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세계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7. 1. 19.

■ 중국, 국내 자본유출 확대·향후 불안요인 상존

ㅇ 자본유출 억제를 위한 통화정책 긴축은 실물경제의 부정적 영향 우려

ㅇ 중국의 자본흐름을 보면, 2015년 하반기에는 해외자본의 유출확대가 주를 이루었으나, 2016년 하반기 이후에는 해외자본 유입을 초과지만 국내자본의 유출이 현저하게 확대

- 2016년 3/4분기 경상수지는 692.5억달러 흑자이나 금융수지는 2014년 2/4분기 이후 적자(유출 초과)가 지속되면서 같은 기간 1310.6억달러 유출 초과를 기록

ㅇ 이에 정책당국은 기존 규제를 강화하여 자본유출을 철저하게 관리

- 2016년 11월 은행 결제에서 보는 자본유출은 246억달러에 머물렀는데, 이는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책당국에 의한 외환관리 감독 강화가 반영. 아울러 같은 해 연말에는 국가외환관리국의 개인 외환거래에 대한 관리 감독방안이 공표

ㅇ 외환보유액의 적정수준을 수입가능액(3개월 이상), 단기부채잔액(100% 이상),

통화량에 대한 비율(5~20%)로 보면, 통화량 기준으로는 외환보유액이 충분하다고 보기 어려운 편 

- 자본유출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에 의한 위안화 가치 상승 유도가 있으나, 이는 금융 긴축으로 이어져 부실채권 문제 등을 증폭시킬 리스크가 내재

- 외환보유액은 전반적으로 적정수준 내에 위치하나 향후 자본유출을 좌우하는 위안화의 향방은 주시할 필요. 아울러 중국은 금리인상 시 거시경제 영향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

<그림 1> 외환보유액의 주요 변수 대비 적정기준과 중국의 수준

■ 세계경제 전반

ㅇ UN, 2017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2.7%로 전년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로이터)

- 세계경제 연차보고서에서 UN은 세계경제 성장률이 2016년 2.2%에서 2017년 2.7%, 2018년 2.9%로 지속적 상승을 예상. 다만 영국의 EU 이탈과 미국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세제정책이 마이너스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

- 미국의 성장률은 2016년 1.5%, 2017년 1.9%, 2018년 2.0%로 내다보았고, 영국은 브렉시트 불확실성으로 성장률을 2016년 2.0%에서 2017년 1.1%로 감속할 것으로 전망

- UNCTAD의 Alfredo Calgano, 트럼프의 세제개혁이 자국 기업만 보호하면, WTO에 커다란 위협이 된다고 우려. 법인세 감세는 단기적으로 재정수지 적자 확대로 연결된다고 지적. 중국 성장률은 2017~18년 모두 6.5%로 예측하여 2016년 대비 낮아질 것으로 전망

ㅇ 전세계 CEO, 경기와 실적에 대한 낙관적 견해 확산(로이터)

- 대형 회계법인 PwC가 1400명의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세계경제 성장률이 2017년에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본 의견이 응답자의 29%로 1년 전 27%에서 상승. 아울러 향후 1년 간 자사매출 증가에 자신감을 표명한 CEO도 1년 전보다 3%p 상승

- PwC의 Bob Moritz, 작년에는 저유가의 장기화, 중국의 성장둔화,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 등으로 경영진의 전망이 악화되었다고 지적.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 일부 CEO는 법인세 축소와 규제완화 등을 기대

ㅇ 인적자원 경쟁력, 세계 118개국 중 스위스가 1위(Business Insider)

- 인력 서비스 세계 최대 기업인 Adecco(스위스)와 INSEAD 등이 발표한 세계인적자원경쟁력지수 (Global Talent Competitive Index, GTCI)에서 스위스가 1위, 다음으로 싱가포르, 영국, 미국, 스웨덴 순. 한국은 29위를 차지

- 이번 조사에 처음으로 실시된 도시 인적자원경쟁력 지수에서는 코펜하겐 1위를, 취리히, 헬싱키 순. 전체 46위 중 아시아 도시에서는 상하이와 싱가포르만 포함

■ 미국

ㅇ 뉴욕 연은 더들리 총재, 연준은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 자제할 가능성(로이터)

- 더들리 총재는 현 경기확장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낙관하였으며, 연준은 이를 저해하는 정책을 자제할 가능성이 크고 인플레이션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

- 경기확장 기조가 종료되는 원인은 물가상승으로 연준이 긴축적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경우나, 예기치 못한 대규모 충격이 발생하여 재정 및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언급. 충격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현재 물가상승은 위협적이지 않은 수준이라는 견해를 피력

- 이에 대한 근거로, 노동시장에서 공급 대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는 매우 완만하게 진행. 강달러 지속으로 수입물가가 하락하여 물가상승 억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언급

- 인플레이션은 향후 수년간 2%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다만 국경세 부과로 수입물가가 올라 물가상승을 가속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

- 이외에도 차기 정부의 인프라 투자와 규제 완화는 생산성 향상과 성장에 기여한다고 내다보았으며, 향후 불확실성이 큰 유럽의 선거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ㅇ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금리인상 속도는 재정정책 성과에 좌우(로이터)

- 브레이너드 이사는 불황이 해소되었기 때문에, 차기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로 성장이 가속화되면 연준은 적극적인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

- 완전고용에 도달한 상황에서 재정확장 정책을 시행하면 물가상승을 가속할 수 있다며 지나친 재정정책의 위험성을 지적. 이를 대체하여 노동생산성 향상 등의 정책을 통하여 완전고용 상태를 지속시키고 재정수지 적자를 축소할 수 있다고 지적

ㅇ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6.5로 전월비 0.9p 하락(Economic Calendar)

- 뉴욕 연은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지수가 전월(7.6)과 시장예상치(8.0)을 하회. 신규수주(10.4→3.1), 출하(8.6→7.3) 등이 전월비 하락하고, 고용지수(-1.7)가 전월에 이어 여전히 마이너스인 것이 주요 원인

- 물가 오름세로, 수취가격지수(3.5→17.6) 등은 전월비 대폭 상승하였으며 향후 6개월 전망지수는 전월과 같은 49.7로 매우 낙관적인 수준

ㅇ 차기 정부 고문, 달러화 강세의 부작용에 대해 경고(로이터)

- Skybridge Capital의 Anthony Scaramucci, 달러화 가치 상승이 지속될 경우, 달러화 부채가 많은 신흥국가는 자본유출 압력이 높아져 위기가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

■ 유럽

ㅇ 유럽위원회 모스코비치 위원, 영국 외에 EU 국가의 추가 이탈은 없을 전망(로이터)

- 브렉시트에 소요되는 비용은 대규모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가입국의 영국 추종을 억제하는 요소라고 지적. 트럼프의 연쇄 이탈론을 일축하며, 관련 발언은 미국 신정부와 유럽의 관계를 끊는 언급이라고 경고

- EU 모게리니 외교안보 대표, 영국의 브렉시트는 EU의 유대 강화를 유발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트럼프 미국 차기 대통령의 주장을 반박

ㅇ 독일 정부, 미국 보호무역주의는 자국 자동차업체의 미국 생산을 위협(로이터)

- 對美·캐나다 협력 조정관인 Juergen Hardt,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채택하면, 독일 자동차업체의 미국 생산이 위기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

- 독일 정부의 Steffen Seibert, 미국과의 범대서양 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은 지속적인 중요한 사업으로, 협상 지속은 유럽과 미국 양자에 이익이라고 주장

ㅇ 영국 메이 총리, EU 이탈 협상으로 가입국 일부 유지 목표는 불필요(로이터, 블룸버그, WSJ)

- 메이 총리는 EU 가입국을 신규 형태의 대등한 파트너십으로 대할 것이며, 가입조항의 일부를 유지하거나 준가입국과 같은 협상을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 여타 각국의 채택하고 있는 모델도 모색하지 않는다고 강조

- 아울러 영국은 전세계 유능한 인력을 유입하고, 유럽 외에 각국과 관계를 맺는 글로벌 무역국으로서 발돋움할 것이라고 언급

ㅇ 무디스, 영국 메이 총리의 브렉시트 방침 달성은 불투명(로이터)

- 무디스의 Kathrin Muehlbronner, 새로운 방침이 어느 정도 포괄적으로 적용될지 현 시점에서 알 수 없다고 지적. 무디스는 영국이 단일시장 접근으로 많은 수혜를 받는 기본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있다고 강조

ㅇ 유럽위원회, 이탈리아에 재정수지 적자 축소 요구(로이터)

- 유럽위원회는 이탈리아에 경기변동 등의 영향을 조정한 구조적 재정수지 적자를 금년 0.2%p 줄이도록 추진하는 가운데 이탈리아 정부는 이에 대응한 결정을 내릴 전망. 이탈리아 정부는 2017년 재정수지 적자 축소 목표를 GDP 대비 2.3%로 설정

- 이는 유럽위원회와 합의한 1.8%와는 괴리. EU 규정에는 가입국의 재정균형 또는 흑자 달성 시까지 구조적 적자를 매년 GDP 대비 0.5% 이상 절감하는 것이 의무화. 이탈리아의 예산안은 구조적 적자를 0.6%p 상향하는 효과

ㅇ 오스트리아 재무장관, 영국의 EU 탈퇴 협상 5년 소요 예상(로이터)

- 쉘링 장관,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브렉시트 기간이 2년을 크게 넘어설 전망. 어떤 방법으로 이탈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이는 없으며, 리스본 조약 50조의 내용과 탈퇴 및 신규 계약에 대한 동시 협상 가능 여부도 명확하지 않다고 설명

ㅇ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유가 상승은 근원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로 연결(로이터)

- 노보트니 총재, 근원 인플레이션의 상승폭이 아직 크지 않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유가회복은 근원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

ㅇ ECB, 유로존 1/4분기 은행대출 기준 완화 전망(로이터)

- 139개 은행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작년 4/4분기 늘어났던 기업 대출수요가 금년 1/4분기에도 증가 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과 소비자금융 수요도 전기와 비교하여 늘어날 것으로 예상

ㅇ 주요 은행, 하드 브렉시트 가능성에 영국 이탈을 준비(블룸버그)

- 메이 총리가 유럽 단일시장 철수 의사를 밝힌 이후, 주요 은행들은 영국에서 EU 전역에 서비스 판매 권한 상실 가능성을 대비하여, 협상이 시작되는 3월 말 이전부터 거점 이전을 시작할 전망

- HSBC의 더글라스 플린트 회장,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UBS의 악셀 베버 회장은 지금부터 런던을 대체할 수 있는 영업 거점을 만들어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

ㅇ 독일 1월 ZEW 경기기대지수, 16.6으로 전월(13.8)과 비교하여 상승(로이터)

- 현황지수는 77.3으로 전월(63.5)과 예상치(65.0) 모두 상회. ZEW의 Achim Wambach, 유럽 전반에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것이 이번 결과의 주요 요인이며,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의 호조를 고려할 때 2017년 경제에 대한 기대를 높인다고 언급

ㅇ 유럽 2016년 자동차판매, 전년비 6.5% 늘어나 3년 연속 증가세(로이터)

- 유럽자동차공업회(ACEA)에 따르면, 작년 12월에는 전년동월비 3.2% 증가 

ㅇ 프랑스 2016년 재정수지 적자, 정부 목표치 하회(로이터)

- 사팽 재무장관, 689억8000만유로로 정부 목표(699억유로)와 전년(705억유로) 수준을 모두 하회했으며, 이는 GDP 대비 3.3% 이하의 재정수지 적자 목표 달성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고 평가

ㅇ 영국 2016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1.6% 올라 2014년 7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 통계청에 따르면, 이는 항공료 및 식품 가격의 상승, 에너지 가격의 하락 둔화 등에 기인. 근원 소비자물가도 1.6% 오르며 예상치(1.5%) 상회. 같은 달 생산자물가는 2.7% 올라 2012년 3월 이후 최고치 기록

ㅇ 영국 2016년 11월 주택가격, 전년동월비 6.7% 상승(FT)

-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전월(6.4%) 및 예상치(6.1%) 상회했으며, 같은 달 평균주택가격은 21만8000파운드. Halifax, 금년 주택가격 상승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중국

ㅇ 국무원, 해외자본 개방의 새로운 계획 발표(로이터)

- 이는 은행과 기타 금융기관 투자 제한 완화 등이 포함된 것으로, 상세한 시기 등은 미정. 국무원은 외자계 기업의 상하이와 선전의 거래소에서 주식공개를 인정

- 아울러 외자계 기업은 중국에서 회사채, 전환사채 등 다양한 채권발행이 가능하게 된다고 강조

ㅇ 정부, 2017년 성장률 목표를 6.5% 정도에서 설정(로이터)

