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6년] 주요 국가·원자재 관련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6. 12. 28.


■ 주요 국가·원자재 

ㅇ 브라질 신차판매, 원자재 가격 하락·고금리 등으로 4년 만에 절반 수준 축소(닛케이)

- 2016년 신차 판매대수는 200만대에 머물 것으로 보여, 2012년 과거 최고치(380만대)로부터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경기하강과 함께 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고금리 정책이 가계 구매력 저하의 원인

- FENABRAVE(브라질 자동차유통업체연맹)에 따르면, 금년 1∼11월 판매대수 (트럭·버스 포함)는 184만대로, 4년 연속 전년 수준을 밑돌고, 2006년(192만대) 이후 최저치가 될 전망. 시장규모는 2014년 전세계 4위 규모였지만, 2015년에는 7위로 저하

- 브라질 기업은 경기침체로 공장폐쇄나 인원삭감 등을 전개하여 고용상황이 악화. 8∼10월 실업률은 11.8%로,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편. 또한 고물가와 기준금리 수준이 13.75%로 높은 편

- 소비자는 대출을 통한 구입을 회피하는 성향이 강한 편. 컨설팅 회사 Tendencias는 고물가와 신용저하로 가계의 구매력은 지난 2년간 10% 정도 정체되었다고 분석. 자동차 업계와 판매점은 시장축소에 대응하기 위해 인원축소와 단시간 근무에 대응할 필요성 증대

- 개별 업체 모두 브라질 공장의 수출 비율은 낮아, 주로 내수판매에 맞는 구조를 지니고 있어, 자국경기에 타격이 큰 편. 다만 2017년 브라질 경제가 회복세로 전환되는 전망이 있어, 대형 자동차업체들은 신차판매 증가를 기대

ㅇ 아르헨티나, 경제 각료 간 견해 차이를 이유로 재무장관 교체(FT)

- 마크리 대통령은 경제 각료 간 견해 차이로 경제정책의 일관성이 저해 이유로 Prat-Gay 재무장관을 해임. Prat-Gay 장관은 시장주의적 개혁과 채권자 협상을 통한 채무상환과 165억달러 규모의 국채발행 등을 이끌었으나 경기회복 지체로 비판에 직면

- 재무장관 해임은 재무부의 세금개혁안이 국회에서 큰 저항에 부딪히며 통과되는 과정에서 향후 여당의 정치적 입지가 불안하게 된 것이 원인으로 지목. 시장주의적 개혁에 반발하여 국영항공사의 CEO Isela Costantini가 사임한 것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내재

- 마크리 대통령은 경제부 장관이 경제정책 전반에 독단적인 영향을 행사하던 과거 관행을 혁파하고 6개 부처에 권한을 이양했으며, 새로운 구조적 변화가 혼선을 야기했을 가능성도 제기

ㅇ 인도, 고액권 폐지 조치로 모바일 결제 급성장(닛케이)

- 고액권 폐지에 따른 현금 부족 현상으로 모바일 결제 산업은 반사 이익. 최대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Paytm의 일일 이용건수는 고액권 폐지 조치 1달 반 만에 650만건으로 3배 급등. 2위 사업자인 MobiKwik의 이용자도 4500만명으로 2배 증가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현재 인도의 모바일 결제액은 중국의 2%, 일본의 15% 수준이나 2021년까지 400억달러에 이르러 7배로 늘어날 전망. 현재 모바일과 카드를 포함한 비현금결제는 전체 상거래의 20%이나, 20년대 중반에는 현금결제를 역전할 것으로 예상

ㅇ 인도 모디 총리, 조세제도 개혁을 위해 극단적인 정책을 고려(WSJ, FT)

- 모디 총리는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고액권 폐지를 비롯한 특이한 개혁을 추진해왔으며, 모든 거래 기록을 전자화하는 움직임 다음으로는 차명 자산을 지정하여 소득세를 폐지하고 은행거래세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

- 모디 총리는 고액권 폐지 정책의 제안자를 밝히지 않았으나 Arthakranti라는 기관이 관련 아이디어 제공자로 지목. Arthakranti는 현금 사용을 제한하고 모든 세금을 2%의 은행거래세로 대체하는 전면적인 조세제도 개혁을 주장

- 인도판 포브스의 전 편집장인 Jaganathan, 소득세는 세금을 선택의 문제로 여기는 인도 문화와 어울리지 않는다며, 낮은 세율의 간접세를 주장하는 Arthakranti의 견해를 지지

- CLSA의 Rajeev Malik, 고액권 폐지는 전통적인 경제정책에서 벗어난 결정이었다며, 앞으로는 어떤 극단적이고 특이한 정책이든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평가. 그러나 간접세는 저소득층에 납세 부담을 가중하는 역진적 성격이 있다며 경고

- 은행거래세는 브라질에서 시행된 적 있으나, 금융부문의 거래가 위축되면서 효율성의 저해와 이자율 상승을 야기. 또한 전면적인 무현금 사회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법적 보호에 대한 신뢰도, 금융·기술 인프라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


