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ㅇ 트럼프의 그림자 내각(정권인수위), 규제완화 등에서 이해상충 우려(로이터)
- 트럼프 차기 정권 인수위는 지난 21일 유명 투자자 칼 아이칸(Carl Icahn)을 규제개혁에 관한 대통령 특별 자문관으로 지명한다고 발표. 아이칸은 정부 인사가 아닌 개인의 입장에서 조언하기 때문에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연방법이 미적용
- WSJ에 따르면, 아이칸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차기 위원장 선임에서 중요한 역할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 최대 보험사 AIG와 CVR에너지 등 주식 대량 보유. 이들 업체는 금융·환경 관련 규제가 완화될 경우 직접적인 이익을 얻게 되기 때문에 이해상충 가능성
- 과거 오바마 대통령이 GE 회장 Jeff Immelt를 고용 관련 경제자문회 의장으로 임명한 것과 같이 재계 의견 고려가 중요하지만, 트럼프는 이미 다수의 CEO와 투자자를 차기 정권의 인사로 임명하여 정권 신뢰에 부정적 영향 우려
- 특히 아이칸과 같은 특별 자문관은 이해상충에 관한 연방법이 적용되지 않아 정책 결정과정에서 역할 불분명. 차기 정권인수위는 특별 자문관의 역할에 적절한 감시와 투명성 확보를 공언하고 있지만 트럼프 자신도 이해상충에 관한 논란을 받고 있어 이에 대한 신뢰는 낮은 수준
ㅇ 트럼프 공화당 정부, 경기침체를 초래할 우려(블룸버그)
- 트럼프 차기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시장에 반영되고 있지만, 내년 1월 20일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경기침체 가능성도 제기. 이는 지난 2차 세계대전 이후 공화당이 집권할 때마다 경기 침체가 1회 이상 발생했기 때문
- 프린스턴 대학의 Alan Blinder, 미국경제는 공화당보다 민주당 대통령이 집권했을 때 양호했다고 지적. 이는 단순히 정권의 정책차이보다는 석유파동 완화, 우호적인 국제관계, 기술진보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의 영향이 컸다고 설명
- 핌코의 Joachim Fels, 경기침체 탈피와 회피 등을 위해 과도하게 정책을 남용하는 등 정권의 능력을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면서, 경기침체 현상은 연준의 금리인상 결정에 의해 촉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
ㅇ 시장과 가계, 인플레이션에 대한 상반된 기대(WSJ)
- 주식거래자와 가계의 물가 전망이 상반되어 이에 대한 차이가 시장에 큰 전환점을 야기할 수 있다는 평가가 제기. 12월 미시건대 조사에 따르면, 가계는 향후 5~10년 간 인플레이션을 2.3%로 기대하고 있어, 6월(2.6%)에 비해 하락했으며 1970년대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반면 FTN 파이낸셜에 따르면, 채권시장에서는 명목국채와 물가연동국채(TIPS)의 수익률 차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향후 5년 간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6개월 전(1.49%)에 비해 오른 2.03%로 전망하고 있어 인플레이션율 상승을 기대
- 인플레이션 동향에 대한 시장과 소비자의 견해 차이는 차기 정권의 감세, 규제 완화, 인프라 투자 등 정책에 대한 투자자와 소비자의 기대 차이가 원인
- 투자자들의 물가상승 기대로 10년 만기 국채금리와 주가지수가 연일 최고치 경신.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채권을 매도하고 주식을 매입하는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지속. 그러나 물가상승 기대는 소비자의 기대와 상반되어 이러한 시세는 불안정하다는 우려
- 또한 소비자물가 지수 상승 시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TIPS 배당금이 최근 오르지 않았으며, 11월 개인소비지출 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도 각각 1.4%, 1.7% 상승해 연준의 2% 목표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장의 물가상승 기대는 과도한 것으로 평가
- Gluskin Sheff&Associates의 David Rosenberg,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물가는 2017년에 단기적으로 상승하겠지만 과도한 부채, 세계화, 고령화 등으로 향후 다시 침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또한 최근 달러 강세로 물가상승이 억제될 가능성
ㅇ 자동차 판매, 12월에 다소 감소·2016년은 사상 최고치 예상(로이터)
- 자동차 판매 조사업체인 JD 파워와 LMC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12월 미국 자동차 판매대수 (계절조정, 연율 환산)는 업체의 가격인하 공세에도 1750만대로 작년 같은 달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발표. 12월 가격인하는 대당 4천달러 정도로 과거 최고치
- 2016년 연간 자동차 판매는 사상 최고 수준을 달성할 가능성. 2015년에는 1747만대. 승용차 시장에서 SUV를 포함한 소형 트럭의 시장점유율은 1~11월에 59%를 기록. 이에 자동차 업계는 중소형 세단을 중심으로 생산을 축소
ㅇ 차기 정부의 통상 관련 인사, 강경한 무역정책 시사(WSJ)
- 트럼프는 무역정책을 담당하는 국가무역위원회(NTC) 위원장에 강경한 보호무역주의자인 피터 나바로(Peter Navarro) 교수 지명하였으며, 이에 중국과의 무역마찰이 불가피할 전망
- 나바로는 지난 9월 상무장관 내정자 윌버 로스(Wilber Ross)와 발표한 경제정책 보고서(White Paper)에서 무역적자 축소와 중국을 중심으로 미국에 불리한 통상 조약에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 피력
- 하지만 주류 경제학자들은 과거와 달리 재화가 끊임없이 국경을 넘나드는 현 무역시장에서 무역적자 축소를 목표로 하는 정책은 시대착오적인 목표라는 평가. 또한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무역적자 축소는 쉽지 않을 가능성
- 자유무역주의자인 Gary Cohn가 차기 국가경제회의(NEC) 의장으로 지명되었고, 역시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Larry Kudlow가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CEA) 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트럼프정권에서 이전보다 강경한 대중 무역정책을 펼 것은 확실시
- 조지타운 대학의 Bob Vastine, 트럼프 무역정책은 첨단 기술과 서비스 산업에는 긍정적이지 않다고 평가.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Gary Hufbauer, 중국이 미국의 무역정책에 적극 대응할 것으로 예상되어 트럼프 정권 초기 양국의 관계 악화는 불가피하다고 전망
ㅇ 트럼프의 친기업 인사, 시장은 기업 수익 확대 기대(WSJ)
- 트럼프는 국무장관에 엑슨모빌 회장 렉스 틸러슨(Rex Tillerson), 노동부 장관에 최저 임금에 반대하는 CKE 레스토랑 경영자 앤디 퍼즈더(Andy Puzder) 지명. 역대 대통령 중 기업 경영진을 가장 많이 등용하여 신정권의 규제 재정비가 기업 우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시사
- 선거 이후 주가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그 중 골드만삭스 주가가 큰 폭으로 반등. 이는 신정부 인사에 골드만삭스 출신과 여타 금융인이 다수 등용됨에 따라 금융기관에 완화적인정책 기대를 반영
