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8년] 주요 국가 · 원자재 관련 소식들 - 원유시장, 비트코인, 인도 불평등

by 성공의문 2018. 1. 19.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호주, 12월 취업자수는 전월비 3만4700명 늘어 예상치(9000명) 상회(로이터) 

- 통계청, 최업자수는 15개월 연속 늘어났으며 2017년 전체로는 40만3000명 증가. 다만 실업률은 5.5%를 기록, 전월(5.4%)에에서 상승했는데 이는 구직자 증가에 기인. 이번 결과가 기준금리 인상 압력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전망

ㅇ 멕시코 경제차관, EU와의 무역협정은 수주일 내 합의 가능(로이터) 

- Huan Carlos Baker 차관, 새로운 무역협정 관련 일부 이견이 있지만 합의 가능. 양측의 이번 재협정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되면서 자유무역을 촉진하여 무역 관련 미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의도

ㅇ 싱가포르, 수출 증가율은 2017년 12월 전년동월비 3.1%로 둔화(닛케이)

- 국제기업청은 같은 달 수출 증가율이 10월(20.5%)과 11월(9.1%)에 비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고 발표. 이는 전기제품의 부진 등이 원인 

- 세계 반도체시장통계(WSTS)의 전망에 의하면, 2018년 반도체 시장의 성장률은 전년비 7%에 그쳐 2017년의 20.6%보다 축소될 전망. 이에 싱가포르 관련 분야의 수출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

ㅇ 캐나다 중앙은행, 7개월 만에 추가 기준금리 인상(로이터)

-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1.00%에서 1.25%가 되었으며, 이는 노동수요 증가와 물가상승 등이 중앙은행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기 때문. 향후 추가 금리인상은 NAFTA 리스크로 신중하게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


ㅇ 원유시장, 수요 증가로 균형 상태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WSJ)

- 유가 상승세가 장기화되면서 이전에는 가격 변동성의 주요 원인으로 주로 공급측 요인이 고려되었지만, 최근에는 수요 요인이 보다 중요하다는 의견 확산

- 기술발전 등의 영향으로 미국 내 셰일 원유 생산이 늘어나고 있으며, EIA에 따르면 금년 일일 원유 생산량은 1030만배럴로 1년 전 추정치에 비해 100만배럴 증가할 전망. 하지만 원유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상승세 유지

- 원유 공급의 다른 변동요인으로는 OPEC과 러시아 간의 감산합의가 존재하나, 유가가 오를수록 협정이 중단될 가능성 농후

- 반면 세계경제 호황으로 원유 수요의 증가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그 중 중국은 장기간 민간 및 정부부문 모두 재고를 대규모 확충. 다만 OPEC는 올해 중국의 저장창고 부족 등의 이유로 수요 증가율이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

- 전기차 사용 확대에 따른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둔화와 중국의 성장률 정체도 원유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 시장에서는 이러한 여건을 고려하여 원유시장이 과거 공급우위에서 점차 수요와 공급의 균형 상태에 근접하고 있다고 평가

ㅇ 유가의 상승세 지속, 셰일 원유 공급과잉 우려를 완화(FT)

- 작년 여름 이후 유가의 상승세가 지속되어 WTI 가격은 작년 여름 이후 50% 상승. 지난 3년 동안 상승 혹은 하락에 따른 셰일 업체들의 생산량 조절로 유가는 배럴당 50달러 부근에서 큰 변동 없이 완만하게 추이

- 최근 셰일 업체들의 대응은 이전과 동일하지만, 세계경제의 본격적 성장 기대와 이에 따른 수요 증가는 유가의 상승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유가의 상승세가 단기간 내 꺾일 가능성은 낮은 편

- 시장에서는 그 동안 원유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던 셰일 원유 공급과잉 우려가 완화. Carlyle Group의 Jason Thomas, 셰일오일의 공급 증가 가능성이 시장에 반영되었으며, 해당 요인이 없었다면 브렌트유가 85달러를 상회했다고 추정

- BBL Commidities의 Jonahtan Goldberg, 지금은 이러한 공급증가가 필요한 시기로 금년 셰일 원유 업체들의 증산이 예상되나, 유가의 상승세가 이로 인해 완전히 종결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고 전망. 다만 씨티의 Ed Morse는 최근 WTI 가격이 65달러로 시장균형가격에 도달했다고 판단한다면서, 공급측의 급격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유가는 현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


ㅇ 비트코인, 시장의 환상이 약화되는 가운데 리스크도 부각(닛케이)

- 가상통화인 비트코인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 Coin Desk에 의하면, 17일에는 달러화 기준 비트코인당 1만달러 내외로 반나절 동안 20% 정도 저하. 각국의 규제강화 외에 미래통화라는 환상에서 투자자가 탈피하는 요인 등이 작용

- Monex 증권은 규제강화가 비트코인 가격의 하락을 촉발시켰다고 지적. 독일 중앙은행의 요아힘 뷔르멜링 이사, 가상통화 규제는 국경이 없는 가상세계에서 시행이 어려워 전세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

- 과열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상통화 거래에 제동을 걸기 위해 한국, 중국에 이어 독일 등도 규제에 나서고 있는 상황. 금리를 창출하지 않는 가상통화 시세는 언제든지 법화와 통용되어야 신뢰가 형성 

- 이는 기존 금융시스템보다 저렴하여 빠른 속도로 송금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보급될 가능성에 기인. 이러한 가운데 가상통화를 경유한 자금세탁 의혹도 전세계적인 규제 가능성을 촉발. 이에 따라 규제의 범위가 확산될 경우, 비트코인 시세를 유지한 신뢰도는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 비트코인은 1년 전 900달러 미만이었지만, 작년 12월 중순에는 1만9천달러대로 20배 이상 상승

