flash crash)하는 역설적 전개가 금년 금융시장의 주요 특징. 내년에도 표면적으로 고요하나 정기적으로 폭풍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

- 이에 대한 배경으로는 알고리즘 거래와 수동적 투자 확대 외에 투기 포지션 누적 등과 같은 요인이 존재. 향후 변동성을 예고하는 VIX는 현재 매우 안정. 그러나 개별종목과 통화의 지뢰가 내재

- 이는 미국이 금리인상을 전개하고, 여타 주요국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축소하는 경우에 작은 폭풍이 도래할 가능성을 내포. BIS는 VIX가 이미 투자심리와 리스크 수준을 측정하는 기초자료가 아니며, 달러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

- 이러한 문제 중 하나는 대형은행과 헤지펀드가 시행하는 알고리즘 거래가 시장을 좌우하게 된 것이며, 많은 거래가 동일한 매도 신호 등에 반응하여 시세가 증폭. 10월 7일 파운드화의 급락도 관련 거래가 촉발제였다는 평가

- UBS의 Vlad Khandros, 시장의 투명성,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충격 발생 시 누구라도 인지하고 있는 동시에 급작스럽게 발생한다는 성향이 있다고 지적. UBS 추계에서는 미국증권거래소에서 ETF 가격이 장 마감 시세와 연동하는 비중이 확대

- JP 모건의 Charlie Bristow, 기존보다 금액이 크고, 신속하고, 대규모 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매매주문량이 최고치에서 최저 수준으로 전환하는 속도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고 강조

- 이에 따라 단시간에 대규모 거래가 집중되고, 대형 투자자가 부재한 시간에 시세가 갑자기 흔들리는 자기실현적 순환 분위기가 조성. 금년에 브렉시트 문제와 미국 대선의 트럼프 승리로 시장이 급변동한 가운데 내년도 리스크 이벤트는 많은 편

-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외에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 등이 상존. 도이체방크에 의하면, 트럼프 승리 이후 세계 증시총액은 3조달러로 늘어나고, 채권시가총액은 그만큼 감소. 변동성이 축소되었지만, 시장 취약성은 증대

- 금리상승, 재정정책 비중 확대, 정치지형 변화 등으로 시장참여자의 대응이 주목되는 가운데 BofA는 변동성을 중앙은행으로 강제로 흡수하기 곤란하다고 지적


■ 미국

ㅇ 트럼프 정부의 세제 개혁, 미국 지방채에 대한 수요 축소 가능성(WSJ)

- 미국 지방채 투자자는 지난 30여 년간 세금 혜택을 받았으나, 이러한 장점이 크게 축소될 가능성. 이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금리소득에 대한 세율 인하를 제한했기 때문

- 10년 만기 국채와 회사채 등에 과세되는 최고세율을 43.4%에서 16.5%로 인하할 계획. 지방채는 비과세 상태에서 최고세율 인하의 혜택이 없어 투자매력이 감소하여 지방채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

- 세제개혁 중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금리, 배당소득과 자본이득 등의 순 투자수익에 부과되는 3.8%의 부가세 폐지. Merritt 리서치서비스의 Ciccarone은 다른 조건이 같은 상황에서 부가세가 폐지될 경우 10년 만기 지방채 수익률은 현재 2.37%에서 2.55%로 상승할 필요

- 또한 부과세 폐지와 함께 소득세의 최고세율을 현행 39.6%에서 33%로 인하할 경우 지방채 수익률은 2.80%. 금리수익에 장기투자 자본이득과 같은 혜택을 부여할 경우, 3.50%로 상승해야한다고 추산

- 지방채는 1986년에 금리소득에 대해 최고세율을 50%에서 28%로 인하한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세제개혁에 직면. 다만 16.5%의 최고세율이 개인투자자에게 적용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업이 지불하는 금리에 대한 공제를 인정하지 않는 포괄적인 제안이라 기업의 반발이 불가피하다고 지적

- 웰스파고의 Natalie Cohen, 세제개혁을 앞두고 채권의 매매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지방채는 안전자산이라는 인식 등 금리 이외의 요인들의 영향이 존재하며, 세제개혁이 아직 결정된 일이 아니라고 강조

ㅇ 기업이익 증대, 경제성장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FT)

-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시장에서는 10년만기 국채금리가 1.8%에서 2.6%로 상승했음에도 S&P500지수가 6% 오른 가운데 다우지수도 20000 포인트 수준에 근접

- 이는 트럼프의 법인세 축소, 규제 완화 등의 정책으로 기업 이윤이 증대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원인. 다만 투자자들은 늘어난 기업이윤이 금리상승에 따른 기업의 비용증대를 상쇄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달러화 강세로 인한 수출 경쟁력 저하도 문제

- 또한 최근 기업 이익 증가는 투자 축소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경제 전반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ㅇ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평가는 상이(WSJ)

- 금년 영국 브렉시트 국민투표와 미국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예측은 모두 실패. 미국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은 정계와 금융계에 기존 세력에 대한 대중영합주의의 승리를 의미

- 유럽에서도 영국이 국민투표를 통해 EU 탈퇴를 결정하였고, 이탈리아 총리는 헌법개정 부결로 사임. 내년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주요 선거에서 민족주의와 대중영합주의 정당의 약진이 예상

- 대중영합주의 움직임의 전세계적 확산은 세계화, 기술발전. 대규모 이민 및 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소외감에 기인.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만이 새로운 정치적 세력 부상을 초래

- 미국 중서부 공업지역 백인 노동자층의 대두는 이를 반영. 공화당 트럼프는 일반득표 수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나, 펜실베니아, 미시간, 위스콘신 등 경기가 부진한 지역에서 득표수를 늘려 대선에서 승리

- 트럼프의 예상 외 승리로 미국 주가는 상승세가 지속. 투자자는 법인세의 대폭 감소, 규제완화 및 인프라투자 확대 등의 트럼프노믹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한편 중국과 멕시코에 대한 고율관세 가능성에도 교역갈등이 유발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반면 유럽 금융시장은 대중영합주의 확산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우세.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통합붕괴 불안감이 반영되어 주가는 하락

ㅇ 트럼프의 규제 완화 정책, 금융감독기관 통합·권한 축소로 이어질 소지(FT)

- 규제 완화를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통합될 가능성. 두 기관은 대표적 금융감독기관으로 2010년 시행된 도드-프랭크 법(Dodd-Frank Act)으로 권한이 확대되었지만, 트럼프는 규제완화를 위해 두 기관의 권한을 축소할 방침

- SEC는 의회의 금융위원회, CFTC는 농업위원회 산하의 기관으로 운영자금 문제 때문에 현재까지 통합되지 않았지만, 트럼프와 차기 재무장관 스티븐 므누신(Steven Mnuchin)은 규제완화를 위해 두 기관의 통합을 위해 협상을 진행할 계획

- 많은 기업이 SEC와 CFTC에서 이중 감독을 받고 있기 때문에, 통합 시 임대료(2017년 CFTC 추산 2800만달러, SEC 추산 3300만달러)와 중복 부서로 인한 비용(약 2000만달러) 등 절감 기대

- 규제 완화 정책에 따라 금융안정감독평의회(FSOC),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등 여타의 금융감독기관들도 통폐합의 대상이 될 가능성

ㅇ 향후 경기전망 신뢰도, 트럼프 기대효과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WSJ)

- WSJ/NBC 뉴스가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향후 경기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중은 2012년 이후 최고수준인 42%로 집계. 반면 경기악화를 예상한 비중은 19%에 불과

- 소득별로는 모든 계층에서 내년 경기개선을 관측하고 있으며, 특히 연 소득 5만달러 이상 가계에서의 낙관적 성향이 높은 편.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으로 예상. 인종별로는 백인의 경우 호전이 악화를 34p를 웃돈 반면 흑인은 악화가 호전을 8p 상회

ㅇ BofA, 차기 행정부의 경제정책은 기업투자 활성화에 기여(블룸버그)

- 브라이언 모니한(Brian Moynihan), 트럼프 당선 이후 규제 완화와 소비 증가 등에 대한 기대로 기업들의 투자가 더욱 활발해져 2017년 미국 경제는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2017년 성장률을 올해(1.6%)보다 높은 2.0%로 예상

- 다만 기업들이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감세정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신중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성급히 행동할 경우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제언

- 일부 투자자들은 은행들의 투자를 제한하는 볼커 룰(Volker rule)과 같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시행되었던 여러 규제들이 폐지될 수 있다고 전망


■ 유럽

ㅇ 유로존, 금리상승으로 초장기 국채발행 여건 위축(로이터)

- 미국 트럼프 후보의 대통령 당선 이후 역내 국가의 장기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내년 50년 이상 초장기 만기국채의 대규모 발행이 어려워질 관측이 확대. ECB의 내년 4월 이후 국채매입 규모 축소 등도 국채금리 상승을 유발

- 금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 수십억유로 규모의 50년 만기 국채를 발행하였으며, 10월 오스트리아는 70년 만기, 벨기에와 아일랜드는 사모 방식으로 100년 만기 국채발행을 위한 법적 규제를 마련

- 다만 연기금과 헤지펀드의 국채투자 수익률은 저조. 벨기에와 스페인 국채가 각각 8%, 10%의 수익을 확보하고 있으나, 프랑스는 1% 미만에 불과하고 이탈리아는 –10%로 집계

ㅇ 영국의 금융여권 상실, 역내 기업의 비용증가로 수익성 악화 가능성(FT)

-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으로 금융여권과 청산소 기능 상실이 예상되는 가운데 EU 탈퇴 협상을 둘러싼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역내 금융기업의 비용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

- Aquis Exchange의 Haynes, 브렉시트 협상 결과가 불명확한 상황에서 기업은 비상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의 대응방안은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적