- 이는 작년 12월 비공개로 이루어진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승인된 내용으로, 3월 초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공표될 예정. 정책의 축을 부채와 주택시장 리스크를 억제하는 개혁 추진으로 이전할 방침

- 리스크 제어에 초점을 두기 위해 통화정책은 다소 긴축기조로 가져갈 가능성이 있으며, 예상되는 변경은 미세조정으로, 정부는 안정적 성장을 모색

ㅇ 시진핑 주석, 세계화 및 자유무역의 중요성 강조(로이터)

- 타국의 희생을 강요하면서 자국 이익 추구는 지양해야 하며,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을 간접적으로 견제. 통상전쟁에서는 어느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다고 주장

- 경제의 기초여건은 변함이 없으며 가계소비가 경제의 주요 견인역을 담당할 것이라고 언급. 세계경제의 부진에도 작년 중국의 성장률은 6.7% 달성한 것으로 추정

ㅇ 독일, 보호무역주의 확산 방지를 위해 중국의 시장개방 확대를 촉구(로이터)

- 독일 대사관, 세계는 강한 정치적 리더십 및 시장개방 확대 논의와 관련되어 신뢰할 수 있는 행동이 필요. 중국 지도부는 지적재산권의 보호, 외국인 투자 개방, 독일과 중국기업의 균등한 기회 제공 등을 우선 과제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

- 중국이 보호무역주의, 대중영합주의 기조와 맞설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것이며, 시장개방 옹호 입장을 나타내는 중국을 매우 환영할 것이라고 발표

ㅇ 인민은행, MLF를 통한 유동성 공급이 아닌 지급준비율 인하 고려 필요(블룸버그)

- 인민은행은 시장의 통화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MLF(중기유동성기구)를 활용 중이며, 지급준비율은 지난 1년 간 변화폭 부재. MLF의 활용은 위안화의 절하압박 없이 투자 촉진이 장점으로 MLF 잔액은 2016년 12월 사상 최대 수준인 3조4600억 위안 기록

- 그러나 시장은 MLF가 가진 한계로 자금수요자의 보다 장기적 계획 수립이 어렵다는 점과 적기의 유동성 확보의 어려움을 지적. 이에 실물 경제의 대출비용을 하락 시켜주는 지준율의 인하를 통한 금융기관의 역할 강화 필요성 제시  

■ 일본

ㅇ 내각부, 디플레이션 탈피 위해 임금상승세 지속 필요(로이터, 닛케이)

- 경제동향분석 보고서, 비상용직(part-time) 근로자의 증가로 노동공급과 노동생산성의 성장이 부진하여, 대응책 필요를 강조. 다만 생산연령 인구 감소의 영향은 여성과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로 완화

- 총요소생산성(TFP)은 미국의 1/2, 독일의 1/4 수준에 불과. 이는 근로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부진 때문. 근로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강화를 위해 경영진과 중간관리자의 권한 재검토, 분권적인 조직구조의 개편, 근무여건의 유연성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

- 4차 산업혁명 관련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가능성이 있지만, R&D에서 신사업의 비중이 30% 수준으로 미국의 50%에 비해 매우 낮은 편. 한편 향후 경기는 완만한 회복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ㅇ 2016년 11월 광공업생산(확정치), 기계산업 호조 등으로 전월비 1.5% 증가(로이터, 닛케이)

-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같은 달 광공업생산지수는 99.9로 속보치와 동일. 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수요 등으로 기계부문이 양호한 흐름. 제조업 가동률은 전월보다 3.0% 상승

ㅇ 일본경제연구센터, 2016년 성장률을 1.21%로 소폭 상향 조정(닛케이)

- 이는 세계경제 성장회복세에 대한 기대 속에서 수출과 기업의 설비투자 확대가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ㅇ 2018년도 재정수지 적자, 세수감소로 GDP 대비 2% 수준으로 악화될 전망(닛케이)

- 내각부에 따르면, 2016년 7월 예상치보다 새로운 전망치에서 2020년 적자 예상규모는 0.5조엔 증가. 이는 법인세수의 감소 영향으로 2016년 세입전망이 줄어든 것이 주요 배경. 이에 정부는 경제성장과 재정건전화 양립 가능성에 대한 고려 필요성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OPEC 감산합의, 미국 셰일오일 공급증가가 장애요인(블룸버그)

-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넘어서는 가운데 실수요자에 의한 WTI 유가 하락 예상 매도포지션은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 OPEC과 여타 산유국이 공급축소에 나서는 중에 유가하락에 대한 헤지거래 증가는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 회복을 시사

ㅇ 호주 2016년 11월 주택자금융자, 0.9%로 전월(-0.6%)에 비해 반등(Economic Calendar)

- NAB 은행은 2년, 3년, 4년짜리 주택융자 고정금리를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중국 성장둔화로 인한 시장 불안이 일부 반영된 결과

- 피치는 호주경제의 위험을 지적하며 호주 은행업 평가를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 시장은 중국 성장 둔화 속도 가속화가 호주 주택시장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가계 부채 증가는 주택 가격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

■ 세계경제 전반

ㅇ 2017년 세계경제, 미·중 무역전쟁과 유럽 선거가 최대 위협요인(로이터)

- 세계경제포럼 연차 총회에 참석자 중 전 독일 중앙은행 총재이면서 UBS 회장인 악셀 베버는 작년보다 경기상황이 낙관적이며, 지정학적 불안과 정치 불확실성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세계경제는 예상보다 상향될 가능성을 지적

- 다만 과잉부채, 통화정책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 구조적 문제는 선순환에 의한 경기흐름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 인도 중앙은행 총재를 역임한 라잔은 중국을 도발하는 트럼프의 발언이 협상용인지 전략적인지 분명하지 않다고 제시

-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국면 진입도 리스크. 금리인상으로 달러화 가치 상승이 가속화되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되는 한편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이 내재. 다만 유럽은 달러화 강세가 유로화 약세로 이어져 수출을 통한 경기회복이 뒷받침

- 다만 과잉부채, 통화정책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 구조적 문제는 선순환에 의한 ECB는 이를 활용하여 양적완화 축소를 전개할 수 있지만, 하버드의 Rogoff는 유로존의 경기안정을 확언할 수 없으며, 양적완화 축소는 주변국 위협요소라고 언급

- 유럽의 은행권 문제도 세계경제 위협요인으로 선정. 그러나 최대 위협은 4~5월 프랑스 대선이며, 정치면에서 예상 외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현재와 같은 양호한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은 근본부터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ㅇ 세계경제 성장, 트럼프 정책으로 그림자가 커질 우려(로이터)

- 트럼프 정책의 감세는 미국과 세계경제에 기여할 수 있겠지만, 보호무역주의가 걸림돌. 트럼프 등장 전에도 세계경제는 상승이 예상되었던 상황. 2016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지만, 금융위기 후유증이 점차 개선되는 조짐

- 트럼프의 세제개혁은 광범위한 영향이 예상. 수입제품에 과세는 미국시장에 의존하는 국가에 타격 불가피. 특히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달러화 표시 부채가 많은 신흥국의 부담은 큰 편 

- 이에 낙관적 성장전망이 반전하더라도 이례적이지 않으며, 긍정적인 시장 전망과 불만을 지닌 유권자 간에는 명확한 단절이 불가피

ㅇ 중앙은행에 대한 정치적 압력 강화, 통화정책의 독립성에 위협(WSJ)

- 금융위기 이후 주요 중앙은행은 수조달러의 자산매입과 제로 수준의 기준금리 인하 등을 단행했으며, 이에 대한 정치적 관심이 크게 증가. 통화정책이 중대한 기로에 있기 때문에, 정치인과 중앙은행 관계자의 관계 악화 여부는 매우 중요한 현안

-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과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이후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 확산.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옐런 연준 의장의 교체 가능성을 시사했고, 영국에서는 잉글랜드 은행의 브렉시트 전과 후 경제 분석이 부정확하다는 비판 증가

- 중앙은행 당국이 신속하게 독립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시장은 향후 독립성 유지 여부를 주목. 주요국 중앙은행 비판의 핵심 이유 중 하나가 장기간 자산가격의 상승을 이끈 대규모 자산매입이기 때문 

- 특히 옐런 의장이 2018년 임기 만료가 예정되어 있는데, 재신임에 실패하면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에서 더욱 주목받을 전망. 중앙은행의 정책이 분명하지 않으면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확대될 가능성 증대

ㅇ 주요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완화의 종료 신호를 강화(WSJ)

- 각국의 중앙은행은 경제성장 촉진을 위해 장기간 초저금리를 유지했지만 정치적 반발,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실업 감소, 통화정책 완화의 역효과 가능성 등으로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대한 우려가 증폭

- 연준은 지난 1년 동안 0.25%p 금리인상을 2회 단행했고, 시장에서는 금년 3회의 금리인상을 전망. 최근 미국 노동시장 개선에 따른 금리인상 압력이 커지면서 10년물 국채금리는 작년 7월 1.4%에서 금년 1월 2.5% 수준으로 큰 폭 상승

- ECB는 최근 자산매입프로그램을 금년 말까지 9개월 연장했으나 4월 이후 월별 매입규모는 800억유로에서 600억유로로 축소. 또한 12월 유로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를 나타내면서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의 필요성이 감소

- 잉글랜드 은행은 브렉시트 결정 이후, 성장률이 예상보다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추가 금리인하 계획을 철회. 인민은행은 금년 부동산 시장 안정을 주요 과제로 내세워 신용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낮으며, 일본은행도 추가완화 논의에 소극적

- IMF는 저금리를 유지한 주요 선진국의 성장률을 금년 포함 6년 연속 2%대를 하회 예상. 앞으로 각국은 경제성장을 위해 지금과 다른 통화정책의 방식을 택할 전망

ㅇ 주요 선진국, 지지층에 유리한 경제정책 전개는 부작용 노출(WSJ)

- 대중영합주의를 추구하는 지도자가 정권을 차지하면, 다른 지역이나 산업을 희생해서라도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와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추진

- 미국의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뉴욕, 펜실베니아, 위스콘신, 미시건 등 고용이 부진하고 제조업 비중이 큰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는데, 최근 다수 기업의 공장 해외 이전을 제지하여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에게 공약 준수의 의지를 피력

- 반면 미국 정부가 보호주의를 강화하면 다른 국가와의 무역 마찰이 발생하며 수출기업에 부정적 영향. 특히 수출기업이 많이 위치하고 있지만 민주당의 지지가 높은 서부와 동부 연안에 위치한 지역이 피해를 겪을 전망

- 일본은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반세계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있지만 정부는 주요 지지층인 농촌 유권자의 요구를 수용. 예를 들어 농촌지역에 많은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수입 농산물에 대한 높은 관세율 적용을 통해 농민을 보호

- 영국의 보수당은 이민자의 과도한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EU에서 탈퇴하지만 자유무역 정책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입장. 다만 유권자를 위해 양질의 교육과 의료 제공, 주택공급 확대 등을 보다 강조할 것으로 예상

ㅇ 미국과 유럽의 유권자 불만족, 성장률 4% 벽에서 파생(WSJ)

- 1992년 미국 대선에서 조지 W 부시가 재선에 실패한 이유는 4%의 성장률 달성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당시 Ed Rogers 선거 참모는 지적. 이는 최근 주요국 기존 체제를 혼란으로 빠뜨리는 유권자 불만을 인식하는 정상들은 강하게 인식

- 미국 트럼프의 당선과 영국 브렉시트 모두 장기 저성장의 불만이 반영. 2000년대 들어 지난 15년간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4%를 상회하는 사례는 없었으며, 이는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은 상황. 유일하게 일본만 2000년대 들어 선진국 중 2010년 4%대를 달성

- 선진국에서는 세계화와 기술진보가 수혜가 아닌 우려와 불안을 증폭시켰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채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인지. 고부가가치 제조업에 의존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세계화의 타격을 지적

- 오히려 정치권에서는 새로운 자유무역협정이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강조. 하지만 이는 지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였고, 정치권과 기득권층이 유권자의 이익을 위해 일하지 않았다고 비판

- 트럼프의 정책도 4% 성장률 달성은 어렵다는 지적이 우세하며, 결국 자본이 노동력이 존재하는 국가에 유입하는 경제이론이 반드시 맞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

ㅇ 2017년 다보스 포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해소 가능성이 주요 의제(WSJ)

- 금년 다보스 포럼에서는 세계 경제 질서가 무너지고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 상황이 해결 가능한지가 핵심 주제

- 2016년에는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 유로존의 경기부진, EU 탈퇴 운동 확산 등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지된 전세계 경제 통합 흐름을 왜곡시켜 불확실성이 증대

- 자유무역 심화, 급속한 기술 혁신 등은 개발도상국 빈곤을 줄이는 긍정적 효과를 파생시킨 반면 복지를 늘리지 못하고 소득격차 확대 등 부정적 효과가 병존