ㅇ 금 가격, 미국의 금리인상 등으로 하방압력 증대(WSJ)

- 공화당 트럼프 후보의 미국 대선 당선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커져 투자자는 안전자산을 선호할 것으로 보였지만, 신정부의 경기부양책인 감세와 인프라 투자 등으로 성장 가속화 기대가 커지고,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금 시세의 하락압력이 고조

- 금 가격 상승과 연결되는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는 가운데 달러화 가치는 수년 내 최고치로 상승. BofA는 인플레이션 기대가 억제된 상황에서 연준의 금리인상이 금 가격에 주요 역풍이라고 지적

- 23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의 종가는 트로이 당 1133.6달러였지만, BofA는 달러화 강세 등으로 2017년 중반 1200달러 전후로 예상. 명목·실질금리가 모두 올라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져도 물가상승 압력은 비교적 억제되어 있다는 평가

- Bloomberg Intelligence의 Mike McGlone, 11월 트럼프 대선 승리 이후 달러화 강세, 채권금리와 주가의 상승, 공업용 금속 수요가 증가했다고 지적. 금은 금융위기 직후 투자대상이었으나, 미국 경기의 양호한 흐름과 금리인상 관측 등으로 투자매력 저하

- 귀금속상장지수투자신탁에서 자본유출도 가속화. 금 중심의 자금운용 펀드는 12월 8~14일에 7억달러 순유출

ㅇ 브라질, 재정난 극복을 위해 국영기업의 민영화 적극 추진(WSJ)

- 브라질 정부는 장기간 경기침체, 대규모 재정수지 적자를 완화하기 위해 고속도로, 발전소, 공항, 철도 등의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추진. 아울러 급여 및 연금 등 기본 재정지출을 충당하기 위하여 취득가격이 낮은 공공자산을 매각

- José Ivo Sartori 주지사, 브라질의 대부분 지방정부는 재정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언급. 히우그란지두술(Rio Grande do Sul) 주의 2016년 재정수지 적자는 24억헤알로, 지출 삭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018년까지 적자규모는 3배 확대될 전망

- 심각한 경기침체로 인해 지난 13년간 지속된 노동당 좌파 정권이 중도 우파로 교체되면서 민영화 흐름이 재개. João Doria 상파울루 차기 시장은 불필요한 자산을 매각하기 위해 적극적인 민영화 추진을 예고

- 테메르 대통령은 브라질 경제 활성화와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민영화 정책을 발표. 브라질 석유 산업을 외국 자본에 개방하는 법률 제정과 과중한 부채 부담으로 국영 에너지 회사인 페르로브라스(Petrobras)를 매각할 계획

ㅇ 국제유가 상승, OPEC 감산합의보다 수요에 반응(WSJ)

- 11월 30일 OPEC이 감산에 최종 합의한 이후 국제유가는 17% 상승한 가운데 러시아 등 OPEC 비회원국도 원유감산 합의에 동참하면서 세계 원유생산량의 2% 감축이 전망되는 등 원유시장의 공급과잉 완화에 기여될 가능성

- 다만 OPEC이 감산합의에도 불구 생산쿼터를 준수하지 않고 증산한 사례가 있어 향후 실제 감산합의 이행여부가 중요. 시장은 OPEC의 감산 이행률은 합의한 감산 물량의 60~75% 수준에 그칠 것으로 추정

- 계절적인 수요 변화와 함께 최근 유가상승은 세계경제 회복에 따른 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평가. 즉 OPEC의 감산보다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감산에 기여

ㅇ 인도와 인도네시아, 인프라 투자와 소득 재분배를 위해 세입 확충 노력(닛케이, FT)

-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은 해외로 유출했거나 은폐한 자금을 자진 신고하면 세금을 최대 2%까지 감면하고 법적 책임을 면제하는 조세사면법을 실시했으며, 내년 3월까지 신고액이 총 851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

- 인도네시아 경영자 협회의 Hariyadi Sukamdani, 협회 회원인 15000개사 대부분이 참여했다며, 이는 2018년부터 OECD의 자동정보교환 규정이 시행되면 해외 자금 은닉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설명

- 12월 19일까지 신고액은 4035조루피아로 GDP의 30% 수준이며, 세입은 101조루피아로 목표의 60% 달성. 정부는 남은 기간 소규모 사업체의 참여를 독려할 예정

- 인도는 12억 인구 중 오직 1%만 소득세를 납부하고 있어 극단적인 조치로 지하경제 양성화 추진. 6월~9월에 시행된 조세감면법에 따른 신고액은 6730억루피(약 99억달러)로 저조했으며, 이에 따라 모디 정부는 공격적인 세무조사 실시

- 11월에는 고액권 전면 폐지 조치로 큰 혼란 야기. 그러나 모디 총리는 탈세와 테러 자금을 차단하기 위한 단기적인 필요악이라며 고액권 폐지 조치를 지지


ㅇ 신흥국 통화, 달러화 강세 기조에도 상이한 움직임(FT)

