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0년대 초 콜레라 대유행은 프랑스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한 달 만에 파리 전체 인구의 3%가 목숨을 잃었고, 병원은 미지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로 넘쳐났다. 콜레라 대유행이 종식되면서 경기는 빠르게 회복했고, 프랑스는 영국을 이어 산업혁명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소설 “레미제라블”에서 묘사된 것처럼 팬데믹은 정치적 혁명을 불러왔다. 전염병으로 극심한 피해를 본 빈곤층은 질병을 피해 시골집으로 도망친 부자들에 강한 적개심을 표출하고 맹렬히 공격했다. 프랑스는 몇 년간 정치적 불안에 시달려야 했다.
최근 코로나19가 가난한 나라들을 휩쓰는 반면, 부유한 국가들은 포스트 팬데믹 호황에 접어들었다. 선진국은 백신을 빠르게 접종하면서 환자와 사망자가 급격히 줄었다. 선진국 정부들은 속속 봉쇄 조치를 해제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는 올해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6%를 넘어서리라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팬데믹 이전보다 최소 4% 이상 급등한 추세다. 다른 선진국도 이례적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이코노미스트에서 G7 국가의 1820년 이후 GDP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와 같은 동반 성장은 약 200년 동안 매우 드물었다. 1950년 세계 2차대전이 끝난 뒤의 호황 이후 처음이다.
이번 상황이 너무 생소하기 때문에 경제학자들은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역사를 뒤지고 있다.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전쟁이나 대규모 전염병과 같은 엄청난 비경제적 충격 뒤 GDP는 다시 회복했다. GDP 회복 외에도 3가지 경향을 알 수 있다.
첫째, 외출과 소비 욕구가 크게 확산하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둘째, 위기를 겪으며 개인과 기업의 새로운 시도가 이어지고 경제 구조가 크게 바뀐다. 셋째, “레미제라블”의 사례와 유사하게 정치적 격변이 뒤따르고 예측할 수 없는 경제적 결과를 초래한다.
첫 번째로 소비의 증가를 살펴보자. 역사적으로 바이러스 확산 초기에는 지난해 목격한 팬데믹 초기 상황과 비슷한 행태가 나타난다. 소비 기회가 사라지면서 저축이 빠르게 늘어났다. 1870년 상반기 천연두가 퍼지면서 영국의 가계 저축률은 두 배로 뛰어올랐다. 1차 세계대전 기간 일본의 저축률도 2배 이상 증가했다. 1919~1920년 스페인 독감이 기승을 부리자 미국인들의 현금 보유 성향이 이례적으로 늘었고, 이러한 추세는 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졌다. 전쟁이 발발하자 저축이 다시 증가했고, 1941~1945년에 가계 저축 규모는 전체 GDP의 40%에 달했다.