- 또한 전 텍사스 주지사 릭 페리(Rick Perry)를 에너지부 장관에, 오클라호마 법무장관 스콧 프루이트(Scott Pruitt)를 환경보호청(EPA)장에 임명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로 보류되어 왔던 민간기업의 480억원 규모 화석에너지 프로젝트를 실행할 것으로 전망
- 다만 기업 수익에는 정책 뿐 아니라 견조한 경제와 장단기 금리 수준, 원자재 가격, 노동공급 등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체적인 효과는 아직 불확실. 특히 트럼프의 이민 제한 정책은 임금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 존재
ㅇ 3/4분기 성장률(확정치), 전기비연율 3.5%로 잠정치보다 0.3%p 상향(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시장예상치(3.3%)를 상회하여 2014년 3분기 이후 최고치. 이는 개인소비가 잠정치(2.8%)보다 늘어난 3.0%로 확대되었으며, 인프라투자와 지적재산권 증가가 주요 요인
- 순수출과 재고의 성장 기여도는 잠정치와 큰 폭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변동이 큰 두 항목을 제외한 국내 최종수요는 2.1% 증가. 기업의 설비투자는 4.5% 줄었으나 잠정치(-4.8%)보다 감소폭 축소
ㅇ 11월 내구재수주, 전월비 4.6% 감소·비국방자본재는 예상을 상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 발표에 의하면, 같은 달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비국방자본재(핵심 자본재) 수주는 전월비 0.9% 늘어나 예상치(0.4%)와 지난 10월(0.2%)를 상회
- 전체 내구재 수주 부진은 변동성이 큰 민간 항공기 수주 감소(-73.5%)에 기인하며, 운송 장비를 제외한 내구재 주문은 0.5% 증가. GDP 산출에 사용되는 핵심 자본재 출하는 0.2% 증가하면서, 전월 –0.3%를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
- 무디스의 Ryan Sweet, 설비투자가 안정을 찾아가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동안 미국 경제의 약점이었던 설비투자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
ㅇ 11월 개인소비지출(PCE), 전월비 0.2%로 예상(0.3%)을 하회(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에 따르면, 같은 달 개인소득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미국 경제가 4/4분기에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 물가조정 후 개인소비지출은 전월에 이어 0.1% 증가. 근원 PCE 물가는 전년동월비 1.6% 올라 전월(1.7%)보다 상승세 둔화
- 임금·급여는 0.1% 줄어들었으며, 저축은 7809억달러로 전월(8091억달러)보다 감소하며 2015년 5월 이후 최저치
- 4CAST-RGE의 David Sloan, 소득은 여전히 저조한 임금에 의해 억제되고 있다고 평가
ㅇ 10월 FHFA 주택가격지수, 전월비 0.4% 상승하여 예상에 부합(블룸버그, Economic Calendar)
- 연방주택금융청(FHFA)에 따르면, 연간으로 6.2% 상승. 현 주택가격은 이전 최고시점인 2007년 3월보다 6% 높은 수준이며, 전저점인 2011년 1분기보다 30% 이상 상승
- 주택부문은 단기간 강세를 유지하겠으나, 현 상승률을 유지하기는 힘들 것으로 지적. 이는 주택가격상승률이 소득증가율을 넘어서고 있어, 상승여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분석
ㅇ 11월 시카고 연은 전미활동지수, -0.27로 전월(-0.08)비 하락(블룸버그, MarketWatch)
- 시카고 연은 발표에 따르면, 같은 달 경제활동동향을 보다 잘 나타내는 3개월 이동평균치는 전월(–0.20)보다 개선된 –0.14. 동 지수는‘0’이 추세 성장을 나타내며, -0.70 이하가 되면 경기침체를 의미
- 무디스의 Steven Shields, 미국 경제가 평균 이하의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초여름 강한 성장세를 보인 이후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있다고 평가. 다만, 3개월 이동평균치는 지난 8월보다 개선
ㅇ 11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동일(블룸버그)
- 컨퍼런스보드에 따르면, 주택착공허가건수 감소와 제조업 부진 등이 주가 호조, 소비자심리 개선 등을 상쇄하여 전월(0.1%)과 시장예상치(0.2%)를 하회
- 컨퍼런스보드의 아타만 오질디림(Ataman Ozyildirim), 2016년 경제는 완만한 속도로 성장했다고 언급하며, 2017년 상반기에도 완만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
ㅇ 12월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11로 전월(1)대비 큰 폭 상승(블룸버그, Economic Calendar)
- 4개월 연속 기준치(0)를 상회하면서, 2014년 5월 이후 가장 강한 추세. 생산지수는 전월비 15p 개선된 24를 기록했으며, 신규수주, 수주잔고, 출하량 모두 전월보다 개선. 고용지수는 9p 오른 10으로 2014년 5월 이후 최고치. 다만 수출지수는 달러화 강세에 대한 우려로 하락
ㅇ 12월 3주차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 전주대비 2만1000건 증가한 27만5000건(로이터, 블룸버그)
- 노동부 따르면, 같은 기간 신규실업급여 신청건수는 전주(25만4000건)와 시장예상치 (25만7000건)를 모두 상회. 4주 이동평균은 26만3750건으로 전주비 6000건 증가
ㅇ 트럼프 정부의 세제 개혁, 미국 지방채에 대한 수요 축소 가능성(WSJ)
- 미국 지방채 투자자는 지난 30여 년간 세금 혜택을 받았으나, 이러한 장점이 크게 축소될 가능성. 이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금리소득에 대한 세율 인하를 제한했기 때문
- 10년 만기 국채와 회사채 등에 과세되는 최고세율을 43.4%에서 16.5%로 인하할 계획. 지방채는 비과세 상태에서 최고세율 인하의 혜택이 없어 투자매력이 감소하여 지방채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
- 세제개혁 중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금리, 배당소득과 자본이득 등의 순 투자수익에 부과되는 3.8%의 부가세 폐지. Merritt 리서치서비스의 Ciccarone은 다른 조건이 같은 상황에서 부가세가 폐지될 경우 10년 만기 지방채 수익률은 현재 2.37%에서 2.55%로 상승할 필요
- 또한 부과세 폐지와 함께 소득세의 최고세율을 현행 39.6%에서 33%로 인하할 경우 지방채 수익률은 2.80%. 금리수익에 장기투자 자본이득과 같은 혜택을 부여할 경우, 3.50%로 상승해야한다고 추산
- 지방채는 1986년에 금리소득에 대해 최고세율을 50%에서 28%로 인하한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세제개혁에 직면. 다만 16.5%의 최고세율이 개인투자자에게 적용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업이 지불하는 금리에 대한 공제를 인정하지 않는 포괄적인 제안이라 기업의 반발이 불가피하다고 지적
- 웰스파고의 Natalie Cohen, 세제개혁을 앞두고 채권의 매매에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지방채는 안전자산이라는 인식 등 금리 이외의 요인들의 영향이 존재하며, 세제개혁이 아직 결정된 일이 아니라고 강조
ㅇ 기업이익 증대, 경제성장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FT)
-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시장에서는 10년만기 국채금리가 1.8%에서 2.6%로 상승했음에도 S&P500지수가 6% 오른 가운데 다우지수도 20000 포인트 수준에 근접
