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굿가시나무, 가시돌뽕나무, 가시뽕나무, 구지뽕나무, 활뽕나무
각종 소화기암을 다스리는 꾸지뽕나무
▶ 항암작용[자궁암, 난소암, 식도암, 비인암, 분문암, 대장암(직장암), 위암, 결장암, 폐암, 간암, 모든 소화기관암], 진통작용, 세균증식억제작용, 타박상, 방광 산기, 식적으로 인한 복부 팽만,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요통, 어혈제거, 객혈, 구혈, 당뇨병, 부스럼, 이명증, 습진, 소염, 통증 완화, 풍을 제거, 혈액 순환 촉진, 유행성 이하선염, 만성 요퇴통, 타박 노상, 부스럼, 종기, 부종, 식욕증진, 급성 관절 좌상,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함, 비문증, 눈을 밝게함, 기관지염, 폐결핵, 관절염, 풍허로 귀먹은 것, 학질, 외상성 손상, 부인붕중혈결, 부인의 월경과다 증상, 급성 및 만성 간염을 치료하는 꾸지뽕나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갈잎작은키나무~떨기나무이다. 꾸지뽕나무속은 열대 및 아시아에 여러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분포되어 있다. 높이는 3~5미터까지 자란다.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중남부의 산기슭이나 들판에서 자란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잎겨드랑이에 가지가 변해서 된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잎몸이 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잎 앞면에서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융단 같은 털이 있다.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의 두상꽃차례에 연노란색 꽃이 모여 핀다. 수꽃은 둥글며 노랗고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떨어져 없어진다. 암꽃은 둥글며 실처럼 생긴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진다.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탈락되며 둥근 열매는 처음에 푸른색을 띠다가 붉은색으며 변하는데, 이 둥그스름한 취과열매는 붉게 익으면 단맛이 나면서 먹을 수 있다.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꾸지뽕나무는 일반 뽕나무와는 달리 긴 가시가 달려 있고, 잎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을 자르면 우유 같은 흰액이 나오며, 열매에서도 같은 액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남부지방의 야산에 많이 자라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암그루와 수그루가 있어서 꾸지뽕나무는 많이 있는데, 열매를 본 일이 없다면 반드시 숫나무만 있기 때문이다. 단맛이 나는 붉게 익은 열매는 사람만이 아니라 새들도 즐겨 먹는다. 황해도 지방에서는 이 나무를 활뽕나무라고 부르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이 나무로 화살을 쏘는 활의 재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꾸지뽕나무의 용도는 토목 공사재. 산탄재로도 사용되며, 열매는 식용하고 꾸지뽕나무의 잎은 누에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꾸지뽕나무의 여러 가지 이름은 자목[柘木=zhè mù=저↘무↘: 본초습유(本草拾遺=běn cǎo shí yí=뻔V차오V스↗이↗)], 자수[柘樹: 구황본초(救荒本草)], 상자[桑柘: 사기(史記)], 자[柘: 시경(詩經)], 자상[柘桑: 회남자(淮南子)의, 고유주(高誘注)], 문장수[文章樹: 청이록(淸異錄)], 회상수[灰桑樹: 상음현지(湘陰縣志)], 자자[柘子, 야매자:野梅子, 야여지:野荔枝, 노호간:老虎肝, 황상:黃桑, 황료자:黃了刺, 자정:刺釘, 황달수:黃疸樹, 산여지:山荔枝, 자시수:痄腮樹, 자자:痄刺, 구중피:九重皮, 대정황:大丁癀, 자수:柘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뫼뽕[동의보감(東醫寶鑑)], 자황[柘黃], 오호[烏號: 까마귀의 울음소리], 굿가시나무, 활뽕나무[황해도 방언], 꾸지뽕나무[전남 방언], 구지뽕나무 등으로 부른다.
