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8년] 미국 경제 소식들 - 연준 금리·무역 갈등, 달러화 강세·은행 성과, 무역정책·국가 안보, 2/4분기 양호한 성장세, 노동시장 신규 인력 진입, 장기 경기상승

by 성공의문 2018. 7. 22.

○ 미국 연준의 금리경로, 무역 갈등 여파 반영까지 장기간 소요 전망 (WSJ) 

-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 갈등으로 경기하강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변경 가능성에 주목. 다만 금리인상 경로 변경은 다음의 이유로 장기에 걸쳐 진행될 전망

 - 첫째, 무역 분쟁 여파가 경제지표에 가시화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 또한 기업은 무역 갈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모색. 이는 일시적인 경기활성화 요인으로 작용

 - 둘째, 관세 부과 영향을 실증분석 모형에 반영하기는 매우 어려운 편. 이를 고려할 때 연준은 적극적으로 선제적 대응에 나서는 대신 신중하게 확인(wait and see)하는 전략을 구사할 가능성

 - 셋째, 연준이 경기상황에만 집중한다면 금리인상을 완만하게 조정해야 하나, 인플레이션 압력도 고려해야 하므로 통화정책은 이를 고려할 필요

 - 넷째, 일부에서는 연준이 증시 등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 시 금리인상에 유보적 자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 하지만 주가수준이 과도하는 평가도 다수여서, 연준이 버블억제 등을 위해 금리인상을 완만하게 조정하지 않을 전망



○ 미국 달러화 강세, 자국 다국적 기업 실적에 마이너스 영향 불가피 (WSJ) 

- 1/4분기 S&P500 기업의 실적은 세제개편과 달러 약세 등으로 2010년 이후 가장 양호한 수준. 이는 달러화가 약세를 나타내면서 수출시장에서 다국적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고, 자국 통화로 환전된 해외 수익이 증가했기 때문

 - 하지만 2/4분기 실적을 공개한 S&P500 내 일부 다국적 기업은 강달러 기조 지속으로,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 선박회사인 Carnival은 달러화 강세가 유가 상승과 겹치면서 2018년 주당순이익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

 - 미국 기업이 무역 마찰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강달러는 추가적인 부담을 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 B. Riley FBR의 Hogan, 무역 전쟁과 더불어 달러화의 추세가 기업의 하반기 실적 전망을 좌우할 것으로 보이며 실적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 아울러 2/4분기부터 기업의 이익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도 제시. 웰스파고의 Samana, 현 경기순환 고려 시 수익 축소 여지가 많다고 평가 

- 반면 일부는 기업실적과 관련 여전히 긍정적 입장을 유지. FactSet은 에너지와 신기술 등이 양호한 실적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


○ 미국의 재정수지 적자, 높은 증가율로 장기적 측면에서 지속 가능성은 낮은 편 (블룸버그) 

- 미국은 여타국과 비교하여 양호한 성장률을 유지. 이는 감세와 정부지출 확대 등의 경기부양책이 주요 요인. 하지만 재정수지 적자의 리스크는 점증

- 의회예산처(CBO)에 따르면, 2018년 재정수지 적자는 GDP의 3.9%인 7930억달러를 나타내고, 2019년은 9730억달러로, GDP의 4.6%에 이를 것으로 예상. 2028년, 2038년, 2048년에는 각각 GDP 대비 5.1%, 7.1%, 9.5%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

- 이는 2009년 금융위기 당시 10%보다는 낮지만 2000년 이후 평균인 4.4%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 최근 3년 간 양호한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세수 증가율은 3.8%로 낮지만, 재정지출 증가율은 14%로 매우 높은 수준

- 특히 대규모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2017년 법인세 수입은 전년동기비 620%억달러로, 28% 감소한 반면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규모 은퇴로 사회보장, 의료 관련 지출이 크게 늘었으며, 전반적인 금리 상승으로 금융비용 지출도 대폭 증가

- 최근 미국 경기가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이나, 대규모 재정수지 적자가 구조적으로 장기간 지속되기는 어려울 가능성. 이는 향후 경기 침체 발생 시 정부의 경기부양 능력이 제한될 소지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연준 통화정책의 매파적 성향을 완화시킬 가능성 (FT) 

- 최근 연준의 점도표 공개 이후 시장에서는 2018년 4차례 금리인상도 가능하다고 전망. 그러나 미국과 중국 사이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이 당초 전망보다 비둘기파적 색채로 전환될 수 있다는 시각이 부상

- 6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중국산 수입품 관세율 인상이 공급 충격을 초래할 뿐 아니라 투자지출의 지체도 유발하여, 총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 연준 파월 의장도 이를 우려하는 입장