- 트럼프의 당선과 Fed 금리 인상 기대 등으로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금년 러시아 루블화와 브라질 헤알화는 달러화 대비 각각 20.2%, 21.3% 절상

- 헤알화의 강세는 테메르 대통령의 개혁에 대한 기대감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브라질 경기회복이 예상되며, 시장에서 관련 자산 비중을 확대한 것이 주된 요인

- 러시아 루블화는 트럼프의 당선으로 향후 경제 제재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4/4분기에 2.6% 올라 같은 기간 신흥국 통화 중 유일하게 달러화 대비 가치가 상승

- 신흥국 통화 중에는 아르헨티나 페소화, 멕시코 페소화, 터키 리라화는 가장 약세를 보였으며, 특히 터키 리라화는 테러 위협과 쿠데타 시도 등에 미국의 긴축적 통화정책이 맞물려 4/4분기에 15%, 금년 17% 하락

- 아르헨티나는 변동환율제도 등의 시장주의적 개혁과 채권자들과의 협상 등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과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금년 17.3% 평가절하

- 멕시코 페소화는 신흥국 통화중에서도 유동성이 높고 거래 규모가 커 트럼프 당선 확률을 나타내는 대리 지표로 이용되었으며, 트럼프 당선이 확정되면서 하루에만 13%가 절하되는 등 향후 트럼프의 정책 향방에 따라 통화가치가 변동될 전망

ㅇ 원자재 산업, 중국의 수요회복과 미국 신정부의 인프라 투자 기대로 회복세(블룸버그)

- 최근 중국 경제의 회복과 트럼프 미국 차기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기대 등으로 BI(Bloomberg Intelligence) 금속지수는 69% 올라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

- 원자재 기업들의 비용과 부채 절감 노력에 더하여 모건스탠리는 내년 아연, 니켈, 알루미늄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2017년 구리 수요는 공급을 18만톤 초과할 전망

- JP 모건의 James Sutton, 많은 원자재의 공급이 줄어들고 있으며 수요가 기대보다 늘어나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한편, 대규모의 신규 투자가 줄어들어 생산 비용은 낮아졌다며 원자재 기업들의 수익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캐나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 1.2% 상승(블룸버그, WSJ)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가솔린(-1.7%)과 과일(-4.5%), 야채(-4.7%) 가격 하락으로 전월(1.5%)과 예상치(1.4%)를 하회

- 중앙은행은 근원인플레이션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지수를 세가지 방법으로 산출해 그 범위로 나타내기로 했으며, 개선된 방법에 따른 근원인플레이션은 1.3~1.9%로 세가지 지수 모두 중앙은행 목표 수준인 2.0% 하회

ㅇ 대만 중앙은행, 시장예상대로 기준금리를 1.375%로 동결(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내년 안정적인 경제 회복세가 예상됨에 따라 2분기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 Perng Fainan 총재, 트럼프가 인프라 투자를 늘리면 미국 경기와 단기적으로는 세계 경기를 부양할 수 있다며, 향후 트럼프의 정책과 반세계화 추세를 주시할 것이라고 발언

- 애플의 스마트폰 수요와 유가 상승으로 전자부품과 석유제품의 수출이 늘어나 10~11월 수출은 예상을 상회하는 호조세를 나타냈으며, 내년에도 신형 아이폰이 하반기 수출을 견인할 전망

ㅇ 필리핀 중앙은행,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0%로 동결(닛케이, 로이터)

- 테탕코 총재는 견조한 가계지출과 정부지출 확대로 내수호조 유지 전망. 중앙은행은 2017년 물가상승률 전망을 3.0%에서 3.3%로, 2018년은 2.9%에서 3.0%로 상향 조정

ㅇ 사우디아라비아, 내년 재정수지 적자는 1980억리얄로 금년의 33%로 축소(닛케이)

- 2017년 예산안에 따르면, 감산 합의에 따른 유가 상승과 석유 이외 부문의 수입 증가로 내년 재정수지 적자폭은 금년(2970억리얄)보다 줄어들 전망. 세입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6920억리얄, 세출은 8% 증가한 8900억리얄로 예상

- 2014년 저유가로 인한 재정악화로 연료보조금을 축소하고 공무원의 급여와 수당을 삭감하는 등 세출축소 개혁에 착수했으며, 이번 예산안은 개혁안 발표 이후 첫 예산 편성


ㅇ 2017년 아시아 신흥국 투자,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가장 주목(블룸버그)

- 아시아 신흥국의 채권, 통화, 주식 중 해외의존도가 비교적 작은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내년 투자대상에서 가장 인기있는 시장으로 부상. 내년 1월 취임하는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세계무역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인식 확산이 반영

- 미즈호 은행의 深谷公勝(Masakatsu Fukaya), 인도와 인도네시아 통화 중 인도의 루피화가 최선이라고 주장. 그 이유로 양호한 기초경제여건과 높은 금리수준 등을 들면서, 이들 요인이 자금유입의 유인이라고 지적

- BNP 파리바의 Mirza Baig는 인도네시아 루피아화 매입을 선호한다고 발언. 그 이유로 높은 금리와 원자재 생산국으로서 경기호조를 강조. 모건스탠리와 소시에테제네럴은 한국 원화가 취약한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

