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_문화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van Gogh - 올리브 나무 Olive Orchard

by 성공의문 2021. 10. 17.

지금 보시는 작품은 빈센트 반 고흐의 '올리브 나무(Olive Orchard, 1889, 73 x 92cm, 캔버스 유채)' 라는 작품이다. 고흐는 아를에서 친구 고갱과 헤어지고 남프랑스의 생-레미로 왔는데, 이 곳에서 올리브 나무를 모델 삼아 여러 개의 작품을 남겼다. 이 작품들은 MoMa 및 암스테르담 반고흐 미술관 등에 각각 전시되어 있는데, 오늘 이야기할 작품은 미국 캔자스시티에 소재한 넬슨-앳킨스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작품이다. 2017년 연구자들이 이 작품을 조사하던 중, 굳은 물감 사이에 파묻혀 미이라가 된 메뚜기가 한 마리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올리브 나무(Olive Orchard, 1889, 73 x 92cm, 캔버스 유채)

사실 메뚜기는 남부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걸쳐 아주 흔하게 발견되는 곤충이다. 특히 풍경화를 많이 그렸던 고흐는 바깥에 나가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실제로 곤충들 때문에 곤욕을 겪는 경우도 많았다고 전해진다. 그는 1885년 자신의 작품 4점을 동생 테오에게 보내며 동봉한 편지에 "모래 먼지는 말할 것도 없고, 캔버스 4개에서 벌레 수백 마리를 떼어내야 했어!! 이 놈들을 긁어 내는 데 대체 몇 시간이나 걸렸는지 모르겠군." 이라는 불평을 늘어 놓은 적도 있었다.

사실 고흐가 머물렀던 생-레미는 이렇게 메뚜기가 흔한 지방이었다 보니 이는 해당 지역 거주민들이 재배하는 작물명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개엄나무인데, 이는 현지 이명으로 'Locust Bean', 즉 메뚜기콩이라고 불린다. 생태학자로도 유명한 J.H. 파브르 역시 자신의 저서에서 개엄나무를 메뚜기콩이라 명명한 바 있다. 개엄나무가 이렇게 불리게 된 이유는 간단하다. 그 열매가 메뚜기를 닮았기 때문이다. 메뚜기콩은 과거에는 구황 작물로 활용되었으면 최근에는 소스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개엄나무는 이탈리아 지방에서는 '카루보(Carrubo)' 로 불렸는데, 이는 영어로 '캐럽(Carob)' 으로 음차되며 다이아몬드의 단위로 쓰이는 캐럿(Carat)의 어원이 되었다. 왜냐 하면 메뚜기콩의 씨앗은 그 크기와 무게가 모두 동일했기 때문에 (개당 대략 0.2g), 귀금속의 무게를 저울에 잴 때 기준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K는 Karat의 준말인데 이 역시 메뚜기콩과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순도 100%의 아우레우스 금화의 무게를 메뚜기콩 24개와 등치시켜 반포했기 때문이다.

또한 신약 마태복음 3장 4절에서 세례 요한이 광야를 헤매며 먹었다는 '메뚜기' 가 실제 곤충 메뚜기가 아니라 당시 중동에도 광범위하게 서식하던 개엄나무 열매, 즉 메뚜기콩이었다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아직도 서구 일부 국가에서는 메뚜기콩을 세례 요한의 음식 또는 탕아의 빵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존재한다고 한다.

아참, 그래서 그 때 고흐의 그림에 달려들었던 메뚜기는 연구자들의 추정으로는 유채 물감에 빠져 손 쓸 틈도 없이 질식사했다고 한다. 그 이후 물감이 굳어 메뚜기도 마치 그 안에 화석처럼 머물게 된 것이고, 오늘 우리에게 이렇게 몇 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참고로 이 메뚜기는 고흐가 작업할 때 쓰던 안료 중 붉은색 물감이 무슨 이유인지 세월이 지나며 변색이 많이 되었는데,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중 발견되었다고 한다.

출처: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