꾸지뽕나무에 대해서 우리나라, 북한, 중국의서에 실린 내용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1, 한국본초도감(안덕균, 1998년 교학사, 577면)
[자목(柘: 산뽕나무자, 木: 나무목), 뽕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LL.) Bureau)의 원줄기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부인붕중혈결(婦人崩中血結), 세목영명(洗目令明)의 효능이 있어 부인의 월경과다 증상에 마편초(馬鞭草), 유백피(楡白皮)와 같이 달여 복용하며, 약물 달인 물로 눈을 씻으면 눈이 밝아진다.]
2,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56~3357면)
[자목(柘:산뽕나무자, 木:나무목)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 식물 자수(柘樹)의 목질부이다.
[원식물] 자수(柘樹) [<구황본초>] 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자(柘) [<시경>], 자상(柘桑) [<회남자> 고유주], 문장수(文章樹) [<청이록>], 회상수(灰桑樹) [<상음현지>], 자자(柘子), 야매자(野梅子), 야여지(野荔:타래붓꽃여枝), 노호간(老虎肝), 황상(黃桑), 황료자(黃了刺), 자정(刺釘), 황달수(黃疸樹), 산여지(山荔枝), 자시수(痄:병중할자, 腮:뺨시, 樹:나무수), 자자(痄刺), 구중피(九重皮), 대정황(大丁癀:황달황) 이라고도 한다.
낙엽 관목 또는 작은 교복으로 높이가 8미터 이상 되는 것도 있다. 작은 가지는 검은 녹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부드럽고 털이 없으며 단단한 가시가 나 있는데 그 길이는 5~35밀리이다. 홑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에 가까우며 달걀 모양이거나 거꿀달걀 모양으로 길이가 5~13센티미터이다. 기부는 쐐기 모양이거나 원형이고 끝은 무딘 모양이거나 뾰족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혹은 3개로 갈라지고 윗면은 짙은 녹색, 밑면은 연한 녹색이다. 어릴 때에는 양면에 모두 털이 있지만 자라면 밑면의 중륵맥에만 털이 조금 남아 있을 뿐, 그 외에는 털이 빠지고 광택이 난다. 기부에서는 세 개의 잎맥이 나오고 측맥은 4~5쌍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약 1센티미터로 털이 조금 나 있다. 턱잎은 작고 분리되어 측생한다. 꽃은 단성이고 암수 딴그루이며 모두 두상 화서로 꽃자루는 짧고 단일하게 나거나 쌍을 지어 액생한다. 수꽃의 꽃덮이는 4개로 갈라지고 꽃떡잎은 2개나 4개이며 수술은 4개이고 꽃실은 직립한다. 암꽃의 꽃덮이는 4개로 갈라지고 암술대는 1개이다. 취산 화서 모양의 열매는 공 모양에 가깝고 지름은 약 2.5센티미터로 적색이며 다육질의 숙존 꽃덮이와 꽃떡잎은 수과를 싸고 있다. 개화기는 6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햇빛이 잘 드는 험한 산이나 산비탈, 구릉, 계곡에서 잘 자란다. 중국의 하북, 산동, 하남, 협서, 감서, 강소, 절강, 안징, 강서, 복건, 호북, 호남, 사천, 운남, 귀주, 광동, 광서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 식물의 뿌리를 '천파석(穿破石)', 나무껍질과 뿌리껍질 '자목백피(柘木白皮)', 잎을 '자수경엽(柘樹莖葉)', 열매를 '자수과실(柘樹果實)'도 약용한다.
[성미] <본초습유>: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일화자제가본초>: "부인의 붕중혈결, 학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37.5~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는다.
[처방예] 1, 월경과다의 치료: 꾸지뽕나무, 마편초, 느릅나무를 달여 흑설탕을 섞어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2, 눈을 밝게 하는 처방: 꾸지뽕나무를 달여 따뜻하게 해서 매일 눈을 씻는다. [<해상방>]
3, 비사(飛絲)가 눈에 들어간 것 처럼 보이는 증상의 치료: 꾸지뽕나무의 즙을 눈에 떨어뜨려 넣고 젓가락에 솜을 감아 물을 조금 바른 것으로 독연(毒涎)을 씻어낸다. [<의학강목>]
[비고] 1, <본초연의>: "꾸지뽕나무는 속에 무늬가 있으며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잎으로 누에를 기르기 때문에 자잠이라고도 한다. 잎은 단단하여 뽕나무 잎에는 미치지 못한다."