- 중산층의 억압된 분노와 EU 해체가 발생했을 때의 혼란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패널 토론이 회기 중에 다수 이루어질 계획으로, 기업 경영진이 국민 불만의 근원적 해결에 공감하고, 정치권이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관건

- 또 다른 세계경제의 문제는 세계화 진행 후 19세기에는 영국이, 현대에는 미국이 전세계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최근 미국이 해당 역할 수행 정도를 축소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 

- 현재 미국을 대체할 만한 국가는 중국밖에 없으나, 중국이 준비가 되었는지 미국 차기 트럼프 대통령이 그것을 용납할지 여부를 알 수 없어 불확실성이 증대

ㅇ 수정된 경제전망, 과거 정책실패의 반증(FT)

- IMF가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치 수정 내용은 선진국 등의 경제정책 오류를 반영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 가능

- 첫째, 선진국의 예상하지 못한 경기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세계경제 성장률 유지는 어려웠고, 전망치는 향후에도 세계경제 성장률 과거 평균인 3.7%를 하회. 결국 수십년간 장기 성장 부진 탈피가 어려웠다는 무능을 보여준 사례

- 둘째, IMF 전망은 단지 트럼프 당선에 따른 리플레이션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관련 정책이 현실적인지 여부는 판단이 미흡. 아울러 IMF의 성장률 전망은 재정정책에만 초점

- 이는 미국에서 재정지출 효과가 가능하다면, 유럽이나 일본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재정정책 효과의 실현이 이루어질 경우에 3개월 전에도 경기부양책으로서 충분한 역할이 될 수 있음을 반증

- 대중영합주의 성공은 현 정부의 정책 실패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IMF 등 주요 국제기구의 성장 예측은 각국 정부의 정책적 오류를 반영

■ 미국

ㅇ 트럼프와 연준의 갈등, 달러화 가치는 두 자릿수 대 상승 가능성(블룸버그)

- 노스웨스턴 대학의 Robert J. Gordon, 트럼프 정부가 3~4% 성장을 기대하는 가운데 2%의 물가목표를 내세우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억제 대응으로, 양자 간 갈등이 심화될 소지가 있다고 주장

- 버클리 대학의 Barry Eichengreen은 트럼프 정부의 재정지출과 세제개혁, 보호무역주의 결과로 두 자릿수의 달러화 가치 상승을 예상. Gordon은 임금상승 압력과 노동력 부족 속에 트럼프 정책 시행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빠른 금리인상을 유발한다고 지적

- 아울러 옐런 연준 의장이 재임하지 않는 것은 확실하며, 옐런 의장의 금리인상 단행은 트럼프 정부와 마찰을 빚을 것으로 진단. 금리상승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무역수지 적자 확대 요인이며, 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기대한 트럼프 견해와 상반

- Eichengreen은 경기회복세가 높은 상황에서 향후 큰 폭의 달러화 강세가 관측된다고 하면서, 시장과 전세계 금융시스템이 이를 흡수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언급 부족 속에 트럼프 정책 시행은 인플레이션 압력과 빠른 금리인상을 유발한다고 지적

ㅇ 트럼프, 기업 투자에 대한 압력은 성장에 역효과 우려(WSJ)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최근 다수 기업에 제조공장을 해외에 이전하지 않도록 공개적으로 경고. 이에 포드는 멕시코 공장 건립을 취소하였고, 피아트와 크라이슬러도 미국 내 2개 공장에 10억달러 투자에 나설 것을 발표

- 하지만 이는 시장에서 정부의 개입 축소를 원하는 공화당의 전통적 입장과는 상반. 시장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균형이 이루어짐을 신뢰하는 보수 성향 유권자들도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

- 아울러 트럼프의 최근 행동은 실제적인 위험을 내포. 첫째, 기업은 대통령이 선호하지 않는 투자방식을 고려해야 하므로, 효과적인 투자를 어렵게 하여 장기적으로 기업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 둘째, 기업은 정부의 방침을 수용하는 대신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요구할 가능성 다분. 예를 들어, 최근 Carrier는 주정부로부터 투자유인을 제공받는 조건으로 인디애나 공장의 고용을 유지 

ㅇ 기업의 실적 호조, 대선 이후 주가 상승을 뒷받침(로이터)

- 2016년 4/4분기 기업이익 증가율이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여 대선 이후 주가상승을 뒷받침. 4/4분기 경제는 전반적으로 견조하였으며, 이는 최근 ISM 제조업지수, 전세계 경제전망지표 등 대부분의 지표 개선으로 측정

- Thomson Reuters 자료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자사의 수익 전망을 시장 분석보다 상향 발표한 기업은 작년보다 27% 증가. 이들은 비용절감, 구조조정 등이 주요 요인이라고 응답. 반면 자사의 수익 전망을 시장 분석보다 하향 발표한 기업은 작년보다 15% 감소

- RBC Capital Market의 Jonathan Golub, 작년 4/4분기에는 성장 촉진 요인들이 존재했다고 언급하며, 시장의 분석이 이를 완벽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주장 

- BB&T Wealth Management 의 Bucky Hellwig, 기업이익 증가는 트럼프 랠리를 지속시키고, 주식시장 호조세 둔화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

- 다만 강달러가 지속되면 다국적기업의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 존재. Bernstein, 강달러가 기업이익 증가에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달러화 가치가 소폭 상승하더라도 2017년 기업 수익은 증가할 것이라고 낙관

ㅇ 전세계 자유무역,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좌우(FT)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중국과 멕시코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기존의 무역협정을 재협상할 방침. 이는 세계 무역에 커다란 충격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 공급망이 중국 등 신흥국에 집중. 이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기업의 당연한 결정이지만, 트럼프는 중국 등의 지나친 정부개입과 보호무역주의는 문제라는 입장

- 트럼프는 전세계 경제를 제로섬게임으로 비유하여, 중국에서 일자리가 창출되는 만큼 미국에서는 줄어든다고 주장. 따라서 트럼프는 차기 무역 관련 인사로 로스(Ross), 나바로(Navarro), 라이시저(Lighthizer) 등 보호무역주의 강경론자를 등용

- 또한 트럼프는 대선 이후 포드와 캐리어(Carrier)의 멕시코 공장 이전을 저지. 하지만 향후 트럼프 차기 정부가 얼마나 강경한 보호무역 정책을 시행할지는 불확실

-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Gary Hufbauer, 미국 대통령은 무역조약 재협상, NAFTA 철폐, 관세부과 등을 통해 국제무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언급

- 이러한 조치들은 WTO의 규칙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트럼프는 WTO의 규칙을 무작정 준수하지 않을 방침이며 탈퇴까지도 불사하겠다는 의지

ㅇ 트럼프 경제정책, 실질적으로는 세계화를 촉진(FT)

- 트럼프 측근인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 다보스 포럼에서 트럼프 경제정책은 실질적으로 세계화를 모색하는 정책이라고 주장하며, 유럽과 미국의 지도층이 이를 잘못 인식하고 있다고 강조

- 특히 트럼프가 자유무역에 반대한다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하고, 트럼프의 현 무역정책은 1945년 이후 비대칭적인 무역관계를 수정하는 방식이라고 평가

- 중국이 세계화를 원한다면 이에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 또한 트럼프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해체하려 한다는 추측을 부인하였으며, NATO가 설립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나 이미 무용지물이기 때문에 이를 개조하려는 의도라고 해석

- 유럽 지도부가 트럼프의 SNS 발언 등에 불쾌감을 드러낸 것에 대하여,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민간과의 소통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보아야 한다고 설득

- 또한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에 낙관적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수 기업가와 금융인을 차기 정부 인사로 지명한 것과 트럼프 정부의 친기업 정책은 시장 심리에 영향을 미쳐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

■ 유럽

ㅇ 트럼프의 EU 분열 가능성 주장, EU의 결속력 강화에는 긍정적(로이터)

- 트럼프 대통령은 독일 수입차에 대한 과세 강화와 러시아와의 협력 확대 의지를 피력하면서 EU가 분열될 것이라고 언급. 하지만 트럼프가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할수록 EU는 이에 위협을 느끼고 유럽 내 연합의 중요성을 강조할 전망

- 프랑스의 극우정당 국민전선(Front National)과 반이민 정책을 주장하는 독일을 위한 대안(AdF) 등의 세력 확대도, 역으로 이에 대한 유럽 내 반발이 늘어나면서 연합의 필요성이 부각될 가능성

- 트럼프가 지금까지의 협박을 실행에 옮긴다면, 독일은 이에 따른 대응책으로 정부지출 확대와 남유럽 국가에 대한 재정 규칙 완화에 나설 수 있는데, 이 또한 EU 국가들의 갈등 해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

- 실제로 독일의 메르켈 총리는 최근 EU 회원국에 국방 및 안보의 협력 강화를 호소. 또한 독일은 2016년 60억유로의 재정흑자를 기록하여 향후 정부지출 확대 등에 나설 수 있는 재정여력을 보유

■ 중국

ㅇ 시진핑 주석, 다보스 포럼에서 보호주의에 대한 양면적인 시각(WSJ)

- 금년 다보스 포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기조연설에 나서 브렉시트 가결과 트럼프 당선 이후 자유무역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경제 세계화를 지지

- 시진핑 주석은 강경한 민족주의자이지만, 중국은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이루어진 전세계적 부의 재분배에서 가장 큰 수혜국으로서 수억명의 국민들이 빈곤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세계화에 대한 태도는 양면적

- 시진핑 주석은 서구 유권자들과 세계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공유하고 단지 지적하기 좋아하는 엘리트와 그들의 자유주의 가치에 부정적인 시각 표명. 중국은 첫째, 혁명과 둘째, 빈곤을 수출하지 않으며, 셋째, 문제를 일으키지도 않는다고 강조

- 최근 트럼프 당선인의 대만을 인정하려는 움직임, 중국에 대한 무역전쟁 위협 등에는 다소 신중하지만, 엘리트 주도 세계화가 아닌 실리적인 기업가 방식의 통치에 신뢰

- 시진핑 주석은 작년 아시아태평양 정상회담에서 세계화는 보다 견고하고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하고 모두가 공정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시 고안되어야 한다고 표명

-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와 시진핑 주석의 ‘차이나 드림’은 자국을 최우선시 한다는 점에서 유사. 또한 전문가들은 트럼프 당선인이 중동과 구소련 동유럽 국가들의 정권 교체를 촉진했던 미국 주도 세계화의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상

-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전세계 생산망과 외국인투자 유치 등으로 현대 번영의 수혜를 크게 누렸지만, 국경 없는 전세계 차원의 경제적 비전 설립에는 비판적. 이러한 개방성은 현재 IT산업에서 다국적기업 대신 국영기업을 육성 중인 중국식 자본주의와 배치

- 또한 다문화주의 측면에서도 인종을 바탕으로 한 국가 정체성을 강조하며 티베트족과 대부문의 무슬림 위구르족 등 소수 민족에 대한 한족의 우월주의를 허용

- 무엇보다 절대적인 국가주권을 지지. 사회주의 시스템 전복을 꾀했던 서구 사회에 적대적이며, 디지털 국경을 보호하고 잠재적으로 체제유지에 불안요인인 정보흐름을 통제하기 위해 인터넷 주권의 세계적인 선도자로 발돋움

- 물론 중국은 세계화의 총체적 반전을 원하지 않으며 최근 성장 둔화와 자본유출 리스크 가운데 견조한 수출 및 투자 유입이 필요한 상황 

- 시진핑 주석은 다보스 포럼에서 무역 인프라 설계를 위한 일대일로 사업을 발표할 전망. 중국은 인접국가를 모아 자국의 과잉공급을 충당할 새로운 시장을 여는 것이 의도

- 중국 주석은 세계화의 수호자로 다보스 포럼에 섰지만 결국 중국 중심 세계관을 유지하고 세계화의 몰락을 기념하는 것이라 비판

ㅇ 트럼프 국경세 도입, 위안화 약세와 더불어 자본 유출 가속 리스크 내재(로이터)

- 트럼프와 공화당은 국경세를 20% 정도로 조정할 계획으로, 이는 수입품에는 추가 부담금으로, 수출품에는 환급금으로 작용

- 트럼프와 공화당은 국경세를 모든 수입품에 부과하여 국내 생산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지만, 해외에서 생산하는 기업에 일종의 벌금처럼 부과하려는 목적도 존재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시행될지는 아직 불확실

- 국경세는 달러화 강세를 유발하여 전세계 달러화 차입이 어려워지고, 이는 현재 위안화 가치 하락과 더불어 중국 외환보유고 문제로 연결. 지난 2년간 대규모 자본유출로 중국 외환보유고는 2015, 2016년에 전년대비 각각 5130억달러, 3200억달러 감소

