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리8

ELD(주가지수연동예금) 기대 수익률은 얼마나 될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중 예금 금리가 많이 올랐다고 하지만 은행권은 4%대에 머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권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 중 원금 손실없이 조금 더 이자를 받을 수 있는 ELD(주가지수연동예금)이라는 상품이 있어, 과연 ELD가 얼마나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을지 계산해 보았다. 최근 국민은행에서 판매를 시작한 KB리더스정기예금 코스피(KOSPI)200 9-13호의 경우이다. 이 상품은 4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안정수익추구형 : 만기해지시에 연1.0%를 보장하며, 비교지수가 기준지수 이상인 경우에는 연6.0% 지급 - 상승수익추구형 : 만기해지시에 연1.0%를 보장하며, 지수상승률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연8.4% 지급 - 고수익추구형 : 만기해지시.. 2010. 1. 13.
공황 전야 - 서지우 공황전야 - 한국경제의 파국을 대비하라 서지우 | 지안 아고라 경제논객 SDE, 한국경제에 경고장을 던지다 다음 아고라 등에 'SDE'라는 필명으로 한국 경제 위기를 경고하는 글들을 써 온 저자 서지우의 현실경제 해부와 전망을 담았다. 한국 경제의 위기의 원인과 과정, 미래를 이론과 실물, 국제경제와 한국경제, 주식-채권-외환 시장을 넘나들며 분석한다. 한국 경제는 어쩌다 위기를 맞았는가, 국제금융시장의 위기가 한국에서 어떻게 증폭되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고 있는가, 정부의 부양책이 왜 위기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가, 그렇다면 우리 경제는 결국 어디로 가게 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저자는 우리 경제가 지난 10년간 무지와 탐욕에 빠져 있다가 이제는 금융공황, 심지어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위험에까지 .. 2008. 12. 8.
신용버블의 해법은 또 다른 매머드버블 양산이다 - 탄소배출권 버블 세상 돌아가는 꼴 참 재밌지? 우리나라 돌아가는 꼴 보고 있자면, 뭔가 실제 사는 세상이랑 엇박자가 돌아간다 이거지.....~ 맞출래야 맞출 수 없는 망가진 톱니바퀴처럼 말이야~ 원래 인생이 그런 거거든....... 누굴 까봐야 손해 보는 세상인 것 같거든......세상이 세상이 아닌 거지....... 무언가 우리가 희망을 걸고, 미래를 바라보면서....'새로운 한국경제의 희망' 과 같은 가슴 벅차는 문구를 뒤로 하고 나아가야 하는데 말이지.......우리에게는 지금 같은 시기에 희망도 안느껴지고, 모멸감 만이 밀려오는 시기거든....... 왜 그런가를 생각해봐봐......도대체 왜? 내 시골 친구놈처럼 건설사, 해운사에 짤린 녀석들이 길거리에 즐비해서?...... 통장에 들어오는 잔액들이 줄어들어서? .. 2008. 11. 18.
금리와 물가의 관계. 금리가 올라가면 물가는 내려갑니다. 물가가 올라가면 금리를 강제로 올리게 되는데 이유는 물가 인상을 낮추기 위해서 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돈을 '기업'에 투자하거나 '은행'에 투자(저금이죠)할수 있습니다. 이자율이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더 은행쪽에 돈을 넣게 됩니다. 투자자 -> 은행 -> 은행 대출의 관계로 은행에 투자된 돈은 은행 대출이라는 형태로 다시 시장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것은 투자자 -> 기업 -> 기업 지출과 같은 관계이지만 한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은행은 7%의 Reserve Ratio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은행에 들어간 100원은 93원 밖에 대출되지 못하지만 기업에 들어간 100원은 다시 100원 전부 다 시장으로 되돌아.. 2008. 11. 13.
물가를 올리는 주범은 바로 한국은행 자신이다. 물가가 왜 오르냐고요? 간단합니다. 화폐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물가가 오르는 겁니다. 근데 화폐량은 왜 늘어나냐고요? 간단하지요, 한국은행에서 돈을 찍어내니까 오르는 거지요. 화폐량이 늘어나는 다른 방법이 있나요? 화폐 총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주범은 돈을 찍어내는 이 한국은행 입니다. 한국 은행 홈페이지에 가보시면 자기들이 통화량과 물가를 조절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상한 것은 자기들이 물가를 안정시키는 기관이라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http://www.bok.or.kr/index.jsp 물가를 안정시킨다고 하면서 왜 단한번도 물가가 안정된 적이 없을까요? 왜 해마다 꼬박 꼬박 3% 안 밖으로 물가가 인상되는 걸까요? 간단합니다. 한국 은행은 3% 인상되는.. 2008. 11. 13.
유동성 장세는 올 수 있을 것인가? 미국 중앙은행격인 FRB가 AIG 한 곳에만 1,500억달러인가요? 전체적으로 700B$아닌 1T$이상 풀려나가는 돈과 이 풀려나가는 돈을 생산적인 돈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있고, 이에 발 맞추어 전세계 각국이 동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언론 및 사이버 애널들 사이에서 새로운 유동성 장세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한편 생각하면 일리가 있는 말이기도 합니다. 전세계가 엄청난 유동성을 공급하는데, 실물경기는 침체입니다. 더우기 유가, 상품가격과 부동산은 하락압력을 받고 있고, 또한 금리까지 낮다보니 결국은 주식시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것인데 정말 가능한 일일까요? 위의 차트는 1910년부터 2008년까지의 유동성(통화공급)을 보여주는 챠트입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하게 .. 2008.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