- 급격한 가격 오름세만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새로운 통화로서 신규 투자자 유입을 확대시켰지만, 왜 비트코인 가격이 올랐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이유가 부재. 이러한 퍼즐에 둘러싸인 비트코인 붐의 실태가 점차 가시화되면서 투자자의 환상도 축소. 일부 연구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을 견인한 요인이 한 명의 소행일 수도 있다는 지적도 제기

- 향후 비트코인의 급격한 하락은 전세계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없을 것인지가 의문. 시장 다수는 가상통화시장의 참여자가 극소수라고 지적. 그러나 도이체 증권에서는 비트코인의 레버리지 거래의 위험성을 언급. 또한 신뢰도가 낮은 업자도 존재하는 가운데 가상통화의 가격이 급격하게 변동하는 경우, 거래업자의 양수 및 양도가 불가능하게 되어 실패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도 고조 

ㅇ 비트코인 채굴의 전력수요 예측, 제어불능이라는 평가는 과도(블룸버그)

- 이는 정보센터와 마리화나 재배 관련 전력수요 증가를 둘러싼 과도한 우려를 상기시킨다는 견해가 부상. 크레디트 스위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업자는 현재 아일랜드 소비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 하지만 이는 매우 높은 수준에 달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 전반적인 견해. 해당 이용량은 전세계 전력수요의 1.4%에 불과. 관련 내용은 일부에서 우려하는 전력과 환경의 아마겟돈과 거리가 있다고 지적

- 다만 전세계적으로 늘어나는 가상통화 채굴업자가 어느 정도의 전력을 소비할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 Bloomberg New Energy Finance(BNEF)는 작년 비트코인 가격 급등으로, 채굴 전력수요는 20.5테라와트 증가했다고 발표

- 모건스탠리는 금년 채굴업자의 전력수요가 전세계의 0.6%에 해당할 정도로 증가한다고 전망. 이는 미국과 중국 등의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업체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지적. 시장은 관련 전력수요 예측이 기우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우세

ㅇ 브라질 정부, 비트코인 투자 펀드 규제 (닛케이)

- 증권거래위원회는 브라질 국내에 존재하는 펀드가 가상통화를 구입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고 적시

ㅇ 싱가포르 통화청장, 가상통화 기술이 급락에 의해 약화되지 않기를 기대(로이터, 블룸버그)

- 메논 청장, 싱가포르는 금융기술의 허브를 자처하고 있지만, 가상통화 투자는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언급


ㅇ 성장여력 강화를 위해 잠재성장률 제고 노력이 필요(FT)

- 세계경제 성장세 확대가 신흥국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 2017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3%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흥국은 그보다 높은 4.3%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2018년에도 그보다 높은 4.5%에 달할 것으로 시장에서는 추정

- 이에 신흥국으로 자본유입이 커지는 가운데 전세계 무역량이 2017년 전년 대비 4.3% 늘고 2018년에는 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세계수요의 확대는 신흥국의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 그러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주요 신흥국의 잠재성장력 둔화 가능성이 제기. 대부분의 신흥국, 선진국 모두 노령인구가 늘어나고 있어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세가 완만하거나 하락하고 있는 상황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교육, 여성 노동력 참여 확대 등 정책마련을 통해 고령화의 취약성을 개선할 필요성 증대

- 현재 신흥국들은 세계경제의 성장세 확대에 힘입어 경기상승의 수혜를 누리고 있지만, 잠재성장 여력 확충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일시적인 수요증가를 통한 성장률 상승은 장기화되지 않을 전망. 따라서 장기적 개혁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

ㅇ 브라질, 연금개혁 지체 등으로 대외 신뢰도 저하(닛케이)

- 브라질 재정건전성 회복에 필수적인 연금개혁법안 통과에 암운이 드리운 가운데 테메르 정권은 2월 표결을 예정대로 진행할 방침이나 선거를 앞두고 이를 반대하는 의원들이 속출

- 브라질 연금제도는 대규모 재정수지 적자의 요인. 테메르 정부는 수급 연령 상향조정을 핵심으로 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나, 의회의 반발로 표결 연기가 지속. 당초 안에는 매년 적어도 100억헤알 규모의 재정지출 축소 효과가 발생

- 이와 관련하여 S&P는 브라질 국가신용등급을 1단계 하향 조정. 테메르 정부는 2년 간 마이너스 성장에서 구조개혁을 추진하여 자국 경제를 재생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 공공 인프라 민영화에도 주력하는 한편 2017년 11월에는 근로자 기득권에 철퇴를 가하여 개정 노동법을 시행. 하지만 개혁노선의 정책 중 연금은 중요한 과제이며, 개혁이 지제되면 경제계와 해외투자자의 평가 저하가 예상

ㅇ 인도, 소득 불평등 완화를 통한 경제성장 촉진 가능(FT)

- 2015년 인도의 소득기준 상위 10%가 국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로, 1980년 31%에서 크게 상승하는 등 국가 내부의 불평등화가 확대. 이는 노동시장에 존재하는 기회의 불평등에서 기인. 인도는 중국이나 브라질 등 다른 신흥국과 비교하여 교육과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접근이 제한

- 세계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분배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취업 제한 규정을 철폐하고, 하위 50% 소득계층이 양질의 지속 가능한 보수를 받을 수 있는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고 권고. 또한 전기, 상하수도 등 제반시설이 열악한 낙후 지역의 개발 촉진도 기회의 불평등을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

- 맥킨지는 2016년 보고서에서 GDP에서 여성이 기여하는 비율은 17% 정도에 불과하며, 이를 줄인다면 인도의 2025년 GDP는 7000억달러의 추가 요인이 있다고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