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_문화

불량식품 10년의 기록

by 성공의문 2013. 2. 13.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불량식품을 4대악 중 하나로 규정하고 '불량식품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박 당선인은 공약집을 통해 먹을거리 관리로 식품안전 강국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조직개편에서 농림수산식품부의 '식품'을 떼어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이관시켰다.


현재 식품안전관리는 농림수산식품부와 보건복지부, 식약청으로 분산돼 신속대응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식약청을 총리실 산하기관으로 승격시켜 식품의 안전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차기 정부가 열을 올리고 있는 불량식품 문제. 지난 10년간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은 무엇이 있었는지 살펴봤다.


지난 2003년엔 미국에서 처음으로 광우병이 발생하면 수입쇠고기에 대한 공포감이 극에 달했다. '학교 급식에 광우병 걸린 소를 사용한다'는 괴담이 돌 정도로 사회 분위기는 흉흉했다. 그 해 겨울, 광우병 파동이 가라앉기도 전에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었다.


2004년에는 '불량 만두소 사건'이 터졌다. 쓰레기로 버려질 만큼 변질된 재료로 만든 만두소를 5년간 국내 20여개 유명 만두업체에 저가로 납품한 납품업자들이 입건됐다. 당시 '쓰레기 만두' 사건은 만두를 즐겨 먹던 서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2004년에는 불량 만두소 사건 외에도 표백제를 넣은 중국산 찐쌀이 유통되는가 하면 구기자 등 한약재에 기준치 이상의 이산화황이 검출되기도 했다.


해가 바뀌어도 불량식품에 대한 공포는 우리 사회를 떠나지 않았다.


2005년은 매일 식탁에 오르는 김치로 인해 식품에 대한 공포감이 극에 달했다. 중국산 김치에서 납과 기생충 알이 검출된 것이다. 중국산 김치에서 국산 김치의 최고 5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기생충알이 발견됐다. 당시 음식점들은 '국내산 김치를 사용한다'고 광고했지만 그 파장은 컸다.


2006년 한·일 월드컵으로 온 나라가 들썩였지만 기쁠수만은 없었다. 그 해 6월 당시 식자재 공급업체였던 CJ프레시웨이(현 CJ푸드시스템)가 '식중독 사건'을 일으켰고, 급기야는 '학교급식법'이 제정되기도 했다. 9월에는 남양유업의 '알프스 산양분유'에서 식중독균의 일종인 사카자키균이 검출됐다. 중국산 냉동 꽃게에서 아황산나트륨이 과다 검출되기도 하고, 시판 올리브유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 온 국민을 충격에 빠뜨렸다.


2008년은 불량식품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던 해다. 농심 '쥐머리 새우깡' 이후 동원F & B 참치 통조림에선 칼날이 발견됐다. 이탈리아산 버팔로 모짜렐라 치즈와 칠레산 돼지고기에선 허용치 이상의 다이옥신이 확인됐다. 미국산 냉동 야채가공품에서도 이물질이 발견됐고, 중국에서는 멜라민에 오염된 분유가 유통되기도 했다.


마시는 물조차 못 믿을 때가 있었다. 2009년에는 발암가능물질인 '브론산염'을 과다 함유한 생수 제품이 시중에 유통됐다. 당시 회수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국민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2010년에는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발병해 수 십만 마리의 소·돼지가 살처분됐다. 구제역과 동시에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견됐다. 수입산 조미 쥐치포는 방사선에 양성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계임 연구위원은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식품 안전은 생산단계부터 가공·유통·최종소비단계까지 이르는 모든 과정이 통합적으로 수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식품안전관리는 유통·소비단계에서 위생관리, 수거검사의 사후관리보다 생산·가공단계에서 농식품 위해요소를 적극 방지하고 차단하는 사전예방관리로 전환돼야 한다"며 "농축수산물의 생산 환경 및 농약·동물용의약품·사료를 관리함으로써 농장으로부터의 안전을 확립하고, 농식품 제조업소의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 강화로 제조·가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jael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