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false acasia
1.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아카시나무라고도 하며 수고 25m 정도이다.
2. 수피는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세로로 갈라지며 턱 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3. 잎은 어긋나고 홀수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9∼19개이며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길이 2.5∼4.5cm)
4.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의 길이는 15∼20mm정도로서 향기가 강하고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5. 열매는 협과로서 납작한 줄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5∼10개의 씨가 들어 있는데, 종자는 납작한 신장 모양이며 길이 약 5mm이고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6. 번식은 꺾꽂이와 포기나누기, 종자로 한다.
7. 사방 공사 조림용으로 한국전쟁 후, 우리나라 전국에 많이 식재하였다.
8. 아까시아 꿀은 식품으로 우리에게 필수품이며 한약재용으로 사용 한다.
9,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열대지방의 원산지인 아카시아(Acacia)와는 다르다.
10. 민둥 아까시나무(var. umbraculifera)는 가시가 없고 꽃이 피지 않는 것
꽃아까시나무(R. hispida)는 꽃이 분홍색이며 가지에 바늘 같은 가시가 빽빽이나는 것
기침 기관지천식 방광염 각종 콩팥질환에 효험
▶ 이뇨작용, 저질소각작용, 만성 및 급성 신염(콩팥염), 콩팥경화증, 신의 질소혈증, 콩팥질병, 방광염, 신석증(특히 속껍질), 기침, 기관지천식, 부정자궁출혈에 효험
콩과의 아카시아나무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 널리 심고 재배되어 왔으나 이제는 번식력이 왕성하여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 야생 상태로 자라고 있으며 높이가 15~25미터까지 크게 자라는 갈잎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갈색~황갈색이고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잔가지는 털이 거의 없고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9개이고 타원형~달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밑으로 처진 총상꽃차례에 흰색 꽃이 모여 피는데 강한 향기가 대단히 좋다. 기다란 꼬투리열매 속에는 4~10개 들어 있는데, 신장형의 검은 갈색이며 작은 흑색 반점이 있다.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콩과의 아카시아나무속은 북아메리카와 멕시코에 약 1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귀화상태로 자라고 있는데, 아카시아나무(아가시나무, 아까시나무), 꽃아카시아나무(꽃아까시나무, 장미색아카시아나무)가 자라고 있다.
아카시아나무의 다른 이름은 자괴(刺槐: 귀주민간방약집), 양괴(洋槐, 호등:胡藤: 중약대사전), 아카시아나무, 아가시나무, 아까시나무 등으로 부른다.
중국의 <귀주민간방약집>에서는 "대장하혈, 각혈을 멎게 하고 여자의 홍붕(紅崩)을 치료한다."고 적고 있다.
아카시아꽃을 6~7월에 채취하여 말려놓았다가 하루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주의사항으로 <중약대사전>에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임상보고(臨床報告)
중독: 아카시아나무의 어린 눈과 잎으로 식품을 잘못 만들 경우, 아카시아나무에 대한 생체의 과민성, 적당하지 않은 요리법, 과식, 식후 일광에 의해 중독된다. 이미 보고된 23례에서 중독은 일반적으로 식후 2~20일에 일어나며 얼굴과 손의 부종, 국소의 찌르는 듯한 통증, 불로 지지는 듯한 통증, 창만과 동통, 가려움, 온몸의 무력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식초 75그램과 민들레 15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고 잠시 햇볕을 피하면 2~3일 만에 완화된다.
나무껍질은 독이 있으며 유독한 단백질과 유독한 glucoside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아카시아나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아카시아나무(Robinia pseudo-acacia L.)
다른 이름: 아카시아, 아까시나무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타원형 쪽잎이 여러 개 모인 잎이다. 봄에 흰 꽃이 핀다. 열매는 납작한 꼬투리이다.
각지에서 가로수 또는 꽃나무로 널리 심는다.
꽃: 꽃이 활짝 핀 다음 따서 햇볕에 말린다. 떨어진 것도 쓸 수 있다.
성분: 꽃에는 로비닌 C33 H40 O19(켐페롤-3-람노실갈락토시드-7-람노이드)이 있다. 녹는점은 물로 재결정화할 때 7 1/2의 결정수를 가진 것(α형)이 195~197℃(188~189℃)이다. 알코올로 결정화하면 녹는점이 높아진다. 무수알코올에 의해서는 결정수가 없는 249~250℃의 녹는점을 가지는 결정(β형)으로 된다. 또한 꽃에는 비오로빈(켐페롤-3-갈락토실-람노시드), 디오로빈, 람노로빈, 아카시인, 켐페롤, 쿠에르세틴과 그 배당체, 아카신이 있다. 꽃받침에는 이밖에 아카세틴과 아피게닌이 있다. 꽃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의 대부분은 로비닌이며 나머지 성분은 적거나 흔적이다.