- Linklaters의 Sitlani, 향후 2년 이내에 영국의 금융여건이 상실되면 기업은 사업거점의 EU 이전을 결정해야 하며, 사업구조 개편에는 2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 ITG의 Boardman, 영국 정부가 하드 브렉시트를 강행하면 역내 사업유지를 위해 영국 뿐 만 아니라 EU 금융당국으로부터 모두 금융거래 승인이 필요

- Tullett Prebon의 Phizackerley, 영국의 청산기능 상실로 금융상품 중개업체들은 독일과 프랑스 등으로 일부 사업을 분산시켜야 하고, 파생상품 거래를 위한 증거금도 상향 조정되어 비용이 늘어나 가능성이 높은 편

ㅇ 영국 금융시장, 내년 경제의 부정적 전망이 우세(FT)

-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 이후 경기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금융시장은 내년 EU 탈퇴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하드 브렉시트 가능성 등을 우려로 변동성이 확대 

- 국민투표 이후 파운드화 가치는 미국 달러화 대비 17% 하락하였으며, 선물시장에서도 매도 포지션이 확대. 영국 국채가격도 비관적 경기전망이 반영되어 하락세가 지속. 8~11월 국채금리 하락폭은 선진국 중에서 최대 수준

- 파운드화 약세는 대부분의 수익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대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나, FTSE 250 지수에 편입된 중소기업에는 부정적 영향이 우세

- IMF, 영국 정부가 소프트 브렉시트를 선택하더라도 내년 성장률은 1.1%에 그칠 것으로 추정. IHS Global Insight의 Archer, 내년 경기의 부정적 전망에 따른 기업의 투자부진과 함께 가계의 소비심리 위축이 성장의 주된 하방압력으로 작용 


■ 중국

ㅇ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기술력 개선으로 부정적 여파가 크지 않을 전망(WSJ)

- 미국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애플 등 자국기업에 대해 생산기지의 본국 이전을 요구하여, 전세계 첨단기술 부품의 대부분이 생산되는 중국 선전의 부정적 영향이 우려

- 선전은 중국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수출거점. 대만 폭스콘은 선전에서 세계 3위 스마트폰 업체인 화웨이를 포함하여 2개의 산업기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23만명의 근로자가 애플 등 글로벌 기업에게 공급되는 완제품을 생산

- 선전지역 기업의 대부분은 트럼프의 자국기업 본국 환류 요구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진단. 대부분의 생산기업은 개별 공장의 제조공정 개선 노력을 지속하여 설계, 제조, 출하 과정의 효율성을 제고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중국 수입품에 대해 고관세를 부과해도 과거 대비 경제력이 높아져, 충격은 미미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 우세. 선전 지역 기업들은 주된 불안요인으로 세계가치사슬(GVD) 진화에 따른 세계교역의 경쟁심화를 지적

- 의류 등 과거 호황기를 보였던 일부 산업은 2010년 이후 임금상승에 따른 비용부담 증가에 대응하여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베트남 등으로 공장을 이전. 일부는 제조공정의 로봇도입으로 비용절감에 노력

- 애플사가 PC 등의 생산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하더라도 이미 대부분이 로봇화 되어있어 일자리 창출 효과는 제한적. 베이징 대학의 Balding 교수, 트럼프 정책으로 경제적 수혜가 예상되는 근로자는 백인 노동자가 아닌 IT 전문가일 가능성

ㅇ 위안화 환율제도, 시장에서 상반된 시각 혼재(FT)

- 금년 위안화 가치 하락 지속에 대한 우려가 자본의 해외유출을 촉진. 미국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8년 내 최저수준으로 하락. 국제금융협회(IIF)는 자본유출 규모를 5200억달러로 추정하는 한편 골드만삭스는 1조1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스탠다드차터드의 Robert Minikin, 바스켓제도 도입 이후 위안화가 안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인민은행의 Zhou Xiaochuan 총재, 새로운 환율정책의 핵심은 통화 바스켓을 통한 위안화 안정이며 향후 점진적인 절상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일각에서는 중국 환율제도가 페그제(고정환율제도)에 가깝다고 지적. Brown Brothers Harriman의 Win Thin, 6월 이후 다소 안정세를 보이는 위안화는 사실상 인민은행의 환율방어에 의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

ㅇ 미국 달러화 강세,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부정적 영향(WSJ)

- 중국 국채가격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가속화 가능성으로 급락. 중국 당국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 중국 금융시장은 여전히 달러화 강세에 영향을 받기 쉬운 상태라는 것을 투자자들이 인식하면서 우려 확대

- 중국 채권시장은 지난 2년간 정부의 개입을 바탕으로 거품이 존재. 정부는 은행 대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기업의 채권발행을 촉구했으며, 투자자들에게는 채권을 매입하도록 권장

- 또한 부실기업 채무불이행에 빠지지 않도록 구제책을 마련하면서, 투자자들은 기업에 대한 위험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고 투자. 이에 향후 조정이 더욱 어려울 전망

- 보다 큰 문제는 중국의 실물 경제에 거품의 존재 여부. 정부의 통계에 따르면, 은행 대출을 포함한 사회융자총량은 GDP성장률의 2배 정도의 속도로 증가. 총부채는 GDP대비 260%에 이르러 2008년 154%보다 큰 폭으로 확대

- 현재와 같은 성장이 지속될 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확대. 금융완화로 생산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기업은 자본통제를 피해 자금을 해외로 반출하면서 위안화 약세를 가속. 위안화 급락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는 기업의 도산 증가로 연결

- 중국 채권시장은 위험을 정확히 평가하지 않고 있지만, 향후 금리전망을 반영. 연준이 내년에 예상되는 횟수만큼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면, 인민은행은 금리를 낮게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는 기대가 확산. 이에 달러화 강세가 진행될수록 중국 경제에 부정적이라고 지적


■ 일본

ㅇ 엔 캐리트레이드, 달러화 강세로 확대 전망(FT)

- 미국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른 높은 성장률 기대와 내년 연준의 최소 2차례의 금리인상 관측 등이 주된 요인. 12월 달러/엔 환율은 전월비 15% 상승

- 엔 캐리트레이드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통화가치 변동에도 방어 가능한 낮은 달러·엔 통화스왑 비용이 전제될 필요. 애널리스트들의 2017년 전망 보고서에서는 미국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정책 향방에 변화가 생길 시 달러/엔 환율에의 영향을 우려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2017년 아시아 신흥국 투자,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가장 주목(블룸버그)

- 아시아 신흥국의 채권, 통화, 주식 중 해외의존도가 비교적 작은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내년 투자대상에서 가장 인기있는 시장으로 부상. 내년 1월 취임하는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세계무역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인식 확산이 반영

- 미즈호 은행의 深谷公勝(Masakatsu Fukaya), 인도와 인도네시아 통화 중 인도의 루피화가 최선이라고 주장. 그 이유로 양호한 기초경제여건과 높은 금리수준 등을 들면서, 이들 요인이 자금유입의 유인이라고 지적

- BNP 파리바의 Mirza Baig는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매입을 선호한다고 발언. 그 이유로 높은 금리와 원자재 생산국으로서 경기호조를 강조. 모건스탠리와 소시에테제네럴은 한국 원화가 취약한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

- 크레디트아그리콜, 중국은 대규모 국제수지 적자를 기초로, 위안화가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분석. HSBC의 Binqi Liu, 전세계 수요부족, 국제무역의 불확실성, 중국의 경기둔화 리스크 여건에서는 인도네시아가 경쟁우위를 보유한다고 주장



■ 세계경제, 주요국의 재정정책 본격화는 저성장 탈피 등에 긍정적(Barclays 등)

ㅇ 각국의 경제여건에 따라 재정정책 확대 시기는 상이할 전망

ㅇ 세계 각국의 경제성장과 리플레이션에 대한 모멘텀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통화정책의 효과가 한계에 직면하면서 재정정책으로 전환의 필요성 증대

- 재정정책은 감세, 규제완화 등의 공급측면 보다는 수요측면의 효과가 성장에 견인할 것으로 기대.  미국의 경우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공급중심 재정정책의 경우 단기(2년 미만) 성장에는 긍정적이나 장기적인(2~5년) 효과는 제한적으로 평가

ㅇ 미국 이외의도 유럽, 일본, 중국 등 일부 재정정책 전환 배경으로 경제지표가 개선되면서 점진적인 회복세를 나타냈지만, 재정정책 확대보다는 현재의 정책기조를 유지할 전망

- ECB는 자산매입규모 축소(800억유로→600억유로)를 발표하며 사실상 출구전략을 시사했으나 유럽지역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향후 매입규모가 다시 확대될 가능성

- 일본은행의 경우 새로운 통화정책인 수익률 곡선 통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은행의 2% 물가 목표를 위해 당분간 10년 만기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

- 또한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 높은 물가의 신흥국들은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 금리 변동에 민감한 멕시코, 터키 등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와 동일하게 올릴 예정

ㅇ 세계 경기회복 추세와 더불어 원유시장과 노동시장 개선, 재정정책으로의 전환은 장기 저성장 문제를 완화하는 등 내년 세계경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될 소지

- 다만 중국의 성장둔화, 유로존의 정치적 리스크, 세계무역 혼란 등은 장애요인으로 성장과 물가상승 등을 억제할 위협 요소


<그림 1> 트럼프 재정정책의 경제성장 효과

<그림 2> 기업 신뢰지수 추이


■ 미국

ㅇ 인구증가율(7월 1일 기준 1년간), 전년동기비 0.7%로 대공황 이후 최저(WSJ)

- 같은 기간 중 상반기 센서스국의 통계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 수 증가, 출생자 수의 성장 둔화, 이민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총인구는 3억2310만명으로, 이에 대해 브루킹스 연구소 William Frey는 1936~37년 이후 가장 낮은 인구증가율이라고 지적

- 지역별로는 유타, 네바다, 아이다호 등 서부 지역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반면 뉴욕, 펜실베니아, 일리노이의 인구는 줄었는데, 그 중 일리노이가 큰 폭 감소