2, <본초강목>: "꾸지뽕나무는 어느 산에나 다 있으며 보통 뭉쳐난다. 가지가 듬성듬성하고 길고 곧게 자란다. 잎은 무성하고 두터우며 둥글고 끝은 뾰족하다. 그 열매는 뽕나무 열매와 같으며 추처럼 둥근 낟알이기 때문에 가자(佳子)라고 이름지었다. 또 그 나무는 황적색이기 때문에 자황(柘黃)이라고 한다.]
3,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4166~4167면)
[천파석((穿破石)) [<영남채약록>]
1, 자수(柘樹: 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채집] 일년 내내 채집할 수 있다. 뿌리를 파내어 측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토막 내거나 조각으로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약재] 말린 뿌리는 원기둥 모양이고 분지는 극히 적으며 굵기는 같지 않고 굵은 것은 5~6센티미터에 달한다. 표면에 코르크 껍질은 등황색이거나 등홍색이고 가로주름이 가늘게 있고 종이처럼 얇으며 매우 쉽게 벗겨진다. 코르크껍질이 벗겨진 표면은 노르스름한 회색으로 황갈색 혹은 등황색의 반점이 있다. 질은 단단하다. 횡단면의 피부는 얇고 섬유성이며 목질부가 발달하고 황색이며 밀집한 가는 바늘구멍 모양의 목질부가 발달하였고 황색이며 밀집한 가는 바늘 구멍 모양의 도판이 가득 있고 중심에는 간혹 작은 고갱이 부위가 있다. 껍질이 누렇고 뿌리는 균일하며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양품이다. 중국의 광동, 광서, 복건 등지에서 난다.
[성분] 소자수(小柘樹)의 뿌리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를 함유한다.
[포제] 깨끗이 씻어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면 비스듬히 썰어서 박편으로 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미] 맛은 싱겁고 약간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1, <생초약서비요>: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2, <민동본초>: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3,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맛은 싱겁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서늘하다."
4, <광서실용중초약신선>: "맛은 약간 쓰고 약간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5, <운남중초약선>: "맛은 싱겁고 약간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풍사를 몰아내고 습을 배출시키며 혈을 잘 순환시키고 월경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풍습에 의한 관절통, 황달, 임탁(임병), 고창(주로 간장병에 복부가 붓는 증상), 폐경, 노상에 의한 해혈, 타박상, 정창, 부스럼을 치료한다.
1, 요가성 <식물본초>: "창양개선을 치료한다."
2, <생초약성비요>: "주정을 치료하고 고창을 내리게 한다."
3, <본초구원>: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을 잘 순환시키며 타박상을 치료한다."
4, <영남채약록>: "10회 쪄서 9회 햇볕에 말리면 풍사를 몰아내고 습사를 없앤다. 타박상을 치료하는 데는 술에 달여서 복용한다. 견창에는 벌꿀과 함께 찧어서 바른다."
5, <남영시약물지>: "혈을 파하고 경을 통하게 한다. 임탁을 치료하고 다년간의 어적, 결석을 제거한다."
6, <민동본초>: "비장을 튼튼히 하고 위를 보익하며 근육을 이완시키고 낙맥(絡脈)을 잘 통하게 하며 풍습을 물리치고 어혈을 제거한다. 요통, 관절통, 허로황달, 비허 설사(소화 기관의 허약에 의한 설사)를 치료한다."
7, 광주민간 <상용중초약수책>: "혈을 식게 하고 어혈을 흩어지게 한다. 폐경을 치료한다."
8, <광서실용중초약신선>: "열을 내리고 혈을 잘 돌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하고 담을 없앤다. 노상에 의한 해혈(咳頁)을 치료한다."
9, <운남중초약선>: "소염하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유행성 이하선염, 절종(癤腫)을 치료한다."
10, <복건중초약>: "열을 내리고 습을 배출시킨다. 습열을 동반하는 황달, 비(痺), 정창, 부스럼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8~15그램(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찧어서 바른다.