- 이에 변동환율제도를 도입하면 환율조작국이라는 오명을 피하고 외환보유액을 보존할 수 있지만, 대규모 자본유출을 유발하여 여타 정책을 제약할 가능성. 인민은행의 위용딩(余永定), 변동환율제에서는 인민은행이 위안화 변동폭 하한선을 25% 정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 일본

ㅇ 엔저 현상, 차기 트럼프 정권에서도 지속될 전망(로이터, 블룸버그)

- Allen Sinai, 트럼프 차기 정부가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원인 중 하나로 일본을 지적했고, 미국 재무부 외환보고서에 일본을 감시목록에 지정하는 등 통화 정책관련 미·일 간 갈등이 고조될 우려

- Allen Sinai는 일본의 우려는 이해하지만 현재 미국 정책 당국의 견제 시도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라고 일축하며, 오히려 트럼프 차기 정권의 재정정책의 영향으로 엔화 약세 현상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 언급

- 그는 일본 경제에 대해 미국 경기 회복이 가시화되고 엔저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IMF의 전망치를 크게 상회하는 성장률 제시. 또한 일본은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탈피했지만, 향후 낮은 수준의 물가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주장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러시아, 경제의 근본적 개혁이 필요(FT)

- 작년 유가 하락, 경제 제재의 영향, 루블화 화폐 가치 하락에 따른 실질 소득 감소 등으로 국민의 불안이 확대되었고, 푸틴 대통령은 서구 친화적인 경제학자 Alexei Kurdin가 새로운 경제정책을 기획하도록 결정

- Kurdin은 기술과 생산성을 개선하지 못하면 국가 주권이 위협받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근본적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역할의 근본적 변화, 정치 경쟁과 법의 지배 강화, 국가기관 점검 등의 필요성을 주장

- 하지만 이는 푸틴 대통령과 측근의 권위에 잠재적 위협으로 관련 정책의 강력한 추진은 어려운 상태 

- 시장은 금년과 후년 러시아의 성장률이 2%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 푸틴 대통령이 선거에서 표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지라도 장기적 경제 성장을 위해서 대대적 개혁은 필수

ㅇ 케냐, 모바일 뱅킹이 빈곤을 상당수 치유(WSJ)

- 과거 전체 인구의 1/4이 1.25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던 케냐의 절대 빈곤층에 새로운 변화가 발생. MIT의 Tavneet Suri와 조지타운 대학의 William Jack은 1600세대를 조사할 결과, 모바일 뱅킹이 혁신에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평가

- 특히 2008년부터 4년 간 M-PESA가 케냐의 19만4천세대를 절대 빈곤에서 벗어나게 했다고 추산. 휴대전화를 통해 지상통신망이 필요하지 않은 동시에 전통적인 은행도 불필요. 지난 10년간 모바일 머니는 케냐 세대의 96%까지 침투

- 무엇보다 여성이 궁핍한 상황에서 탈피하게 되었는데, 모바일뱅킹이 18만5000명의 여성을 사업과 소매업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고 분석




■ IMF, 2017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4%로 이전과 같은 수준 유지

ㅇ 보호무역주의 확산, 금융시스템 불안,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성장 걸림돌로 지적

ㅇ IMF는 금년 세계경제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성장이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트럼프 차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정책향방의 불확실성 등은 세계경제 성장의 불안요인으로 제시

- 2016년 성장률은 3.1%로 추정하여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에 머물렀다고 IMF는 추산했으며, 2018년 세계경제 성장률도 3.6%로 작년 10월 전망치를 유지

ㅇ 국가별 전망치는 2017년 선진국이 1.9%로 이전에 비해 0.1%p 높아진 반면 신흥국이 4.5%로 기존보다 0.1%p 하향 조정

- 미국은 트럼프 차기 정부의 감세, 인프라 투자 등 경제정책 기대로 2017년 성장률 전망치를 2.3%로 0.1%p 상향 조정했지만, 금리인상 가속화에 따른 달러화 강세, 제조업 경기 둔화, 경상수지 적자 폭 확대 등은 성장 하방 요인이라고 지적

- 영국은 2017년 성장률은 높였지만, 하드 브렉시트에 따른 경기 부진 등을 이유로 2018년 성장률을 낮춘 반면, 유로존과 일본은 작년 하반기 경제적 성과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여 성장률을 각각 0.1%p, 0.2%p 상향 조정

- 중국은 재정지출 확대 효과 등으로 성장을 상방 수정했으나, 기업의 부채문제, 자본유출 등은 하방리스크로 작용될 우려

ㅇ 세계경제는 미국 등이 경기부양책을 추진하면서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확산, 금융시스템 불안,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불안요인이므로, 각국의 긴밀한 공조가 필요

<표> IMF의 국가 및 지역별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위: %, %p)

■ 세계경제 전반

ㅇ 세계 부유층 상위 8명의 자산, 하위 50%와 동일(로이터, BBC)

- 국제 NGO Oxfam은 경제적 수혜를 받지 못하는 36억7500만명의 자산액이 가장 부유한 8명과 같은 수준이라고 발표. 빈부격차 확대는 사회의 분열을 초래하고, 빈곤퇴치 대응을 어렵게 한다고 경고. 아울러 각국 정부와 대기업의 인도적인 경제 확립을 요구

- 8명 자산이 4260억달러이며, 1988년에서 2011년에 걸쳐 하위 10% 소득은 연평균 3달러도 되지 않은 반면 상위 1%는 182배로 증가. 빈부격차 확대 요인 중 하나는 대기업 등이 정부 규제와 국제정책에 영향력을 미치는 연고 자본주의를 지적

- Oxfam은 개도국이 탈세로 매년 1000억달러를 잃고 있다고 강조하고, 과세 제도의 시정이 불가피하다고 강조. 아울러 세수확대와 군사비 축소 등을 시행하면, 최빈곤층의 3/4를 구제할 수 있다고 주장

- 대기업과 초부유층이 격차 위기를 초래하는 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 다보스 포럼에서는 Oxfam 보고서를 중심으로 관련 논의를 실시할 예정

ㅇ 다보스 조사, 다국적 기업의 공동목표 달성으로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 창출 기대(로이터)

- 다국적 기업이 국제공통과제인 빈곤, 기아, 환경문제 등 UN의 지속가능 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달성을 위해 함께 노력 한다면 2030년까지 민간부문에 12조달러의 경제 가치와 3억8000만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

ㅇ 일본경제연구센터, 세계경기 지수는 전월비 2개월 연속 개선(닛케이)

- 같은 달 세계경기 지수는 전월비 0.2p 오른 –5.5로 2015년 3월 이후 마이너스 상황이 지속. 다만 미국의 연말 소매매출이 원활하고, 자동차 생산 등이 증가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

- 아시아 국가는 대만이 전자부품 생산을 중심으로 호조를 보이고, 싱가포르도 의료기기 등의 주도로 생산이 증가했다고 분석

■ 미국

ㅇ 트럼프 차기 대통령, 영국의 EU 이탈은 현명한 결정(로이터, WSJ)

- 브렉시트는 결과론적으로 영국에 긍정적인 결정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향후 영국의 EU 이탈이 성사되면 미국과 영국의 양자 무역협정을 추진할 것을 시사

- EU의 이민정책 등으로 영국에 이어 유로존을 탈퇴하는 회원국이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한 가운데 독일 메르켈 총리의 난민 포용정책은 실패작이라고 비판

ㅇ 차기 정부의 국경세, BMW 등 독일 자동차업계에도 적용할 방침(로이터, WSJ)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멕시코에 새로운 공장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BMW, 벤츠 등 독일 자동차업계들에게 멕시코에서 생산된 자동차를 미국에 수출할 경우 35%의 국경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

- 또한 독일 자동차업계는 성능이 좋은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지만, 그로 인해 미국이 혜택을 받은 일은 없다고 설명. 자동차 산업에서 미국과 독일은 상호 호혜관계가 아니라 독일이 일방적인 수혜를 받고 있다고 비난

- 이에 BMW 관계자는 7만명에 가까운 인력을 직간접적으로 고용하다는 등 미국경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고 반박

■ 유럽

ㅇ 유로안정화기구(ESM), 브렉시트는 유럽보다 영국경제에 더 큰 충격(로이터)

- 유럽안정화기구(ESM)의 Klaus Regling은 영국의 EU 이탈은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선거와 마찬가지로 불확실성 요인으로 평가된다고 강조

- 또한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대중영합주의가 대두되는 등 국제경제 질서가 어지럽혀지고 있으며, 경제학자로서 국제무역과 협력, 국제기구의 역할 등에 대해 우려되고 있다고 주장

- 다만 실업률이 하락하고 있고 스페인, 아일랜드 등의 경기가 회복되는 등 유로존 경제가 개선되고 있어 브렉시트의 영향은 여타 유로존 국가들보다 영국에게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

ㅇ 독일 쇼이블레 재무장관, 트럼프 강경노선에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우려(WSJ)

- 트럼프 차기 정권과 건설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할 것이나 트럼프의 보호주의적인 정책과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 등은 독일 등 유럽과의 동맹에 장애요인이라고 설명

- 트럼프 정권 출범 이후 미국은 성장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나, 이를 위해서는 자유무역체제를 지지해야한다고 강조. 보호무역주의는 일자리 창출 등 단기 성장에 견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견해

- 또한 미국, 영국 등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복잡한 법인세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강조. 선진국의 법인세 인하경쟁은 반대하나, 필요 시 독일도 법인세 인하를 단행할 방침

ㅇ 브렉시트 담당 EU 책임자, 영국 금융회사의 시장 접근에 특별한 주의 필요(로이터)

- Michel Barnier, 영국 금융시장이 EU 금융안정에 초래하는 리스크 크기를 기초로, 영국 금융회사의 역내 접근을 인정하는 판단 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주장

- 이에 대해 EU측은 브렉시트 이후에도 많은 역내 기업이 영국 금융시장을 경유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기초로, 영국 금융규제를 EU와 동등한 수준으로 강화할지 여부를 검토하는 의미의 발언이었다고 설명

ㅇ 잉글랜드 은행 카니 총재, 자국경제의 소비의존도 상승을 주시(로이터)

- 카니 총재는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영국의 소비가 2016년 6월 브렉시크 결정 이후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는지 주시하고 있다고 주장. 향후 수년간 성장은 과거 평균을 하회할 것으로 보여, 현 영국경제 성장이 소비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

- 아울러 현 성장세가 투자와 수출에 의한 것이 아니며, 과거 25년 간 소비 주도 성장은 경기상승을 이끌지 못했다고 지적. 이에 잉글랜드 은행은 소비지출과 가계차입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

ㅇ 그리스 정부, IMF가 금융지원 이탈 시 사태 타결 가능성(로이터)

- 그리스 정부는 금융지원 프로그램에서 IMF가 이탈하면, 그리스가 긴축조치 강화를 수용하지 않고, 채권단 심사를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IMF의 이탈을 환영하는 입장 표명. 그리스의 노동개혁과 재정문제 협의는 장기화되어 위기 재연이 우려

ㅇ 스위스 중앙은행, 마이너스 금리 정책 지속 시사(로이터)

- Fritz Zurbrügg 부총재, 자국 통화가치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이어갈 것임을 주장. ECB는 금리정책을 정상화하지 않고 있으며, 유로 금리와의 차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

ㅇ 유로존 2016년 11월 무역수지, 259억 흑자로 예상 상회(로이터)

- EU 통계청은 같은 달 무역수지가 계절조정 전 시장예상치 220억달러 흑자를 넘어섰다고 발표 

ㅇ 영국 런던의 1월 주택매각 희망가격, 전월 대비 1.4% 상승(블룸버그)

- 부동산조사회사 Rightmove에 의하면, 같은 달 런던의 평균 매각 희망가격은 62만4953파운드로, 매물이 줄어드는 가운데 새로운 매물도 전년동월비 14% 감소. 영국 전체 1월 평균 매각 희망가격은 평균 30만245파운드로 전월비 0.4% 상승

■ 중국

ㅇ 시진핑,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 유지 기대(로이터)

- 보호무역주의와 대중영합주의 등 세계경제의 불안 요소가 존재하지만, 자국 경제는 안정적 추세를 보이는 동시에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 무엇보다 세계경제가 new normal 시대에 접어들고 있지만, 경제의 질적인 향상과 함께 효율성과 형평성을 모색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

ㅇ 리커창 총리, 각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금년 중국경제의 난항 예상(로이터)

- 세계의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중국 경제의 미래는 불투명하다는 견해. 이에 성장률을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유지, 과잉생산 문제를 단계적으로 해결, 고용 촉진방안 강구 등 효율적인 경제운영을 강조

ㅇ 대외직접투자, 2016년에는 전년비 44.1% 늘어나 사상 최고치 경신(로이터)