- 유타는 조사기간 중 2.0%로 가장 높은 인구증가율을 기록. 이는 첨단기술의 고용확대로 노동시장이 양호했기 때문. 다만 인구증가의 영향으로 주택부족이 발생하고 있다고 평가

ㅇ 11월 기존 주택판매, 전월비 0.7% 늘어나 9년 9개월 만에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같은 기간 기존 주택판매는 연율 환산 561만채로 시장예상치(553만5000채)를 상회하며 전월(557만채)대비 증가. 재고는 전월비 8.0% 감소한 185만채였으며, 기존주택 판매가격(중간치)은 재고 감소로 전년동월비 6.8% 상승한 23만4900달러

- NAR의 Lawrence Yun, 모기지 금리 상승과 구입 전 금리 고정이 최초 구매자들의 구매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언급. 또한 최근 5년간 지속된 재고부족이 2017년에 심화되어 판매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12월 3주차 모기지 신청지수, 금리상승에도 전주대비 2.5%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모기지은행인협회(MBA)에 따르면, 같은 기간 구매지수는 전주비 3.0% 상승했으며 재대출지수도 전주비 3.0% 올라 상승세로 전환. 41만7000달러 이하의 대출에 적용되는 30년만기 고정금리는 4.41%로 전주보다 13bp 상승하여 2014년 5월 이후 최고치

- MBA의 Mike Fratantoni, 모기지 금리상승은 부분적으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반영.

연준의 금리인상이 예견되어 신청자 다수가 12월 FOMC 이전에 모기지를 신청했을 것이라고 언급 

ㅇ 모건스탠리, 트럼프 경제정책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금물(블룸버그)

-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트럼프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정책만을 도입하고 그렇지 않은 정책은 일체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재정지출을 확대하면서 과도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치지 않는다고 해도, 2017년과 2018년의 경제성장률은 2.0%에 그칠 수 있다고 경고


■ 유럽

ㅇ EU, 터키와의 교역협력 강화 모색(FT)

- EU는 터키의 회원국 가입 협상지연과 에르도안 대통령의 인권 탄압 등에 대한 비판 고조에도 향후 관세동맹 강화를 통해 교역협력을 확대할 방침

- Malmstrom 통상담당 집행위원, 세계 교역여건 변화 등으로 터키와의 관세동맹 항목에 산업제 및 공공조달 부문 등이 새로 편입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EU와 터키의 교역규모가 연간 1400억유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

- 터키는 정정불안 등으로 3/4분기 성장률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둔화된 가운데 최대 교역상대국인 EU와의 교역강화로 경기회복을 도모할 계획. EU 회원국은 터키의 서비스 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확대되어 교역관련 분쟁완화를 희망

ㅇ 라트비아 중앙은행 총재, ECB 통화정책은 의미 있는 성장 유도에 실패(로이터)

- 림세비치 총재는 ECB의 대규모 자금 공급에도 신뢰와 대출이 회복되지 않은 이유는 경제개혁과 유럽위원회의 부양책이 지연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 통화정책 완화가 경제여건 안정화에 기여했지만 경제전반의 성장을 크게 끌어올리지는 못했다고 진단

ㅇ 이탈리아 의회, 은행권 구제를 위한 부채상한 상향 조정 승인(로이터)

- 상원은 은행권 지원을 위해 정부가 요구한 부채상한을 최대 200억유로 설정하는 방안을 승인. 하원의 승인도 이미 끝나,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이 가능할 전망

ㅇ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 예상보다 빨리 유동성 고갈 직면 전망(로이터, CNBC)

- 당초 예상인 11개월보다 빠른 4개월 후에 유동성이 고갈될 수 있다는 분석 제기. Fidelity의 Richard Lewis, BMPS는 이탈리아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을 통해 생존할 것이며, 주주나 채권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예상

ㅇ 유럽사법재판소, EU 무역협정은 회원국 비준 필요·스페인 감세제도에 위법 판정(로이터, FT)

- Sharton 수석 법무관, EU가 역외 국가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회원국의 비준이 수반될 필요. 협정체결로 회원국의 주권 혹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시 각국정부 의회의 비준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발언

- 캐나다와의 CETA(포괄적경제무역협정) 체결 과정에서 벨기에의 반대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EU는 회원국 비준 필요성에 부정적 입장. 향후 비준 의무화는 영국의 EU 탈퇴 이후 교역협상 과정에서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관측이 제기

- 외국주식 보유에 세금감면을 적용하는 스페인 제도가 비정상적 국가보조에 해당된다고 판단. 스페인은 외국인이 전체 지분의 5% 이상을 1년 이상 보유한 국내기업에 세제혜택을 제공

- 스페인 대법원의 담보대출금리의 기준금리(benchmark) 하회 불인정 결정에 대해 위헌으로 판결. 이에 따라 시중은행은 2013년 5월 이전 주택담보대출 비용 감소의 혜택을 받지 못한 고객에게 배상해야 하며, 보상금액은 최대 40억유로를 상회할 것으로 추산

ㅇ 네덜란드 하원 선거, 극우정당 의석수 증가 전망(로이터)

- 내년 3월 예정된 하원 선거에서 반이슬람, 반EU를 표방하는 극우정당의 의석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ABN암로, 극우정당이 다수당의 위치를 차지한다고 해도 국민의 과반수 이상이 EU 탈퇴를 지지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

ㅇ 유로존 12월 소비자신뢰지수(속보치), 20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로이터)

- 유럽위원회에 따르면, -5.1로 시장예상치(-6.0) 상회하며 4개월 연속 상승. EU 전체로는 1.2p 오른 –4.6. IHS Global Insight의 Howard Archer, 이는 4/4분기 경제가 일정 수준의 성장을 나타내고, 내년 초에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임을 시사한다고 평가

ㅇ 스웨덴 중앙은행, 기준금리(-0.5%) 동결ᆞ자산매입 규모 확대(로이터, 블룸버그)

- 월간 자산매입 규모는 기존보다 300억크로나 확대. 성명서에 따르면, 2018년 초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실시하지 않을 전망이라고 발표.

- 경제활동 촉진이 물가상승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물가상승을 저해하는 위험이 존재한다며 이를 위해 확장적인 통화정책이 지속되어야 한다고 지적

ㅇ 프랑스 11월 생산자물가, 전년동월비 –0.2%로 10월(-0.8%)보다 하락폭 축소(FT)

- 통계청(INSEE)에 따르면, 유가 반등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생산자물가 하락세를 완화시킨 것으로 평가

ㅇ 영국 기업, 내년 물가상승 압력 확대 예상(로이터)

- 잉글랜드 은행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원자재 및 수입비용이 3/4분기에 5년 만에 최대 폭 증가. 제품수출의 호조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성장이 회복되었지만 이로 인한  투입 비용도 크게 늘어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도 대두

- Heteronomics의 Philip Rush, 파운드화 약세에 따른 물가상승 효과가 소비자에게 예상보다 빨리 전가될 것으로 예상

ㅇ 영국 2016년 4~11월 공공부문 순차입액, 전년동기비 11.5% 감소(로이터, econotimes)

-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11월 공공부분 순차입액은 126억파운드로 전월보다 4.4% 감소.

이에 따라 해먼드 재무장관의 2016회계연도 재정수지 적자 목표치(682억파운드)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예산책임청(OBR), 브렉시트 결정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기업의 수익성이 저하되고 가계의 소득여력도 위축되어, 향후 세입감소로 재정수지 적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 중국

ㅇ 국영은행, 비은행 자금조달을 위해 자산운용사에 유동성 지원(로이터)

- 적어도 1개 이상의 국영은행이 환매조건부채권(repo)의 거래를 통해 자산운용사에 자금을 제공. 시장에서는 이번 조치로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등 제2금융권의 자금 여건이 개선되었다고 평가

- 코메르츠 은행의 Zhou Hao, 일부 증권사가 채무불이행 위험을 회피한 것으로 시장의 유동성이 다소 개선되었지만 관련 위험이 모두 소멸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


■ 일본

ㅇ 정부, 12월 경기판단을 21개월 만에 상향 조정(로이터)

- 월례 경제보고에 따르면, 일부 산업부문에서 개선이 지연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완만한 회복세 지속으로 경기판단 기조를 상향 조정. 항목별로는 개인소비, 수출, 생산업 호조가 조정을 견인 

- 10월 가계소비 증가율은 전월비 0.4%로 2개월 연속 늘어나고 있으며, 같은 기간 소매매출과 신차 판매 등도 전월대비 증가. 향후 노동여건 개선에 따른 가계 구매력 제고 등이 기대. 수출경기도 아시아 지역 회복으로 전망이 긍정적

ㅇ 일본 기업, 중국에서 이탈 가속화(닛케이)

- JETRO(일본무역진흥기구)가 아시아·태평양 20개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일본 기업의 중국 진출은 2013년 이후 감소세. 중국사업 확대 의지는 40.1%로 전년대비 2p 상승에 불과하여 이탈 조짐이 가속화

- 이는 센카쿠열도 영토분쟁을 둘러싸고 중국 내의 반일시위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 향후 중국사업 확대 여부에 응답한 일본기업은 2012년(52.3%), 2015년(38.1%)로 3년 연속 하락

- 임금 상승 속도의 감소도 중국을 이탈하는 주요 원인. 2015~2016년 중국 임금의 상승률은 6.1%(전체업종평균)로 20개국에서 9위를 차지하며 이는 2017년 5.7%까지 떨어질 전망. 다만 섬유부문의 저가 원자재 조달 비용은 중국에서 생산 확대의 가능성도 내재

ㅇ 경제재정 자문회의, 약가제도와 통계개혁의 기본방침을 결정(닛케이)

