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통화팽창과 인플레이션 관계를 알기 쉽게 알아보자

by 성공의문 2021. 11. 14.

1)통화가 늘어나면 사람들은 뭘할까?
2)사람은 뭘하기 위해서 통화를 늘릴까?

1)번에 질문에 답하면
늘어난 통화로 자산, 내구소비재, 즉시소비재를 골고루 다 사는 것이 아니다

자산 -> 내구소비재 -> 즉시소비재
순으로 지출할 것이다

돈이 2배로 늘어난다고 하루에 3번 먹던 밥을 6번 먹지 않는다. 다만 평소에 못사던 사치재를 사고 싶을 수는 있겠다. 평소에 못하던 내구재를 살 수도 있겠고, 그리고 남는 돈은 저축 또는 자산 구매를 할 거다.

자산 구매라는 거는 미래소비를 위해 구매력을 저장하는 행위이다. 지금 배터지게 먹고 남는 바나나는 저장해 둘 수 밖에. 바나나는 잘 썩으니까 내구재 또는 썩지 않는 자산에 저장해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할 거다.

2)번 질문에 답하자면
통화를 늘린다는 것은 부채를 만든다는 거다. 즉시 소비를 위해 돈을 빌리는 경우는 드물거다. (최소 소비액도 못 버는 경우는 빌리려서라도 소비를 하려고 하겠지만 이 경우는 대부자가 돈을 안 빌려 줄거다)

고가 내구재를 사기 위해 돈을 빌릴 수는 있겠다. 부채라는 것이 미래 내가 벌 캐쉬플로우를 미리 땡겨오는 행위이다. 내구소비재를 사는 행위는 흔히 자신의 미래 영업 프리캐쉬플로우를 미리 땡겨와서 사게된다.

내구소비재보다도 부채의 역할이 더 큰데가 자산시장이다. 부채의 대부분이 자산을 사기위해 돈을 빌리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미래의 투자현금흐름을 예상해서 자산 매입을 위한 대출 여부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통화팽창은 자산시장의 수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걸 알 수 있다. 소비재 시장의 수요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산 소득이 는 다음 내구재 소비가 는다 든지, 임금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상승이 기대될 때 내구재 소비가 늘 것이다. 즉시 소비재 가격이 오르는 것은 세상 모든 사람의 소득이 늘고 난 다음 일 것이다.

-

우리나라는 일년에 1000억불씩 흑자를 벌써 오랜기간 내고 있는데 이 돈들이 우리나라 물가를 어느정도나 올릴까요? 해외에서 이 돈이 계속들어오면 이 돈만 가지고도 자산가격을 올리는 효과가 꽤 될것 같습니다만. 주식 부동산..이런것을 올리는 효과는 미미한가요?

1000억불은 큰 돈이고 분명히 물가에는 +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기여할 건지는 좀 더 뜯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물가는 소비재 가격입니다. 따라서 1000억불이 모두 소비재 수요로 갈지를 봐야겠습니다. 자산 구매로도 많이 가겠지요.
현재 한국 경제수준에서는 통화팽창이 소비재 가격보다는 자산가격에 더 큰 영향을 줄 거 같습니다. 그럼 흑자 1000억불이 자산가격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냐를 보아야 겠는데요. 분명히 +의 효과가 있겠지만 항상 맞는 건 아닌게 흑자 1000억불이 모두 통화량 증가로 이어질거냐도 보아야 합니다.
1000억불이 모두 한국 자산에 투자될지 해외 자산에 투자될지도 보야야 하구요. 또 자본시장의 규모가 무역시장 규모보다 훨씬 크다는 것도 염두에 두셔야 할 듯합니다. (통화량의 단기 전망에서는 무역수지보다 자본수지의 영향이 더 큽니다)

재화의 생산을 통해 얻어진 재화는 통화팽창의 인플레효과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재화의 생산량보다 더 많은 양의 통화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질때 자산가치가 변동하는 인플레가 발생합니다.