- 뉴욕주립대의 폴 크루그먼 교수도 관세부과의 대상이 소비재가 아닌 중간재 또는 투자재인 경우,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제한적이나, 장기적으로 총생산에 이르는 부정적 여파가 상당한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진단

- 금리 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플레이션 기대. 그러나 관세 충격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현재 수준보다 0.5~1% 수준의 추가 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연준이 시장 예상대로 통화정책을 수행할지 여부에 관심이 고조될 전망


○ 미국 채권시장, 연준 금리인상이 단기간 내 마무리될 것이라는 신호 발신 (FT) 

- 6월 FOMC에서 연준의 기준금리는 2020년까지 3.375%까지 상승할 것으로 제시. 그러나 시장의 예측은 이와 다른 양상. 90일 유로-달러화 선물로는 2019년 12월 기준 2.97%, 2020년 12월에는 2.96%로 하락. RJ O'Brien의 John Brady는 시장이 연준 판단에 오류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

- 미국 연준은 자국경제의 호조를 강조하고 있지만, 무역분쟁 우려로 기업의 투자가 지체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증폭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세제개혁에 의한 경기부양이 2019년에는 실효성이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

- 이를 감안하여 Janney Capital Management의 Lebas는 2019년 말 미국경제가 하강 또는 침체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장단기 금리 차 축소도 이를 시사하는 단면 

- 연준 정책당국자 다수는 2018년 2차례 금리인상 후 2019년 초반에 기준금리가 중립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 이후에는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추가 금리인상 여부를 논의할 가능성이 높은 편


○ 현 미국의 무역정책, 중국과 연결된 국가 안보 등에 기인 (FT) 

-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무역 분쟁 속에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부과는 자유무역론자의 반대에 직면하고 있으나, 전략적인 이유로 미국과 중국의 경제통합 문제를 제기하는 여론은 예상보다 다수

- 6월 미국에서는 중국경제의 부상에 따른 향후 제조업과 방위산업 도전을 두고 논의가 전개. 그 결과, 단순한 무역 전쟁이 아닌 실제 전쟁에서도 감내 가능한 탄력적인 공급망 필요성이 대두

- 1월 Defence Innovation Unit Experimental이 발표한 조사에 의하면, 실리콘밸리 등 미국 내 중국 기업은 미국의 군사장비 및 서비스와 관련 핵심 공급망 및 기술력을 보유. 국방부 보고서에서도 2013년 중국 공장에서 헬 파이어 미사일의 핵심재료를 생산

- 미국 내에서도 인공지능과 로봇, 가상현실, 바이오산업 등 다수 첨단기술 산업에서도 중국 기술력과 연결된 공급망을 해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점증. 이는 국가안보는 물론 경제성장에도 중요한 문제라고 인식

- 무역 분쟁으로 다국적 기업 손실과 중국의 반발에 직면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다국적 기업 생산시설이 중국에서 다른 국가로 이전함으로써 미국은 방위산업 등에서 탄력적인 공급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미국 달러화 강세, 유망 투자대상 부재로 지속될 가능성 (닛케이) 

- 최근 달러화 가치 상승은 무역마찰이 확산되는 가운데 투자자의 리스크 선호가 유지되는 동시에 미국 시장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 관세부과 여파로 미국의 물가가 오르겠지만, 이는 금리인상 가속화로 연결되기 어려운 편

- 강달러에 대해 골드만삭스는 경기순환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이라고 설명. 2월 초 VIX의 큰 폭 상승은 안전자산인 엔화가치 오름세로 연결되었지만, 최근에는 해당 요소가 소멸되었다고 주장

- 중국과 유럽은 경기하강 조짐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도 미국을 제외하고 유망한 투자대상은 거의 없는 상황. 미국경제의 독주가 지속되는 경우에 달러화 강세 기조는 변하지 않을 전망


○ 연준의 기준금리 경로, 인플레이션 방향의 정확한 평가가 중요 (블룸버그) 

- 최근 발표된 미국의 다수 경제지표들은 이전에 비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 이에 물가상승 방향의 정확한 평가가 향후 통화정책에서 매우 중요

- 연준이 현 물가상승 압력 증대를 공급 요인에 의한 일시 현상으로 인식하면, 기존의 완만한 기준금리 인상이 효과적 대응이지만, 장기 구조변화에 의한 결과라고 판단할 경우에는 이전에 비해 금리인상의 속도를 높일 가능성

- 또한 임금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도 중요. 최근까지 임금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수준. 관련 추세가 지속되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지 여부도 관건

-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오르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공격적 기준금리 인상으로 경기하강 리스크를 유발하는 대신 일부 경기과열을 용인하면서 통화정책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


○ 트럼프 정부의 무역전쟁, 기존 경제정책의 실효성 약화 우려 상존 (FT) 