- 약가 제정을 기존의 2년마다 1회에서 매년 실시하기로 결정. 약가제도 개선 및 의료부문 혁신을 통해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를 지속하기로 결의

ㅇ 11월 슈퍼마켓 판매, 식료품 판매 호조 등으로 전년동월비 0.8% 증가(로이터)

- 일본 체인스토어협회에 따르면, 총 판매액은 1조804억엔. 식료품과 주거 관련 제품 판매가 양호한 반면, 춥지 않은 겨울 날씨로 가을 및 겨울 의류 판매는 부진

ㅇ 11월 방문 해외관광객, 이벤트 개최 등으로 전년동월비 13.8% 증가(로이터)

- 관광청에 따르면, 187만5000명으로 역대 11월 최고치를 경신했고, 1~11월 누계는 전년동기비 22.4% 늘어난 2198만8400명. 국별로는 인도네시아(54.3%), 베트남(24.0%), 필리핀(22.7%) 등이 크게 늘었고, 중국과 한국도 각각 19.2%, 28.6% 증가

- 관광청, 외국인 관광객은 대체로 순조롭게 늘어나고 있으며 서구 국가의 관광객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 내년 1월부터 러시아인에 대한 비자발급 요건 완화와 모스크바 내 관광사무소 설치를 통해 관광객 유치를 강화할 계획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터키,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63.4로 작년 10월 이후 최저치(FT)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68.9)과 시장예상(67)를 모두 하회. 기대지수는 95에서 86으로 하락해 향후 경기도 비관적. 그러나 중앙은행은 리라화 방어를 위해 12월에는 금리를 동결하여 경기 부양은 쉽지 않은 상황

- 코메르츠 은행, 테러와 정치적 박해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터키의 경제 상황은 극도로 악화. 이에 따라 내년에는 리라화의 평가절하 압력이 한층 강해지며 GDP도 기존 예상치(1.9%)에서 하향 조정이 필요할 전망

ㅇ 피치, 인도네시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블룸버그)

- 피치는 인도네시아의 신용등급을 현행대로 투자적격등급의 최하위인 BBB-로 유지하면서, 향후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 작년 9월 이후 강력한 구조 개혁으로 경기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중기적으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평가

- 조코위 대통령은 해외은닉 자산에 대한 조세사면법으로 총 100조루피아의 세입을 확보하여 재정수지 적자 완화에 기여. 또한 경기 부양을 위해 도로와 항만, 철도, 공항 등 인프라에 재정지출을 확대할 전망

- 피치는 인도네시아의 성장률을 금년 5.1%, 2017년 5.4%, 2018년 5.77%로 예상

ㅇ 태국 중앙은행, 경기 하방 리스크를 고려하여 기준금리(1.50%) 동결(로이터)

- 금년 GDP 성장률 전망치는 3.2%로 9월과 같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이전과 동일한 3.2%를 제시. 금년 수출은 전년비 0.6% 감소를 예상해 9월의 전망치(-2.5%)에서 상향 조정했고, 내년 수출도 이전(-0.5%)에 비해 개선된 전년비 0.0% 증가를 예측

- 성명서, 태국 경제가 기존의 평가에 가까운 속도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지만 하방 리스크가 커졌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태국 11월 자동차생산, 전년동월비 5% 늘어나며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닛케이)

- 산업연맹에 따르면, 같은 달 생산은 17만784대로, 생산과 판매 모두 부진했던 작년 11월에서 반등. 1~11월에는 전년동기비 3% 늘어난 180만8625대


■ 미국

ㅇ 과잉규제, 경제성장의 둔화 원인(WSJ)

-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당시 건축허가 소요시간은 40일이었지만 현재는 81일이며, 계약이행에 걸리는 시간은 300일이었지만 현재는 420일로 확대. 이와 같이 제도의 비효율성이 심화된다면 미국도 유럽이나 일본과 같이 장기 저성장에 직면할 가능성

- 노동력은 예전과 같이 늘어나지 않고, 혁신은 높은 생산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투자 부족이 나타나는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 다수의 저성장 신호가 발생. 이러한 현상은 비용과 시간 관련 규제가 끊임없이 증가한 결과

- 이와 같이 과잉규제는 생산 과정을 어렵게 만들어 생산자의 이익과 시간 비용을 늘리는 동시에 미국 내 이익창출을 저해. George Mason의 Mercatus Center, 1980년 이후 과잉규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매년 GDP의 0.8%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ㅇ 대형 기업 합병, 법적·정치적 요인으로 저조(로이터)

- 인수합병을 위한 금융여건은 양호한 상태이나, 2015년 이후 발표된 100억달러 이상 규모의 대형 기업 합병 안건 중 8500억 달러 정도가 올해 12월1일 시점에서 미완료 상태. 다우케미컬과 듀폰(1300억달러), AT&T와 타임워너(850억달러) 등이 이에 해당

- 그 중 일부 안건은 반독점법에 따라 정부 승인을 받지 못할 것으로 전망. 대형 의료보험사 애트나(Aetna)와 휴매나(Humana), 앤섬(Anthem)과 시그나(Cigna)의 합병 계획은 이미 중단되었으며, 금액이 과다하게 책정된 인수합병 계획도 중단될 가능성

- 또한 국익을 위한 정치적 개입으로 인수합병 계획이 중단될 가능성.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미국 기업이 중국에 인수되는 것을 규제할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도 자본유출을 저지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어 대규모 인수합병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

- 전세계 인수합병 총액 규모는 전년 대비 17% 축소. 대형 인수합병 시 비용절감 명목으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M&A 축소는 근로자에게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

- 차입비용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대기업은 인수 대상 선정에서 중소기업에 집중할 가능성. 이는 상대적으로 절차가 간단하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때문에 더욱 유리. 현재 10달러 이하 규모의 인수합병이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있지만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

ㅇ 중국의 미국 국채 축소, 지정학적ᆞ재정적 측면에서 미국에 플러스(WSJ, Japan Times)

- 중국은 10월에만 410억달러의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일본이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미국 국채 보유국으로 부상

- 중국의 미국 국채 축소는 지정학적ㆍ재정적 측면에서 미국에 긍정적. 중국이 달러화자산을 단기간에 대규모로 매도하면 중국도 타격을 입을 수 있지만, 미국은 채권수익률 급등과 주가 폭락을 겪고, 그 여파로 신용등급 하향 조정과 경기침체 발생도 가능

- 중국은 과거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를 활용하여 미국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시사. 반면 일본은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 유지에 적극적이며, 미국 국채 매입을 확대하면 엔화 약세를 통해 수출을 촉진할 수 있고, 미국과의 신뢰도 향상

- 2008년 중국이 과잉 유동성 흡수를 위해 미국 국채 구입을 늘리며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미국 국채 보유국 자리를 획득. 2009년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중국 방문 시, 인권에 대한 논의를 보류하고 중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는 등 양국의 관계도 변화

- 하지만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중국의 대규모 미국 국채 보유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면 중국에 대해 좀 더 강력한 대응이 가능. 반면 차기 정부는 우방국인 일본과의 경제적인 협력 강화에 나서는 것이 필요


■ 유럽

ㅇ 역내에서 늘어나는 소수 여당 정부, 내년 경제정책 운영 난관이 우려(로이터)

- 스페인과 아일랜드 등 유럽의 소수 여당 정부는 금년 연립상태에서 정책운영을 어렵게 시행. 내년에는 많은 유럽 국가에서 선거가 예정되어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역내 소수 여당 정부는 정책수행에 어려움이 예상

- 코메르츠 은행의 Peter Dixon, 유권자가 변화를 원하고 있어도 이에 대한 명확한 대안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 소수 여당 정부는 신뢰할 수 있는 경제정책을 유지하는 동시에 유권자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편

- 이로 인해 정부가 필요한 정책을 수행하지 못하고, 정책이 후퇴할 우려가 있다고 강조. 이에 따라 소수 여당 정부에 정치적 리스크가 확산될 수 있음을 언급. 다만 스페인과 포르투갈과 같이 정치권 타협이 해법이 될 가능성

- 리스크 컨설팅 회사인 Teneo Intelligence의 Antonio Barroso, 스페인과 같이 야당과 합의로 개혁이 가능할 수 있다고 주장. 하지만 코메르츠 은행의 Peter Dixon은 유럽의 정치는 분단이 커져 정책시행의 어려움이 고조되고 있다고 주장

ㅇ 유로화, 유로존 자본이탈 급증으로 달러화 대비 등가 가능성 확대(WSJ)

- 연초 이후 유로존의 자금이탈 급증으로 14년 만에 달러화 대비 등가 관측이 부상. ECB 자료에 의하면, 금년 9월까지 최근 1년간 자금의 순유출 규모는 통계 작성 이후 최대 

- 같은 기간 유로존 투자자들의 역외 금융시장을 통한 주식과 채권 등의 자산매입 규모는 4975억유로. 반면 전세계 투자들이 역내에서 매각한 자금규모는 313억유로에 달해, 순자금 유출액은 5288억유로로 1999년 단일통화체제 확립 이후 최대

- 미국 트럼프 후보의 차기 대통령 당선 이후 연준의 금리인상 가속 전망이 반영되어, 유로/달러 환율은 하락세가 지속. 연준은 지난 주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내년 인상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을 시사

- 이에 반해 ECB의 기준금리는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이 지속되면서, 미국 국채금리와의 격차가 확대되고 투자 매력이 저하. TD Securities의 Rumpeltin, 경기여건 차이에 따른 연준과 ECB 통화정책의 차별화로 유로화 절하압력이 가중

-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는 내년 말까지 유로화와 달러화의 등가가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 도이체방크는 내년 달러당 유로화 환율이 0.95유로 수준으로 하락 가능성 제기

ㅇ 프랑스 은행권, ECB에 자본 산출 방식의 변화를 요구(블룸버그)

