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306

히어리꽃이 만개했다. 히어리는 작년 땅을 살펴보던 중 처음보는 나무 열매가 있어 자료를 찾던 중 알게 된 나무다. 관목으로 알고 있어서 작은 나무만을 생각했었는데 이 나무처럼 높이가 5m 넘는 것들이 있을 줄은 미처 생각지 못했다.꽃도 특이하고 열매도 특이하고 ^^ 특이하다고 이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여러모로 마음이 가는 나무다. 나무 아래에서 하늘을 올려다 보니 너무 좋았으나 사진으로는 담아낼 수가 없다. 특히 휴대폰카메라로는 ^^; 히어리에 대해 알아보면,히어리는 조록나무과 식물로, 갈잎 떨기나무이다. 학명은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이다.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하지만 광교산에서도 발견되었고, 광교산보다 북.. 2012. 4. 3.
산겨릅나무 겨울눈에서 새순이 힘차게 내밀고 나왔다. 나무를 심고 순이 나기를 기다리는 건 설레이기도 하지만 조급한 마음에 걱정이 되기도 한다. 그러다 이렇게 새순이 뽀송한 겨울눈을 힘차게 뚫고 나오는 모습을 보면 아주 기분이 좋다. ^^ 나무마다 각자의 개성을 지니고 있어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몸살없이 잘 크기를 바란다. 산겨릅나무 생태및 효능 자료 2012. 4. 3.
8시간 수면의 진실과 역사 8시간 수면 신화 By Stephanie Hegarty 자다가 한밤중에 깨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 이게 오히려 좋은 현상일 수도 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각종 연구결과와 역사의 기록에 따르면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다고 한다. 지난 1990년대 초, Thomas Wehr라는 정신과 의사는 한 달 동안 실험 참가자들이 하루 14시간 동안 어둠 속에서 생활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들의 새로운 수면 패턴이 나타나는 데 시간이 좀 걸리기는 했지만, 4주차가 되자 안정적인 패턴이 보이기 시작했다. 4시간 동안 수면을 취했다가 깨어나 1~2시간 동안 활동하다가, 다시 4시간 수면을 취하는 패턴이었다. 수면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은 .. 2012. 4. 3.
사회의 역설과 인생의 교훈 Moorehead Bob - Amazon.com 오늘날 우리 사회의 패러독스가 뭔지 아십니까? 건물은 더욱 높아졌지만, 참을성은 줄어들었습니다. 고속도로는 넓어졌지만, 시각은 좁아졌습니다. 더 많이 소비하지만 가진 것은 줄어들었고, 더 많이 구매하지만 더 적게 즐기고 있습니다. 집은 더 커졌지만 가족은 더 작아졌고, 생활이 더 편리해졌지만 시간은 더 줄어들었습니다. 학위는 더 많아졌지만 상식은 줄어들었고, 지식도 많아졌지만 판단력은 흐려졌고, 전문가들이 많아졌지만 문제는 더 많아졌고, 약의 종류가 증가했지만 건강은 악화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너무 많은 술을 마시고, 너무 많은 담배를 피워대고, 너무 무절제하게 소비하고, 너무 웃음에 인색하고, 너무 빠르게 운전하고, 너무 화를 많이 내고, 너무 늦게 취침.. 2012. 4. 3.
왜 깨어나지 못하는가? 사진: http://justingraymorgan.com 혼란에 빠진 쥐들의 무리처럼 현실과 환상의 간격을 극복하지 못하는 사람들세상 돌아가는 일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왜 그토록 많은지 궁금해 해본 적이 있으신가? 태평양을 건너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는 방사능과 독성 쓰레기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이 왜 이렇게 드물까? 멕시코 만 원유 유출사고의 끔찍한 참상과 독성 해산물이 식탁에 놓여지는 일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들은 왜 당사자들인 지역 주민들 뿐일까?조지 오웰이 내다봤던 경찰 국가가 정착되고, 경제가 붕괴하고, 국가 지도자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하와이의 해변에서 여유를 즐기는 동안, 미국 국민들은 자신들의 건강, 재산, 그리고 생존에 가해지고 있는 위험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2.. 2012. 4. 3.
난방비 걱정없는 비닐하우스 - 중국 무가온 비닐하우스 난방비 제로, 중국 무가온 비닐하우스 인접 바닷물도 얼어붙는 매서운 추위에서도 인위적 가온을 전혀 하지 않는 중국 수광시의 하우스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것이 첨단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중국 청도 수광시) 자닮은 2011년을 깃점으로 중국과 일본에 농업현장을 자주 소개할 계획이다. 농산물 수입방에 앞서 상대국에 대한 농업방식과 기술을 소개하여 수입개방에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에서다. 중국의 산동성 중부에 있는 수광(壽光)시는 중국 북부 최대의 과채산지로 중국의 과채가격이 이곳에서 거의 결정될 정도로 생산규모가 크다. 또한 이곳에서 생산되는 과채는 한국과 일본 등 세계로 수출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채소류도 거의 이곳에서 들여오고 있다. 사진에서 보듯 주변부가 거의 모두 하우스.. 2012.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