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를 입력해 주세요.306 머위가 돋아나기 시작했다. 여기저기 마구마구 머위싹이 돋아나고 있다. 한차례 뜯어서 나물로 먹었는데 머위 특유의 쓴맛이 강했다. 새싹은 조금 덜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 역시 머위는 쓴맛이 강하다. 어머니는 하루정도 물에 담가 놓아 쓴맛을 조금 빼고 나물로 무쳐 먹는다고 하셨지만 나는 쓴맛을 좋아해서 바로 무쳐서 먹었다. 햇빛이 많이 드는 양지쪽에 많이 올라왔고, 음지쪽은 이제 싹이 돋아나고 있다. 땅을 따라 흐르는 냇가가 물도 많고 길어서 머위가 아주 많다. 작년에는 묵은 땅쪽이 너무 우거져서 가보지 못했는데 겨울에 정리를 하고 이번에 올라가보니 머위밭이 아주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올 봄은 부지런히 캐서 먹어야 겠다. 근데 넘 자주 많이 먹으면 질리기도 하지만 약간의 중독증상 비슷한게 있으니 무엇이든 적당히 먹어야 한다. 쑥.. 2012. 4. 5. 개구리알이 여기저기 한가득이다. 논이 천수답이라 비가 와야 물이 고인다. 그래도 며칠 지나면 물이 다 빠져나가는데, 이번에 비가 연달이 오며 물이 고이자 기다렸다는 듯이 개구리들이 곳곳에 알을 푸짐히 ^^ 낳았다. 그리고 이번에 심은 나무들을 둘러보며 천천히 걷고 있으니 뭔가 스스슥 지나가길래 근처를 밟아보니 또 스스슥 움직이며 피하길래 자세히 살펴보니 쥐 종류인데, 들쥐인지 두더지인지는 자세히 보지 못했다. 그저 나와 함께 이곳에 터를 잡고 공생하는 생물이구나 하며~ ^^ 다시 나의 임무로 돌아가서 나무들을 면밀히 살피며 잘 활착하고 있는지 점검했다. 개구리와 개구리알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개구리알에 대한 효능에 대해 아래 기사를 살펴보고 옛 문헌들을 살펴보자. 개구리 알세포에 들어있는 성분에 바탕을 둔 합성 물질이 뇌종양 치료에 .. 2012. 4. 5. 작년에 심은 구근에서 수선화가 피었다. 작년 봄에 집안에 식물이 너무 많아 논에 옮겨 심는 작업을 했다. 수선화도 거기에 끼어 화분에 있는 구근을 그대로 옮겨 심었는데, 그 후 잡초가 완전히 뒤덮어버려 어디에 심었는지 찾을 수 없을 정도였다. 풀에 치여서 생을 마감했나 싶었는데 봄이 오니 이렇듯 살아있음을 신고한다. 서비스로 노란 꽃을 보여주기까지. ^^ 귀여운 녀석!!! 하지만 첫 야생이라 그런지 집에서 키울 때보다 꽃대도 짧고 꽃봉오리도 보이질 않는다. 올해는 이것으로 신고를 마칠 계획인가. 수선화가 보이니 조금 부실한 구근을 심기는 했지만 후리지아도 기대가 된다. 땅을 뚫고 나~ 살아있어요~ 하며 꽃을 피울지. 수선화에 대해 알아보자 . 수선화 [水仙花]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백합목 원산지 -.. 2012. 4. 5. 수세미오이 Luffa cylindrica 수세미오이Smooth Loofah, Luffa cylindrica천라(天羅), 사과락(絲瓜絡) 수세미오이 [ Smooth Loofah ]학명 - Luffa cylindrica생물학적 분류 -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박과특징적 분류 - 덩굴식물, 식용식물, 약용식물, 허브식물원산지 - 아시아, 아프리카크기와 너비 - 크기 15m용도 - 미용제속명의 Lufta는 ‘수세미오이’의 아랍명으로부터 유래.특징15m 정도로 뻗어나가는 덩굴성 1년초다.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올라가고 덩굴에 능선이 있다. 잎의 길이는 13~30cm로 얕게 장상(掌狀)으로 갈라진다. 열편(裂片)은 끝이 뾰족하고 거칠며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핀다. 웅화서는 총상이며 암꽃은 1개 달리고 화관(花冠)은 5개로 갈라진다. .. 2012. 4. 3. 뽕나무 Morus alba 뽕나무Morus bombycis, Morus alba, Morus cathayana상심(桑椹)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 뽕나무과의 낙엽소교목학명 : Morus bombycis Koidz. var. bombycis분류 : 뽕나무과서식장소 : 산지나 논밭둑 나무의 생태높이 7~8m로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며 작은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고 점차 검은빛을 띤 갈색이 된다.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뒷면 주맥 위에 털이 약간 나며 끝이 꼬리처럼 길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거나 웅성화로서 5월에 피며 열매는 집합과로서 6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으며, 육질로 되는 화피가 합쳐져서 1개의 열매처럼 된다. 한국 · 일본 · 중국 · 타이완 · 사할린섬 .. 2012. 4. 3. 이름모를 풀꽃들 봄이 오나보다. 여기저기 풀들의 새싹이 땅위로 솟구치고 있다. 그 중에 봄에 꽃을 피우는 풀들이 눈에 띈다. 하지만 아직 초보농부라 그런지 모르는게 너무 많다. ^^ 2012. 4. 3.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