- 이는 트럼프의 법인세 축소, 규제 완화 등의 정책으로 기업 이윤이 증대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원인. 다만 투자자들은 늘어난 기업이윤이 금리상승에 따른 기업의 비용증대를 상쇄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달러화 강세로 인한 수출 경쟁력 저하도 문제
- 또한 최근 기업 이익 증가는 투자 축소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경제 전반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
ㅇ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평가는 상이(WSJ)
- 금년 영국 브렉시트 국민투표와 미국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예측은 모두 실패. 미국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은 정계와 금융계에 기존 세력에 대한 대중영합주의의 승리를 의미
- 유럽에서도 영국이 국민투표를 통해 EU 탈퇴를 결정하였고, 이탈리아 총리는 헌법개정 부결로 사임. 내년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주요 선거에서 민족주의와 대중영합주의 정당의 약진이 예상
- 대중영합주의 움직임의 전세계적 확산은 세계화, 기술발전. 대규모 이민 및 고령화 등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소외감에 기인.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만이 새로운 정치적 세력 부상을 초래
- 미국 중서부 공업지역 백인 노동자층의 대두는 이를 반영. 공화당 트럼프는 일반득표 수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후보에게 패배하였으나, 펜실베니아, 미시간, 위스콘신 등 경기가 부진한 지역에서 득표수를 늘려 대선에서 승리
- 트럼프의 예상 외 승리로 미국 주가는 상승세가 지속. 투자자는 법인세의 대폭 감소, 규제완화 및 인프라투자 확대 등의 트럼프노믹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한편 중국과 멕시코에 대한 고율관세 가능성에도 교역갈등이 유발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반면 유럽 금융시장은 대중영합주의 확산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우세.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통합붕괴 불안감이 반영되어 주가는 하락
ㅇ 트럼프의 규제 완화 정책, 금융감독기관 통합·권한 축소로 이어질 소지(FT)
- 규제 완화를 위해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통합될 가능성. 두 기관은 대표적 금융감독기관으로 2010년 시행된 도드-프랭크 법(Dodd-Frank Act)으로 권한이 확대되었지만, 트럼프는 규제완화를 위해 두 기관의 권한을 축소할 방침
- SEC는 의회의 금융위원회, CFTC는 농업위원회 산하의 기관으로 운영자금 문제 때문에 현재까지 통합되지 않았지만, 트럼프와 차기 재무장관 스티븐 므누신(Steven Mnuchin)은 규제완화를 위해 두 기관의 통합을 위해 협상을 진행할 계획
- 많은 기업이 SEC와 CFTC에서 이중 감독을 받고 있기 때문에, 통합 시 임대료(2017년 CFTC 추산 2800만달러, SEC 추산 3300만달러)와 중복 부서로 인한 비용(약 2000만달러) 등 절감 기대
- 규제 완화 정책에 따라 금융안정감독평의회(FSOC),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등 여타의 금융감독기관들도 통폐합의 대상이 될 가능성
ㅇ 향후 경기전망 신뢰도, 트럼프 기대효과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WSJ)
- WSJ/NBC 뉴스가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향후 경기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중은 2012년 이후 최고수준인 42%로 집계. 반면 경기악화를 예상한 비중은 19%에 불과
- 소득별로는 모든 계층에서 내년 경기개선을 관측하고 있으며, 특히 연 소득 5만달러 이상 가계에서의 낙관적 성향이 높은 편.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으로 예상. 인종별로는 백인의 경우 호전이 악화를 34p를 웃돈 반면 흑인은 악화가 호전을 8p 상회
ㅇ BofA, 차기 행정부의 경제정책은 기업투자 활성화에 기여(블룸버그)
- 브라이언 모니한(Brian Moynihan), 트럼프 당선 이후 규제 완화와 소비 증가 등에 대한 기대로 기업들의 투자가 더욱 활발해져 2017년 미국 경제는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2017년 성장률을 올해(1.6%)보다 높은 2.0%로 예상
- 다만 기업들이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감세정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신중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성급히 행동할 경우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제언
- 일부 투자자들은 은행들의 투자를 제한하는 볼커 룰(Volker rule)과 같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시행되었던 여러 규제들이 폐지될 수 있다고 전망
ㅇ 인구증가율(7월 1일 기준 1년간), 전년동기비 0.7%로 대공황 이후 최저(WSJ)
- 같은 기간 중 상반기 센서스국의 통계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 수 증가, 출생자 수의 성장 둔화, 이민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총인구는 3억2310만명으로, 이에 대해 브루킹스 연구소 William Frey는 1936~37년 이후 가장 낮은 인구증가율이라고 지적
- 지역별로는 유타, 네바다, 아이다호 등 서부 지역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반면 뉴욕, 펜실베니아, 일리노이의 인구는 줄었는데, 그 중 일리노이가 큰 폭 감소
- 유타는 조사기간 중 2.0%로 가장 높은 인구증가율을 기록. 이는 첨단기술의 고용확대로 노동시장이 양호했기 때문. 다만 인구증가의 영향으로 주택부족이 발생하고 있다고 평가
ㅇ 11월 기존 주택판매, 전월비 0.7% 늘어나 9년 9개월 만에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닛케이)
- 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같은 기간 기존 주택판매는 연율 환산 561만채로 시장예상치(553만5000채)를 상회하며 전월(557만채)대비 증가. 재고는 전월비 8.0% 감소한 185만채였으며, 기존주택 판매가격(중간치)은 재고 감소로 전년동월비 6.8% 상승한 23만4900달러
- NAR의 Lawrence Yun, 모기지 금리 상승과 구입 전 금리 고정이 최초 구매자들의 구매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언급. 또한 최근 5년간 지속된 재고부족이 2017년에 심화되어 판매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전망
ㅇ 12월 3주차 모기지 신청지수, 금리상승에도 전주대비 2.5%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모기지은행인협회(MBA)에 따르면, 같은 기간 구매지수는 전주비 3.0% 상승했으며 재대출지수도 전주비 3.0% 올라 상승세로 전환. 41만7000달러 이하의 대출에 적용되는 30년만기 고정금리는 4.41%로 전주보다 13bp 상승하여 2014년 5월 이후 최고치
- MBA의 Mike Fratantoni, 모기지 금리상승은 부분적으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반영.
