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벚나무 Prunus serrulata

by 성공의문 2008. 11. 1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Korean Willow
 

1. 쌍떡잎식물로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산지에서 널리 자라며 높이 20m에 달하고 수피는 옆으로 벗겨지며 검은 자갈색(紫褐色)이다.

2.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혹는 달걀 모양의 바 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넓은 예저(銳底)이고  잎 가장자리에 침 같은 겹 톱니가 있다. 적갈색과 녹갈색이던것이 완전히 성장되면 앞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다소 분백색(粉白色)의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2∼3cm정도로 2∼4개의 꿀샘이 있다.

3. 꽃은 4∼5월에 분홍색또는 흰색으로 피며 2∼5개가 산방상(揀房狀) 과 총상(總狀)으로 달린다. 꽃자루에 포(苞)가 달인다.

4.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 버찌라고 한다.

5, 벚나무의 내피(內皮)는 감기약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6.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7. 종류에는 왕벚나무, 올 벚나무, 개 벚나무. 섬 벚나무, 꽃 벚나무가 있다.


쌍떡잎식물이판화군장미목 : 장미과의 낙엽교목
학명 : Salix koreensis Andersson
분류 : 장미과
서식장소 : 산지


나무의 생태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이 옆으로 벗겨지면 검은 자갈색이고 작은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끝이 급하게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넓은 예저로 길이 6~12cm이다. 잎 가장자리에 침 같은 겹톱니가 있다. 털이 없고 처음에는 적갈색 또는 녹갈색이지만 완전히 자라면 앞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다소 분백색이 도는연한 녹색이 된다.

잎자루는 길이 2~3cm이며 2~4개의 꿀샘이 있다. 꽃은 4~5월에 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2~5개가 산방상 또는 총상으로 달린다. 꽃자루에 포가 있으며 작은꽃자루와 꽃받침통 및 암술대에는 털이 없다.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으며 버찌라고 한다. 한국 · 중국 · 일본에 분포한다.


나무의 전설
벚나무는 커다란 나무에 잎도 나오기 전, 화사한 꽃이 구름처럼 나무를 완전히 덮어 버리는 아름다운 나무이다. 꽃봉오리가 열리기 시작하여 일주일 정도면 한꺼번에 피었다가 져 버리는 꽃이다.

동백이나 무궁화처럼 통째로 꽃이 떨어져 나무 밑에 굴러다니는 것이 아니라 벚꽃은 5개의 작은 꽃잎이 한 장씩 떨어져 산들바람에도 멀리 날아간다. 그래서 벚꽃이 떨어지는 모양은 산화란 말이 어울리고 비슷한 어감의 산화는 꽃다운 나이에 전쟁에서 죽은 젊은이와 비유한다. 벚나무는 천년을 거뜬히 넘기는 은행나무나 느티나무와는 달리 백수를 채 넘기지 못하는 인간의 수명과 비슷하다. 꽃이 한꺼번에 피느라 정력을 너무 소모해 버렸고 유달리 갑각류 곤충의 피해를 받기 쉬운 탓도 있다.

우리에게 다가오는 벚꽃의 느낌은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불행히도 이 아름다운 꽃이 일본을 대표하는 꽃으로서 우리가 벚나무 심기의 최대 명분으로 삼는 제주도 자생의 왕벚나무나 일본인들이 자기 나라에 심는 벚나무나 보는 사람은 그냥 '벚나무'일 따름이다.

병자호란을 겪고 중국에 볼모로 잡혀간 효종은 그 때를 설욕하려고 대대적인 북벌 계획을 세우고 활을 만들 준비로 서울 우이동에 많은 벚나무를 심게 하였다. 벚나무는 꽃과 껍질의 쓰임새로 끝나지 않으며 나무에 글자를 새기는 옛 목판인쇄의 재료로서 배나무와 함께 가장 사랑받는 나무였으며 팔만대장경판에 쓰인 나무의 60%이상이 산벚나무로 만들어졌음이 최근 현미경을 이용한 과학적인 조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벚나무는 때로는 개벚나무와의 구별이 곤란하지만 톱니의 밑부분이 넓어서 침처럼 되지 않는 것이 다르고, 중국 동북부에서 자라는 것은 전부 개벚나무의 학명을 쓰고 있다. 중국에서는 핵과의 인을 약용으로 하고 민간에서는 벚나무의 내피를 기침약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기침, 해수, 천식, 피부병, 두드러기, 습진, 땀띠, 홍역, 쇠고기 먹고 체한데, 편도선염에 좋은 벚나무 

벚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키는 20m까지 자란다. 벚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2,00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9종이 자생하고 있다.

산이나 마을 부근에서 자라며 봄에 먼저 피는 꽃이 아름다워 가로수 및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껍질은 암자색이며 잎은 어긋난다.  난형~산상피침형이며 끝이 매우 뾰족하고 길이 6~12cm이고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와 겹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붉은색, 흰색으로 산방화서이며 2~5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이며 붉은색에서 검은색으로 익는다.  


봄철에 벚꽃놀이는 수많은 관광객들에게 눈을 즐겁게 한다.  진해의 벚꽃축제, 울산 울주의 작천장 벚꽃축제는 유명하다.  벚꽃은 일본의 나라꽃으로 알려졌지만 원래는 우리나라에도 자생하는 나무이다.  
특히 왕벚나무는 제주도와 전남 대둔산 등지가 자생지로 알려져 있으며 노목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벚나무를 <사오기> 또는 <먹사오기>라고 부른다.  



벚나무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벚나무 (Prunus serrulata Llndl.)

식물: 높이 5~7미터 되는 잎지는 작은 큰키나무이다.  잎은 타원형이고 톱니가 있다.  이른봄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각지의 산기슭,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성분: 껍질에 사쿠라네틴의 배당체인 사쿠라닌 c22 h24 o10(구조식 분홍벚나무 참고)이 있다.  

응용: 껍질을 기침약으로 쓴다.  하루 3~5그램을 물에 달여 먹는다.]


벚나무에 대해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야앵화(野櫻花)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벚나무(Prunus serrulata Lindley var. spontanea {Max.} Wils.),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ehder),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ura)의 종자이다.  나무 껍질을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폐열(淸肺熱), 투진(透疹)

해설: ① 폐열(肺熱)을 내리므로 해수와 천식에 유효하며, ② 홍역에도 쓰인다.]


벗나무껍질에 대하여 북한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벗나무껍질 [본초]
벗나무과에 속하는 벗나무(Prunus serrulata Llndl.)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벗나무는 각지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봄에 껍질을 벗겨 햇볕에서 말린다.  배당체인 사쿠라닌이 들어 있어 기침약으로 하루 3~5g을 물로 달여 먹는다.

벚나무는 재목이 탄력이 있고 굳고 치밀하여 글을 쓰는 경판목, 고급가구재, 악기재, 썰매, 낫자루 등에도 이용되었다고 하며, 나무껍질을 민간에서는 물로 달여서 두드러기, 홍역, 습진, 땀띠, 쇠고기 먹고 체한데, 기침, 편도선염 등에 써왔다.  벚꽃으로 떡을 해먹거나 술을 담가 먹으며 익은 열매로 잼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벚나무, 산벚나무, 털벚나무, 개벚나무, 섬벚나무, 좀벚나무, 분홍벚나무, 제주벚나무(왕벚나무), 가는잎벚나무, 올벚나무, 실벚나무, 양벚나무, 섬개벚나무, 처진개벚나무, 털개벚나무, 꽃벚나무, 겹개벚나무, 별벚곷나무, 개버찌나무, 산개버찌나무도 모두 약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