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의 관개 지역에서 저투입 벼논양어 체계
벼논양어 체계는 말레이시아 반도 페라 주의 North Kerian 지역에서 행하는 오래된 전통이다. 이 지역은 충적 해안 범람원이며 Tasik Merah 저수지에서 관개용수를 공급받는다. 토양은 일부 산도 문제가 있는 주로 점토이다. 벼는 이모작을 하고, 일찍 익는 다수확 볍씨를 심는다.
말레이시아 페라 주 NORTH KERIAN 지역의 절단면
말레이시아 반도에는 약 35만2000헥타르의 논이 있고, 그 가운데 12만 헥타르(34%)가 수심(15~16cm)이 벼논양어에 적합하다.
벼논양어 체계의 설명
이 체계는 근본적으로 노동력과 재료가 별로 필요하지 않은 야생 물고기를 놓아기른다. 벼농사 초기에 관개용 운하와 수로에서 논으로 물고기를 가두고, 벼와 함께 자라다가 나중에 농사가 끝나면 잡는다.
말레이시아 페라 주 NORTH KERIAN 지역의 일반적인 절단면 1
말레이시아 페라 주 NORTH KERIAN 지역의 일반적인 절단면 2
논의 넓이는 0.81~1.42헥타르 정도이다. 먹지는 않지만 우물이나 토사채취장이 될 수도 있는 지름 6.5~8m 정도의 둠벙이 논의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냉각소이자 용존산소량이 높은 둠벙은 수위가 낮아지는 기간 동안 물고기들의 피신처가 된다. 외곽 도랑(너비 0.25m, 깊이 0.1m)은 물고기들이 둠벙에서 논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파 놓는다. 이러한 개방형 도랑은 특히 물고기가 어리거나 치어일 때 동물플랑크톤을 공급하는 지역으로도 역할을 한다. 동물플랑크톤은 물고기의 초기 성장에 중요하다. 도랑을 파서 나오는 진흙은 논두렁(0.3m 높이)을 강화하는 데 쓰인다.
농장 배치 1
농장 배치 2
추가 사료는 전혀 주지 않는다. 물고기는 논의 자연자원에서만 먹을거리를 얻는다. 이 체계의 비옥도는 농사철에 2번 주는 벼의 비료에 의존한다. 요소(46% 질소)와 복합비료(NPK 17.5-15.5-10.0)가 1헥타르에 각각 56kg과 112 kg의 비율로 사용된다. 생산성과 먹을거리 가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면 둠벙에 석회를 살포하여 중화시키고 가능하면 유기질 거름을 준다.
자재의 흐름
사용되는 종
지역의 종들
지역의 종들은 논에서 잘 자란다. 그들은 논의 얕고 탁한 물과 온도 및 낮은 용존산소량에 적응한 것이다.
· 뱀껍질 구라미(Trichogasterpectoralis http://en.wikipedia.org/wiki/Snakeskin_gourami)는 수량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이 종과 세점 구라미(T. trichopterus http://en.wikipedia.org/wiki/Three_spot_gourami)는 초식동물(플랑크톤)이고, 먹이사슬에서 가장 낮은 위치를 차지한다.
· 등목어(Anabas testudineus)는 식충동물이다.
· 메기(Clarias macrocephalus)는 잡식성이자 진흙 속에 살고, 가물치(Channa strata)는 중요한 육식동물이다.
새롭게 고려되는 종
· 틸라피아(Oreochromis spp)는 초식동물/식충동물로서 생태적으로 적합하고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 고려해야 할 기타 종은 민물 참새우(Macrobrachium rosenbergi)이다.
묵히는 기간 동안 둠벙은 5년에 한 번 약 1.5~2m 깊이로 파낸다. 외곽 도랑(너비 0.25m, 깊이 0.1m)도 파야 한다. 논두렁은 약 0.4m로 높인다. 필요하면 석회를 살포하고, 가능하면 유기질 거름을 준다.
일단 물은 가능하면 논에 배분하고, 7~10일 간격으로 죽은 나무를 제거하고 걷어낸다. 모든 물꼬는 물고기가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막아야 한다.
벼 모내기와 김매기를 하고 특히 어린 물고기에게 먹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랑에 버린다.
첫 번째 비료는 1헥타르에 요소 56kg에 5.6kg의 퓨라단furadan(살충제)을 섞어서 주고, 두 번째 비료는 NPK 112 kg을 준다. 두 번째 비료는 60일 뒤에 준다.
논만이 아니라 물고기도 확인한다. 물고기가 탈출하지 못하도록 모든 구멍을 막는다.
벼가 수확할 때쯤이 되면 물고기를 잡기 위해 둠벙으로 보낸다. 상품성 있는 크기의 물고기만 잡고(크기는 시장의 수요에 달려 있음) 작은 물고기는 다음 농사철을 기다리며 풀어준다.
영농 일정
수확량
· 물고기 판매는 특히 소작농에게 중요한 부가 수입을 제공한다. 물고기에서 발생하는 기여금은 지주와 소작농이 각각 6.8%와 9%이다. 들어가는 게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수확량은 농민에게 중요한 영농수입을 제공한다.
· 물고기는 펌프와 그물, 기타 어로도구를 제공하는 상인에게 판다. 작은 물고기는 다음 농사철을 기다리며 풀어준다. 상품성 있는 물고기의 크기: 뱀껍질 구라미 14cm, 메기 20cm, 가물치 25cm.
전통적, 저투입 체계에서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수확량의 예상 범위
* Option I 은 전통적 체계
Option II 는 개량 -도랑을 만들고, 둠벙을 깊게 파며, 논두렁을 개선하고, 유기질 거름을 주고, 둠벙을 중화시킴.
** 다음 농사철을 기다리며 풀어준 작은 크기의 물고기와 소비하거나 "pekasam"으로 염장하고 판매하는 잠재성을 포함
두 체계에 대한 예산을 간소하게 추산
* 첫 농사철에, Option I은 초기 비용이 없어서 순수입이 II 체계보다 더 높음.
** 그러나 두 번째 농사철에, Option II의 비용이 떨어지고, 농민은 Option I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익을 올림.
벼논양어 체계의 한계점
· 벼 이모작 때문에 농사철이 짧음
· 부적절하고 과도한 살충제와 제초제 사용
· 물이 넘치는 걸 조절하지 못해 물고기가 도망갈 수 있음
· 적절한 관리법이 없고, 일손이 부족
· 정기적으로 추가 사료를 주지 않기에 생산성과 수용력이 낮음
· 집에서 둠벙까지의 거리
· 벼에 대한 보조금의 형태로 정부 프로그램과 상충
벼논양어 체계의 장점
· 추가적인 먹을거리와 수입을 제공
· 도랑이나 두둑 등을 손볼 때 말고는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음
· 일반적 농법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아도 됨. 농민들이 전통농업에 적합하면서 저렴하게 수확량을 개선하도록 조절할 수 있음.
(개선책이 없는 체계(option 1)는 노동력의 제한과 고령층이란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함.)
· 폐기되고 사용하지 않던 기존의 자원을 최대로 활용함
· 지역적으로 귀중한 종의 유전자 풀을 유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