위기가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온 뒤의 변화도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비 지출이 늘어나고 고용이 회복된다. 그러나 소비와 고용이 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증가한다는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 흑사병이 끝나고 사람들이 “야생적인 쾌락(Wild fornication)”과 “히스테릭한 향락(hysterical gaiety)”을 즐겼다는 인식은 있지만, 이에 대한 신빙성 있는 증거는 없다. 스페인 독감에 대한 공포가 종식되고 처음 맞은 1920년 새해의 풍경은 떠들썩한 축제와 거리가 멀었다. 물론 한 연구에서 “브로드웨이와 타임스퀘어가 대유행 이전과 비슷했다”고 표현했지만, 미국은 여전히 “병들고 지친 나라”로 여겨졌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연구에서 1946~1949년 미국 소비자들이 초과 저축의 약 20%만을 소비에 활용했다고 밝혔다. 이런 추가 소비 지출이 전후 경기 회복에 일조한 것은 분명하지만, 당시 미국 정부의 월간 기업상황 보고서(business situation report)는 임박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가득했다. 그리고 실제로도 1948~1949년 불경기에 접어들었고, 떠들썩한 분위기를 대표하는 소비 품목인 맥주 지출도 감소했다. 소비 과열을 자제하는 소비자들의 우려와 불안이 포스트 팬데믹 인플레이션의 역사적 기록을 찾을 수 없는 이유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포스트 팬데믹 경제 호황의 역사에서 얻은 두 번째 교훈은 경제의 공급 측면, 다시 말해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에 대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소비자들은 팬데믹이 끝났다고 흥청망청 소비를 늘리지 않지만, 어떤 사람들은 새로운 사업을 시도한다. 역사학자들은 흑사병이 유럽 사람들을 더 진취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믿는다. 집에 머물더라도 수많은 사람이 병마에 휩쓸려 죽기 때문에, 새로운 땅을 찾아 배에 올라 항해하는 상대적인 위험은 과거보다 낮아진다. 예일대학교의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Nicholas Christakis) 교수는 최근에 발간한 저서 “아폴론의 화살(Apollo’s Arrow)”에서 스페인 독감이 퍼지면서 위험을 감수하려는 경향이 더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미국 경제분석국(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이 1948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1919년부터 신규 창업 붐이 일어났다. 최근에도 기업가들이 위기로 인한 시장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부유한 나라에서 신규 창업이 크게 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의 공급 측면에서 팬데믹이 불러온 또 다른 변화를 지목했다. 노동 절약 기술의 활용이다. 기업은 질병의 확산에 따른 피해를 줄이려고 한다. 그리고 로봇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보고서에서 이렇게 평가했다.
“에볼라, 사스 등 최근 발생한 여러 전염병을 조사한 결과 팬데믹이 로봇의 도입을 확산했다. 특히 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경기 침체가 심각했을 때 로봇 도입이 크게 빨라졌다.”
1920년 미국에서 급속한 자동화가 일어났고, 1900년대 초반 젊은 여성들의 대표적인 직업이었던 전화 교환원이 신속하게 자동 응답기로 대체됐다. 경제학자들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Johannes Gutenberg)의 인쇄기와 흑사병을 연결하기도 한다. 물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동화가 진전된 사례는 적지 않지만, 아직 이번 팬데믹이 자동화를 진전시켰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자동화로 사람들의 일자리가 사라지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일부 연구에서는 전염병 시대에 오히려 노동자들의 상황이 나아졌다고 분석한다. 작년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이 발간한 논문은 팬데믹을 거치며 실질 임금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평가했다. 질병이 노동자들을 쓰러뜨리면서 살아남은 노동자들의 협상력이 높아지는 섬뜩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이다.
포스트 팬데믹 붐의 세 번째 특징인 정치적 변화가 임금을 높이기도 한다. 사람들이 고통에 허덕일 때, 노동 친화적인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번 경우도 마찬가지다. 세계 각국의 정부는 부채를 줄이고 인플레이션을 낮추기보다 실업률을 떨어뜨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런던 정경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 소속 3명의 교수는 최근 논문에서 코로나19가 유럽 전역에서 불평등에 반대하는 흐름을 만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때때로 이런 압력은 정치적 혼란으로 분출된다. 전염병으로 기존의 심각한 불평등이 드러나면서 저소득층과 사회적 약자들은 변화를 요구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2013~2016년 발병한 에볼라가 서아프리카의 시민 폭력을 40%나 증가시켰다. 국제통화기금의 최근 연구는 2001년 이후 133국에서 사스, 지카 바이러스, 에볼라를 비롯한 5개 전염병으로 심각한 사회 혼란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연구자들은 국제통화기금의 또 다른 보고서에서 이렇게 설명한다. “전염병이 종식된 바로 그 자리에서 사회 혼란이 다시 나타난다는 것은 합리적인 예상이다.” 과거 사례에서 사회적 혼란은 팬데믹이 지나간 후 2년 차에 최고조에 달했다. 다가오는 호황을 마음껏 누리라. 머지않아 반전이 있을지도 모른다.
출처: newspepperm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