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부일상

돌콩이 꽃을 피운다.

by 성공의문 2012. 8. 21.





온 밭을 돌콩과 새팥이 뒤덥고 있다. 

밭에 쥐눈이콩을 많이 심었는데 굳이 심을 필요가 없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가을이 되면 쥐눈이콩과 더불어 돌콩과 새팥도 수확을 함께 해봐야겠다. 덩굴성 식물이라 수확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농사를 지으며 자생하는 식물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작물을 재배하는데 시간이 가면서 야생과 재배의 차이를 알게 된다. 


콩의 경우를 보면,

사람의 의해 재배되는 콩은 심어보면 뿌리혹 박테리아가 얼마 없는데, 돌콩이나 새콩 등의 야생콩을 뽑아보면 뿌리혹 박테리아가 아주 크게 많이 달려있는 걸 보게된다.

 

차이가 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재배되는 콩의 경우 퇴비와 비료 등으로 인해 굳이 뿌리혹박테리아의 도움이 없이도 질소와 여타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 할 수 있기 때문에 점점 그 능력이 떨어지게 된 것 같고, 야생콩의 경우는 척박한 땅에서 자라며 여타 식물들과 경쟁하고 각종 병해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질소와 다른 영양분들도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환경이기에 더 강한 능력을 유지하고 발전시켰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이 식물을 먹을 때 단순히 영양분만을 취하지는 않을 것이고, 식물 속에 들어있는 호르몬과 여타 면역물질도 함께 섭취하는 것이므로 야생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능력을 키워온 식물이 사람에게 더 이롭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재배되는 콩도 지속적으로 자가채종하며 자연재배로 키우다보면 조금씩 야생의 능력을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토종작물의 유전자원을 지켜나가는데도 힘을 보태고 싶다. 




돌콩에 대해 알아보자.


돌콩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입니다. 한국 원산이며 중국,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합니다. 콩(Glycine max)의 기원종이라고 합니다.


돌콩은 상약으로 성질은 따뜻하며 맛은 달고 무독합니다.

돌콩의 주 성분인 이소플라본은 주로 콩과 식물에만 있다고 합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연구하여 발표한 내용을 보면 이소플라본은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골다공증, 심장병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플라본과 플라보놀은 강력한 항산화 효능이 있어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폐암 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테로카판은 동맥경화증 예방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고 소야사포닌은 인삼 사포닌과 유사한 식물성 스테롤로 항암과 항고지혈증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야생 돌콩은 밭에 재배하는 콩과 거의 비슷한 성분을 지녔으며 각종 비료나 농약에 노출되지 않아 먹거리로서 안전합니다.


야생 돌콩의 어린 순과 잎을 함께 채취해 콩잎차도 만들고 콩잎 물김치, 콩잎 장아찌, 콩잎 효소 등을 만들면 좋습니다.


위에 쓴 효능 뿐만아니라 건비(健脾), 풍열, 해독, 통맥, 혈액순환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


우리 콩의 95%는 다 수입된 콩이란다. 오늘 저녁 마트에서 산 콩나물이나 두부는 대부분 유전자 조작된 콩으로 만든 것일 수도 있지만, 그것을 확인할 길도 없다. 


종자를 지키지 못해서 토종 콩을 구하려면 미국에 가서 구하는 편이 더 빠르다는 말도 있다. 이게 틀린 말이 아니라는 것을 얼마 전에 알았다. 지난 6월 미국 농무부는 미국이 가자고 있는 한반도 원산의 유전자원(종자)을 돌려주겠다고 농촌진흥청과 합의하였다. 


돌려주겠다고 한 종자 가운데는 콩 901점, 돌콩 351점 등 콩류가 가장 많았다. "미국이 1901년부터 1976년 사이에 한국에서 수집해 간 재래종 콩은 무려 5496점이나 된다. 미국은 이것으로 다수의 우량품종을 육성해 다시 한국에 역수출하고 또 세계 각국에 수출해서 콩 수출 세계 1위의 나라가 되었다."

(안완식 <우리가 알아야 할 우리 종자>)-<강우근의 들꽃이야기>-'돌콩'중에서

 

새콩, 돌콩, 여우콩, 새팥, 여우팥 등 여러 종류의 야생콩 꽃들이 봄부터 가을까지 피어나 길을 걷는 즐거움을 더해준다. 콩꽃들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쉽게 잘 자란다. 돌콩도 마찬가지. 서울 시내 한복판 가로수 아래서도 볼 수 있고, 다소 한적한 길가나 자투리 땅, 산기슭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돌콩이 오늘날 수많은 인류의 중요한 먹을거리인 콩의 원종이고, 어디서나 흔하게 돌콩이 자라는 한반도가 원산지라는 설이 있다.


대체로 한 식물의 재배종과 야생종 그 중간종이 가장 많은 곳이 그 식물의 원산지라고 하는데, 이런 점에서 한반도가 콩의 원산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우리나라처럼 다양한 콩들이 자라는 나라가 거의 없다고 하니 콩의 원산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콩을 좋아하는지라 일 년 내내 밥에 콩을 넣어 먹는다. 콩나물과 두부는 반찬이 마땅하지 않을 때, 그리고 주머니가 얄팍할 때 가장 만만하게(?) 살 수 있는 것들이다. 우리 아이들이 좋아하는 콩요리는 유부초밥과 숙주나물이다. 우리 식탁에 없으면 안 될 된장과 간장도 콩이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먹는 것은 이 콩(콩으로 만든 제품) 아닐까. 우리 가족의 건강 몇 퍼센트는 이처럼 즐겨 먹는 콩 덕분이려니, 이런 콩이 없었다면, 지금보다 턱없이 비싸지면 어쩌나. 그래서 이 부분은 특별하게 와 닿았다. 산기슭이나 길가에서 만나면 나도 모르게 빙긋 웃게 했던, 보는 것만으로도 예쁜 콩 꽃들이 피어있던 곳들을 떠올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