연준의 금리인상이 예견되어 신청자 다수가 12월 FOMC 이전에 모기지를 신청했을 것이라고 언급
ㅇ 모건스탠리, 트럼프 경제정책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금물(블룸버그)
-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트럼프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정책만을 도입하고 그렇지 않은 정책은 일체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 하지만 재정지출을 확대하면서 과도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치지 않는다고 해도, 2017년과 2018년의 경제성장률은 2.0%에 그칠 수 있다고 경고
ㅇ 과잉규제, 경제성장의 둔화 원인(WSJ)
-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당시 건축허가 소요시간은 40일이었지만 현재는 81일이며, 계약이행에 걸리는 시간은 300일이었지만 현재는 420일로 확대. 이와 같이 제도의 비효율성이 심화된다면 미국도 유럽이나 일본과 같이 장기 저성장에 직면할 가능성
- 노동력은 예전과 같이 늘어나지 않고, 혁신은 높은 생산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투자 부족이 나타나는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 다수의 저성장 신호가 발생. 이러한 현상은 비용과 시간 관련 규제가 끊임없이 증가한 결과
- 이와 같이 과잉규제는 생산 과정을 어렵게 만들어 생산자의 이익과 시간 비용을 늘리는 동시에 미국 내 이익창출을 저해. George Mason의 Mercatus Center, 1980년 이후 과잉규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매년 GDP의 0.8%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
ㅇ 대형 기업 합병, 법적·정치적 요인으로 저조(로이터)
- 인수합병을 위한 금융여건은 양호한 상태이나, 2015년 이후 발표된 100억달러 이상 규모의 대형 기업 합병 안건 중 8500억 달러 정도가 올해 12월1일 시점에서 미완료 상태. 다우케미컬과 듀폰(1300억달러), AT&T와 타임워너(850억달러) 등이 이에 해당
- 그 중 일부 안건은 반독점법에 따라 정부 승인을 받지 못할 것으로 전망. 대형 의료보험사 애트나(Aetna)와 휴매나(Humana), 앤섬(Anthem)과 시그나(Cigna)의 합병 계획은 이미 중단되었으며, 금액이 과다하게 책정된 인수합병 계획도 중단될 가능성
- 또한 국익을 위한 정치적 개입으로 인수합병 계획이 중단될 가능성.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미국 기업이 중국에 인수되는 것을 규제할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도 자본유출을 저지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어 대규모 인수합병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
- 전세계 인수합병 총액 규모는 전년 대비 17% 축소. 대형 인수합병 시 비용절감 명목으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M&A 축소는 근로자에게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
- 차입비용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대기업은 인수 대상 선정에서 중소기업에 집중할 가능성. 이는 상대적으로 절차가 간단하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때문에 더욱 유리. 현재 10달러 이하 규모의 인수합병이 전체의 1/3을 차지하고 있지만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
ㅇ 중국의 미국 국채 축소, 지정학적ᆞ재정적 측면에서 미국에 플러스(WSJ, Japan Times)
- 중국은 10월에만 410억달러의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있으며, 그 결과 일본이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미국 국채 보유국으로 부상
- 중국의 미국 국채 축소는 지정학적ㆍ재정적 측면에서 미국에 긍정적. 중국이 달러화자산을 단기간에 대규모로 매도하면 중국도 타격을 입을 수 있지만, 미국은 채권수익률 급등과 주가 폭락을 겪고, 그 여파로 신용등급 하향 조정과 경기침체 발생도 가능
- 중국은 과거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를 활용하여 미국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시사. 반면 일본은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 유지에 적극적이며, 미국 국채 매입을 확대하면 엔화 약세를 통해 수출을 촉진할 수 있고, 미국과의 신뢰도 향상
- 2008년 중국이 과잉 유동성 흡수를 위해 미국 국채 구입을 늘리며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대의 미국 국채 보유국 자리를 획득. 2009년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중국 방문 시, 인권에 대한 논의를 보류하고 중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는 등 양국의 관계도 변화
- 하지만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중국의 대규모 미국 국채 보유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면 중국에 대해 좀 더 강력한 대응이 가능. 반면 차기 정부는 우방국인 일본과의 경제적인 협력 강화에 나서는 것이 필요
ㅇ 통상정책을 주도하는 차기 상무장관, 무역대상국에 강경자세 가능성(로이터)
- 차기 트럼프 정부의 상무장관으로 내정된 윌버 로스는 향후 신정부에서 통상정책의 전권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 미국은 지금까지 통상대표부(USTR)가 무역협정을 전개했고, 상무부는 반덤핑 과세와 저가의 수입제품 보조금 조사 등을 담당
ㅇ 제조업 일자리 창출, 자유무역 확대가 효율적(WSJ)
- 트럼프 차기 대통력의 보호무역정책은 1930년에 제정된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유사. 이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여 세계 각국의 보복조치를 유발하였으며, 이로 인해 미국무역은 40% 감소
-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기간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탈퇴 필요성을 주장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자국 국민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고 비난. 멕시코와 중국에 대해서도 고율관세 부과를 시사