- 크레디트아그리콜, 중국은 대규모 국제수지 적자를 기초로, 위안화가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분석. HSBC의 Binqi Liu, 전세계 수요부족, 국제무역의 불확실성, 중국의 경기둔화 리스크 여건에서는 인도네시아가 경쟁우위를 보유한다고 주장


ㅇ 터키,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63.4로 작년 10월 이후 최저치(FT)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68.9)과 시장예상(67)를 모두 하회. 기대지수는 95에서 86으로 하락해 향후 경기도 비관적. 그러나 중앙은행은 리라화 방어를 위해 12월에는 금리를 동결하여 경기 부양은 쉽지 않은 상황

- 코메르츠 은행, 테러와 정치적 박해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터키의 경제 상황은 극도로 악화. 이에 따라 내년에는 리라화의 평가절하 압력이 한층 강해지며 GDP도 기존 예상치(1.9%)에서 하향 조정이 필요할 전망

ㅇ 피치, 인도네시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블룸버그)

- 피치는 인도네시아의 신용등급을 현행대로 투자적격등급의 최하위인 BBB-로 유지하면서, 향후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 작년 9월 이후 강력한 구조 개혁으로 경기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며, 이는 중기적으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평가

- 조코위 대통령은 해외은닉 자산에 대한 조세사면법으로 총 100조루피아의 세입을 확보하여 재정수지 적자 완화에 기여. 또한 경기 부양을 위해 도로와 항만, 철도, 공항 등 인프라에 재정지출을 확대할 전망

- 피치는 인도네시아의 성장률을 금년 5.1%, 2017년 5.4%, 2018년 5.77%로 예상

ㅇ 태국 중앙은행, 경기 하방 리스크를 고려하여 기준금리(1.50%) 동결(로이터)

- 금년 GDP 성장률 전망치는 3.2%로 9월과 같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이전과 동일한 3.2%를 제시. 금년 수출은 전년비 0.6% 감소를 예상해 9월의 전망치(-2.5%)에서 상향 조정했고, 내년 수출도 이전(-0.5%)에 비해 개선된 전년비 0.0% 증가를 예측

- 성명서, 태국 경제가 기존의 평가에 가까운 속도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지만 하방 리스크가 커졌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태국 11월 자동차생산, 전년동월비 5% 늘어나며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닛케이)

- 산업연맹에 따르면, 같은 달 생산은 17만784대로, 생산과 판매 모두 부진했던 작년 11월에서 반등. 1~11월에는 전년동기비 3% 늘어난 180만8625대


ㅇ 신흥국, 달러화 강세 등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채권발행 급감(닛케이) 

- 미국 대선 이후 지속되는 달러화 강세가 신흥국 채권시장에 타격. 달러화 채권의 비용이 늘어나면서 11월 중남미 회사채 발행은 전년동월비 71% 감소한 16억달러, 동남아시아도 29억달러로 전년동월비 65% 축소

- 신흥국 기업은 필요한 자금의 대부분을 달러화 회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데 달러화 강세와 신흥국 통화 약세, 금리상승이 이어지면서 자금조달 비용이 급격히 증가. 11월 달러화 대비 멕시코 페소화, 브라질 헤알화, 말레이시아 링깃화의 가치는 각각 9%, 6%, 7% 하락

- 외국인 투자자들도 신흥국 투자를 보류.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11월 신흥국에서 242억달러의 투자금을 회수했고 그 가운데 채권 비중이 70%에 도달. 구매자가 감소하면서 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난관에 직면

-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자금이 신흥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할 가능성 증가. 트럼프 정부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재협상을 주장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성향이 강하며, 이는 신흥국 기업의 사업 및 투자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

ㅇ 트럼프 당선자, 러시아 경제 제재 해제 전망(블룸버그)

-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1년 내 미국의 러시아 제재가 해제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55%로 10월(10%)보다 크게 상승.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경제 제재 해제 시 러시아의 성장률 예상치는 2017년 0.2%p, 2018년에는 0.5%p 상향 조정될 전망

- 경제 제재 해제 시 루블화 가치에 대해 응답자의 1/3이 평가절하를 예상한 반면, 57%는 1% 정도 절상, 33%는 5% 이상 절상, 10%는 10% 이상 루블화 가치 상승을 예상 

- 트럼프 당선자는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을 인정하고 제재를 해제할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에도 親 러시아파인 Michael Flynn을 국가안보보좌관으로, Rex Tillerson을 국무부장관으로 내정하는 등 호의적인 태도

- 4CAST-RGE의 Rachel Zie, 미국이 러시아 제재를 즉각적으로 전면 해제할지는 불투명하나 최소한 제재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며, 이에 따라 러시아의 금리 인하 기조가 강화되어 중기적으로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고 전망

- EU는 러시아 제재를 6개월간 연장하기로 결정했으나 IHS Markit의 Charles Movit는 미국이 제재를 완화하면 EU의 독자 제재에 회원국 간 이견이 생길 것이라고 지적. 조사 응답자의 40%는 EU가 향후 1년 내에 제재 완화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