- 상무부에 의하면, 같은 해 중국 기업의 대외직접투자액(금융 제외)은 1701억1000만달러. 상무부는 중국의 현대판 실크로드 구상인 일대일로 관계 국가에 대한 투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위안화 가치 하락이 해외투자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

- 다만 2016년 11월 중순부터 심사를 강화하여, 같은 해 12월에는 대외직접투자가 84억1000만달러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39.4% 감소

ㅇ 국내 투자자, 해외유출규제 강화로 홍콩증시에 주목(블룸버그)

- 이는 홍콩 자산투자 규제가 느슨한데 기인. 이에 대해 맥쿼리의 Sam Le Cornu은 홍콩 달러화 자산에 대출이 가능한 동시에 홍콩 달러가 미국 달러화와 연동하기 때문으로 평가

■ 일본

ㅇ 일본은행 구로다 총재, 완만한 경기회복 지속·물가목표 실현을 위해 정책 조정(로이터, 닛케이)

- 소비자물가(신선식품 제외,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대비로 마이너스 혹은 제로로 움직인다고 예견했지만, 이후 거시 수급여건이 개선되고, 중장기 물가상승률 예상치도 높아져 2% 목표로 근접할 것이라고 진단

- 또한 일본의 금융시스템은 안정성을 유지하여, 금융여건은 매우 완화상태라고 지적. 물가안정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 조정 방침도 제시

ㅇ 2016년 12월 생산자물가, 전년동월비 –1.2%·엔저로 하락폭 축소(로이터, 닛케이)

- 일본은행 발표에 의하면, 같은 달 생산자물가는 전월비로는 0.6%로 큰 폭으로 올라, 소비세율 인상이 이루어진 2014년 4(0.9%)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2016년 12월 수입물가는 엔화 기준 전년동월비 –2.8%로, 하락폭은 11월 –10%에서 대폭 축소

- 2016년 연간 생산자물가는 전년비 –3.4%로 2년 연속 하락. 석유와 석탄, 비철금속, 전력 및 도시가스가 하락세를 주도

ㅇ 2016년 11월 기계수주, 전월비 –5.1%로 2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로이터, 닛케이)

- 내각부에 따르면, 같은 달 설비투자 선행지표인 선박과 전력을 제외한 민간수요 수주액은 8337억엔이며, 증가율은 시장예상치(-1.7%)를 하회. 다만 10~12월 기계수주는 전기대비 소폭 감소에 그칠 전망. 당초 전망(전기비 –5.9%)보다 악화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

- 반도체 제조장치 등 수요호조와 중국경제 회복도 다소 기여. 하지만 설비투자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트럼프 차기 미국 정부의 통상정책 우려 등을 반영한 1/4분기 통계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평가가 우세

ㅇ 2016년 11월 3차산업활동지수, 전월비 0.2% 올라 4개월 만에 상승세 전환(로이터, 닛케이)

- 경제산업성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3차산업활동지수(2010=100, 계절조정)는 104.1로 정보통신업, 도매, 금융 및 보험업 등이 전월대비 각각 1.6%, 1,2%, 1.2%로 개선되면서 상승에 견인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인도, 2016년 12월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시장예상 하회(블룸버그)

- 상무부에 의하면, 같은 달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비 3.4% 올라 시장예상치인 3.5%에 비해 낮은 수준. 이는 모디 총리의 고액권 폐지와 식료품 가격 하락(-0.7%) 등이 반영된 것으로, 정부의 소비부진 탈피를 위한 부양 압력이 커질 전망

ㅇ 베트남, 국영기업의 민영화 계획 가속화 전망(WSJ)

- 정부는 경제개방의 일환으로 국영전력회사의 주식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대량 매각할 계획이며, 이에 최대 7억달러 규모의 자금조달이 가능해질 전망

- 베트남 산업무역부의 Phan Dang Tuat, 정부는 국영기업인 PetroVietnam Power의 주식 보유비율을 50% 미만으로 축소할 계획이라고 언급하면서 국영기업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

ㅇ 베네수엘라 국영석유기업, 금년 산유량은 23년 만에 최저 수준 예상(로이터)

- 베네수엘라 국영석유공사(PDVSA)는 작년 12월 기준 9개년 계획으로, 금년 원유생산이 일일 250만1000배럴로, 2016년 1~11월 249만6000배럴에 비해 5천배럴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 이는 1993년 수준과 거의 동일

- 베네수엘라 수출입 대부분이 PDVSA에 의한 것이며, PDVSA의 재무건전성 저하와 이로 인한 사업혼란은 베네수엘라 경제의 부진으로 연결

ㅇ OPEC, 감산합의의 100% 준수는 어렵다고 제시(로이터)

- 바르킨도 사무총장은 합의이행을 확신한다고 주장했지만, 가입국 대표들은 감산목표 100% 달성은 어렵다고 판단. 과거 이행기준으로 보면, 50~60%라면 충분히 양호하다고 지적. OPEC의 합의를 관리하는 구조가 부재

- 이에 준수는 가입국의 자율적인 행동에 맡기는 형태. 쿠웨이트 석유장관이 밝힌 가입국 발표에 기초를 둔 현재 준수율은 60%를 상회

- 이러한 가운데 칼리드 알 팔리(Khalid Al Falih) 에너지 장관은 OPEC과 비가입국 주요 산유국 감산합의에 대해 생산쿼터 등 합의이행 준수 상황이나 수요전망 등을 고려하면, 감산기간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

- 또한 지난주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생산량은 1000만배럴을 하회한 가운데 일일 48만6000만배럴의 감산을 실시하고 있음을 시사

ㅇ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의존도 낮추기 위해 재생 에너지 산업에 투자 계획(FT)

- 칼리드 알팔리(Kalid al-Falih) 에너지 장관, 아부다비에서 열린 재생 가능 에너지 행사에서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2030년까지 태양광 및 풍력 발전에 300~500억달러의 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발표. 또한, 원자력 발전에 대한 투자 의사도 표명

- 정부는 인프라 투자비용을 위해 관대한 복지에 익숙해진 국민의 반대에도 휘발유 보조금 등의 삭감을 통해 2020년까지 연간 약 5백5십억 달러를 절약하고, 1/4분기 채권을 발행할 예정

- 궁극적으로 정부는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원자력 에너지로 자국의 석유 수요를 줄이고 수출 생산량을 늘리는 동시에 왕국 전력 생산 공급 원료를 천연 가스로 전환할 계획

■ 세계경제 전반

ㅇ 패권주의 정책, 자국의 문제점을 노출하여 전세계 경제에 불안요소(로이터)

- 러시아 푸틴, 중국 시진핑, 터키 에르도안 등의 권위주의적 정부는 공통적으로 경제보다는 자국 정책을 우선시 

- 석유·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러시아는 고유가 시기에 인프라에 투자를 하지 않고, 저유가 시기에도 정책적 대응을 시행하지 않아 1인당 GDP가 2006년 기준 독일의 53%, 2016년 기준 54%에 불과

- 지난 10년 동안 중국은 고성장을 구가했으나, 환경오염과 장기 성장 투자 등을 소홀히 하여 GDP 외에 경제적 문제가 만연하고, 부채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한 상황 

- 터키는 1인당 GDP가 독일의 44%, 경상수지 적자는 GDP 대비 5.7%,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8.3%로 불안요소가 다수. 이에 정부의 정책수행 능력과 신뢰가 저하

- 민간기업이 정부의 강한 제재와 보상 아래에서 움직이고, 경제보다는 국내정책을 우선시하는 정부 정책의 독재적 국가 경제가 전세계 거시경제에 부정적 영향으로 연결될 가능성 소지

ㅇ 다보스포럼, 세계경제의 주요 변수인 트럼프 정부 출범 등이 주요 논제(FT)

- 영국 브렉시트와 트럼프 당선 등 지난 10개월 동안 발생한 사건에 대한 다보스의 추측이 맞지 않는 등 불확실성이 고조되었지만, 금년에는 포럼에 시진핑 주석이 직접 참석하고 10가지 주목할 사건이 있는 등 다보스 포럼은 여전히 주목할 필요

- 이번 주 금요일 취임 예정인 트럼프 당선인의 향후 정책 방향과 세계화와 국제사회의 조화 및 공공·민간 부문의 국제 안건 변화에 대한 대처법은 가장 주목을 받는 주제 

- 금년 시진핑 주석의 포럼 참석은 미국이 자국 내부적 문제에 더 집중한 현시점에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역할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내재

- 트럼프의 차기 대통령 당선에 기대를 표시한 금융시장과 달리 포럼에서는 보호무역주의를 통한 경기부양책 효과가 단기적이고, 대중영합주의 정책도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우려

■ 미국

ㅇ 미국 3대 은행, 트럼프 차기 정부의 규제완화 등으로 양호한 실적 기대(WSJ, 로이터)

- 트럼프의 주요 공약인 규제완화와 성장 촉진정책이 금융부문의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되면서 3대 은행(JP모건, BofA, 웰스파고)의 2016년 4/4분기 실적은 호조

- 이는 미국 대선 이후 시장이 활성화되고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융거래 수입이 상승했기 때문. 또한 은행대출의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최근 금리인상으로 은행의 순이자 수익 확대 예상 등이 성장을 견인

- 금융주는 선거 이후 지속적으로 주가 상승을 주도했으며, 관련 주가는 시장 전체의 3배 이상 상승. 3대 은행의 주가는 대선 이후 20% 수준 상승했으며, JP 모건은 2016년 연간 순이익이 247억30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

- Standard Life Investments의 Jeff Morris, 금리인상은 은행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겠지만, 트럼프 차기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은 논의의 대상이라고 언급. 또한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여전히 낮은 금리수준에 대한 우려가 상존

- 브렉시트 국민투표, 트럼프 당선 등으로 세계적으로 금융거래가 위축된 가운데 JP 모건과 BofA는 2016년 거래수입이 증가하면서 성과로 이어졌으나, 이러한 활발한 거래가 금년에도 지속될지는 불확실

ㅇ 실질 금리 급락, 트럼프 정책의 경기부양 효과에 의문(WSJ)

- 실질금리가 1개월 만에 급락하여, 트럼프 정부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후퇴하고 있다는 신호를 발신. 10년 만기 국채의 실질 금리는 2016년 12월 0.74%로 대선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지만, 현재 0.38%까지 하락

- SEI Investment의 Sean Simko, 시장이 트럼프 정책 실행 불확실성에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Penn Mutual Asset Management의 Zhiwei Ren, 실질금리 하락은 트럼프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뿐 성장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나타낸다고 주장

- 성장률이 소폭에 그치고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면 가계 소득이 줄어들더라도 연준이 금리인상을 할 수밖에 없어, 경기하강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평가

- 반면 TD증권의 Priya Misra, 트럼프 랠리가 끝났다고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발언. 시장 유동성의 변화 등 요인에 의한 왜곡이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헤지펀드나 채권 거래의 단기 포지션 정리에 의한 일시적 현상일 수 있다는 의견

ㅇ 회사채 시장, 국채금리와의 스프레드는 축소되었지만 전망은 긍정적(WSJ)

- 2016년 낮은 위험 등급의 채권 가격은 평균 6%, 고위험 채권은 평균 17% 상승. 그러나 최근 회사채와 무위험자산인 국채의 금리차이(스프레드) 축소로 회사채의 매력은 다소 하락

- 고위험 채권 수익률은 6%에 불과하여 지난 20년 평균(9%)보다 낮은 수준이며, 투자 적합 등급 채권 수익률도 3%로 장기평균치(5%)를 하회. 이는 신용위험이 없는 10년 만기 국채금리(2.4%)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

- 하지만 웰스파고의 James Kochan, 스프레드가 더 축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으며, 충격이 없다면 고수익 채권은 완만한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

- Lehmann Livian Fridson Advisors의 Marty Fridson, 경제 상황과 금리를 감안하면 고수익 채권이 과대평가되었지만, 차기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정책으로 당분간 하락 위험은 없다고 전망

- 다만 기업이익 증가율이 둔화되거나 차기 정부의 정책 도입 속도 등에 실망감이 확산될 경우, 시장의 낙관적 기대에 영향을 미쳐 시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언급

ㅇ 달러화 강세, 수출 제약으로 기업 성과 등을 억제할 우려(WSJ)

- 1980년대 당시 기업은 글로벌화에 부정적 입장을 표명. 자동차 종사자들은 일본산 자동차에 적대감을 표시하며,‘Buy American’을 슬로건으로 제시. 당시 연준의 통화정책 긴축과 정부 감세는 5년간 주요국 통화대비 50% 이상의 달러 절상으로 연결

- 최근 연준의 금리인상, 트럼프 정부의 감세 공약 등으로 당시와 유사한 상황이 나타날 소지. 2015년 이후 달러화 강세는 작년 IBM, 마이크로소프트, 화이자 등 주요 기업들의 이익 감소에 주요 원인