- 크레디트 아그리꼴, BNP 파리바, 소시에테제너럴을 포함한 프랑스 6개 은행은 자본수준 산출시 비과세 예금의 일부를 제외하도록 요구. 특히 정부 재정을 지원하는 국영기업이 관리하는 비과세 예금 중 2400억 유로 가량을 산출에 포함하지 않도록 요청

- 스위스 Bellevue 자산운용의 Karim Bertoni, 은행권은 이미 기준 레버리지 비율을 초과했고, 자본 확충 요구가 확대되어 수익률 방어를 위한 노력은 당연하다고 평가 

ㅇ DBRS, 금주 이탈리아 은행 해결방안 미흡은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소지(로이터)

- McCormick, 금주 이탈리아 정부의 은행권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미흡 시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 문제뿐만 아니라 금융시스템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필요

- 시장에서는 카타르 투자청의 10억유로 확보가 어려워져 BMPS 은행의 민간자금을 통한 자본확충 난항으로 향후 공적자금 투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ㅇ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난항으로 국채의 ECB 자산매입 대상 포함 지연(FT)

- 최근 그리스와 채권단이 구제금융 관련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 그리스는 저연금 수혜자 등에 6억1700만유로를 지원했으며, 채권단은 이를 강력 비난. 이에 내년 1월 예정된 구제금융 평가도 보류된 상황 

- 그리스 정부는 자국 국채를 ECB 자산매입 대상에 포함시킬 것을 요청하고 있지만, ECB는 먼저 그리스가 구제금융 평가를 통과해야만 한다는 입장을 견지. ECB의 꾀레 위원은 그리스 국채가 ECB 자산매입 대상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여러 장애물을 극복해야 한다고 언급

- HSBC의 Fabio Balboni, 그리스의 2차, 3차 구제금융 평가가 이루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 ECB가 오랜 시간 뒤에도 자산매입을 지속할 것인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아, 그리스의 ECB 자산매입 대상 포함을 통한 채권시장 복귀는 어려워질 가능성


■ 중국

ㅇ 트럼프의 對中 통화전쟁, 미국과 중국에 모두 리스크(로이터)

-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통화전쟁을 시도하더라도 허울뿐인 승리에 그칠 가능성. 중국은 실제 위안화 방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트럼프는 중국이 위안화를 인위적으로 낮추고 있다고 비판

- 향후 트럼프는 아무런 손실도 없이 중국과의 통화전쟁의 승리를 선언한다는 것이 트럼프의 시나리오. 그러나 중국의 강경파가 트럼프의 정책에 강력하게 반발할 소지가 내재

- 트럼프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주장했지만, 실제 미국 재무부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경우에 중국과 양자 간 또는 IMF를 통한 협상이 요구되며, 이에 중국이 협상에 응하지 않을 확률도 높은 편

- 아울러 트럼프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면, 차기 정부 재무부가 관련 정의를 변경할 필요. 막대한 對美 무역수지 흑자, 상당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 지속적인 외환시장 개입 등이나, 10월 기준 중국은 1가지 조건만 충족

- 인민은행은 위안화 가치를 여타국 통화가치 하락률이 되도록 조정. 향후 미국 금리인상으로 위안화 가치 하락은 지속될 소지. 이에 트럼프가 중국 비판을 강화하면, 중국의 통화정책 주도권이 정부 내 강경파로 이전될 우려가 고조

- 하지만 강경파가 개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안화 가치는 급락하고,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 이는 트럼프 통화정책의 명목상 승리가 희생을 수반함을 의미

ㅇ 정부, 외환보유액 운영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FT)

- 인민은행은 위안화의 급격한 절하를 방지하기 위해 달러를 매도하여 외환보유액이 감소. 향후 위안화 약세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본유출로 외환보유액이 3조 달러 이하로 줄어들 전망

- 외환보유액은 2014년(4조달러)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이에 외환보유액을 어느정도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는 지 불확실성이 증대. IMF에 따르면, 단기 부채를 상환할 수 있을 정도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고, 1조~2조달러 수준으로 충분하다고 언급

- 일부에서는 외환보유액 규모가 국가경쟁력을 나타낸다고 강조. 인민은행은 외환보유액을 3조달러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위안화 하락은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 다만 지속적인 위안화 약세는 중국기업의 해외투자 규제로 이어져 자본통제가 강화될 우려


■ 일본

ㅇ 엔화 약세, 일본 경제에 양날의 검(WSJ)

- 미국 대선 이후 엔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아베노믹스의 새로운 전환기가 도래. 11월에 달러화 대비 엔화 가치는 11% 하락하고, 기업심리가 크게 향상되면서 내년 임금상승에 대한 기대도 고조

- 하지만 이러한 낙관론에는 2가지 문제가 존재. 첫째, 미국 트럼프 차기 정부의 경제계획이 불명확. 둘째, 최근 엔화 약세에 따른 경기회복으로 아베총리에게 경제재건 완료라는 잘못된 확신을 줄 가능성 상존

- 트럼프 정부의 경제계획이 계속 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첫 번째 위험을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 반면 두 번째 위험은 평가와 대응이 가능한데 엔화 가치가 30% 하락해도 일본경제의 경쟁력 강화는 한계가 있으며 부채축소와 생산성 향상의 성공 여부도 미지수

- 아베노믹스가 완전히 실패한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가 존재. 기업은 정부정책을 신뢰하지 않아 대규모 유보금을 쌓고 있으며, 일본은행이 2%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강조해도 소비자는 소비보다 저축에 집중. 경제성장에 필요한 구조개혁 추진도 미진

- 엔화 약세는 단기적으로 일본 경제에 긍정적이나, 장기적으로는 구조개혁을 지연시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전망. 일본은행이 지금은 엔화 약세를 행운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현재 상황에 만족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ㅇ 일본철강연맹, 인도의 철강 수입제한조치 철회를 요구(닛케이)

- JISF(일본철강연맹)는 인도가 발효한 철강제품의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의 철회를 요구. 이는 WTO의 규정에 위반하는 것으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 WTO에 제소할 계획

- 수입제한조치의 대상은 자동차·건축자재에 사용되는 열연강판으로 일본의 수출액(6624억엔) 중 인도 수출액(568억엔)이 큰 비중 차지. 인도 정부는 일정액 이하의 수입 제품에 최대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

- 저가 수입제품에 대응한 반덤핑 관세가 개별 국가의 제품에 부과되는 것과는 달리 세이프가드는 모든 국가의 제품에 무차별적으로 부과되는 편. 인도의 수입제한 조치는 중국의 철강 과잉생산에 대한 자국 산업 보호조치로, 이와 무관한 일본 철강 기업에 영향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서도 중국의 철강 과잉생산에 대한 보호무역주의 추세가 확산. 이에 따라 일본을 비롯한 각 국가들의 압박으로 중국은 향후 5년간 철강 1억~1억5000만톤의 생산능력을 감소할 것을 표명

- 일본철강연맹의 Shindo Takao(進藤孝生)회장, 중국의 협조로 1년 크게 앞섰다고 평가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신흥국, 달러화 강세 등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채권발행 급감(닛케이) 

- 미국 대선 이후 지속되는 달러화 강세가 신흥국 채권시장에 타격. 달러화 채권의 비용이 늘어나면서 11월 중남미 회사채 발행은 전년동월비 71% 감소한 16억달러, 동남아시아도 29억달러로 전년동월비 65% 축소

- 신흥국 기업은 필요한 자금의 대부분을 달러화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데 달러화 강세와 신흥국 통화 약세, 금리상승이 이어지면서 자금조달 비용이 급격히 증가. 11월 달러화 대비 멕시코 페소화, 브라질 헤알화, 말레이시아 링깃화의 가치는 각각 9%, 6%, 7% 하락

- 외국인 투자자들도 신흥국 투자를 보류.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11월 신흥국에서 242억달러의 투자금을 회수했고 그 가운데 채권 비중이 70%에 도달. 구매자가 감소하면서 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난관에 직면

-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자금이 신흥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할 가능성 증가. 트럼프 정부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재협상을 주장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성향이 강하며, 이는 신흥국 기업의 사업 및 투자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

ㅇ 트럼프 당선자, 러시아 경제 제재 해제 전망(블룸버그)

-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1년 내 미국의 러시아 제재가 해제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55%로 10월(10%)보다 크게 상승.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제재 해제 시 러시아의 성장률 예상치는 2017년 0.2%p, 2018년에는 0.5%p 상향 조정될 전망

- 경제 제재 해제 시 루블화 가치에 대해 응답자의 1/3이 평가절하를 예상한 반면, 57%는 1% 정도 절상, 33%는 5% 이상 절상, 10%는 10% 이상 루블화 가치 상승을 예상 

- 트럼프 당선자는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을 인정하고 제재를 해제할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에도 親 러시아파인 Michael Flynn을 국가안보보좌관으로, Rex Tillerson을 국무부장관으로 내정하는 등 호의적인 태도

- 4CAST-RGE의 Rachel Zie, 미국이 러시아 제재를 즉각적으로 전면 해제할지는 불투명하나 최소한 제재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며, 이에 따라 러시아의 금리 인하 기조가 강화되어 중기적으로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고 전망

- EU는 러시아 제재를 6개월간 연장하기로 결정했으나 IHS Markit의 Charles Movit는 미국이 제재를 완화하면 EU의 독자 제재에 회원국 간 이견이 생길 것이라고 지적. 조사 응답자의 40%는 EU가 향후 1년 내에 제재 완화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



■ 아시아 신흥국, 외부충격에도 소비 중심의 완만한 성장 지속 예상(닛세이기초연구소 등)

ㅇ 미국 경제정책 변동과 중국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최대 위험요인

ㅇ 인도와 동남아시아 신흥국들은 둔화된 세계 교역과 원자재가격 하락으로 본격적인 경기회복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민간소비 등 내수 경기가 성장을 견인할 전망