- Cato 연구소, 미국의 고관세 부과정책은 국제 무역시스템의 붕괴를 초래. 1930년대와 달리 미국 수입품의 절반은 단가가 낮은 중간재가 차지하여,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 또한 1930년대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보호무역에 대응한 일본의 관세인상을 시작으로 여타 국가들도 수입관세를 높일 경우 전세계 교역여건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편
- 상품무역수지 적자의 80%가 대중교역에서 발생하나, 미국의 가계와 기업은 저렴한 가격의 상품공급이 가능해졌고 대미교역에서 발생한 중국의 달러 자본은 미국 주식과 채권 등의 금융시장으로 재유입
-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서비스 교역에서는 2680억달러의 흑자가 발생하여, 이를 감안하면 실질적인 대중 무역수지 적자는 5000억달러로 축소
- 제조업의 일자리 감소의 주된 원인은 자유무역이 아닌 기술혁신. 2001~13년 민간부문의 고용감소는 연간 1250만명에 달하나, 그 중 교역개방에 따른 감소규모는 33만명에 불과
- 시장개방 확대를 통한 해외기업의 투자유인 제고가 고용창출에 중요. 2015년 미국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3000억달러를 상회. 12월 소프트뱅크그룹은 미국기업에 500억달러를 투자하고 5만명의 신규고용 창출에 합의
- 프레이져 연구소에 따르면, 무역자유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국민 1인당 소득과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평가. 무역자유도 상위 25% 이내 국가의 최저소득 수준은 무역자유도 하위 25%의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 2014년 미국(7.56)의 무역자유도는 159개국 중에서 60위로 상위 25%에 포함되지 않으며, 캐나다(7.83), 일본(7.67)보다 낮은 수준
ㅇ 트럼프의 정치 행보, 중국식 통치법과 유사하다는 평가(로이터)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중국을 비판해왔지만, 국수주의, 정치적 라이벌에 대한 태도, 경제성장과 무역수지 적자 축소에 대한 집착, 언론의 자유를 존중하지 않는 태도 등은 시진핑(習近平) 주석을 비롯한 과거 중국 지도자들의 방침과 공통점이 많은 것으로 평가
- 감세 정책과 인프라 지출 정책 등은 금융위기 당시 중국이 공항과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하여 경기를 견조한 상태로 유지한 것과 유사하며, 인프라 투자 자금 조달을 위해 은행에 저금리 대출을 요구한다는 점도 과거 중국의 방식과 유사
- 민간 기업 경영에 적극 개입해 고용의 해외 이전을 저지하는 산업정책이나, 최근 중국의 통화정책과 남중국해 세력 확대 등에 대해 보였던 감정적인 외교정책 역시 중국과 비슷하다는 평가
- 미국 대통령은 헌법에 의해 행정권 행사에 제약을 받으며 4년마다 선거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중국 공산당의 권력과 차이가 있지만, 향후 트럼프의 권위주의적 행보는 과거 마오쩌둥(毛澤東)과 공통점이 많을 가능성
ㅇ 공화당·연준, 의회의 연준 감시 강화 법안에 대해 타협할 전망(로이터)
- 오바마 대통령은 의회가 연준 감시를 강화하는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 트럼프 당선과 공화당의 양원 과반 확보에도 여전히 법안 통과를 위해 민주당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
- 따라서 기존 법안의 감시 강도를 완화하기 위해 의회의 연준 감사 일정을 미리 정하여 검토 중인 정책에 대해서는 의회의 영향력을 제한하고, 위기 발생 시 연준의 유연한 대응을 허용하는 방안을 도입할 가능성도 존재
ㅇ Fed, 은행의 볼커룰 관련 펀드 매각에 5년 유예기간 제공 방침(블룸버그)
- 사모펀드와 헤지펀드에 투자를 금지하는 볼커룰에 대해 유동성이 낮아 매각이 어려운 지분은 법규 준수 기한 유예를 적용할 계획.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는 볼커룰의 영향을 받는 투자금액이 최대 69억달러, 22억달러라고 발표
ㅇ EIA, 셰일오일 2017년 1월 전월대비 일일 1400만배럴 증가 전망(로이터)
- 같은 달 셰일오일 생산량은 454만2000배럴로 에너지정보청은 예상. 전월비 증가는 7월 이후 처음이며, 금년 들어 2번째. 금년 12월은 일일 2만9000배럴 감소로 예상
ㅇ 11월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 경기상승 기대로 전월비 3.5p 상승(블룸버그)
- 전미자영업연맹(NFIB)에 따르면, 같은 기간 중소기업 낙관지수는 98.4로 전월(94.9)과 시장예상치(96.5)를 모두 상회하여 2015년 5월 이후 최고치 기록. 향후 경제개선 전망과 매출개선 전망이 각각 전월비 19p, 10p 상승한 것이 주요 요인
- NFIB의 Bill Dunkelberg, 11월 조사는 대선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 분석했는데, 대선 이전 낙관지수는 10월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대선 이후 급상승했다고 설명
ㅇ 11월 수입물가, 9개월 만에 큰 폭으로 하락(로이터)
- 노동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0.3%로 전월(0.4%) 이후 마이너스 전환. 달러화 가치 강세에 따른 유가 하락이 주요 원인. 11월 수입물가는 석유제품이 전월비 4.7% 하락하였고, 석유를 제외한 수입물가는 보합. 수출물가는 0.1% 하락
ㅇ 트럼프의 對中 강경자세, 미국 기업은 중국의 보복을 우려(로이터)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對中 무역과 하나의 중국정책에 대한 도발적 발언을 둘러싸고, 기존 안정적인 미·중 관계의 수혜를 받은 미국기업의 동요가 확산. 이로 인해 트럼프가 실제 행동에 나설 경우, 중국정부가 보복을 단행하는 우려가 고조
- 일부 관계자는 미국의 30개 이상 주에서 중국 수출이 10억달러가 넘어, 미국 기업의 중국 사업규모는 5000억달러이상인 것으로 추정. 과거 중국은 미중간 무역마찰이 발생하면, 미국 제품에 보복관세를 도입. 2011년에는 미국 대형 자동차에 보복관세 부과
- 관련 조치가 다시 시행되면, 여파가 지금보다 커질 가능성. 미국 GM의 2015년 전세계 판매량은 996만대로, 그 중 1/3이상이 중국. 아울러 같은 해 전세계 순이익의 20% 정도를 중국 사업이 차지. 포드의 중국 합작사는 전세계 이익에서 16% 정도를 차지
- 소매업계에서는 중국에 월마트가 432개 점포, 스타벅스는 2500개 점포를 보유. 대형 항공업체인 보잉은 완성공장을 중국에 건설할 예정. 미·중간 무역은 2015년 5990억달러이며, 그 중 1160억달러는 미국 기업의 수출액. 수입은 4830억달러