[배합과 금기] <남영시약물지>: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된다."
[처방예] 1, 폐결핵, 풍습의 치료: 구지뽕나무 뿌리, 철포금(鐵包金), 감초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광동중약>]
2, 체허백대(體虛白帶)의 치료: 구지뽕나무 뿌리 4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
3, 좌상(挫傷)의 치료: 구지뽕나무 뿌리와 찹쌀을 찧어서 바른다. [<절강중초약자원명록>]
4, 신허로 인해 몇 년이 지나도 낫지 않는 청력 장애, 이명 및 때로 물이 나오는 증상의 치료: 고철 30근을 벌겋게 될 때가지 달궈 물 5말에 사흘밤 담가 받은 맑은 물, 창포 7근을 베어서 1섬의 물에 넣어 5말이 될 때까지 푹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받은 맑은 물, 위의 약을 고르게 섞어서 쌀 2섬과 누룩 3말을 넣고 보통 방법으로 양조하여 술이 숙성하면 저석 3근을 찧어 체에 친 가루를 술에 넣고 사흘밤을 재운다. 주야로 이것을 취할 때까지 마신다. 사람들의 말이 들릴 때까지 계속한다. [<태평성혜방> 철장주(鐵漿酒)]
5, 소아의 심열(心熱), 중설(重舌), 구창(口瘡)의 치료: 썰어 놓은 구지뽕나무뿌리 5되에 물 5되를 넣고 2되가 될 때까지 달인다. 정성을 들여 몇 번이고 바른다. [<천금방>]
[임상보고] 급성, 만성 간염의 치료: 구지뽕나무 뿌리 1200그램, 오지모도(五指毛桃)(Ficus simplicissima) 300그램, 호로차(葫蘆茶) 1200그램에 약이 잠길 정도의 물을 넣고 2회 끓여 약액을 섞어서 1500밀리리터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설탕 300그램과 방부제를 넣어 움직이지 않게 놓아두었다가 여과한다. 1회 45밀리리터씩 급성 황달형 간염 및 비교적 중한 만성 간염은 하루 2회, 경한 만성 간염은 하루 1회 복용한다. 모두 3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치료한 72례를 보면 임상 치유가 35례(급성 황달형 17례, 만성 간염 19례), 무효가 12례(만성 간염)였다.]
4,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57면)
[자목백피(柘木白皮)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 식물 자수 즉 꾸지뽕나무의 코르크 껍질을 제거한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이다. 원식물의 상세한 내용은 '자목' 조목을 참조하라.
[채취] 일년 내내 수시로 채집할 수 있다.
[성미] <절강민간상용초약>: "성질은 평하고 맛은 쓰다."
[약효와 주치] 신을 보하고 정을 수렴하며 혈을 서늘하게 하고 근육과 힘줄을 푸는 효능이 있다. 요통, 유정, 객혈(喀血), 구혈(嘔血), 외상성 손상(traumatic injury)을 치료한다.
1, <본초습유>: "탕액으로 술을 만들어 복용하면 풍허에 의한 이농, 과로로 인한 허약과 몸이 마르는 증상, 허리와 신장이 냉한 증상, 몽정을 다스린다.
2, <본초휘언>: "콩팥을 양육하고 고정(固精)한다."
3, <절강민간상용초약>: "열을 내리고 혈을 서늘하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풀고 경락이 잘 소통되게 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40~8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처방예]
1, 요통의 치료: 신선한 꾸지뽕나무 뿌리껍질 150그램을 술을 넣고 볶은 다음 달여서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
2, 객혈(喀血), 구혈(嘔血)의 치료: 거친 껍질을 제거한 꾸지뽕나무 뿌리껍질 40~80그램을 검게 될 때까지 볶아 달여서 백설탕을 풀어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
3, 외상성 손상(traumatic injury) 치료: 꾸지뽕나무 뿌리껍질 12~20그램을 황주 적량으로 달여서 복용하는데 2~3회 연속 복용한다. 중상자는 5~7회 연속 복용한다. 뿌리껍질을 찧어 술을 넣고 환부에 발라도 좋다. [<절강민간상용초약>]]
5,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82면)
[자수경엽(柘樹莖葉) [<절강민간상용초약>]
[원식물] 뽕나무과 식물 자수(柘樹)(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상세한 내용은 '자목(柘木)'조목을 참조하라.