- 트럼프 정부는 규제완화, 세제개혁,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하여, 고용사정을 더 양호하게 지속될 수 있도록 유도. 하지만 무역전쟁은 이를 무력화할 소지

-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대규모 무역 측면의 피해를 겪고 있다는 트럼프 정부의 진단은 정확. 중국은 위안화 절하, 지식 재산권 침해, 부당 보조금 지급 등을 이용하여 무역 장벽을 구축

- 그러나 중국의 관련 무역정책에 따른 피해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이를 통한 WTO 개혁은 필요하지만, 미국 정부는 관세부과 등 무역보호주의를 강화하며, 자국 내 경제주체는 여타국에까지 반발을 유발

- 구체적으로 미국 농가의 중국 대두 수출이 중단되었고, 자국 대표기업인 할리데이비슨 등의 생산기지 이전도 발생. 또한 경기 불확실성 증가로 6월 전세계 증시에서 124억달러 규모의 자본유출이 발생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도 증폭

- 시장에서는 미국이 TPP 유대 강화를 통한 WTO에서 중국 견제, NAFTA 재협상 타결, EU와의 동맹 강화 등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


○ 각국의 무역 분쟁, 미국 경제주체를 통한 경기하강 구도는 시차를 두고 가시화 (블룸버그) 

- 대중 관세로 인해 미국의 감세효과가 급격히 축소되었다는 견해가 제기. 미국의 대중 관세규모는 법인세 감면 규모의 25%에 달하고 있는 상황 

- 관세부과와 법인세 감면이 직접적인 상충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감세로 발생한 자금 여력이 관세비용 부담으로 상쇄될 소지. 시장에서는 이와 같은 기업의 부담이 결국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우려

- 이에 무역대표부(USTR)는 휴대폰, 컴퓨터, 의류, 신발 등 소비자의 구매 빈도가 높은 수입품을 제외하여 가계부담을 줄이고자 모색. 하지만 6월 생산자물가가 2011년 11월 이후 큰 폭으로 올라, 결국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상당

- 할리 데이비슨과 BMW는 미국 이외 생산을 늘려 관세 여파의 불확실성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 GM은 관세부과가 미국 자동차 시장의 축소를 야기할 것이라고 언급. 이러한 불안요소로 여타 주요 기업의 미국시장 이탈 가능성도 고조

- 관세 외에 유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은 결국 기업의 비용을 높이는 요인. 아직 무역분쟁에 따른 경기하강 조짐은 본격화되지 않았지만, 시차를 두고 성장에 마이너스 영향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우세


○ 미국 달러화 강세, 3가지 경로로 미국 은행권 성과를 저해 (WSJ) 

- 여타국에 비해 양호한 미국의 경제성장률과 노동시장 등에 의해 미국 달러화 강세 현상이 지속. 시장에서는 강달러 기조가 은행 실적에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

- 첫째, 보수적인 자산운용. 통상적으로 달러화 강세는 향후 경기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발생. 은행들도 장기간의 달러화 강세가 나타나면 적극적인 자산운용을 피하고 보수적인 대응으로 선회. 이는 은행권 이익을 축소시킬 소지

- 둘째, 대출 감소. 은행권은 신흥국과 유럽에 달러화 대출을 시행. 하지만 강달러 기조는 대출 조달비용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 이는 대출을 줄이는 유인으로 이어져 수익성 저하로 연결

- 셋째, 예대마진의 악화. 달러화 강세는 통상적으로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의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수익률 평탄화 현상을 유발. 이로 인해 은행권 대출부문 수익률이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


○ 미국의 2/4분기 기업실적, 금리상승·무역갈등 불구 양호한 성장세 지속 전망 (WSJ) 

- 최근 시장에서는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금리상승과 무역 갈등이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증폭. 하지만 FactSet에 따르면, 2/4분기 S&P 500 기업의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비 20% 이상 늘어나 양호한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 부문별로는 최근 고유가로 에너지 부문 기업의 영업이익이 144%의 가장 높은 성장세를 달성할 것으로 추정. 기술(반도체,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IT 서비스, 등) 부문도 전년동기비 24.6%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

- 이는 여러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경제성장, 법인세율 인하, 소비자 및 기업의 경기상승에 대한 확신 등이 기업매출과 이익 증가로 연결될 결과

- 다만 필수소비재 부문은 2/4분기 시작 이후 실적전망을 하향 조정한 기업 비중이 75%를 상회하면서 시장 평가는 다소 회의적. 이는 무역 갈등으로 원재료 가격의 상승 및 사슬공급망의 혼란 등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기 때문

- 시장에서는 연말까지 기업 영업이익이 양호한 성장세 나타낼 것으로 기대하지만, 2019년에도 계속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고 전망