꽃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꽃잎이 5.2%, 꽃술이 1.21%, 꽃받침이 1,93%, 꽃대가 1.35%이다. 꽃잎에는 켐페롤 약 0.15%, 로비닌 약 3~4%(생태형에 따라 0.8%에서 4.9%), 비오로빈과 기타 배당체 0.8~1%가 들어 있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로비닌의 함량은 풀색의 꽃봉오리에서 낮고 꽃봉오리가 부풀어났을 때 제일 높으며 꽃이 피면 낮아졌다가 꽃이 질 때 다시 약간 높아진다. 꽃의 무게가 늘어나는 것을 고려한다면 꽃 한송이에서 얻을 수 있는 총 플라보노이드와 로비닌의 양은 꽃봉오리에서 제일 적고 꽃이 피어나 점차 무게가 늘어나면서부터 꽃이 시들 때 제일 많다.
잎에는 탄닌질, 아카세틴과 그 배당체인 아카신, 아카세틴-트리오시드가 있다. 그리고 플라보노이드이 물분해물에서 아피게닌, 쿠에르세틴, 루테올린을 확인하였다. 총플라보노이드의 대부분은 아카세틴-트리오시드 특히 아카신이다. 잎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봄에 약 2%이고 7월에 약 1.5%로 제일 낮으며 8월부터 높아져 9~10월에 3.5%로 제일 높다.
열매껍질에 로비닌, 비오로빈, 비오쿠에르세틴, 목부에 로비네틴, 디히드로로비네틴, 로비네티니돌, 로이코로비네티니딘, 껍질에 피로카테킨탄닌질이 있다.
작용: 로비닌은 오줌내기작용, 저질소작용이 있다. 흰쥐에게 매일 0.04g/kg의 로비닌을 먹이면 핏속의 요소량이 30%로 낮아지며 실험적인 과질소혈증을 일으켰을 때에는 50%로 낮아진다. 또한 흰쥐, 토끼, 개에게 로비닌을 한번 먹이거나 주사하면 오줌량은 먹인 지 한 시간 지나서부터 많아져 2시간에 제일 많고 4시간까지 많아진다. 흰쥐와 토끼에 대한 로비닌의 오줌내기 유효작용량(ED50)은 먹일 때 5.3~6.0g/kg이며, 정맥 주사 때에는 먹일 때보다 흰쥐에게서 4 1/2, 토끼에게서 7 1/2이나 적다.
로비닌의 임상 실험에 의하면 콩팥염과 콩팥경화증을 앓는 환자에게 먹이거나(한번에 150mg씩 하루 3번, 20일) 주사할 때(한번에 40mg씩 하루 1~2번, 20일) 혈압은 정상으로 회복되고 부었던 것이 내리며 오줌 속의 단백은 확인되지 않았다. 치료 작용은 4~7일부터 나타난다. 켐페롤의 수산기에 당이 결합되면 오줌내기작용은 약해지고 저질소작용은 강화된다.
아카시아나무의 플라보노이드는 비타민 P 활성이 있다. 비타민 P 활성은 아카세틴에서 루틴보다 세고 쿠에르세틴보다 약하며, 아카신은 루틴보다 약하고 켐페롤은 쿠레으세틴과 거의 같다.
응용: 로비닌을 만성 및 급성 콩팥염, 콩팥경화증, 콩팥의 질소혈증에 쓴다. 씨는 피토헤마글루틴의 원료로 이용한다.
민간에서는 꽃을 콩팥질병, 방광염, 신석증(특히 속껍질)에, 씨를 기침과 기관지천식에 쓴다.
로비닌 알약: 0.1~0.15g씩 하루 3번 끼니 뒤 30분에 먹는다. 20~30일 쓴다.
로비닌 주사약: 로비닌 5g, 붕사 12g, 증류수로 전량 1,000ml. 또는 로비닌 5g, 아르기닌 15g, 주사용 증류수로 전량 1,000ml, 콩팥염, 급성 콩팥염, 콩팥경화증, 방광염 때 한번에 2~4ml씩 하루 1~3번 근육 주사한다.