- 또한 대규모 달러화 표시 부채를 보유한 기업의 파산압력 증대. BIS는 작년 9.7조달러 규모로 추산하면서 신흥국들의 디폴트가 글로벌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

- 이에 2차 플라자 합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부상. 1985년 플라자 합의를 통해 미국은 환율, 물가가 안정되면서 경제호황(Great Moderation)이 지속

- ECB의 드라기 총재는 지난 6월 더 광범위한 통화 협정이 필요하며, 세계화 시대에는 글로벌 정책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

- 달러화 가치의 변동성 조정은 장기적으로 큰 이점을 제공하며, 금융위기가 자주 발생하는 현 시스템을 안정시키고 명목금리 수준 회복, 무역 갈등 완화, 전반적인 안정적 성장으로 연결될 가능성

■ 유럽

ㅇ ECB, 금년 하반기까지 자산매입 축소 검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 우세(블룸버그)

- 시장에서는 ECB가 금년 하반기까지 채권매입 축소를 검토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2018년에도 당분간 관련 프로그램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 블룸버그 조사 대상자의 75%는 ECB의 정책변경이 빨라도 9월이라고 전망

- 아울러 조사 대상자의 2/3는 ECB가 자산매입액을 절감하는 동시에 기간을 연장할 것이라고 전망. 물가상승이 가속화되기 시작하는 가운데 독일 등 경기상승을 나타내는 국가의 정치적 압력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

- 드라기 총재는 근원 물가상승률을 중시하는 것은 물론 선거가 있는 국가의 결과에 따른 충격 가능성이나 영국의 브렉시트 협상, 미국 트럼프 출범 영향 등을 우려

- 무디스의 Tomas Holinka, 독일의 물가상승은 양적완화 반대파를 뒷받침할 소지가 있으며, 자산매입 축소 논의는 시기상조. 물가상승세가 지속되어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될 때까지 ECB가 정책결정 시기를 기다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

- 조사에서는 ECB가 자산매입액을 줄이지만, 기간은 연장하지 않는다고 보는 견해가 20% 정도. 2018년에도 현 속도로 자산매입을 지속한다는 예상은 4%에 불과. 60% 정도는 QE 축소 개시가 12월 이후로 예상

ㅇ 영국, 메이 총리의 강경노선 등으로 하드 브렉시트가 가시화될 전망(WSJ, FT)

- 17일 메이 총리가 영국의 브렉시트 청사진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가 현실화될 우려. 2016년 10월 보수당 전당대회의 연설이나 지난 8일 TV 인터뷰 등에서 브렉시트 협상 방향을 명확히 시사

- 영국이 이민자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국경통제권한을 완전히 회복하고 유럽사법재판소 (ECJ)의 법률에서 벗어나 독립된 법률을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면서, EU 단일시장 접근권과 관세동맹을 포기하는 강경 노선 입장이 가시화

- 하지만 영국이 포괄적 자유무역협정 등을 통해 하드 브렉시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업 및 경제충격 여파 등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을지 의문. 이는 EU의 27개 회원국 모두가 EU 이탈 절차를 시작하기 전부터 영국과의 협상참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

- 작년 6월 국민투표 이후 EU 잔류 지지층의 반발이 확대되었으나 최근에는 하드 브렉시트의 용인이 불가피하다는 여론으로 전환. 의회에서도 메이 총리의 브렉시트 협상 내용을 제한할 여지가 낮아 하드 브렉시트가 가시화될 전망

ㅇ 독일, 트럼프 방식의 보호무역주의 가능성은 제한적(로이터)

- 최근 중국 가전업체 메이디는 독일 산업용 로봇업체 쿠카를 인수. 독일 정부는 전략기술 유출, 일자리 감소 등을 우려하여 가브리엘 경제장관의 주도 아래 외국기업의 자국기업 인수를 저지하는 방안과 유럽 차원에서 핵심기술을 보호하는 조치를 검토 중

- 메카토르 중국연구소의 Mikko Huotari에 따르면 장관급에서 추진하지 않으면 근본적인 변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

- 메르켈 총리는 2015년 독일 Augsburg 본사를 방문하여 쿠카와 같은 첨단기업이 모국에 있는 것에 자부심을 표명한 바 있으나, 쿠카 인수 후에도 독일은 중국의 투자에 개방되어 있다고 밝히며 중국도 같은 투자여건을 제공할 것을 당부

- 메르켈 총리는 자유무역을 강력하게 지지하며, 독일이 금년 G20 의장국을 맡으면서 ‘전세계 연결’을 표어로 제시하고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대항 

- 그러나 가브리엘 경제장관은 지난 11월 중국 무역장관과의 회동에서 중국은 독일기업의 현지시장 접근을 제한하면서 독일기업을 인수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 이에 따른 긴장고조로 중국은 독일 조명업체 오스람 인수에 대한 관심을 축소

- 중국은 국경을 넘나드는 불법 통화거래로 외환보유액 유출 압력이 높아지는 가운데, 단속의 일환으로 해외투자 및 M&A 조사를 진행 중. IB들은 중국기업들의 독일기업 인수가 점점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

- 작년 중국기업들은 4건의 독일기업 M&A를 철회하였고, 그 중 3건의 합계는 5억7900만달러로 추산. 작년 중국기업은 56건의 M&A에 100억달러를 지출

- 바클레이즈의 Alexander Doll, 중국기업들이 당분간 눈에 띄지 않게 활동하면서 소수 지분 인수 등 대안적인 거래방안을 고려할 가능성을 언급

- 독일은 외국 무역 및 지급 법안(Aussenwirtschaftsgesetz)으로 기업인수를 관리하고 있으며, 자유무역 기조 아래 규제 강화보다 조정에 주안점

- 독일은 아직 중국의 인수를 거절한 적이 없으나, 소식통에 따르면 경제장관은 9월 연방선거 전에 외국기업의 인수 검토에 대한 규정 변경안을 제안할 것으로 예상

- EU 차원에서 검토 수준을 높이는 방안은 중국에 기술유출을 우려하는 국가가 프랑스, 독일 등에 한정되어 있어 여타 국가들의 지지를 얻기 어려울 전망

- 한편 독일 기업들에게 중국 소비시장은 매우 중요. 중국 또한 중국 2025 계획 등을 통해 중국은 적극적인 자국 기업 육성에 나서고 있으며, 독일의 대중수출 익스포져는 리스크가 증대되는 상황

- 독일 정부 소식통은 개방시장에서 독일기업 및 일자리 감소는 우려요인이지만, 중국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목욕물을 버리면서 아기까지 버리지 않아야한다고 언급

■ 중국

ㅇ 대형 국영은행, 부실채권 증가 속도 억제로 수익과 주가는 회복 예상(로이터)

- 정책지원으로 부실채권 증가세가 축소되면서, 수익이 회복될 전망. 공상은행과 건설은행 등은 작년 부실채권 처리액이 과거 최고치를 늘어나고, 6차례 금리인하로 예대차가 축소한 영향으로 이익 증가세가 제한

- 그러나 국영은행이 정부의 지시를 수행하는 형태로, 부채의 주식화 등 새로운 방안이 채택되고 있어, 부실채권을 둘러싼 여건은 어느 정도 개선될 여지가 존재. 금리인하의 예대금리차 압력도 완화되어 국영은행 주가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

- Sanford C. Bernstein의 Wei Hou, 2017년은 질적 문제에 초점. 대형은행은 상대적으로 가치에 매력이 존재가 있다고 지적. 중국 상장 최대기업 54개 은행의 현 주가순자산배율(PBR)은 평균 0.79배

- 이는 과거 5년 평균인 1.0배를 하회. 홍콩과 상하이에 상장된 상위 23개 은행의 부실채권 처리액은 작년 초반 2208억위안이며, 2015년 전체 처리액은 3532억위안. 23개 은행의 연체 90일 이상의 채권액은 작년 초반 19.9% 늘어난 1조100억위안

- 예대이익 차액은 작년 동안 은행부문 전체로 30~40bp 축소하고, 이익을 압박. 하지만 LGT 은행의 Steven Corry, 시장에 포함된 중국 은행권 리스크는 다소 과도하다고 주장하고, 세계적인 저축율 등을 근거로 투자기회가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

- 다만 모든 은행이 양호한 상황이 아니며, 차입과 재테크 상품 발행으로 대차대조표를 확대한 일부 중견은행 등은 유동성 긴축에 따른 정부의 금융부문 감독으로 리스크 내재

ㅇ 위안화 가치 하락, 대내외 요인으로 지속될 전망(로이터)

- 시장은 지난 1월 13일 은행 간 콜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긴축 정책은 단기 위안화 공매 세력을 제거 했지만, 위안화 약세에 대한 장기 전망엔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분석

- 위안화 가치 하락과 자본유출 현상의 심화는 트럼프 차기 미국 정부의 본격적인 재정지출 확대,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 고조로 인한 미국 달러화 강세 등이 대외요인으로 작용

- 대내요인으로는 성장 둔화와 자본시장 자유화의 부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대내·외 요인은 위안화 가치방어를 위한 외환보유고의 추가적인 감소 유발 소지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인도, 시장에서는 모디 정부에 경제개혁 가속화 요구(FT)

- 모디 총리가 약속한 경제 개혁이 투자자의 기대보다 늦어지며, 투자자의 기대가 우호적이지 않고, 일부에서는 모디 총리가 실제로 공약을 이행할수 있을지 회의적으로 반응하며 경제개혁을 서두를 것을 요구

- 개혁을 바탕으로 선출된 모디 총리는 취임 이후 인프라를 개선하고 경제를 개방. 하지만 최근 급작스러운 고액권 폐지 발표로 경제에 불편과 혼란이 야기

- 일부에서는 모디 총리의 권력과 무관하게 관료주의와 구조적 문제가 상존하여 지역 모델을 국가 전체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투자자 기대가 과도하다고 지적




■ 신흥국, 2017년에도 자본유출 수준에 주목

ㅇ 금융위기 이후 성장 과정에서 누적된 부채의 조정이 발생할 우려

ㅇ 미국 대선 이후 신흥국으로부터 자본유출이 이루어지면서, 주가·채권·환율의 하락 등 triple 약세가 지속 

- 이는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재정, 무역, 외교 정책 모두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으로 연결되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

ㅇ 트럼프 차기 미국 정부의 정책 실현성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경제 기초여건의 취약성과

정치 및 지정학적 리스크가 큰 신흥국을 중심으로 자본유출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내재 

- 트럼프 당선 충격으로 미국의 금리상승과 달러화 가치 상승으로, 신흥국의 자본유출 압력이 커졌으며, 이는 2015년부터 2016년 초 중국의 위안화 가치 하락에 뒤이어 전개속도가 빠른 편

- 이후 자본유출 수준은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불안요소는 남아 있으며, 신흥국 중에서도 트럼프 당선 이후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멕시코의 여파가 지속

ㅇ 선진국과 달리 신흥국은 통화가치하락이 경기상승에 기여하지 못하고, 금융위기로 전개될 리스크가 잠재

- 선진국은 최근 수년간 통화전쟁이라고 말할 수 있을 형태로 자국통화 가치 하락을 통한 외수주도로 경기부양을 지속

- 반면 신흥국은 통화가치 하락이 자본유출로 연결되기 용이하고, 극단적인 경우에 금융위기에 빠지는 요인. 따라서 경상수지 적자와 대외부채를 중심으로 거시경제 균형이 향후 중요한 요소

<그림 1> 신흥국 자본유출입 추이

<그림 2> 선진국·신흥국 민간부채(명목 GDP 대비) 추이

■ 세계경제 전반

ㅇ 2017년 전세계 실업률, 5.8%로 전년(5.7%)보다 높아질 전망(로이터, 닛케이)

- 국제노동기구(ILO) 발표에 따르면, 경제성장 둔화 우려, 경제·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투자 부진 등으로 같은 기간 전세계 실업자 수는 340만명 증가한 2억100만명으로 추산. 특히 러시아, 남아공, 브라질 등 자원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신흥국의 실업이 늘어날 전망

- ILO의 Guy Ryder, 신흥국 중심으로 노동시장 여건의 악화가 전세계 고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기업의 저조한 투자를 지적

ㅇ 아시아개발은행(ADB), 아시아경제에 미국 금리인상 영향은 제한적(닛케이)

- 아시아개발은행 나카오 타케히코(中尾武彦)총재는 필리핀과 인도의 자유무역 추진 등 아시아 경제는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

- 또한 중국의 경우 일본의 버블붕괴 우려와 달리 성장여력이 있어 성장세 둔화를 우려하지 않는다고 강조.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2017년 성장률을 5.7%로 전망

■ 미국

ㅇ 뉴욕 연은 Nowcast와 애틀랜타 연은 GDPNow, 전망치 방향은 상반(로이터, 블룸버그)