ㅇ 터키 중앙은행, 시장예상과 달리 기준금리 8.0%로 동결(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리라화 가치 하락 등을 배경으로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시장예상과는 달리 7일물 레포금리, 익일물 대출금리, 익일물 차입금리는 각각 8.0%, 8.5%, 7.25%로 현행 수준을 유지

- 경기부양을 위해 Erdogan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있지만, 유가 상승,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환율의 변동성 위험이 높은 상황으로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방침

ㅇ 대만 11월 수출수주, 전년동월비 7%로 4개월 연속 증가세(로이터, 닛케이)

- 재정부에 따르면, 전자부품과 정보통신기술 분야 수주가 각각 전년동월비 10.1%, 6.9% 늘어나면서 전체 수출 수주 증가에 견인. 지역별로는 중국, 미국은 전년동월비 12.0%, 10.1% 오른 반면 일본은 0.4% 감소

- 수출지표 호조로 오는 22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수준으로 동결할 가능성이 증대

ㅇ 호주, 경기에 신중하면서 낙관적 정책 균형을 중시(로이터, 블룸버그)

- 중앙은행은 12월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을 공표. 3/4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였지만, 경기전망은 신중과 낙관을 견지하여 당분간 금리인하를 보류할 방침. 통화정책 완화 효과와 개인 차입 유인 확대는 균형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 아울러 노동시장의 유휴노동력이 존재하여 노동비용 압력 억제 요인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 이는 물가상승률이 정상적 수준으로 회귀할 때까지 낮은 수준에 머물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석

ㅇ 원유 투자자, OPEC 감산합의로 낙관적 기대가 고조(블룸버그)

- 자산운용사에 의한 WTI 상승을 기대하는 매입잔액은 2014년 7월 이후 높은 수준에 근접했으며, 내년 감산에 의해 전세계 원유재고 과잉이 감소한다는 관측을 배경으로 유가는 상승세

- 에너지 관련 투자에 중점을 두는 헤지펀드인 Again Capital의 John Kilduff, OPEC과 비가입국의 합의로, 시장의 전망은 공급이 빠른 속도로 줄어든다는 견해에 일치.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유가상승을 예상하고 있다고 주장

-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에 의하면, 헤지펀드에 의한 WTI 상승을 예상한 매입 규모는 증가세를 보인 반면 매도 포지션은 큰 폭으로 감소하여 5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집계

ㅇ 세계 다이아몬드 업계, 중국 밀레니엄 세대 여성에 주목(블룸버그)

- 드비어스에 따르면, 세계 최대인구를 보유한 중국에서 밀레니엄 세대 여성은 작년 다이아몬드 장식 매출에서 68%, 67억6000만달러를 차지

ㅇ 캐나다 10월 도매매출, 전월비 1.1%로 5월 이후 증가폭 최대(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도매매출은 566억캐나다달러로 상승률이 시장예상(0.5%)을 상회. 목재와 철물 등 건축자재가 5.6% 늘어나 도매매출 증가세를 주도


ㅇ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정치여건 변화로 투자 계획 재검토(WSJ)

- 9·11 테러 피해자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를 제소하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고 관련 법안을 지지하는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람코의 상장과 국부펀드 운용에 있어서 투자 전략을 전면 재검토

- 오바마 대통령은 해당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으나, 지난 9월 의회가 재차 의결을 통해 법률안 통과 강행. 트럼프 당선자는 선거 유세 당시에 해당 법안에 서명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어 향후 법안의 적용 여부를 두고 불확실성 확대

- 또한 트럼프의 고문인 Harold Hamm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소유하고 있는 미국 정유회사가 미국산 대신 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만 사용한다며, 사우디의 석유화학 부문 사업 확대를 제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트럼프 정권의 중동 전략에 우려 확산

- 세계 최대 석유회사인 아람코는 2017~18년 IPO를 통해 1000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 사상 최대 규모의 IPO인 만큼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이 유력했으나, 미국 내 자산이 늘어나면 향후 법적인 판단에 따라 압류 등의 가능성이 있어 런던거래소 등과 교섭을 전개

ㅇ OPEC, 재고 소진을 위해서는 아시아 공급량 감축 필요(로이터)

-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UAE 등 감산에 나선 산유국들은 미국과 유럽 정유사에 1월분 원유 공급량 삭감을 통보. 반면 아시아 정유사에는 공급을 유지하며, 이라크는 오히려 아시아 수출을 확대할 계획

- 이는 OPEC 수출의 2/3을 차지하는 아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유지를 위한 것으로, Energy Aspects의 Virendra Chauhan은 미국 석유회사 등 경쟁자가 아시아에 수출하는 대신 자국 내 수요를 보충하는 것이 OPEC의 의도라고 설명

- 그러나 아시아의 원유 재고량은 중국이 2억3980만배럴, 한국이 3530만배럴, 일본이 9120만배럴로, 미국의 4억8300만배럴에는 못 미치나 매우 높은 수준. 아시아에 원유 공급량을 줄이지 않으면 OPEC의 재고 감축 전략에 지장 예상

