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1. 가문비나무는 수피는 짙은 회갈색으로 검은 껍질의 나무란 의미로 검은 피나무로 했다가 가문비나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2. 북한의 높은 산에 자라는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수고가 40m, 지름 1m 정도에 이른다. 남한에서의 가문비나무는 좀처럼 만나기 어렵다고 한다..
3. 수피는 짙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새 가지에 엽침이 발달하여 까칠까칠하고 골이 생기므로 잎이 떨어진 자리가 매끈매끈한 젓나무류와 구분한다.
4. 잎은 편평한 선형으로 잎의 후면에 흰빛 기공조선이 있다.
5.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6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암꽃 이삭은 닭볏 모양의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6. 열매는 길이 4.0∼7.0cm정도의 실편이 벌어지지 않은 긴 원추형이며 밑으로 늘어지고 9월에 녹황색으로 익는다.
7.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건축재, 악기재, 펄프재 등으로 쓰인다.
8. 한국, 일본(홋카이도)·사할린섬, 캄차카반도,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특징적 분류 - 상록침엽교목
자생지 - 해발 500~2,300m사이, 습도가 높고 한냉한 지역
분포지역 - 한국(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크기와 너비 - 크기 40m
꽃색깔 - (수꽃)황갈색, (암꽃)연한 자줏빛
꽃말 - 성실, 정직
파종 및 수확시기 - 수확 9월
특징
나무의 형태는 원뿔모양으로 자라며 수피는 흑갈색이며 벗겨진다. 잎은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2cm 정도이다. 약간 구부러지며 가지둘레에 촘촘하게 아래로 자란다. 뒷면에는 흰색의 기공선이 발달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구멍이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은 원통모양으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이며 연한 자주빛을 띤다. 열매는 구과이고 9월에 익으며 가지끝에 달리고 아래쪽을 향한다.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해발 500-2,300m사이에 자생하며 습도가 높고 한냉한 지역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등지에 분포한다. 상록침엽교목으로 40m까지 생장한다.
꽃생김새
암수한그루. 수꽃은 원통모양으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이며 연한 자주빛을 띰.
감비라고도 한다. 깊은 산의 능선에서 자란다. 높이 40m 이상, 지름 약 1m이다. 밋밋하며 곧게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비늘처럼 벗겨진다. 겨울눈은 원뿔 모양이고 수지로 뒤덮여 있다. 잎은 길이 1∼2cm의 줄 모양으로 뾰족하고 곧거나 구부러지며, 겉면 가까운 양쪽에 수지구(樹脂溝)가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6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원통 모양으로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암꽃이삭은 닭볏 모양의 타원형이며 자주색이다. 열매는 구과로 10월에 익는다. 원기둥 모양이고 밑으로 처지며 빛깔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종자는 길이 24∼30mm의 달걀 모양으로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긴 타원형의 날개가 있는데, 길이 7mm 정도이다.
열매가 자줏빛을 띤 갈색(마르면 짙은 갈색)인 것을 붉은가문비(for. rubrilepis)라고 하며 북부지방에서 주로 자란다.
목재는 흰빛 또는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변재와 심재의 구별이 없어 재질은 거칠고 연하며 뒤틀리기 쉽다. 그러나 섬유가 길고 빛깔이 희며 송진이 적어서 제지·인조견·펄프 용재로 많이 쓰며 건축재·기구재·성냥개비 재료·상자재·선박재·차량재로도 사용한다. 한국·일본(홋카이도)·사할린섬·헤이룽강·쿠릴열도·캄차카반도,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고산성 상록침엽수. 감비나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가문비(假紋榧)·당회(唐檜)·어린송(魚鱗松)·삼송(杉松)·사송(沙松)·가목송(椵木松) 등으로 쓴다. 어린송이란 이름은 나무껍질이 고기비늘 모양을 한 데서 얻어진 것이다. 학명은 Picea jezoensis CARR.이다.
높이는 40m, 지름은 1m에 달하고 수피는 비늘처럼 벗겨지며 수관은 원추형이다. 잎은 1, 2㎝ 길이로 편평한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꽃은 황갈색이며, 암꽃은 자줏빛으로, 그 길이는 15㎜ 정도이다. 열매는 황록색의 타원체로서 밑으로 처진다. 길이는 4∼7.5㎝로 실편이 떨어지지 않는다.
높고 추운 곳이 아니면 좀처럼 살기 힘든 식물로, 500∼2,300m까지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전나무·잣나무와 함께 북쪽의 상록침엽수림을 구성하는 나무로, 민족항일기 이전에는 풍부한 목재자원을 이루고 있었으나, 일본의 수탈로 많이 벌채되었다. 남쪽지방에서는 지리산을 비롯한 덕유산·설악산 등에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뿐 아니라 일본의 북해도와 중국·만주·우수리에도 분포한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밀봉, 저장하였다가 3월초에 습사층적하여 4월초에 산파(散播)한다. 입고병에 매우 약하여 생태적으로 추운 곳이 아니면 양묘에 성공할 수 없다. 잎이 작고 치밀하여 분재로 많이 사용한다. 또한, 목재의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결이 곱기 때문에, 산촌에서는 토막집을 짓고 문틀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