-

좋은 통찰 감사드립니다. 한편 저는 가격변화의 효과 분석에 나오는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생각납니다. 화폐 역시 수요되는 재화 중 하나라고 본다면 화폐가 더 싸질수록 대체효과와 소득효과가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체효과는 실질소득 고정시, 소비재간의 가격에 따른 소비의 변동, 소득효과는 실질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량의 변동을 말하는 거 같습니다. 이는 특히 즉시소비재 내에서의 소비행위를 관찰할 때 유용할 거 같습니다. 제가 본문에서 말씀드린 것은 이런 개별 소비행위의 양태가 아니라 소득증가 시 즉시소비재, 내구소비재, 자산 구매 중 어느 쪽의 구매가 증가할 것인가를 본 것입니다.
본문에서는 소득이 늘면 자산구매가 늘 것이라고 했지만 좀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경제발전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경제 후진국의 경우에는 즉시 소비재도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통화량이 늘면 즉시 소비재 수요가 늘고, 이는 즉시 소비재 가격 상승을 부를 것입니다. 그 다음에 내구소비재 소비가 늘거고요, 내구소비재 소비가 어느정도 찬 다음 자산구매가 늘 것입니다.

본문 내용이 지금 한국사람들에게 잘 이해되는 것은 한국경제가 이미 즉시소비, 내구소비를 넘어 자산축적의 단계에 다다랐기 때문일 것입니다^^

좋은 분석이십니다. 저는 그런 변화가 인플레로 인한 실질가치 변화에 따른 화폐에 대한 수요 변화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 것입니다. 대체효과와 소득효과는 수요곡선의 유도에서 분석되는 것이니까요. 화폐의 실질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은 화폐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화폐라는 재화가 상대적으로 싸져서 더 많이 수요되는 대체효과 및 소득효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죠. 요즘 자산 구매를 위한 대출의 급증도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브릴련트한 생각이십니다!!
화폐도 하나의 재화로 보고 대체효과, 소득효과를 적용할 수 있겠네요. 다만 화폐는 다른 재화와는 다른 특이한 면도 있는 거 같습니다. 화폐량이 2배 늘어난다고 효용이 2배 늘어나는 건 아니거든요.
사과 가격이 떨어지면 100원에 사과 1개 사던걸 100원에 사과 2개 살 수 있고, 효용이 2배되는 거지만 사과 1개에 100원 획득하던 걸, 사과 1개에 200원 획득한다고 해서, 효용이 2배 느는 건 아니거든요. 사과 대비 돈이 더 싸졌다고 돈이 더 가지고 싶어지는 건 아닐 거 같습니다.

이런게 대체효과, 소득효과에 어떻게 작용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군요. 하긴 화폐에 대한 수요는 일종의 파생적 수요니까요. 그것도 궁극적인 생존에 대한 수요로부터 파생되는 소비 수요를 위한 2차적 파생수요죠.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다만 화폐의 타 재화 또는 자산에 대한 대체효과 내지 대체탄력성, 소득효과 내지 소득탄력성은 생각해 볼 만한 주제일 것 같습니다.

케언즈는 화폐수요를 거래수단으로서의 수요와 가치저장 수요 2가지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가치저장 수요에서는 타 자산에 대한 대체효과가 고려되겠습니다.
이건 사족이겠습니다만 흔히 대출 수요를 화폐보유 수요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데
대출 수요와 화폐 보유 수요는 반대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화폐 보유 수요는 화폐가치 상승이 기대될 때 대출 수요는 화폐가치 하락이 기대될 때 나타납니다.

과연 그렇군요. 분명 대출수요는 화폐보유수요와는 달리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대출받은 사람이 이를 상환하기 위해서 뭔가 더 수익성 있는 투자를 안 하고 보유만 하고 있는 상태는 뭔가 비정상적일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뭔가 다른 이유가 있겠습니다. ^^

출처: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