[성미] <운남중초약선>: "맛은 싱겁고 약간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약효와 주치]
1, <절강민간상용초약>: "부스럼, 습진을 치료한다."
2, <운남중초약선>: "소염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풍을 제거하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만성 요퇴통, 타박 노상, 부스럼, 종기, 급성 관절 좌상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2~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짓찧어 바른다.]
6,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3582~3583면)
[자수과실(柘樹果實) [<절강민간상용초약>]
[이명] 가자(佳:아름다울가子) [<본초강목>]
[원식물] 뽕나무과 식물 자수(柘樹) (Cudrania triuspidata (Carr.) Bur.) 상세한 내용은 자목(柘木)'조목을 참조하라.
[채집] 9~10월에 채집한다.
[성미] <절강민간상용초약>: "성질은 평하고 맛은 쓰다."
[약효와 주치] <절강민간상용초약>: "열을 내리고 혈분에서 열사를 제거하며 근육과 힘줄을 풀고 낙맥을 잘 통하게 한다."
[처방예]
타박상 치료: 구지뽕나무의 성숙한 열매를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 가루낸다. 매번 풀 모양으로 개어 황주에 마신다. 하루 2번, 5~6일 동안 연속 복용한다. [<절강민간상용초약>]]
7,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757면)
[노자자(奴柘刺) [<본초습유>]
[기원] 뽕나무과의 식물. 소자수(小柘樹)(Cudrania cochinensis (Lour.) Kudoet Masam.)의 가시이다. 원식물의 상세한 내용은 천파석(穿破石)의 항을 참조하라.
[성미] <본초습유>: "맛은 쓰고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본초습유>: "오래된 혈하(血瘕) 즉 뱃속 덩어리, 남자의 현벽(痃癖), 섬비(閃痞)를 치료할 때에는 구지뽕나무 가시와 산릉초(山棱草), 마편초(馬鞭草)를 찐득찐득한 엿처럼 졸여서 심(心)에 병이 있으면 식후에 먹고 배꼽에 병이 있으면 빈속에 먹는다. 복용하면 약물이 나온다."
[용법과 용량]
내복: 8~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8, 중약대사전(강소신의학원편, 1975년, 상해인민출판사, 2036~2037면)
[산려지과(山荔枝果) [<귀주초약>]
[기원] 뽕나무과 식물 소자수(小柘樹)의 열매이다. 원식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천파석(穿破石)' 조목을 참조하라.
[성미] 1, 요가성 <식물본초>: "맛은 달고 독이 없다."
2, <귀주초약>: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1, 요가성 <식물본초>: "일곱 가지 산기를 치료한다."
2, <귀주초약>: "기의 순환을 조절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소화를 촉진한다."
[용법과 요량]
내복: 20~4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처방예]
1, 방광 산기(疝氣)의 치료: 가시달린 구지뽕나무 열매 4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
2, 식적으로 인한 복부 팽만의 치료: 가시달린 구지뽕나무 열매와 뿌리 각 4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
3,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의 치료: 가시달린 구지뽕나무의 열매와 뿌리 각 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주초약>]]
9, 항암본초(상민의, 김수철 역주, 1992년, 바람과물결, 298~299면)
[자목(柘木: 구지뽕나무)
성질은 평하고 맛은 쓰며 청열하고 양혈한다. - <절강민간상용초약>
이 약은 원식물은 뽕나무과의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로서 목림(木林), 뿌리(천파석:穿破石), 수 피, 줄기와 잎 및 열매를 약으로 쓴다.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 아미노 산, 유기산, 당분, 모린(Morin) 등이 들어있다.
[항암약리]
1, 구지뽕나무 뿌리와 줄기, 목림(木林)에서 추출한 플라본과 에타놀 추출 엑기스는 흰생쥐 육류(肉瘤)-180, 자궁암-27에 대하여 30%의 억제율을 갖고 있다.
