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비료2 1950년대와 1990년대 작물의 영양소 차이 1950년대와 1990년대 작물의 영양소 차이가 충격적이네요... 자료를 찾아보면 화학비료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농사에 사용된 시기와 작물의 영양소가 급격히 떨어지는 시기가 맞아떨어집니다. 안타까운 것은 지금도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주위를 보면 농지 한켠엔 어김없이 비료포대가 쌓여있고 속성발효퇴비는 어김없이 마을단위로 대량 배달되니 말입니다... 텃밭 조차도 예외가 아닌 현실은 더 큰 충격이죠;; 1950년대에 시금치 1단, 당근 1개, 귤 1개에 들어있던 영양소가, 1990~2000년대에는 시금치 19단, 당근 10개, 귤 20개를 먹어야 같은 양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다는 사실... 그래서 과식을 하는 거인지... ^^;;; 모아놓으니 엄청나죠? ㅎㅎ 그리고 국내에서 재배하는 시금.. 2013. 6. 14. 흙을 살리는 방법에 대한 고민 이 대목에서 "흙을 살리자"는 구호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흙을 살리자고 할 때 흙의 어떤 면을 살리자는 것인가? 그 동안 화학비료를 많이 써온 결과 흙속의 미생물들이 죽어가고 있기 때문에 그 미생물들을 살리자는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그 동안 흙을 잘못 관리해온 결과 흙의 항상성이 감퇴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증강시키자는 것인가? 어떤 이들은 흙속의 미생물 쪽에 관심을 갖는 것 같고 어떤 이들은 무엇을 하자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흙에 있는 미생물 쪽에 관심을 가진 이들은 흙에 이미 있는 미생물들의 번식을 촉진시키는 쪽보다는 특별히 유용할 것이라고 여겨지는 특정한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는 쪽에 관심을 갖는다. 그래서 이런 저런 종류의 미생물제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옥외의 포장.. 2013. 2.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