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_문화

LCD TV - 소비전력 브라운관 3.5배

by 성공의문 2010. 7. 27.

IT가 발전함에 따라 거실의 터줏대감 격인 TV도 진화하고 있다. 브라운관 TV는 LCD나 PDP TV로 교체되고 있고 거의 모든 가정에서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을 보고 있다. 그러나 TV를 바꿀 때나 위성방송을 신청할 때 전력소비량이 얼마나 느는 지 따져보는 경우는 많지 않다.’

실험4-브라운관 TV 대 LCD TV

집 안에 있는 29인치 브라운관 TV(LG전자)를 켜고 30분간 실험한 결과 소비전력은 평균 81W로 측정됐다. 47인치 LCD TV(넥스와이드)는 평균 282W로 나타났다. LCD TV가 브라운관 TV에 비해 3.5배나 더 전기를 소모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화면 크기가 대형화된 데 따른 소비전력 증가분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보다 주요한 원인은 IT기술의 발전으로 화면이 브라운관에서 LCD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PDP TV는 LCD TV보다 전력소비량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전력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하루 평균 TV 시청 시간은 6.6 시간이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29인치 브라운관 TV와 47인치 LCD TV의 1년간 전기요금 차이를 비교해 보면 브라운관 TV는 2만3400원(81W*6.6시간*365일=195kWh)인 반면 LCD TV는 8만1500원(282W*6.6시간*365일=679kWh)이다. LCD TV로 바꾸겠다면 연간 6만원 정도의 전기요금을 더 낼 생각을 해야 한다.

2006년 현재 국내 TV 보급대수는 브라운관과 LCD, PDP를 통틀어 2376만8000여대에 이른다. 가전업계에 따르면 2015년 쯤이면 대다수 가정에서 LCD나 PDP TV를 이용할 전망이다.

전국 가정의 TV 대수를 2000만대로 가정했을 때 브라운관 TV는 연간 390만MWh, LCD TV는 연간 1360만MWh를 각각 소모한다. TV의 교체만으로 연간 전력소비량이 1000만MWh 정도 증가한다. 이는 1000MW급 최신형 원자력발전소 1기가 하루 24시간씩 1년 365일 가동할 때 발전할 수 있는 전력량(876만MWh)보다 많다.

전자부품연구원 이상학 박사는 “한 집 단위로 보면 정보통신 기기들이 소비하는 전력량이 그리 많지 않고 전기요금이 한달 몇천원 더 느는 수준이니까 별로 심각성을 느끼지 않는 것같다”며 “정보통신기기 전체 혹은 국가 전체 차원으로 넓혀보면 IT시대가 엄청난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험5-셋톱박스

요즘에는 대부분 가정에서 케이블방송이나 위성방송을 본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와 스카이라이프 등에 따르면 2006년 현재 케이블 TV 가입자는 1200만 가구를 넘었고 위성방송 가입자도 200만 가구를 돌파했다.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을 보는 가정에는 셋톱박스라는 기계가 새로 들어왔다. 이 셋톱박스의 전력소비량 문제가 국제적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위성방송 셋톱박스가 문제다.

케이블 셋톱박스를 켜고 30분간 측정했더니 평균 소비전력이 11.8W로 나타났다. 리모컨으로 셋톱박스 전원을 끄고 대기전력을 다시 재보니 5.4W로 내려갔다.

그러나 위성방송 셋톱박스는 전원을 켜거나 끄거나 상관없이 평균 13.5W를 소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을 보든 안 보든 하루 24시간 위성방송 셋톱박스에서 이 정도의 전력이 그냥 흘러 나가고 있는 것이다.

대기전력 전문가인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박사는 “위성방송용 셋톱박스가 대기상태에서도 13.5W의 전력을 소모한다는 것은 큰 문제”라며 “스카이라이프에서 일괄적으로 셋톱박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가입자 입장에서는 저전력 제품을 선택할 방도가 없다”고 지적했다.

IT 기술의 발전은 에너지 소비량 증가를 동반한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주택용 전기사용량이 7280만MWh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10년 전인 1996년의 3280만MWh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2000만MWh에서 4000만MWh가 되는데 1992년에서 2000년까지 8년이 걸렸고, 4000만MWh에서 6000만MWh가 되는데는 2003년까지 3년이 걸렸다.

김 박사는 “가정용 전력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건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가정 내 인터넷 사용량의 증가와 대형 평면 TV의 보급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케이블이나 위성용 TV 수신을 위해 장착되는 셋톱박스의 전력 소모는 국제적인 이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04년에 이어 지난달 초 파리에서 셋톱박스의 에너지 소비 문제에 대한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앨런 마이어(Alan Meier) 박사는 “2030년 쯤에는 셋톱박스로 인한 전 세계 에너지 소비가 현재의 약 10배인 4억2000만kWh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럽에서는 이미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기준이 마련돼 있다. 강제조항은 아니지만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시장에서 팔리지 않는다. 국내에서도 셋톱박스 문제를 방관하고 있는 건 아니다. 에너지관리공단 김영래 팀장은 “우리나라도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소비기준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강제조항이 아니기 때문에 실효성을 올릴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위성방송이나 케이블방송이 보편화된 시대를 되돌릴 수는 없다. 집 안에서 셋톱박스를 치울 수 없다면 저전력의 길을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스카이라이프 같은 서비스 제공업체가 가전업체에게 에너지 절약형 셋톱박스를 제조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가입자들에게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김남균 박사는 “현실적인 대안으로는 가입자들에게 셋톱박스 선택권을 돌려주든지, 저전력 제품을 직구매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든지 둘 중 하나”라고 말했다. 김 박사는 이어 “영국 위성방송 BSkyB의 경우 셋톱박스를 납품받을 때 대기전력을 우선 고려하고 있다”면서 “BSkyB는 이를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구축에도 적극 활용한다”고 덧붙였다.

셋톱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전기부품연구원 이상학 박사는 “신기술을 적용하면 단가 상승 요인은 있으나 저전력 셋톱박스를 생산할 수 있다”면서 “단가 상승분이 제품 판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조업체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업체들의 기술 능력도 뛰어난 편이다. 휴맥스, 삼성전자 등은 세계 셋톱박스 시장의 강자들로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재작년에 ‘대기전력 1W 계획’을 천명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대기전력을 ‘1W 이하’로 맞추지 못하는 가전기기는 2010년부터 국내에서 판매할 수 없게 된다. 국내 셋톱박스 제조업체들이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