2, 체외실험에 의하면 본품은 식도암 세포에 세포독상작용(細胞毒狀作用)을 일으킨다.
3, 좀흰생쥐를 가지고 열판법(熱板法) 진통(鎭痛)시험을 실시한 결과 본품이 뚜렷한 진통작용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용 방제]
소화도악성종양(消化道惡性腫瘍): 구지뽕나무 60~120그램을 하루에 1첩씩 달여 먹는다. 본방문은 자궁암, 난소암 말기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실용항암약물수책]
[역대 평의]
1, <남영시약물지>: "어혈을 부수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임탁(淋濁)을 다스리고 오랜 어혈이 맺힌 것과 결석 (結石)을 없앤다."
2, <본초구진>: "근골을 튼튼히 하며 활혈(活血)한다."
3, <일화자본초>: "부인의 붕중혈결(崩中血結)을 다스린다."
[편자 주해]
1979년 4호 <약학통본>의 보도에 의하면 구지뽕나무로 266례의 소화도암(消化道癌)을 치료한 바 71.28%의 유 효율을 얻었다. 구지뽕나무 주사액은 간암, 폐암, 비인암(鼻咽癌), 위암, 장암 등에 모두 치료 효과가 있었다.]
10, 동의보감(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탕액편 나무부 156종)
[자목(柘木, 산뽕나무)
뫼뽕,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풍허(風虛)로 귀먹은 것과 학질을 낫게 한다. 삶은 물은 노랗게 물이 든다[본초].]
11, 암을 이겨내는 방법(박천수, 김인택 지음, 태일출판사, 2000년, 272~273면)
토종의학 암다스리기(김인택, 박천수, 태일출판사, 1997년, 364~365면)
1. 암세포 없애고 입맛 살린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린 낙엽작은키나무입니다. 뽕나무를 닮았다 하여 꾸지뽕나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줄기에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고 가을철에 오디를 닮은 열매가 빨갛게 익습니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돌 많고 메마른 땅에서 잘 자랍니다.
꾸지뽕나무는 어혈을 없애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보양 효과가 높습니다. 민간에서 갖가지 암을 치료하는 데 써 왔으며, 과학적으로도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중국에서의 실험 결과, 동물실험에서 자궁경부암27, 사르코미-180암세포, 엘리히복수암 등에 대해 일정한 증식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 황색 포도상구균을 비롯한 갖가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꾸지뽕나무는 식도암, 위암, 결장암, 직장암 같은 소화 기관의 암에 주로 쓰고 폐암, 간암에도 쓸 수 있습니다.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을 쓸 수 없는 환자들한테 써서 좋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해시종류의원을 비롯한 28개 병원에서 266례의 소화기암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여 71.28퍼센트의 치료 효과를 거두었다고 합니다. 이들 환자들은 식도암 46례, 분문암 95례, 결장암 및 직장암 46례로써 3~4기의 말기 환자가 91.7퍼센트였습니다. 꾸지뽕나무는 종양을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 게 할 뿐 아니라 통증을 가볍게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몸무게를 늘려 주고 복수를 없애 주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말기 암 환자의 저항력을 키워 주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꾸지뽕나무는 거의 부작용 없이 암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는 식물입니다.
이밖에 꾸지뽕나무는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기관지염이나 폐결핵, 간염, 관절염 등에도 일정한 효력이 있습니다.]
꾸지뽕나무가 활의 재료로 쓰인 것과 관련해서 임경빈의 나무백과 제 1권 34~35면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알려준다.
[황해도 지방에서는 이 나무를 활뽕나무라고 부른다는데 그 것은 이 나무가 활(弓)의 재료가 되기 때문이다. 뽕나무도 활의 재료가 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구지뽕나무가 활의 재료로 뛰어났다.