- 2016년 4/4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뉴욕 연은 Nowcast가 1.94%로 1주 전의 1.89%에 비해 상향조정하는 한편 2017년 1/4분기 성장률도 2.09%로 1주 전 1.94%보다 상방 수정. 이는 2016년 12월 소매매출과 생산자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한 내용

- 반면 애틀랜타 연은의 GDPNow에서는 소매매출 통계의 영향을 포함했음에도 이전 2.9%에서 2.8%로 소폭 하향조정

ㅇ 주요 기업, 2016년 순이익은 전년동기비 5.7% 증가 예상(로이터)

- 이는 톰슨 로이터가 주요 500개사를 조사한 수치로 2분기 연속 증가 예상되며, 과거 최고치에서 움직이는 미국 증시를 견인. 미국 대선 이후 활발한 시장거래를 통해 금융업 실적이 확대되고, 유가상승으로 에너지주도 2년 만에 이익이 확대될 가능성

- 실적의 급속한 확대가 예상되는 업종은 금융으로, 시장예상에서는 15%의 이익 증가로 1년 6개월 만에 높은 수준을 예상. 트럼프 후보 당선 이후 금리와 주가의 상승이라는 트럼프 랠리로 투자자 매매가 활발

ㅇ 셰일 대기업 Hess, 2017년 투자액 18% 늘릴 계획(WSJ)

- 투자액은 22억5천만달러로, 2012년 이후 5년 만에 투자를 증가. 셰일 관련 투자는 전년 계획보다 48% 늘어난 7억달러. 노스다코타주의 바켄 광구의 굴착장비 가동을 확대하는 한편 멕시코만 등의 심해유전개발도 강화할 예정

ㅇ 전미소매협회, 2016년 말 쇼핑시즌 소매매출 전년동기비 4% 증가(로이터)

- 이는 전미소매협회가 예상치를 상회한 결과로 경기호조와 소매업체의 특가행사 등에 기인. NRF의 Jack Kleinhenz, 대선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소비를 위축시켰으나, 온화한 날씨와 경기회복 전망 등이 연말 소비확대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

■ 유럽

ㅇ 독일 쇼이블레 재무장관, 자국 총선으로 그리스 지원 재협상 가능성(블룸버그)

- 아울러 IMF가 그리스 지원에 참여하지 않으면, 유럽 통화제도 내에서 해결이 대체방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 이에 그리스 지원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며, 동시에 합의조건을 이행시키는데 있어 유럽의 방안이 크게 개선되어야 한다고 지적

- 독일은 2010년 이후 그리스 지원 승인을 IMF의 참여를 전제조건으로 제시. 그리스의 지속가능한 재정상황을 위한 필요 지원을 둘러싸고 메르켈 총리와 IMF 견해는 불일치가 지속

ㅇ 신용평가사 DBRS, 이탈리아 신용등급 하향조정·은행부문에 부담 가중(로이터)

- 캐나다의 대형 신용평가사인 DBRS(Dominion Bond Rating Service)는 이탈리아 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하향 조정. 이는 개혁실행 능력에 대한 불확실성과 함께 은행시스템과 성장여력 약화에 기반한 결정

-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탈리아 은행권은 ECB의 자금공급에서 여타 국가에 비해 차입비용 상승이 불가피. 아울러 해외투자자의 이탈리아 국채 투자 수요가 약화될 소지

- ECB가 담보요건을 설정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주요 신평사 중 지금까지 A 등급 설정을 부여한 기관은 DBRS가 유일. S&P는 BBB-, 무디스는 BBB+, 피치는 Baa2. DBRS는 작년 8월 이탈리아 국민투표 불확실성으로 등급 설정 재검토를 시사

- DBRS는 새로운 정부의 추가 조치 가결은 제한되어 있어 경기하방 리스크가 존재하며, 은행지원책에도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높아 경기지원을 위한 금융중개기능 역할로서 은행부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강조

ㅇ 룩셈부르크 재무장관, 영국의 EU 이탈 과정에서 불확실성 최소화할 필요(닛케이)

- 그라메냐 재무장관, 금융시장과 기업은 불확실성을 기피한다는 점에서 영국은 3월말에 리스본조약 50조를 이행할 필요. 다만 EU 단일시장에서는 지켜야하는 공통된 규칙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향후 영국이 이러한 규칙을 변경 시 단일시장 접근성 제약

- 또한 2년간 교섭기간 이후 주어지는 이행 기간에 대해서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불확실한 상태가 지속된다는 점에서 부정적 견해

- 그리스 지원 문제와 관련하여 그리스를 위한 3차 지원책이 시행되는 상황이라며, 향후 2차 심사 합의와 IMF의 그리스 지원 참여 여부 등에 대해서는 낙관전 태도 견지

- 이탈리아 은행권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이 마지막 사례가 되기를 희망하며,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는 경영 상태가 양호했으나, 전세계적인 여건 악화가 부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이탈리아 정부가 구제에 나서는 것은 타탕하다고 평가

-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감세 계획과 관련하여, 미국의 법인세율은 OECD 중 높은 편. 향후 세율이 낮은 나라는 인상에 나서고 높은 국가는 낮춰 중간단계에서 수렴할 것이라며, 무익한 국가 간 법인세 인하 경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

ㅇ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 브렉시트 이후 해외기업의 사업 확대를 기대(로이터)

- 빌루아 총재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글로벌 기업들이 프랑스 파리지역에 사업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향후 자국 내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

ㅇ 영국 메이 총리, 브렉시트 협상에서 이민 제한이 가장 우선 과제(로이터, 텔레그래프, 닛케이)

-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메이 총리는 이민 제한권을 되찾기 위해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에서 완전 철수 준비가 되어있다고 표명. 이는 영국 정부의 강경 이탈파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지적

- BBC는 총리 관계자가 이와 관련된 내용을 부정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하면서, 메이 총리가 단일시장에 대해서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는 불분명한 상황 

- 해먼드 재무장관은 영국의 EU이탈 협상에서 이민 제한이 우선 과제라고 강조하면서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예측이 강화

ㅇ 영국 의회, 2월 중순까지 EU 이탈 계획을 요구(로이터, 닛케이)

- EU 이탈에 관한 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이탈 후 혼란을 피하기 위해 이행기간 마련을 요구하는 등 EU이탈 정식 탈퇴 통보 이전에 국회에서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

ㅇ 스페인 2016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1.4% 올라 2013년 8월 이후 최고치(FT, 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이는 여행비와 주거비가 각각 4.7%, 3.2% 오른 것에 기인. 지난 2년 간 디플레이션이 둔화되었으며, 경제는 2014년 이후 성장세를 지속. 근원 물가상승률은 전월(0.8%)보다 오른 1.0%를 기록하며 2016년 3월 이후 최고 수준

ㅇ 영국 중소기업 대출수요, 2016년 4/4분기에도 하락세 지속(로이터)

- 잉글랜드 은행 조사에 따르면,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중소기업 대출수요는 2016년 10월 이후 저하되고 있는 가운데 금년에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전망. 다만 대기업 대출수요는 3/4분기에 크게 하락 후 안정적

ㅇ 2016년 스페인 외국인 관광객, 4년 연속 증가하며 최고치 경신(로이터)

- 정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해 스페인에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7530만명으로 2015년 대비 9.9% 증가. 이는 터키, 북아프리카 등 지중해 지역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어 스페인의 여행수요가 증가했기 때문

- 스페인의 관광산업은 GDP의 11%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2016년 관광수입은 전년대비 8.3% 늘어난 770억유로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

■ 중국

ㅇ 인민대표회의 15日 개막, 상하이·충칭 2017년 GDP 성장 목표 제시(닛케이)

- 상하이는 인민대표회의에서 2016년 대비 0.2% 하락한 6.5%의 GDP 성장 목표를 밝히며 동시에 인구관리와 공공주택 확보 및 의료 제도 정비에 주력할 것을 공표

- 충칭은 전국 평균 성장 목표인 6.7% 내외 수준보다 크게 높은 수준인 10.7% 제시. 또한 현대판 실크로드 건설 계획을 밝히며 그 기점에 대한 기반시설 정비를 가속화하고 자동차와 전기 생산 능력 증대를 위하여 2017년 정부 예산을 전년비 8.5% 확충 계획 발표

■ 일본

ㅇ 2016년 12월 통화량(속보치), M3 증가율은 전년동월비 3.4%로 전월과 동일(로이터, 닛케이)

- 일본은행에 따르면, 같은 달 현금과 은행 등의 예금을 포함한 M3의 월평균 잔액은 1282조2000억엔으로 사상 최고치. 이는 저금리 기조 영향으로 정기성 예금에서 보통예금 등 유동성이 높은 예금으로 전환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

- M3 내역별로는 예금통화가 전월보다 10% 늘어나면서 2003년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반면, 정기성 예금 등 준통화는 1.4% 감소

- M3에서 우체국 등을 제외한 M2는 4.0% 늘어나 전월(3.9%)보다 증가폭이 커졌으며, 투자신탁과 국채 등 화폐에 비교적 가까운 금융자산을 더한 광의의 유동성 증가율도 2.1%로 전월(1.9%)보다 확대

ㅇ 2016년 12월 가계의 물가상승 전망, 6분기 연속 하락하며 4년 만에 최저치(로이터, 닛케이)

- 일본은행의 생활의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1년 후 물가가 오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64.7%로 지난 9월 조사(65.1%)에서 줄었고, 5년 후 전망은 77.6%로 지난 조사(80.1%)에서 하락

- 이는 2016년 11월부터 카드업계의 금리인상, 엔화 약세, 주가상승 등이 진행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 기대가 확대되었으나, 장기적으로 엔화 강세, 주가와 유가의 하락 등의 우려가 커져 가계의 물가상승 전망이 하락했다고 설명 

ㅇ 개인용 국채 발행액 3조엔, 2007년 이후 최고치 경신(닛케이)

- 재무부에 따르면, 2016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개인용 국채 발행규모는 3조515억엔으로, 이는 2015년 전체 발행액을 넘어선 금액. 이와 같은 국채의 수요는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정책으로 정기 예금 금리가 하락으로 상대적으로 국채이자율의 상승이 그 배경

- 개인용 국채 종류에는 3년물 고정금리, 5년물 고정금리 그리고 10년물 변동금리 총 3가지 종류가 존재. 3종류 모두 원금손실 우려가 없으며, 연간 0.05%의 최저금리 보장되기에, 시장에서는 예금 대체 상품으로 수요가 확대

- 이에 개인용 국채 발행액은 2016년 1월부터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증권회사의 적극적인 홍보 역시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 예상

ㅇ 아소 다로 재무장관, 트럼프의 무역 불균형 대상국 지적에 비판(로이터, 닛케이)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으로 일본을 지목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 기업의 대미투자로 80만명 수준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음을 트럼프 신정부에게 통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ㅇ 정부, 對日 직접투자 확대위해 각종 규제 철폐 계획(닛케이)

- 법무부에 따르면, 현행 외국기업이 일본에 자회사 설립을 할 경우 출자금은 일본 내 계좌로 입금되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각 기업 자국 은행의 해외지점 계좌 역시 인정할 계획. 또한 계좌 명의인에 대헤서도 대표이사로 제한되었지만, 설립 발기인의 위임으로 대체 가능할 예정

- 회사 등기 서류를 영문으로 작성시 필요했던 일본어 번역 의무를 최소화 시키고, 직원의 일본 내 체류 자격 취득 신청을 2018년부터 인터넷으로 가능하게 할 예정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멕시코 재무장관, 2016년 경제성장률 전년대비 2.20%로 추정(로이터, 닛케이)

- 이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NAFTA 재협상 검토와 해외기업 이전 억제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 주장으로 달러화 대비 페소화 가치가 사상 최저인 시장 상황이 반영

ㅇ 호주,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TPP 협상을 지속 추진할 방침(로이터, 닛케이)

- 호주 Steven Ciobo 외교통상부 장관, 세계 최대 자유무역 협정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폐기는 시기상조라고 지적. 미국이 TPP 철회 문제에 고려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

- 또한 미국에서 TPP 비준이 거부될 경우,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 개별적으로 무역협정을 맺을 의향이 있다고 입장을 표명

-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Rex Tillerson 국무장관 내정자가 TPP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발언에 대해 TPP 협정이 가지는 경제적·전략적 중요성 강조해 미국에게 TPP 협정 체결을 촉구할 것을 시사

■ 세계경제 전반

ㅇ 자동화 사회의 확산, 인원 축소 여부가 좌우(FT)

-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은 가장 위대한 고용창출을 모색하고 있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자동화의 속도가 많은 일자리를 시대착오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 자동화는 지난 기간 동안 로봇공학과 인공지능 진전으로, 향후에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 하지만 정치인 못지않게 기업과 투자자에게 자동화는 실시 여부가 아니라 언제 실시하는지가 관건. 자동화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실직한 근로자 인수의 용이성과 정치적 반발 발생 여부. 이는 최신형 로봇이나 스마트기기 출시 기업에게 중요