- 조지워싱턴 대학의 Susan Aaronson, 중국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에 중국 정부가 미국기업에 보복조치를 감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진단
ㅇ 연준의 금리인상, 생산성 부진과 달러화 강세 등이 불안요인(FT, WSJ)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로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가속이 전망되나, 향후 달러화의 절상압력 지속으로 오름폭이 제한될 소지
- 연준 위원들은 차기 행정부의 경제정책이 내년 금리경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신중한 자세를 유지. 향후 금리경로 결정에 앞서 의회의 재정계획 향방에 대한 파악이 필요
- 현재로서는 금리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의 단기 내 큰 폭 변화는 기대난. 노동생산인구 감소와 노동시장의 기술 불일치 등의 구조적 문제가 여전하고, 세계 성장률도 부진하여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수요가 억제
- 이에 따라 연준은 실질 자연이자율 전망을 점진적으로 하향 조정. 자연이자율의 정확한 추산은 어려우나, 연준의 장기 연방기금 전망치에서 목표물가(2%)를 감안하면 예상이 가능
- 자연이자율 하락은 생산성 제고를 위한 투자부진을 시사하며, 삶의 질적 저하 뿐만 아니라 연준의 경기하방압력에 대응한 금리인하 여지를 제한
ㅇ 도래하는 트럼프노믹스의 위기, 금리인상으로 전환점을 맞을 전망(FT)
-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하는 경우, 시장이 붕괴된다는 전망이 빗나갔으나, 트럼프 정책의 최대 위협은 연준 정책에서 파생될 가능성
- 연준은 2019년 전 3~4차례 금리인상을 시사. 이는 지속적인 재정지출 축소가 배경. 하지만 트럼프의 정책이 이를 어긋나게 했으며, 공화당 차기 정부는 감세와 인프라 투자로 경기부양에 나설 방침. 이에 연준은 금리인상 가속화 외에 선택사항이 전무
- 이에 따라 통화정책 정상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전개되면, 금리를 더 이상 내릴 수 없는 뉴노멀과 고별하고, 중앙은행의 재량권이 증가. 그러나 두 가지 마이너스 측면이 존재하는데, 첫째, 연준과 트럼프 정책의 모순이 상충하는 경우
- 트럼프가 연준 의장 해임 권한을 보유하지 않지만, 옐런 의장의 행보를 저지할 가능성이 내재. 이사회의 2명 공석 처리와 맞물려 트럼프는 저금리주의자로, 옐런이 이를 저지할 경우에 의회에서 연준 감시법안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
- 둘째, 미국 달러화의 영향으로, 재정건전성 완화와 통화정책 긴축은 달러화 가치를 상승시키는 요인. 이로 인해 수입제품 비용이 추가 하락하고, 수출제품 가격은 상승. 이에 따라 기존 고수한 무역정책의 변경이 전망
- 연준의 독립성 훼손과 중국을 희생양으로 삼고, 이민의 강제상환으로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는 트럼프의 정책은 무역수지 적자 확대와 함께 강화. 하지만 감세와 자산가격 상승으로 의도와 달리 부유층의 이익은 더 커질 가능성
ㅇ 기업의 M&A 확대,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이어질 소지(WSJ)
- 이탈리아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BMPS) 은행위기 근본 원인은 2007년 영국 RBS, 벨기에 Fortis, 스페인 Santander 은행의 네덜란드 ABN 은행 적대적 인수가 발단
- Santander 은행은 ABN 인수 이후 이탈리아 내 사업확장 대신 수익확보를 위해 ABN 산하 이탈리아 Antonveneta 은행을 BMPS에 매각. 이후 BMPS 은행과 ABN 인수에 참여했던 RBS 은행 등은 이탈리아의 경기침체 등으로 수익성이 저하되며 자본건전성이 취약
- 미국의 경기 확장국면이 8년간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기업의 차입을 통한 과도한 M&A 등 고위험 투자행태가 늘어나면서 금융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우려, 주가 상승으로 기업이 M&A를 위한 자금확보를 위해 대출비중을 늘려, 향후 경기국면 전환 시 디폴트 리스크가 확대
ㅇ 세계경제 변화 조짐, 연준의 내년 금리인상 경로에도 영향(WSJ)
- 연준이 금주 FOMC에서 금리인상에 나서는 것은 거의 확실한 상황이나, 시장에서 중요하게 주목하는 것은 내년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과 채권금리가 급등하면서 내년 연준의 완만한 금리인상을 추진할 것이라는 기존의 전망이 후퇴
- 시장은 연준이 금리인상에 대해서 시장보다 낙관적이라는 배경으로 경제지표 부진 시 금리인상 지연을 주장. 선물시장에서는 연방기금(FF)금리가 내년 말 1.05%까지 상승한다고 예측하여, 연준의 예상인 1.125%에 근접
- 미국 경제상황은 금리인상을 시사. 실업률은 4.6%로 9년 만에 최저치이며, 소비심리는 2015년 1월 이후 최고치. 3/4분기 GDP성장률은 전기비연율로 3.2% 상승. 또한 최근 국제유가는 지난 2월의 2배 수준이며, OPEC의 감산합의도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
- 하지만 연준은 신중한 자세를 유지. 이는 근원물가상승률은 제자리수준이며, 에너지가격이 여전히 낮은 것에 기인. 또한 연초마다 경기가 둔화하는 최근의 경향에 대해서 확인할 필요
ㅇ 저금리, 자산가격 하락 등 시장위험 가능성 확대(FT)
- 재무부 산하의 독립 기구인 Office of Financial Research에 따르면, 저금리가 미국 경제에 가장 큰 위험요소 중 하나이며, 시장 전반에 급격한 가격 충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 금융안정성 위험이 중간(medium range) 수준이라고 평가
- 공격적인 통화정책이 전세계 금리를 낮추었고, 이는 회사채 발행이 최대 수준으로 증가하고, 상업용 부동산 가격과 주가 상승으로 연결. 따라서 단기 차입을 통해 자산을 구매한 주체는 자산가격 급락에 취약하다고 설명
ㅇ 12월 FOMC, 성명서와 점도표 등 5가지 측면에 주목할 필요성(FT)
- 성명서: 11월은 경제전망에 대한 위험의 균형(balance of risks)이 거의 균형상태(roughly balanced)라고 평가했고, 이번에는 균형으로 수정될 것으로 예상. 또한 4.6%로 하락한 실업률에 대한 평가가 수정될 전망
- 점도표: 기준금리 중앙값 전망은 큰 변화가 없고, 내년 2회의 금리인상을 전망할 것으로 예측. 골드만삭스의 Jan Hatzius는 낮은 실업률과 재정정책 확대가 금리인상을 가속화할 수 있으나, 이번 금리전망에는 불확실한 정책 효과를 포함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
- 경제전망: 3/4분기 GDP 성장률이 상향조정되어 2016년 경제성장률을 1.9%로 예상하고, 2017~18년 성장률 전망치도 개선될 전망.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전망치는 2016년과 2017년 0.1% 상승할 것으로 분석