- 민간소비는 낮은 인플레이션 지속과 안정된 고용, 소득여건 개선 등으로 가계의 실질 소득이 늘어나 상승세 예상

- 아울러 인프라 정비와 저소득층을 위한 소비부양책 실시 등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의 지속이 경기회복을 뒷받침

- 다만 향후 유가 상승과 통화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이 인플레이션 유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성장률과 물가 상승속도는 완만하게 전개될 가능성 <그림 1>

ㅇ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관련 정책과 중국 경제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 요인은 아시아 신흥국들의 자본유출입에 급격한 변동을 초래하여, 향후 성장의 위협 요인

-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세계 교역 축소와 신흥국으로의 자본유입 지연 등에 따른 투자와 수출 감소 우려

-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가속화와 중국 경제 불안, 영국의 EU 이탈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가 시장의 위험회피로 이어져 자본유출 가능성 내재

- 또한 중국과 미국의 마찰에 따른 지정학적 위험요인과 정세 불안(태국, 필리핀), 부정부패(말레이시아) 의혹 등이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


<그림 1> 동남아시아 신흥국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그림 2> 동남아시아 신흥국 경제성장률 전망


■ 세계경제 전반

ㅇ IMF,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불안으로 라가르드 총재 연임을 용인 방침(로이터, 닛케이)

- IMF는 라가르드 총재의 프랑스 재무장관 재임 시절 과실을 두고 이사회를 열어, 라가르드 총재를 전면적으로 신뢰하며 직무를 지속할 것을 결정해 사실상 연임을 허용.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이 연임을 지지했으며, 이는 트럼프 차기 행정부에 대한 불안을 반영

- 이는 중국에 우호적인 라가르드 총재의 공판이 장기화되면, 그의 거취는 물론 IMF 전체가 트럼프의 공세 재료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 라가르드 총재는 중국의 SDR 채택과 신흥국의 의결권을 향상시키는 자본개혁에도 기여

ㅇ 가상통화, 첨단기술 분야 신생기업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유용(로이터)

- 은행을 통하지 않고 가상통화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하이테크 신생기업이 급증. 이는 가상통화 판매자가 번거로운 서류 작업 없이 증권 발행하여 대규모 자금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

- 온라인 게임 회사인 퍼스트 블러드(First Blood)는 가상통화 발행으로 550만 달러 규모의 자금조달을 1분 이내에 완료. 올해 ICO(Initial Coin Offering)로 발행되는 가상통화액은 2억2500만달러로 작년 규모(980만달러)에 비해 크게 상승

- 그러나 일부 핀테크 전문 변호사들은 이러한 방법이 법적 규제 대상인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가상통화 거래에 대한 법적인 정당성을 의심


■ 미국

ㅇ 통상정책을 주도하는 차기 상무장관, 무역대상국에 강경자세 가능성(로이터)

- 차기 트럼프 정부의 상무장관으로 내정된 윌버 로스는 향후 신정부에서 통상정책의 전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 미국은 지금까지 통상대표부(USTR)가 무역협정을 전개했고, 상무부는 반덤핑 과세와 저가의 수입제품 보조금 조사 등을 담당


■ 유럽

ㅇ ECB 프레이트 이사, 유럽 은행권 문제는 소수에 한정(로이터)

- 하지만 광범위한 문제로 수익성 저하 외에 은행 수가 지나치게 많음을 지적. 은행권 재편과 아울러 범유럽차원의 은행이 필요하다고 역설. 관련 은행이 존재하면, 특정 국가가 충격에 직면하더라도 불안요소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

ㅇ 영국 메이 총리, EU 탈퇴 협상은 2018년 9월까지 완료 가능(블룸버그, FT)

- 내년 3월 리스본 조약 제 50조 발동을 기점으로 16개월 내 EU 탈퇴 협상 마무리를 예상. 아울러 EU 탈퇴 이후 중간 협의 등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여, 브렉시트 결정에 따른 부정적 충격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부연

ㅇ 스코틀랜드, EU 단일시장 접근 유지 방안 모색(로이터, FT)

- 스터전(Sturgeon) 자치정부 수반, 영국의 EU 탈퇴 이후에도 EFTA(유럽자유무역협정)와 EEA(유럽경제지역) 가입 등을 통해 단일시장 접근을 유지하고, 스코틀랜드 자치정부의 경제적 이익 보호를 위해 여타 부분에서의 권한 확대도 검토할 예정

- 영국 정부는 스터전 총리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나, 독립여부를 묻는 두 번째 주민투표 시행에는 우려 표명

ㅇ 러시아, 도이체방크의 주가 조작 혐의 주장(블룸버그, FT)

- 중앙은행 발표에 의하면, 도이체방크의 전 러시아 주식 거래 담당자인 Khilov가 2013~15년 친척 명의의 차명거래를 통해 대규모 시장조작에 가담하여 410만달러의 부정이익을 취득

ㅇ 독일 11월 생산자물가, 전년동월 대비 3년 내 처음으로 상승세 전환(블룸버그)

-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0.1%로 2015년 저유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시장예상치(-0.2%)를 상회

ㅇ 이탈리아 정부, 부실은행 문제 해결방안 제시(로이터)

- 젠틸로니 총리, 50억유로의 증자가 목표인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의 정부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 정부는 경영난에 빠진 여타 은행의 자금투입 준비를 전개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의회에 최대 200억유로의 은행지원 승인을 요청

- 비스코 총재는 BMPS 은행 등 이탈리아 금융시스템 문제에 대해 당국뿐만 아니라 유럽전역에서 전력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복잡한 금융규제 속에서 합리적인 해결책을 도출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

- 이탈리아 은행 3위인 BMPS 은행은 ECB가 요구하는 기한 내에 50억유로 규모의 자본확충이 완료되어야 하는 상황으로 22일까지 증자에 실패할 경우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 및 투자자 손실은 불가피

- 이탈리아 정부는 부실은행들의 자본 확충을 지원하기 위해 최대 200억유로의 대출을 승인하도록 의회에 요구. Carlo Pardoan 재무장관, 의회 승인이 결정되면 예금보호가 활성화되면서 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이는 임시적 조치라는 점을 강조

ㅇ 스웨덴의 NIER, 2017년 자국 성장률 2.2%로 둔화 전망(로이터)

- 국립경제연구소(NIER) 조사에 의하면, 2017년 성장률은 2016년 성장률(3.4%)보다 다소 둔화되고, 물가상승률은 2020년까지 중앙은행의 2% 목표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전망. 2016년 성장률은 10월 예상과 변경이 없었지만, 2017년은 0.1%p 상향 조정

ㅇ 유로존, 10월 경상수지 284억유로 흑자로 전월보다 확대(로이터, 블룸버그, FT)

- ECB에 따르면, 같은 달 유로존 경상수지(계절조정)는 9월의 277억유로보다 확대. 10월 기준 지난 12개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유로존 GDP 대비 3.2%를 나타내, 전년동기(3.1%)에 비해 상승

ㅇ 스위스, 11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3.7% 감소한 반면 무역수지는 확대(로이터)

- 세관 발표에 의하면, 같은 달 수출(실질 기준)은 187억8700만 스위스프랑(182억6000만달러), 무역수지는 36억3600만스위스프랑으로, 전월의 26억5700만 스위스프랑보다 확대. 명목 기준 시계수출은 11월에 전년동월비 5.6% 줄어든 18억5600만스위스프랑을 기록

ㅇ 영국 산업연맹(CBI), 성탄절 이전 소매매출은 양호(FT)

- 산업연맹이 53개 소매업체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1%는 자동차와 의류 등의 호조로 판매가 늘어난 반면 16%는 판매 감소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 실제 11월 24일부터 12월 13일까지 3주간 소매매출은 2015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 증가

- 소매매출지수가 35을 기록하여 11월의 26을 상회. IHS의 Howard Archer, 성탄절 기간 이전 가계는 소비에 나서고 있으며, 이에 4/4분기 성장률은 높은 실적을 보일 것으로 평가. 하지만 향후 전망은 불투명

- CBI의 Ben Jones, 소매업 경기가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브렉시트 결정 이후 파운드화 약세에 따른 수입가격 상승이 내년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ㅇ 영국 주택가격(Nationwide), 2017년에는 2% 정도 상승을 예상(로이터)

- 경기둔화가 주택가격 상승률 확대를 억제한다고 평가


■ 중국

ㅇ 인민은행, 자본유출 리스크는 관리 가능하다고 제시(로이터)

- 판궁성(潘功勝) 부총재는 국경 간 자본흐름의 현 리스크는 통제 가능하다고 설명하며,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불법적인 활동을 단속할 방침. 리다오쿠이(李稻葵) 전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 자금유출 우려는 위안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되어, 당국이 달러화 대비 위안화의 절하율을 5%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

ㅇ 위안화, 11월 세계 결제시장에서 비중 상승(블룸버그)

-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 따르면 같은 기간 위안화의 세계 결제시장 비중은 전월(1.67%)보다 오르면서 다소 회복된 가운데 스탠다드 차티드 은행의 Eddie Cheung, 위안화 가치 하락에 따른 기업의 외환보유 급감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

- 아울러 중국이 지속적으로 세계 결제시장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선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위안화 약세기조를 억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 일본

ㅇ 일본은행, 경기판단을 상향 조정·장단기 금리목표와 국채매입액은 유지(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통화정책회의에서 현 마이너스 0.1%의 단기금리와 0%의 장기금리 목표가 축인 통화정책 유지를 결정. 국채매입액도 연간 80조엔을 목표로 보유잔고를 증가시키는 속도를 지속, 아울러 해외경제, 수출, 생산 등의 회복을 배경으로 경기판단을 상향 조정

- 경기판단은 완만한 회복 기조를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 기존에는 신흥국 경제의 감속 등의 영향으로 수출·생산의 둔화가 있었으나, 신흥국 경제 감속으로 인한 수출과 생산은 개선되었다고 지적

