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렐리기우스1 공감적 인간, 샤먼 · 상처받은 치유자들 - 사회적 진보 · 통합 ············ 한국의 샤머니즘은 고대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대마다 불교, 유교, 기독교 등의 종교적 외피를 입고 습합(習合)돼왔다. 변천과정에서도 샤머니즘의 역할과 기능은 각 시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 고대시대(신석기-삼국시대)의 샤머니즘은 정치, 사회, 개인을 포괄하는 공적 문화였으나, 중세시대(남북국시대-조선중기)의 샤머니즘은 사회, 개인의 범주로 축소돼 기능했다. 근대 · 현대시대(조선중기-현대)의 샤머니즘은 주로 개인의 길흉화복에 초점을 맞추는 기복신앙으로 변화해 왔다. ············ 네오샤머니즘은 고전샤머니즘과 공통의 종교적 유산을 공유하면서 현대인의 진화된 종교문화적 세계관과 인간의 다양한 의식변형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영성운동이다... 2019. 2.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