참고:
로비닌의 추출 분리
① 물 추출법: 말린 아카시아꽃 1kg에 물 10배량을 넣고 1.5시간씩 끓이는 방법으로 3번 우린다. 추출액을 합쳐 5리터 정도까지 졸인 다음 클로로포름 2리터로 씻어 수지를 없앤다. 클로로포름층을 갈라내고 물층을 1주일 동안 찬 곳에 놓아둔다. 이때 생긴 앙금을 그대로 걸러내거나 원심분리한다. 앙금을 물로 2~3번 재결정하여 말린다. 로비닌의 거둠량은 5g(0.5%)DLEK.
② 알코올 추출법: 마른 아카시아나무꽃 1kg에 알코올 10배량을 넣고 48시간씩 3번 우린다. 추출액을 합쳐 알코올을 회수한 다음 남은 찌꺼기에 물 0.5리터를 넣어 현탁시키고 클로로포름 0.5리터로 씻어 수지와 엽록소를 없앤다. 물현탁액을 갈라내어 2~3일 동안 찬 곳에 놓아둔다. 이때 생긴 앙금을 걸러내어 알코올로 2~3번 재결정한다. 로비닌의 거둠량은 6g(0.6%)이다.
아카세틴의 추출분리: 꽃잎을 데워서 우려내어 거른액을 찬 곳에 놓아둔다. 이때 생긴 앙금을 걸러내어 말린다. 말린 앙금에 30배량의 알코올을 넣어 환류시킨다. 추출액을 1/3 정도까지 졸이고 2배량의 찬물을 넣는다. 전체 액량의 1/3 가량 되는 클로로포름을 넣고 세게 뒤흔든다. 다음 5% 황산, 60% 메탄올을 넣고 수욕 위에서 2시간 동안 분해시킨다. 이때 생기는 앙금을 걸러내어 말린 다음 메탄올로 재결정 한다.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아카시아나무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자괴화(刺槐花)
콩과의 갈잎큰키나무 아카시아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e)의 꽃이다.
효능: 지혈(止血)
해설: 지혈 작용이 있어서 폐결핵 각혈과 부인의 자궁 출혈에 쓰인다.
성분: canaline, tannin, flavonoid, ricin 등이 알려졌다.
임상보고: 어린잎은 신체에 과민 반응을 보이므로 중독 증상을 나타낸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아카시아꽃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자괴화(刺槐花), 아카시아꽃, [본초]
콩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아카시아나무(Robinia pseudoacacia L.)의 꽃을 말린 것이다. 아카시아나무는 각지의 산기슭과 들판에서 자란다. 꽃이 활짝 필 때 꽃이삭을 따서 햇볕에 말린다. 꽃에 플라보노이드인 로비닌이 들어 있는데 이것이 이뇨작용과 저질소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로비닌을 추출분리하여 만성 및 급성 신염, 신경화증, 신의 질소혈증 등에 쓴다. 민간에서는 꽃을 신병, 방광염, 신석증, 부정자궁출혈 등에 쓴다.
신선한 잎은 비타민 C를 119.3mg% 함유하고 있다.
아카시아나무는 사방공사용으로 심으며, 울타리용,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잎은 가축 사료용으로, 목재는 철도 침목, 기구재, 땔감으로 이용되는데 시골에서는 연기가 적고 화력이 좋아서 가죽장갑을 끼고 낫으로 채취하여 땔감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한다. 특히 꽃이 많이 피고 꿀이 들어 있어서 벌을 치는 양봉가들에게 꿀을 모아들이는 밀원 식물로 가치가 높다. 아카시아꿀은 향기가 좋아서 시중에서 인기가 있는 꿀중에 속한다.
잎을 따서 소나 토끼에게 주면 잘 먹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또한 아카시아나무에는 아카시아나무버섯인 장수버섯이 잘 자라는데 민간에서 항암제로 물로 달여서 먹는다.
시골 어린이들이 향기가 좋은 아카시아꽃이 필 때 꽃을 한주먹씩 훓어서 먹는데 맛이 달지근하면서 먹을만 하다. 친구들과 함께 마주보고 있는 잎줄기를 떼어서 가위 바위 보를 하면서 이긴 사람은 손가락으로 잎을 튀기면 한 개씩 떨어져 나가는 모습을 보고 재미있게 놀던 기억이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