기록을 보면 '사기(史記)'에 "상자(桑柘)는 나무가 강인하여 활로 만들어졌다. 까마귀가 구지뽕나무의 가지 위에 앉아 있다가 날아가려고 했을 때 이 나무의 가지가 너무 연해서 휘어졌다. 그리고 탄력이 있는 가지의 반동으로 까마귀가 놀라고 날아갈 수 없어서 호호 소리치면서 몸을 가누지 못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野柘枝勁 烏集之將飛 柘樹反起彈烏 烏乃驚號 伐取爲弓 故稱烏號弓
그래서 구지뽕나무를 일명 오호(烏號: 까마귀의 울음)라고도 부른다. 예전 사람들은 양잠에 쓰는 것을 상(桑)으로, 또 활로 쓰는 것을 자(柘: 산뽕나무자)로 말한 것 같다. 오호(烏號)를 산뽕나무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그 당시 뽕나무가 일반적으로 양잠에 쓰여졌고 또 상(桑)자가 있었던 까닭에 오호(烏號)는 자(柘)를 뜻한 것으로 생각된다(烏號弓以柘枝爲也).]
꾸지뽕나무는 옛 우리조상들에게는 유용한 나무로 쓰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 꾸지뽕나무잎으로 기른 누에고치에서 얻은 명주실로 거문고줄을 만들면 그 소리가 맑고 어느 실보다도 낫다고 한다. 민간에서 꾸지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을 각종암에 사용하여 그 효능이 입소문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꾸지뽕기름을 내어 먹으면 말기암 환자의 암세포를 자라지 못하게 하고 통증이 가벼워지고 입맛을 돋구며 몸무게를 늘려주고, 당뇨병을 치료하며, 새살이 돋고, 소변이 잘나오며 복수 제거에 큰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 다만 옛날 민간 전통방법으로 만드는 과정이 까다롭고 복잡하다는 사실이다. 최근에는 고압 기계를 이용하여 꾸지뽕기름을 내어 먹기도 한다. 먹는 방법은 한 번에 2~3숟갈씩을 5배 가량의 생수에 타서 하루 3~4번 마신다. 일반인들은 1숟갈을 생수에 연하게 타서 마실 수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의 뿌리로 술을 만들어 마시면 귀속에서 소리가 나는 질병인 이명증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생태와 재배 방법
양수로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잘 자란다.
번식은 대개 종자에 의하지만 삽목과 근삽도 가능하다.
10월경에 열매를 채취하는데 새들이 좋아하므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열매는 다육질로 과육 속에 종자가 들어 있으므로 이를 발라내어 젖은 모래 속에 묻어 저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파종 후의 관리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른다.
삽목은 봄 싹트기 전에 지난 해 자란 가지를 10-15cm 길이로 잘라 꽂는다. 삽목의 발근율은 보통이다.
근삽은 봄에 뿌리를 파내어 10-15cm 길이로 잘라 심는 방법으로 뿌리에서 부정아가 생겨 새로운 포기를 형성하게 된다.
근삽 묘에서는 흔히 줄기가 여러 개 생기기도 하는데 그중 강한 줄기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는 잘라버려야 우량 묘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성장도 빠르다.
병충해에는 강한 편이나 간혹 하늘소가 수간을 뚫거나 노린재 종류가 잎에서 수액을 빨기도 하므로 살충제로 방제하도록 한다.
전망과 가치
열매가 아름답긴 하지만 조경수로의 이용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오히려 근자에는 뿌리와 잎, 열매 등을 이용한 약용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농장에서의 재배가 늘어나고 있고 또 재배 면적도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현재 묘목의 생산 및 공급은 거의 약용 및 건강식품용 농장 식재용으로 되고 있으며 조경수로의 공급은 전무한 실정이다.
독립수로 키우면 꽤 크게 자라므로 공원수나 학교원의 조경수로 유용하며 또 새들이 열매를 아주 좋아하므로 공원이나 자연생태공원에서의 조류 유치목으로도 유용하다.
뿌리가 깊게 벋고 척박지나 암석 지대 등에서도 잘 적응하므로 이러한 환경에서의 조경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뿌리는 질긴 편이며 깊이 벋으나 이식에는 잘 견디는 편이며 이식의 적기는 가을에 낙엽이 진 후부터 이듬해 봄 싹트기 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