- 향후 경기도 완만한 확대로 전환될 것이라고 조정했으나, 물가판단은 그대로 유지. 소비자물가(신선식품 제외)는 전년대비로 소폭의 마이너스로 보고, 향후에도 당분간 소폭의 마이너스 혹은 0% 정도로 움직일 것으로 판단

- 리스크 요인으로는 신흥국 동향, 미국의 경제동향과 통화정책 운용, 브렉시트 문제, 금융부문을 포함한 유럽 부채문제의 전개,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언급 

- 일본은행은 앞으로 경제·물가·금융상황을 기초로 물가안정 목표를 위한 모멘텀 유지차원에서 필요한 정책조정을 실시할 방침

ㅇ 정부, 2017년 실질 성장률 전망치 1.5% 등 주요 지표 예상치 제시(로이터, 닛케이)

- 내년 성장률은 2016년 성장률 1.3%에서 상향 조정. 명목 경제성장률은 2.5%로 정부가 8월 결정한 경제대책 등으로 민간 수요 중심의 경기회복을 예상. 물가는 수급불균형으로 1.1%의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

- 개인소비는 고용과 소득 여건의 개선으로 완만하게 늘어나 2016년 0.7%에서 0.8%로 증가율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 설비투자도 기업수익 개선으로 3.4%의 증가율을 제시. 미래 리스크로는 해외경제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 등을 지적

ㅇ 11월 백화점 매출, 전년동월비 –2.4%로 9개월 연속 감소세(닛케이)

- 백화점협회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매출액은 5257억엔으로 휴일 감소에 따른 방문객 저조와 의류판매(-2.4%) 부진 등이 기인. 편의점 매출의 경우 전년동월비 0.5% 늘어난 7734억엔으로 2개월 연속 증가세

ㅇ 금융청, 미국 금리 상승을 우려하여 은행권의 긴급 조사 실시(닛케이)

- 최근 미국 금리가 상승하면서 일본 금융청은 자국 은행이 보유하는 채권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방침. 이를 위해 은행권에 긴급 조사를 실시하여 손실을 방지하고 저금리 기조를 전제로 경영의 재검토를 촉구

- 미국 대선 이전 1.8%이었던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2.6%로 상승하고 일본의 신규발행 10년 만기 국채금리도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도입한 지 11개월 만에 0.1%로 최고치. 이는 장단기 금리의 차이로 수익을 얻는 은행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이지만 채권가치가 감소하는 부작용 내재

- 금융청은 금리상승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옵션거래와 채권 매매를 통해 높은 수익률의 채권에 다시 투자하는 방식을 채택. 이는 금리상승의 손실 방지에 기여할 전망 

- 금융청은 명확한 대책 없이 대외 경기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은행들이 적지 않음을 지적. 특히 외채 보유가 많은 지방은행에 향후 시장 전망과 변화에 순응할 수 있는 대응책 마련을 촉구. 또한 신흥국 대상의 대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을 요구

- 또한 업무운영 원칙에 관한 보고서에서 금융기관이 모든 금융상품의 수수료를 일반 고객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 이는 2016년 3월말 기준 국내 상위 5개 펀드의 평균 판매 수수료가 3.20%로 미국(0.59%)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는 통계청 조사에 근거

- 이에 시장 전문가들은 고객의 편의를 중시한 방침이지만 금융기관의 부담 증가와 수익 압박 원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 리소나(りそな)은행은 금융상품 수수료를 재검토해 내년 4월부터 새로운 수수료를 적용할 방침

- 리소나 은행의 후미히로 요시오카(吉岡史博), 지금까지 시세와 경쟁업체 동향에 근거해 수수료를 결정했다며, 검토 후 고객들에게 공개하겠다고 언급. Monex 증권의 오츠키(大槻), 수수료 공개는 개인고객의 투자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

ㅇ 아베총리, 비정규직 처우 개선이 근로방식 개혁의 우선순위(로이터)

- 정부는 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하고 여성과 청소년에게 다양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노동·동일임금을 도입할 방침

- 기업들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에게 미래에 기대하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 임금을 지급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정부는 주관적 이유에 불과하고 임금 차이는 불합리하다고 지적

- 일하는방식개혁실현회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방침은 가이드라인으로 강제력이 없음을 지적. 정부는 내년 초 노동법 개정안 작업에 임할 것을 표명. 다만 지침이 실효성을 확보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

ㅇ 2017년 세입, 2조엔으로 6년 만에 최고치(닛케이)

- 2017년 예산안 외환보유액의 세입은 2016년도(1조6천억엔)보다 늘어난 2조엔으로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 이는 높은 미국 국채 금리와 엔화 약세에 따라 배당금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 다만 기업 실적이 부진하면서 세입 증가 속도가 감소

- 정부는 2017년 예산안 세출 총액을 97조4500억엔으로 전망. 세입예산은 세수가 57조7100억엔으로 전망하며 작년대비 1100억엔 증가

- 트럼프 당선인의 재정지출 확대와 대규모 감세 정책으로 미국 금리가 상승하고 외환 자금의 운용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2016년 운용이익은 2.8조엔으로 추정하여 60%를 세입에 반영했고 정부는 세입의 비율을 늘릴 전망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터키 중앙은행, 시장예상과 달리 기준금리 8.0%로 동결(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리라화 가치 하락 등을 배경으로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시장예상과는 달리 7일물 레포금리, 익일물 대출금리, 익일물 차입금리는 각각 8.0%, 8.5%, 7.25%로 현행 수준을 유지

- 경기부양을 위해 Erdogan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만, 유가 상승,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환율의 변동성 위험이 높은 상황으로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방침

ㅇ 대만 11월 수출수주, 전년동월비 7%로 4개월 연속 증가세(로이터, 닛케이)

- 재정부에 따르면, 전자부품과 정보통신기술 분야 수주가 각각 전년동월비 10.1%, 6.9% 늘어나면서 전체 수출 수주 증가에 견인. 지역별로는 중국, 미국은 전년동월비 12.0%, 10.1% 오른 반면 일본은 0.4% 감소

- 수출지표 호조로 오는 22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으로 동결할 가능성이 증대

ㅇ 호주, 경기에 신중하면서 낙관적 정책 균형을 중시(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12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을 공표. 3/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였지만, 경기전망은 신중과 낙관을 견지하여 당분간 금리인하를 보류할 방침. 통화정책 완화 효과와 개인 차입 유인 확대는 균형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 아울러 노동시장의 유휴노동력이 존재하여 노동비용 압력 억제 요인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 이는 물가상승률이 정상적 수준으로 회귀할 때까지 낮은 수준에 머물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석

ㅇ 원유 투자자, OPEC 감산합의로 낙관적 기대가 고조(블룸버그)

- 자산운용사에 의한 WTI 상승을 기대하는 매입잔액은 2014년 7월 이후 높은 수준에 근접했으며, 내년 감산에 의해 전세계 원유재고 과잉이 감소한다는 관측을 배경으로 유가는 상승세

- 에너지 관련 투자에 중점을 두는 헤지펀드인 Again Capital의 John Kilduff, OPEC과 비가입국의 합의로, 시장의 전망은 공급이 빠른 속도로 줄어든다는 견해에 일치.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유가상승을 예상하고 있다고 주장

-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에 의하면, 헤지펀드에 의한 WTI 상승을 예상한 매입 규모는 증가세를 보인 반면 매도 포지션은 큰 폭으로 감소하여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집계

ㅇ 세계 다이아몬드 업계, 중국 밀레니엄 세대 여성에 주목(블룸버그)

- 드비어스에 따르면, 세계 최대인구를 보유한 중국에서 밀레니엄 세대 여성은 작년 다이아몬드 장식 매출에서 68%, 67억6000만달러를 차지

ㅇ 캐나다 10월 도매매출, 전월비 1.1%로 5월 이후 증가폭 최대(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도매매출은 566억캐나다달러로 상승률이 시장예상(0.5%)을 상회. 목재와 철물 등 건축자재가 5.6% 늘어나 도매매출 증가세를 주도


■ 미국

ㅇ 제조업 일자리 창출, 자유무역 확대가 효율적(WSJ)

- 트럼프 차기 대통력의 보호무역정책은 1930년에 제정된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유사. 이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여 세계 각국의 보복조치를 유발하였으며, 이로 인해 미국무역은 40% 감소

-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탈퇴 필요성을 주장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자국 국민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고 비난. 멕시코와 중국에 대해서도 고율관세 부과를 시사

- Cato 연구소, 미국의 고관세 부과정책은 국제 무역시스템의 붕괴를 초래. 1930년대와 달리 미국 수입품의 절반은 단가가 낮은 중간재가 차지하여,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 또한 1930년대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보호무역에 대응한 일본의 관세인상을 시작으로 여타 국가들도 수입관세를 높일 경우 전세계 교역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편

- 상품무역수지 적자의 80%가 대중교역에서 발생하나, 미국의 가계와 기업은 저렴한 가격의 상품공급이 가능해졌고 대미교역에서 발생한 중국의 달러 자본은 미국 주식과 채권 등의 금융시장으로 재유입 

-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서비스 교역에서는 2680억달러의 흑자가 발생하여, 이를 감안하면 실질적인 대중 무역수지 적자는 5000억달러로 축소

-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의 주된 원인은 자유무역이 아닌 기술혁신. 2001~13년 민간부문의 고용감소는 연간 1250만명에 달하나, 그 중 교역개방에 따른 감소규모는 33만명에 불과

- 시장개방 확대를 통한 해외기업의 투자유인 제고가 고용창출에 중요. 2015년 미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3000억달러를 상회. 12월 소프트뱅크그룹은 미국기업에 500억달러를 투자하고 5만명의 신규고용 창출에 합의 