○ 미국 주정부의 재정건전성, 경기상승 장기화 국면에도 불구하고 미흡 (WSJ) 

- 미국 50개주 가운데 대부분이 새로운 경기 침체에 대처할 능력을 충분히 보유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명확한 세수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는 평가. 이에 신용평가사들은 관련 주정부에 낮은 등급을 부여

- 반면 지출 항목인 연금과 의료복지 비용은 급격히 늘어나 예비비가 현저히 감소. 세금정책센터(Tax Policy Center)에 따르면 2017년 기준 21개주에서 재정안정화 기금(Rainy Day Funds) 규모가 2008년보다도 축소

- S&P의 Gabriel Petek, 경기 상승 시 재정안정성을 강화해야 하며, 해당 기간 동안 주정부의 재원확보가 부진했다고 평가. 심지어 2008년 재정안정화 기금을 소진한 이후 아직 이를 충당하지 않은 주정부도 존재

- 보스턴 연은 총재 로젠그렌은 모든 주가 경기하강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 하지만 다수 주정부가 이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 이러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 등은 많은 주정부의 재정을 악화시킬 요인으로 부각되면서, 향후 관련 불안은 확대될 전망


○ 미국 노동시장의 신규 인력 진입, 임금과 물가상승 둔화로 이어져 통화정책에도 영향 (블룸버그) 

- 미국 경제활동참가율이 여타 선진국과 비교해 낮은 편이어서 물가상승률이 Fed의 목표에 부합하는데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 해당 수치는 2000년에 정점을 보인 이후 2007~09년 경기침체기에 가파르게 하락.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 향후 추가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

- 최근 25~54세의 핵심경제활동인구율은 완만한 상승세. 이를 통해 Fed는 기업이 핵심경제활동인구에 대한 고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4%를 하회하는 낮은 실업률에도 물가상승률이 뒷받침되지 않았던 이유로 제시

- OECD에 따르면, 2017년 미국의 핵심경제활동참가율은 73.3%로 추산. Fed의 파월 의장, 해당 지표와 인구통계학적인 관점에 기초하여 향후 미국은 1140만명의 추가 고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

- 미국 노동부는 6월 미국의 핵심경제활동인구 비율이 상승해 82%에 달했다고 발표. 6월 핵심경제활동 참가율이 오르면서, 실업률도 동반 상승한 이유는 일자리 증가 등으로 기존 노동참여인구에 신규 구직인구가 확대되었기 때문

- BofA는 노동시장에 신규 인력 진입 등으로 임금과 물가의 상승 압력이 둔화될 수 있다고 제시. 이를 Fed가 반영할 경우에 금리인상 경로를 완만한 속도로 유지할 가능성은 높은 편


○ 미국의 장기 경기상승 국면, 중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우위를 자신하는 요소 (WSJ) 

- 시장의 다수가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높게 추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미국은 낮은 실업률 수준을 달성하고 임금과 소득 수준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

- 나바로 무역제조업정책국장은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미국보다 잃는 것이 많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미국 경제의 모멘텀 유지가 중국과의 무역 분쟁에서 유리함을 강조

- 시장에서도 중국의 보복관세에 대해서 미국의 다수 산업 내 소비자들에게 가격이 전가되는 등 부정적 영향을 예상했으나, 실제로 큰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평가

-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중국의 미국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와 함께 중국의 신용 감소를 근거로, 중국의 성장 여력 약화를 제시

- 그러나 브루킹스 연구소의 David Dollar는 미국 경제는 대부분 감세 정책의 일시적인 효과로 호조를 보이는 것이며, 관련 조치가 2019년까지 유효하겠지만, 이후에는 점차 약화될 것으로 판단. 이에 미국발 무역 전쟁의 장기화는 자국경제에 궁극적으로 마이너스 요소라고 지적


○ 미국 달러화 강세, 장기적으로는 재정수지 적자 등으로 지속 가능성에 의문 (WSJ) 

- 2/4분기 중 미국 달러화 가치는 예상외로 여타 통화에 비해 상승. 유로화와 중국 위안화는 물론 브라질과 남아공 등 주요 신흥국과 비해서도 높은 수준으로 상승

- 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작용. 

- 첫째, 미국의 성장률이 여타국에 비해 높은 수준인 동시에 경기상승 국면 지속. 

- 둘째, 유럽과 일부 개도국의 정치적 불안. 

- 셋째,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안전자산 달러화의 선호 확대

- 그러나 감세 조치 등으로 늘어난 정부지출에 따른 재정수지 적자 확대 가능성 등으로 달러화 강세가 장기화될지는 의문. 모건스탠리는 관련 요인으로 미국 달러화가 다시 약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