- 재정정책: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정책에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옐런 의장의 기자회견으로 연준이 트럼프의 경기부양책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확인해야한다고 강조
- 시장반응: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는 동시에 향후 신중함을 유지할 계획을 발표한다면,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하락할 전망. 반면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면, 미국 증시와 달러화 가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ㅇ 2017년 통화정책, 불확실성 속에 금리인상 가속화 가능성 존재(FT)
- 지난 30년간 5차례의 통화정책 긴축 전환 중 4회의 금리상승 구간이 1년 이내에 종료된 반면 현재는 12월 금리인상 시 1년간 50bp 상승에 그쳐 내년에 금리가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
ㅇ 강달러, 트럼프 정책 간 혼선을 유발(FT)
- 트럼프 당선인은 캠페인 당시 강달러가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킨다고 비판했으나, 당선 이후 달러화 가치는 경기부양책 기대로 추가 상승. 달러화 가치 강세는 무역수지 적자 폭 감소를 주장한 트럼프에게 악재로 작용
- Brookings의 David Dollar, 트럼프의 감세와 인프라 지출 계획인 이자율과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무역수지 적자폭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평가. 따라서 트럼프가 주장한 무역수지 균형이 합리적인 목표인지 의문이라고 지적
- 아울러 경기부양책과 강달러로 환율 변동 발생 시 트럼프가 중국과 EU 등을 원인으로 지적하며,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강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
ㅇ 트럼프, 하나의 중국 지지는 무역 대응에 따라 좌우(로이터, 블룸버그)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중국 정부가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정책에 대한 지지는 무역으로 보다 효과적인 대응할 수 있을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 하나의 중국정책을 이해하나, 무역 등에서 합의하지 않으면 관련 정책의 고수가 곤란하다고 지적
- 아울러 트럼프는 중국 제품의 고관세 미부과, 남중국해와 북한 문제 등으로 미국이 타격을 받고있다고 강조
ㅇ 11월 재정수지, 세수 감소로 1367억달러 적자로 전년동월비 112% 증가(블룸버그, WSJ)
- 재무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재정수지 적자는 시장예상치(1350억달러)를 상회했으며, 재정수입은 2% 감소한 2천억달러, 재정지출은 25% 늘어난 3370억달러
ㅇ 트럼프, 정권인수위에 對中 철강무역 대응을 강화할 방침(로이터)
- 트럼프는 정권인수팀에 중국과의 철강업 무역전쟁에 유능한 인재들을 기용. 따라서 중국의 불공정 보조금 지원과 수입 장벽에 보다 공격적인 자세를 취할 것으로 예상
- 윌버 로스 상무장관 내정자에 이어 철강기업 Nucor의 전 CEO인 Dan DiMicco와 3명의 철강 교역 전문 변호사 등이 인수위에 합류하여,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문제 해결에 집중할 전망
- DiMicco는 중국이 20년간 환율 조작, 불공정 보조금 지급, 지적재산권 침해 등을 통해 무역전쟁을 시도해왔다고 비판.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후보인 Lighthizer 변호사도 중국의 중상주의에 대처할 수 있도록 WTO 조항을 강력하게 해석·적용해야 한다고 주장
ㅇ 달러화 가치, 내년에도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로이터)
- 자산운용사 Principal Global Investor의 James McCaughan, 달러화 강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되더라도 경제전망 개선과 금리상승 등이 다시 뒷받침할 것으로 관측. 1년 후 달러당 125엔이 되고, 유로화와 달러화는 등가(Parity)에 이를 것으로 예상
ㅇ 트럼프 경제정책, 단기적으로 시장에 호재이나 위험요소 존재(블룸버그, WSJ, FT)
- 시장은 글로벌 무역전쟁과 이민자 추방을 과소평가하는 반면 감세, 규제완화, 대규모 지출을 전망하여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트럼프와 연준 간 갈등과 달러화 가치 변화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 확대 위험이 상존한다고 주장
- 12월 FOMC에서 금리인상이 예상되며, 트럼프 경제정책 시행 시 인상 속도를 가속화해야 한다고 설명. 반면 트럼프는 이전 발언과 달리 매파적인 인사를 연준 위원으로 임명할 가능성이 낮고,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기 원하므로 양측 간 충돌이 예상
- 또한 재정정책 확대와 통화정책 긴축이 진행되면, 달러화 가치는 필연적으로 절상되고, 이는 수출품 가격 상승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진다고 지적. 무역수지 적자폭 감소를 주장한 트럼프의 예측과 반대로 전개될 가능성이 존재
- JP모건의 Jan Loeys는 법인세 인하 효과의 낙수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부정적으로 평가. 시장예측은 고객의 요청에 의해 예측을 하는 것으로 가치가 없으며, 증시 예측 이면의 논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
ㅇ 트럼프, 미·중 관계의 개선 필요하나 환율조작 등에 대응 강조(로이터)
- 트럼프는 중국이 시장경제가 아니며, 향후 국제적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 구체적으로 지적재산권 침해,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한 과세, 북한 제재에 대한 비협조적 자세 등을 문제로 거론
- 또한 미국경제가 개선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등이 통화절하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무역협정 재협상과 환율 조작 등 미국경제에 손해를 초래하는 행동은 중단시킬 방침