- 프레이져 연구소에 따르면, 무역자유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국민 1인당 소득과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 무역자유도 상위 25% 이내 국가의 최저소득 수준은 무역자유도 하위 25%의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 2014년 미국(7.56)의 무역자유도는 159개국 중에서 60위로 상위 25%에 포함되지 않으며, 캐나다(7.83), 일본(7.67)보다 낮은 수준

ㅇ 트럼프의 정치 행보, 중국식 통치법과 유사하다는 평가(로이터)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중국을 비판해왔지만, 국수주의, 정치적 라이벌에 대한 태도, 경제성장과 무역수지 적자 축소에 대한 집착, 언론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 태도 등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을 비롯한 과거 중국 지도자들의 방침과 공통점이 많은 것으로 평가

- 감세 정책과 인프라 지출 정책 등은 금융위기 당시 중국이 공항과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하여 경기를 견조한 상태로 유지한 것과 유사하며, 인프라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은행에 저금리 대출을 요구한다는 점도 과거 중국의 방식과 유사

- 민간 기업 경영에 적극 개입해 고용의 해외 이전을 저지하는 산업정책이나, 최근 중국의 통화정책과 남중국해 세력 확대 등에 대해 보였던 감정적인 외교정책 역시 중국과 비슷하다는 평가

- 미국 대통령은 헌법에 의해 행정권 행사에 제약을 받으며 4년마다 선거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중국 공산당의 권력과 차이가 있지만, 향후 트럼프의 권위주의적 행보는 과거 마오쩌둥(毛澤東)과 공통점이 많을 가능성


■ 유럽

ㅇ 유럽위원회, 그리스에 대한 구제금융 조치 중단으로 부채상환 난항 우려(FT, 로이터)

- 그리스 치프라스 총리가 저소득층 연금 수급자에게 6억1700만유로 지급을 결정한 가운데 유럽위원회는 그리스가 EU와의 협의 없이 독단적으로 재정지출을 늘리는 행위를 용인하기 어렵다는 입장

- 위원회가 450억유로 규모에 달하는 단기적 채무경감조치를 유보하면서 그리스 채무위기의 혼란이 가중될 전망이며, 협상은 내년 1월 재개

- 구제금융 지원조건에 따르면 지출계획에 변화가 있을 경우 사전에 공지해야 할 의무 존재. 독일 정부는 이번 행위가 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유럽위원회, IMF, ESM 에게 평가를 요청. 독일 쇼이블레 재무장관은 각국이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유로존은 붕괴할 수 있다고 경고

- 피에르 모스코비치 EU 집행위원, 부채경감 초지는 향후 44년간 그리스 채무부담을 20%p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리스 경제회복에 필수적이라고 언급. 구제금융 자금투입이 지연될 경우 내년 7월 예정된 부채상환에 난항이 예상

ㅇ 유럽위원회·애플, 우대세제 관련 대립 심화(닛케이)

- 유럽위원회는 지난 19일 애플 유럽본사가 아일랜드로부터 2003~14년에 받은 우대세제가 특정 기업에 대한 국가보조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애플에 최대 130억유로의 추가과세를 부과하였으며, 애플은 이에 불복하고 유럽사법재판소에 제소할 전망

- 아일랜드 법인세율은 12.5% 정도이지만 애플의 실질 법인세율은 2014년에 0.005%까지 하락. 유럽위원회에서 이를 국가보조로 판단한 것에 대해 애플은 제도의 자의적 적용이라고 비판. 아일랜드 정부도 11월 유럽사법재판소에 유럽위원회 결정에 불복하여 제소

- 향후 초점은 유럽위원회가 주장하는 국가보조의 인정 여부. 유럽위원회는 애플의 법령 위반을 주장하고 있지 않은 상황. 다만 EU 회원국이 특정기업을 특별 취급하여 다른 기업과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내용을 국가보조에 해당한다고 지적

- 반면 아일랜드와 애플은 다른 기업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된 세제혜택을 특별대우라고 판단해서는 곤란하다는 입장. 이에 아일랜드는 유럽위원회의 방침이 아일랜드 법인세 주권과 조화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

- 이에 아일랜드는 유럽위원회가 자국의 과세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문서를 공표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위원회와 역내 각국의 관련 세법을 둘러싼 갈등은 장기화될 소지

ㅇ 영국, 관세동맹 잔류로 단일시장 접근 상실의 경제적 비용 축소 가능(FT)

- 폭스 국제통상장관이 역외 수입품에 대해 동일관세를 적용하는 관세동맹에 잔류할 가능성을 보이면서 시장 우려가 완화되었으나, 장기적으로는 단일시장 접근 유지가 유일한 대안

- 영국 정부가 이민규제를 최우선으로 하는 가운데 EU 국가들은 자유무역과 자유로운 이동은 불가분이라는 견해를 유지하여, 관세동맹은 현재 시점에서 최적의 절충안

- 영국이 양자간 자유무역협정을 도모하더라도 EU 탈퇴에 따른 손실이 상쇄될 수준의 우호적 합의조건 도출은 기대난. 영국의 제3국에 대한 상품관세 인하와 제품기준의 변경은 최대수출 시장인 EU와의 교역갈등으로 이어질 소지

- 영국 경제의 경쟁력은 서비스업으로 단일시장 접근 상실에 따른 관련 부문의 손실이 양자 간 협정을 통한 상품교역의 이익을 상회할 가능성이 높은 편


■ 중국

ㅇ 채권시장, 유동성 축소의 취약성 노출(블룸버그)

- 레버리지와 부채 상환만기가 불일치함에 따라 채권 판매체인을 형성한 채권시장의 취약점이 노출. 이에 채권시장에서 버블이 형성될 우려가 확산.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 전망에 따라 유동성 공급 압력이 증가하고 채권선물 가격은 지난주 큰 폭으로 하락

- 이는 채권시장의 판매대상인 은행, 투자회사, 증권회사에 연쇄반응을 초래. 리스크의 대부분이 은행에 적합한 자산운용상품을 운용하는 투자회사의 전략에 기인하기 때문. 투자회사는 차입한 단기자금을 채권투자로 충당

- 이러한 전략은 낮은 단기금리와 유동성 긴축 정책으로 수익성이 있었지만 대출 자금의 상환이 도래하면서, 투자회사의 보유자산 축소를 통해 파생상품 손실 회피를 강요

- 핑안증권(平安証券)의 Shi Lei, 은행이 투자회사에 위탁하고 있기 때문에 자금 상환 만기가 도래하면서 연쇄 반응이 초래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지적. OCBC 은행의 Tommy Xie, 채권시장의 붕괴는 신용부족의 결과라고 언급하며, 신용 회복에 장기간이 소요될 것을 예상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정치여건 변화로 투자 계획 재검토(WSJ)

- 9·11 테러 피해자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를 제소하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고 관련 법안을 지지하는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람코의 상장과 국부펀드 운용에 있어서 투자 전략을 전면 재검토

- 오바마 대통령은 해당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으나, 지난 9월 의회가 재차 의결을 통해 법률안 통과 강행. 트럼프 당선자는 선거 유세 당시에 해당 법안에 서명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어 향후 법안의 적용 여부를 두고 불확실성 확대

- 또한 트럼프의 고문인 Harold Hamm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소유하고 있는 미국 정유회사가 미국산 대신 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만 사용한다며, 사우디의 석유화학 부문 사업 확대를 제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트럼프 정권의 중동 전략에 우려 확산

- 세계 최대 석유회사인 아람코는 2017~18년 IPO를 통해 1000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 사상 최대 규모의 IPO인 만큼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이 유력했으나, 미국 내 자산이 늘어나면 향후 법적인 판단에 따라 압류 등의 가능성이 있어 런던거래소 등과 교섭을 전개

ㅇ OPEC, 재고 소진을 위해서는 아시아 공급량 감축 필요(로이터)

-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UAE 등 감산에 나선 산유국들은 미국과 유럽 정유사에 1월분 원유 공급량 삭감을 통보. 반면 아시아 정유사에는 공급을 유지하며, 이라크는 오히려 아시아 수출을 확대할 계획

- 이는 OPEC 수출의 2/3을 차지하는 아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유지를 위한 것으로, Energy Aspects의 Virendra Chauhan은 미국 석유회사 등 경쟁자가 아시아에 수출하는 대신 자국 내 수요를 보충하는 것이 OPEC의 의도라고 설명

- 그러나 아시아의 원유 재고량은 중국이 2억3980만배럴, 한국이 3530만배럴, 일본이 9120만배럴로, 미국의 4억8300만배럴에는 못 미치나 매우 높은 수준. 아시아에 원유 공급량을 줄이지 않으면 OPEC의 재고 감축 전략에 지장 예상

- Phillip Futures의 Jonathan Chan, 세계적으로 원유 재고량은 10억배럴 수준으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을 위해서는 재고 소진이 먼저 필요하다고 지적

ㅇ 나이지리아 통화정책, 변동환율제와 기준금리의 대폭 인상이 필요(FT)

- 금년 3/4분기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률은 전기비연율 –2.24%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경기 침체 지속. 한편 작년 5월 9% 수준이던 물가상승률은 금년 9월 17.8%까지 올라 경제운영의 어려움이 확대

- 중앙은행은 지난 6월 외환보유액 부족으로 달러 페그제를 포기하고 부분적인 변동환율제를 채택했으나, 공식환율과 시장환율의 괴리는 여전히 큰 편. 중앙은행의 외환 및 금리 정책에 일관성이 없어 시장 혼란 가중

- 통화정책의 독립성과 자본 이동성 모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변동환율제로 이행이 필요하며, 이후 환율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통화 정책을 유지하고 IMF와 협상을 통해 260억달러의 예비자금을 대출받는 것이 선행 조건

- 또한 인플레이션 상승폭만큼 기준금리를 인상시켜야 한다는 테일러 규칙에 따라 기준금리를 현행(14%)보다 대폭 올리면, 물가를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고금리로 해외 자본을 유치할 수 있어 경기 부양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