- Phillip Futures의 Jonathan Chan, 세계적으로 원유 재고량은 10억배럴 수준으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을 위해서는 재고 소진이 먼저 필요하다고 지적

ㅇ 나이지리아 통화정책, 변동환율제와 기준금리의 대폭 인상이 필요(FT)

- 금년 3/4분기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률은 전기비연율 –2.24%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경기 침체 지속. 한편 작년 5월 9% 수준이던 물가상승률은 금년 9월 17.8%까지 올라 경제운영의 어려움이 확대

- 중앙은행은 지난 6월 외환보유액 부족으로 달러 페그제를 포기하고 부분적인 변동환율제를 채택했으나, 공식환율과 시장환율의 괴리는 여전히 큰 편. 중앙은행의 외환 및 금리 정책에 일관성이 없어 시장 혼란 가중

- 통화정책의 독립성과 자본 이동성 모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변동환율제로 이행이 필요하며, 이후 환율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고한 통화 정책을 유지하고 IMF와 협상을 통해 260억달러의 예비자금을 대출받는 것이 선행 조건

- 또한 인플레이션 상승폭만큼 기준금리를 인상시켜야 한다는 테일러 규칙에 따라 기준금리를 현행(14%)보다 대폭 올리면, 물가를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고금리로 해외 자본을 유치할 수 있어 경기 부양 가능


ㅇ 인도 11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3.6% 올라 2년 만에 최저치(FT)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월(4.2%)과 시장예상치(3.9%)를 모두 하회. 현금 유통액의 86%를 차지하는 고액권을 갑작스럽게 폐지해, 신규권으로 교환하지 못한 소비자들의 소비가 크게 위축된 것이 주된 원인

ㅇ 아시아개발은행, 역내 개도국 금년 성장률을 이전 5.7%에서 5.6%로 하향조정(로이터, 블룸버그)

- 이는 인도의 경제성장률 저하가 이유로, 2017년 아시아 개도국 성장률 전망치는 5.7%로 유지. 아시아개발은행은 투자와 농업의 부진으로 인도의 성장률을 7.4%에서 7.0%로 하향조정. 다만 2017년에는 7.8%로 확대된다고 전망

- 중국의 성장률은 2016년과 2017년 각각 6.6%, 6.4%로 예상. 아시아개발은행의 좡쥐중(庄巨忠), 아시아 경제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에서도 성장세가 확대되고 있으며, 생산성 제고, 투자여건 개선, 내수경기를 위한 구조개혁은 성장견인역이라고 강조

- 동남아시아 성장률 전망치는 2016년과 2017년 각각 4.5%, 4.6%로 유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의 고성장이 유지된다고 관측. 남아시아의 성장률은 2016년 6.6%로 이전보다 0.3%p 내렸고, 2017년에는 7.3%로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ㅇ IEA, 산유국 감산과 수요 증가로 원유시장 공급과잉 해소 전망(로이터, 블룸버그, FT)

- 월례 보고서에 따르면, 일일 180만배럴 규모의 산유국 감산 합의에 따라 2017년 상반기에는 공급 부족으로 원유 재고가 하루에 60만배럴씩 감소할 전망. 2017년 말까지 과잉 공급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존 예상 수정

- 이는 OPEC이 일일 120만배럴, 11개 비회원국이 55만8000배럴을 감산하기로 한 합의가 준수된다는 전제에 따른 것으로, 2017년 원유 생산량은 OPEC은 일일 3270만배럴, 비회원국은 일일 5700만배럴로 예상

- 모든 국가가 감산 합의를 준수할 가능성은 낮으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팔리 에너지 장관은 자국 생산 쿼터인 일일 1060만배럴 이하로 추가로 감산할 의지가 있다고 발언하는 등 감산 이행의 확고한 의지 표명

- 원유 수요 증가폭 전망치는 2016년 일일 140만배럴, 2017년에는 130만배럴로 각각 12만배럴, 11만배럴씩 상향 조정. 이는 중국과 러시아, 미국의 수요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2016년 중국의 원유 소비는 기존 예상보다 13만5000배럴 늘어난 일일 1190만배럴 수준으로 전망

ㅇ 이라크, OPEC 감산준수를 통해 장기적으로 생산능력 증대 방침(로이터, 블룸버그)

- 루아이비 이라크 석유장관, 구체적인 감산방법을 검토 중에 있으며, 키르쿠크 유전, 석유 주요업체가 개발하는 남부 유전, 기타 국유유전의 감산 등 복수의 선택사항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언. 이라크는 OPEC과 일일 20만배럴 감산에 동의 


ㅇ 인도, 고액권 폐지로 모바일 결제 증가(WSJ)

- 고액권 폐지는 세계적인 추세로, 2018년 ECB는 범죄자와 테러리스트들이 많이 사용해 ‘빈라덴’이라고 불리는 500유로 지폐를 인쇄 중단할 예정. 캐나다와 싱가포르도 단계적으로 고액권 유통을 줄일 전망