- 아울러 국제적인 이해보다 미국과 미국 근로자를 우선하는 메시지를 반복. 미국 제품을 구입하고 미국인 고용을 중시한다면서, 기업의 일자리 해외 이전에 대해 계속 압력을 가할 것임을 시사
ㅇ 의회, 잠정예산 가결로 정부기관 폐쇄 회피(로이터, 닛케이)
- 상원은 하원에 이어 내년 4월 28일까지 기한인 잠정예산안을 가결. 현 예산은 9일 기한 마감이었지만, 의회 결정으로 정부폐쇄는 회피. 4월말 이후 본격 예산안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심의 예정
ㅇ 12월 곡물수급, 옥수수·대두·밀의 기말재고 추정치는 전월과 동일(로이터, 닛케이)
- 농무부가 발표한 같은 달 곡물수급에서, 옥수수의 2017년 8월말 재고 추정치는 24억300만부셸로, 시장예상치 평균을 1000만부셸 하회. 같은 기간 대두의 재고는 4억8천만부셸로 시장예상치 평균보다 1000만부셸 상회
- 또한 밀의 2017년 5월말 재고는 11억4300만부셸로, 시장예상치 평균의 400만부셸을 웃돌았고, 세계 기말 재고추정치는 옥수수, 대두, 밀 모두 남미생산 증가 전망 등으로 전월보다 증가
- 시장에서는 대두와 옥수수 재고 수준은 높지만, 수출 증가세 확대가 예상되어 악재로 보기 어렵다는 평가
ㅇ 석유굴착장비 가동 수, 유가 회복으로 1년 5개월 만에 큰 폭 증가(닛케이)
- 미국 석유서비스 대형업체인 Baker Hughes가 9일 발표한 석유굴착장비 가동 수는 전주 말에 비해 21기가 늘어난 498기로, 2015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OPEC의 감산 합의로 유가가 회복되면서 투자의 채산성이 확보되어 셰일기업의 굴착재개 확대를 시사
- 이는 11월 30일 OPEC 감산합의 이후 실질적인 석유굴착장비 가동 수 조사로, 셰일기업의 생산이 명확하게 확인
- 지역별로는 텍사스와 뉴멕시코가 증가세를 견인하였고, 콜로라도와 와이오밍 등 신흥 유정에서 굴착활동이 활발. 석유와 함께 천연가스의 굴착장비 가동도 늘고 있어 트럼프 차기 장보의 에너지 인프라 정비 정책 기대가 반영
- 유가가 오르면서 5월말 석유굴착장비 가동 수가 최저치인 318기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며, 세일 기업의 굴착가동도 박차. 2일 기준 미국 원유생산은 일일 869만배럴로 지난 최고치의 91%로 높은 수준을 유지. 유정 당 생산 가능한 원유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
- 향후 석유굴착장비 가동 수가 증가할 경우, 미국의 원유생산이 본격적으로 회복되고, 이는 OPEC의 감산효과를 약화시킬 가능성
ㅇ 현재 30세 소득, 부모세대의 동일 시점에 비해 절반 수준(WSJ)
- 이는 미국경제가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도 반전되기 용이하지 않음을 시사. 스탠포드, 하버드, 캘리포니아 대학 등에서 조사한 결과에서, 1970년에는 30세 시점에서 부모의 같은 연령시기 소득을 상회하는 인구가 92%였지만, 2014년에는 51%로 하락
- 관련 조사를 담당한 스탠포드의 Chetty, 소득계층의 상위 이동은 정부정책 이외에 부모에 속한 계층 등에 좌우된다고 주장. 전자는 민주당, 후자는 공화당의 견해
- 현재 소득 감소추세를 전환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현 청년층이 부모수입을 넘었던 시기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연율 6% 이상의 경제성장이 필요
ㅇ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향후 가속화될 전망(WSJ)
- WSJ 조사에서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물가상승률이 상향될 것으로 예상.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감세·재정지출 계획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또한 트럼프가 지명하는 연준 이사는 강경하게 편파적 금리경로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
- 2017년 12월 기준 Federal Fund 금리 유도목표에 대해 시장의 예상치 평균은 1.26%. 이는 현 시점에서 내년말까지 금리인상이 4차례 실시될 것임을 시사
ㅇ 트럼프의 규제완화, 에너지 업체와 은행권 등의 기대는 고조(WSJ)
- 트럼프가 환경보호청장으로 스콧 프루이트를 지명하면서, 에너지와 자동차업계는 차량연비 효율화를 요구한 오바마 정부와 다른 규제완화를 기대
- 가솔린에 일정량의 바이오 에탄올 혼합을 의무화하는 환경보호청의 에탄올 규제가 변경되면, 일부 에너지 기업은 수혜
- 은행 등 일부 대기업은 새로운 규칙 적용의 완전폐지보다는 간소화와 비용인하를 차기 정부에 제안. 대형은행은 도드-프랭크법 적응을 위해 많은 비용을 소모. 하지만 JP 모건의 제임스 다이몬은 도드-프랭크법의 전면적 폐지는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
ㅇ 감세정책, Fed 기준금리 전망과는 상충될 가능성(FT)
- 시장은 트럼프와 공화당 감세정책이 성장 가속과 동시에 재정수지 적자를 유발하므로, 연준이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여 금리인상 경로에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평가
- 그러나 연준 옐런 의장은 세금과 재정지출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완만한 금리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언. 따라서 FOMC 이후 발표되는 연준 위원의 금리인상 전망은 정책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해석하기 어려울 전망
-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Joseph Gagnon, 시장은 재정정책 확대를 예상하여 장기 국채수익률과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강조. 다만 실제로 정책이 실행되기 전에 연준 위원이 통화정책 기조를 전환할지는 의문이라고 설명
ㅇ 채권시장, 트럼프 정책의 금리상승 효과를 과소평가(FT)
- 금년 기준금리 경로는 연준 전망보다 채권시장의 예측력이 우위에 있었지만,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저금리가 지속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진 상황
- BMO Capital Markets의 Ian Lyngen, 시장은 정책변화에 따른 급격한 금리인상 가능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주장. 연준 옐런 의장이 2018년 초 임기가 끝나고, 남은 두 공석에도 매파적 인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부연
- RJ O'Brien의 John Brady, 채권시장이 반응이 급격한 금리상승을 반영하지 않고, 트럼프의 재정정책을 감안 시 내년 최소 3차례의 금리인상이 예상된다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