- 인도는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500루피·1000루피 지폐를 일괄 폐지하여 총액이 2300억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통화개혁 단행. 2000루피 지폐를 신규 발행하고 있으나 총액은 1/4에 불과하여 현금 부족이 심각한 수준

- BIS에 따르면, 인도의 현금유통액은 GDP의 12.3%로 일본(20.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을 만큼 현금 사용 비중이 높고, 고액의 거래도 현금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혼란 가중

- IDC에 따르면 인도는 전파 수신이 일정하지 못하고 스마트폰 보급률은 30% 수준. BCG와 Alphabet의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결제 사용자는 8000만명~85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에 불과

- 최대 모바일 결제사 Paytm에 따르면 고액권 폐지 이후 누적 가입자는 1400만명으로, 일일 신규 가입자도 50만명(10월:10만명)으로 증가. MobiKwik의 창립자 Bipin Singh, 정부의 조치로 모바일 결제산업이 홍보 효과를 누리고 있다고 강조


ㅇ 터키, 3/4분기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비 -1.8%로 7년 만에 마이너스(닛케이)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은 시장예상치(-0.5%)를 크게 하회. 7월 쿠데타 실패의 영향으로 소비(-3.2%)와 설비투자를 포함한 고정자본형성(-0.6%), 수출(-7.0%)이 모두 위축

- 쿠데타에 대응해 에르도안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공무원 추방, 기업 몰수 등 조치를 취해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가 악화. 잇단 테러와 쿠데타로 외국인 관광객이 전년대비 30% 감소.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면 해외 투자자금의 유출도 우려

- 미국 장기 금리의 상승으로 리라화의 달러화 대비 환율은 지난 한 달간 12% 하락. 터키 기업의 외화 부채액이 커 상환 부담이 늘어났으며, 추가 자금 확보에 난항 

ㅇ 산유국 감산합의, 산유국 증시와 비철금속으로 자금 유입이 확대(닛케이)

- OPEC에 이어 러시아 등 비회원국까지 15년 만에 감산에 합의하면서, WTI 유가는 54달러 중반까지 상승해 17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Elements Capital의 Hayashi Takashi, 원유 시장이 상승세로 전환했다고 강조

- 유가가 OPEC 총회 전에 비해 10% 정도 오르면서, 러시아, 노르웨이, 캐나다 등 산유국 증시는 연중 최고치를 경신. 향후 물가 상승 전망이 강화되어 세계 주식시장과 구리 등 비철금속 시장으로 자금 유입

- 유가 상승으로 항공사가 운임에 가산하는 유류할증료가 10개월 만에 부활하는 등 소비위축 우려. SMBC Nikko의 미야마에 고야(宮前耕也), 유가가 45달러에서 50달러로 상승 시 소비가 0.2% 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


ㅇ OPEC, 셰일가스의 부상으로 과거의 시장지배력 회복은 기대난(FT)

- 유가는 1년 전 배럴당 30달러대에서 꾸준히 상승해왔으며, OPEC 회원국의 감산 합의와 비회원국의 동참 소식으로 최근 급상승. 사우디아라비아는 감산을 주도하는 전통적인 OPEC 내 역할에 더해, 비회원국까지 규합에 성공함으로서 영향력 재확인

- 그러나 OPEC은 과거처럼 지정학적인 혼란을 일으키고 선진공업국에 경제적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시장지배력을 상실했으며, 이는 미국의 셰일 혁명이 주된 요인. BP의 Spencer Dale, 셰일가스는 고정비용이 낮아 가격 상승 시 빠르게 증산 가능

- 셰일가스 기업의 손익분기점은 빠르게 낮아지고 있으며, 유가가 그 이상으로 오를 경우 OPEC 감산분을 벌충 가능. 또한 비용 구조가 제조업과 비슷해, 많은 사기업들이 생산할 수 있어 OPEC과 같은 시장지배력을 가질 수 없다는 근본적인 특성

- 따라서 OPEC의 영향력은 현 수준에 제한될 것으로 전망. 유가 하락세를 막을 수는 있으나 셰일 기업의 진입으로 일정 이상으로 유가 상승은 불가능


ㅇ 석유ᆞ천연가스 탐사비용, 저유가 여파로 2017년에는 12년 만에 저수준 예상(로이터)

- 영국의 조사기관 Wood Mackenzie, 에너지 회사의 탐사투자는 내년 370억달러로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되며, 2018년에 회복될 것으로 전망. 내년 발견되는 원유와 가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심해 탐사가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

- 탐사담당 책임자인 Andrew Latham, 2017년 탐사에서 업계는 소형화와 효율화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 심해는 탐사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 최근 셰브론은 유가하락으로 원유탐사 등의 사업투자를 내년에 15% 줄인 198억달러로 설정하는 계획을 발표

- 또한 엑슨모빌 등 석유 대형 기업도 비용절감에 나서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비용과 리스크가 높은 다수 사업을 중지할 방침

ㅇ 사우디아라비아, 미국과 유럽에 원유 판매 축소 통보(로이터)

- 1월부터 이들 국가의 원유 인도를 줄이겠다고 전달한 이유는 OPEC 감산 합의에도 비OPEC 산유국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 다만 아시아 국가에는 미국과 유럽 수준의 축소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

ㅇ OPEC과 비OPEC 주요 산유국, 15년 만에 감산합의(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11월말 OPEC 총회의 감산합의에 이어, 러시아 등 비가입국도 감산에 협력. 비가입국 전체로 일일 60만배럴을 감산할 방침. OPEC 감산량을 모두 합하여 전세계 원유생산의 2% 정도를 줄이고, 원유시장의 수급개선을 뒷받침할 전망

- OPEC과 비가입국의 감산합의는 2011년 미국 911 테러로 원유수요가 정체된 이후 15년 만으로, 공동의장인 카타르의 알 사다 에너지 장관은 미래 원유수요 순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OPEC과 비가입국 간 협력 제도화가 불가피하며, 이를 한층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

- 비가입국에서는 러시아가 감산을 주도. 11∼12월 생산량을 기준으로, 2017년 초반 일일 30만배럴 감산할 방침. 멕시코, 아제르바이잔, 오만 등도 생산을 줄이고, 협조 감산에는 비가입국 12개국이 참여하고, 전체 일일 60만배럴 전후 감산에 합의

- 로이터에 의하면, 감산량은 목표를 다소 밑도는 56만2000만배럴로 추산. 감산합의에 참여한 비가입국의 생산량을 합하면 2015년 기준 일일 1800만배럴이므로, 세계생산에 60% 이상의 산유국이 감산에 참여한 것으로 분석

- 향후 전체 산유국 합계로 180만배럴 감산이 이루어지면, 전세계 생산의 2% 정도에 상당. OPEC은 이번 합의로, 내년 1월부터 6개월간 감산 실시

- 가입국 전체의 생산량을 일일 3250만배럴까지 축소. 또한 OPEC은 각국의 감산 실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알제리,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외에 일부의 비가입국을 포함한 감시 위원회를 설치 

- 하지만 감산의 실효성이 과제. 미국 에너지 정보회사인 S&P Global Platts에 의하면, OPEC의 11월 원유생산량은 일일 3386만배럴로 과거 최고치를 경신. 최근 정정불안 등에 따른 생산 저조로 감산적용 제외국인 나이지리아와 리바아는 생산이 회복 조짐

- 아울러 비가입국 감산 일부는 유전 노후화 등에 의한 자연 감소분이 포함되어 시장이 감산 실효성에 회의적으로 판단하면, 유가상승세는 다시 축소될 전망


ㅇ 터키의 개혁, 향후 국가경제 안정을 위한 유일한 대안(FT)

- 이스탄불 테러 등은 터키의 다양한 리스크를 시사하는 가운데 에르도안 대통령은 독재와 애국심에 의지하여 자국의 안정성을 복원할 수 있다고 주장. 하지만 이는 명백한 오류

- 터키의 비금융 기업 외환부채 규모는 2100억달러 수준으로, 금년 GDP 대비 23% 수준인 공공부문 순부채의 성공적인 축소를 넘어 위험요소. 리라화 약세 지속과 추가 금리인상 등은  채무상환 부담을 확대시킬 가능성

- 내수경기 침체에 따른 만성적인 재정수지 적자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터키의 자금조달 수요는 해외 의존도가 높아 리라화 약세는 적자규모를 확대시킬 전망. IMF 발표에 따르면, GDP 대비 재정수지 적자 비율이 4.4%에서 5.6%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

- 향후 터키 경제의 안정화를 위해 GDP 대비 13%에 불과한 저축률 제고와 함께 해외자본 유치와 개혁이 중요. 2012~16년 해외자본 유입이 없었다면 3%대 성장률은 어려웠을 것으로 평가, 아울러 해외자본 유입 미흡 시 외환위기와 성장률 하락이 불가피

ㅇ 인도, 고액권 폐지 정책은 지나치게 성급하고 광범위(FT)

- 모디 총리는 부패와 탈세를 막기 위해 500루피·1000루피 고액권 폐지. 이는 인도 현금 유통액의 86%를 차지하며, 인도는 전체 거래의 90%가 현금거래. 중앙은행이 신규 지폐를 빠르게 유통하지 못해, 저소득층은 큰 타격을 받고 GDP가 1~2% 하향 조정될 전망 

- 선진국 경제에서는 100달러 이상 고액권이 정상적인 거래에서 사용되는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고액권 폐지, 최대거래액 제한 등은 현금비중을 낮추는 데 유효

-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현금 거래를 제한하기 전에 전자결제 인프라를 확충해야 하며, 인도는 신원 확인 정보 수집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반 이상이 계좌가 없어 실제 사용은 제한적

- 인도의 경우 5~7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고액권 폐지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충분한 대체 화폐(2000루피)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상 거래에서 흔히 쓰이는 7.5~15달러 정도의 화폐를 폐지하면서 혼란 극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