- 무인자동차 운전 등의 기술개발에 착수한 구글은 대규모 사업이 흑자화될 수 있는지 여부에 촉각. 자동화 보급률을 좌우하는 변수는 큰 편. 맥킨지에 따르면, 직장에서 근로자 작업 절반은 자동화가 가능하지만, 실현 시기의 힌트는 밝히지 않은 상황

- 다만 맥킨지는 규제와 기업의 공정이행능력 등 모든 불확정 요소를 고려하면, 실현에 소요되는 시간은 20년에서 60년으로 추산. 예를 들어, 자율주행 자동차는 검증이 완료되었지만, 관련 대규모 시장 성장에는 걸리는 시간은 인식하기 어려운 편

- 자동차 기업은 이미 거액의 투자를 통해 무인운전 기술이 실험단계를 탈피했다고 확인. 현재 자동차 업체들은 경쟁적으로 실용화에 대응. 대기업은 규모의 경제로 이에 대응하겠지만, 기술수준이 높아져 대기업 이외 업체는 고전이 전망

- 기업이 무인운전 차량에 투자하는 이유는 운전자를 없애는 것으로, 이는 전부 또는 전무의 단계. 자동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국 정부는 현재 170만명의 대형 트럭 운전자 대부분이 직장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추산

- 다만 현실적으로는 수년 또는 수십년이 소요된다고 지적. 물론 매우 현실적인 견해도 존재. 맥킨지는 미국에서 가동 중인 200만대의 대형트럭을 자동운전 차량으로 교체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고 지적

- 이러한 가운데 비교적 빠른 시점에서 투자가 이루어질 가능성. 트럭의 장거리 노선은 비교적 장애가 적은 편이어서 소비시장의 빠르게 형성될 것으로 관측 

- 자동화의 진전은 고용을 뺏기보다는 중기적으로 트럭 수송업체를 보다 편리하게 하여 운전자 부족을 보완. 이는 인공지능과 로봇 개발업체에게 장밋빛 시나리오. 이와 관련한 원활한 이행을 낙관하기는 기대난

■ 미국

ㅇ 국경세, 전세계 무역 관계 변화 등에 영향(FT)

- 공화당의 법인세 개혁에서 기업 수익과 비용 계산에 국경 관련 조정도 포함될 것으로 예상. 영토를 기준으로, 미국 영토 내에서 발생한 기업 수익과 비용에만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것이 개혁의 기본 방향 

- 국경세는 트럼프의 선거공약은 아니었지만, 작년 Paul Tyan이 하원에서 발표한 조세 계획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최근 트럼프가 미국 내에서 생산하지 않는 기업들에게 높은 국경세를 매기겠다고 언급하여 대두

- 새로 제정되는 국경세 하에서, 기존과 달리 수입품이 국내 기업의 비용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이득세(taxable profit) 절감에 기여할 수 없는 반면, 수출은 수익으로 간주되지 않아 수출에 따른 이득세 증가는 사라지는 효과. 따라서 국내에서 활동하는 기업이 수출을 늘리면 이득세 감소

- 또한 수입은 추가 과세의 대상이 되고, 수출에는 추가적으로 보조금이 지불될 예정이어서 관련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전망. 트럼프 정부는 이러한 세제 개혁을 통해 정부 세수 증가, 국내 생산자 보호, 국내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

- 대부분의 국가들도 이러한 영토 기준을 적용하기는 하지만, 공화당은 국경세를 수출보조금 등 다른 정책과 복합적으로 시행하여 수입품에 대한 관세처럼 작용하게 하려는 계획. 이는 국제무역에 영향을 미쳐 국제경제에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 존재

- 또한 국경세는 법인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국내 물가상승률 상승, 수입감소, 수출 증가, 세수 증가(약 1조2000억달러) 등의 효과가 예상되지만, 환율 상승으로 이러한 효과는 상쇄될 가능성

- 국경세로 인한 경제 활성화 효과와 환율 상승의 효과의 규모에 따라 실질GDP, 고용률, 연준의 정책 등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바클레이즈의 Michael Gapen과 Rob Martin, 신정부 출범 이후 첫 1년 간 물가상승률은 0.5~1.0% 상승하고 실질GDP는 1.0~1.5%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

- 이러한 경제적 효과를 고려할 때, 국경세가 주식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는 미지수이며, 국경세가 WTO 규정과 양립할 수 있을지도 불확실

- 국경세에 찬성하는 하버드 대학의 Martin Feldstein, 환율 상승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국경세 부과를 통해 상쇄할 수 있다고 주장. Citigroup의 William Lee, 20%의 국경세를 부과하면 Dollar Effective Index를 15%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언급

- 반면 무역상대국들이 미국 수입품에 보복적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이러한 이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소될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세계 국가들의 수익이 전체적으로 줄어들 가능성

ㅇ 트럼프 행정부, EU 혼란 방지를 위해 통합 지지 필요(FT)

- 앤서니 가드너 EU 주재 미국 대사에 따르면, 트럼프 정권 인수인계 위원회는 EU 관계자들에게 영국 다음으로 향후 어떤 회원국의 탈퇴 가능성이 높은지 문의. Nigel Farage 전 영국독립당(JKIP) 대표 등은 미국 차기 행정부에 오류를 미치고 있다고 지적

- 유럽의 분열 지원이나 브렉시트 응원은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비판. 권력에 진실을 전달하려는 의지를 보였던 이반 로저스 전 EU 주재 영국대사를 높게 평가

- 2017년은 EU가 분열되는 시점이라는 인식도 우세하나, 미국은 EU에 대한 50년 외교정책을 유지하고, 특히 무질서한 하드 브렉시트를 지지하지 않아야 한다고 경고

ㅇ 트럼프 기자회견, 정책향방의 불확실성 증대로 시장 변동성 확대(WSJ)

- [인프라] 트럼프의 대규모 인프라 지출 계획으로 건설 및 자재 관련 주식은 차기 행정부에 의한 실제 지출액과 지출시기에 대해 회의적 견해가 나오면서 4% 하락 

- [IT] 선거기간 중 민주당을 지지했던 페이스북, 구글 등 주요 IT 관련 주식은 하락했으나, 12월 중순 트럼프와 IT업계 간부와의 간담회 이후 회복세. [오바마케어] 대선 이후 오바마케어 폐지가 가시화되면서 관련주는 9~14% 하락

- [중소기업] 중소기업 법인세 인하, 수입품 고관세율 부과 등의 세재개혁 등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 중소형주 지수인 Russell 2000지수는 선거 후 12월 9일까지 16% 상승한 반면, 대형주 지수인 Russell Top 50지수는 같은 기간 5% 성장

- [멕시코 환율] 멕시코 페소화는 선거 이후 급락세를 보였이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나, 트럼프 기자회견 이후 달러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회복세를 지속

ㅇ 트럼프 정책, 다우지수 2만선 상회하는 상승여력으로는 제한적 요소(WSJ)

- 이는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정책으로 경제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달러화 강세로 이어지나 기업수익에는 부정적 영향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

- 아울러 주가도 비교적 고평가되어있다는 지적. FactSet에 따르면, S&P500는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17.2배로 지난 10년 내 최고치. 연준의 금리 인상은 차입비용 상승, 채권의 투자수요 확대 등을 초래하여 주가상승 여력을 약화시키는 요인

- 또한 트럼프 신정부의 감세, 인프라 투자, 규제완화 정책 시행이 시기와 규모면에서 불분명하고,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반이민 공약은 향후 미국기업 실적에 부정적

ㅇ 트럼프, 좋은 정부를 위해 이해상반 문제 해결이 필요(FT)

- 트럼프는 이해상충 문제 해결을 위하여 취임 이전에 본인의 기업과 투자 전부를 위임(trust)하고 경영권은 두 아들에게 넘기겠다는 계획이지만, 정부윤리위원회(OGE: Office of Government Ethics) 위원들은 트럼프가 보유 주식 전체를 매각해야 한다고 주장

- 트럼프 지지자들은 이해상충 관련 법이 대통령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OGE의 요구가 과도하다고 주장. 하지만 Public Citizen의 Robert Weissman, 트럼프가 이해상충 논란 회피를 위해 보유기업 전체를 매각할 필요성 주장

- OGE의 Walter Shaub Jr., 트럼프가 차기 정부 인사 지명자들과 동일한 희생을 해야 하며, 대통령으로서 미국 국민 전체에게 세계 갈등 등에 따른 희생을 요구하는 위치에 오를 것이기 때문에, 트럼프 본인부터 주식 전체를 매각하는 희생을 감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

ㅇ 2017년 규제 개혁, 기존 도드-프랭크법 등의 부분적 변화 예상(FT)

- 로펌 데이비스 포크(Davis Polk), 신정부 규제 개혁에 다음과 같은 8가지 전망 제시. 첫째, 금융개혁은 무역, 조세 등의 분야에 비해 급진적이지 않을 것으로 전망. 둘째, 연준 감독이 완화될 전망

- 셋째, 공화당에서는 도드 프랭크 법안에 의해 설립된 이후 최고 규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금융안정위원회(FSOC)에도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 공화당은 FSOC가 경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기업(SIFI: 시스템상 중요한 금융회사)을 지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 것에 반대

- 차기 재무장관은 FSOC의 회장이 되기 때문에 FSOC의 권한에 많은 변화 예상. 넷째, 지금까지 도드 프랭크 법안에 따라 신규 규제 도입에 집중했던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주요 안건에도 변화 예상

- 다섯째, 공화당은 볼커 룰(Volcker rule)이 과도하게 복잡하고 엄격한 규제를 한다고 평가하여 폐지를 진행할 가능성. 특히 최근 연준 보고서에 따르면, 볼커 룰로 주요 회사채의 시장 유동성이 저하되었다는 결과. 다만, 상원 의사진행방해(filibuster)로 완전 폐지는 불확실

- 여섯째, 차기 재무장관과 의회에서 정부보증기업(GSE) 개혁 시도. 므누신 차기 재무장관은 GSE개혁이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언급. 그러나 GSE 개혁의 방향은 아직 미지수로, 정부보조 폐지, 주택 시장에서 역할 범위를 축소 등 가능성 존재

- 일곱째, 노동부가 지난 2016년 시행한 신탁 규정(fiduciary rule)에도 일부 변화 전망. 신탁규정은 금융상담사가 고객의 이익을 우선시하도록 정한 법으로, 의회에서는 2017년 4월 이후 관련 사항에 대하여 좀 더 장기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 유럽

ㅇ BIS, 2016년 10월 파운드화 가치 급락은 복합적 요인(블룸버그)

- BIS는 2016년 10월 영국 파운드화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진 시장 급변동에 대해 평가. 이에 의하면, 전자거래업체의 활발한 거래가 예상치 않은 시장의 반응을 연쇄적으로 유발하였고, 이는 복합적인 요인이 변동성을 촉발했다고 분석

- 영국 파운드화는 작년 10월 7일 파운드당 1.26달러에서 1.14달러대로 빠르게 하락하여 1985년 이후 31년 만에 낮은 수준을 기록. 인하의 원인은 매도 주문에서 비롯되었고, 이후 시장기능이 부실하게 되었다고 지적

- 아울러 거래가 정체된 가운데 특정 참여자의 주문 영향력이 높아져 파운드화 가치가 하락. 또한 옵션거래의 손실회피를 위한 매도 주문 급증도 원인이라고 평가.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영국 EU 이탈에 대한 강경자세 등은 주요인이 아니라고 강조

- 파운드화 가치 급락은 기타 통화로 파급되지 않고, 단기간 시세가 회복하여 금융기관의 영향은 제한적. Flash Crash로 불리는 시세 급락은 최근 늘고 있어 시장참여자에게 타산지석. 잉글랜드 은행 카니 총재는 질서 있는 시장기능이 신뢰기반이라고 언급

- 통화가치 급락이 시장의 신뢰를 저해하고, 실물경제에도 악영향 우려. 외환시장에서는 새로운 시장참여자로서 금융기관 외에 전자거래업체의 위상도 고조되는 등 시장구조는 복잡·다양화. BIS는 이를 정책당국이 한층 분석할 필요가 높다고 제시

ㅇ 영국의 EU 이탈, 정치적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우려(FT)

- 영국의 EU 이탈은 이민 제한과 유럽사법재판소와 EU 단일시장에 대한 탈퇴를 의미. 영국의 메이 총리는 EU 이탈 전략을 명확히 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주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을 예상

- EU가 영국에게 이민 제한과 더불어 단일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할 가능성은 적지만, 일방적으로 회원자격을 배제하는 것도 EU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 영국의 강경한 태도는 EU가 단일시장을 협상조건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하여 메이 총리의 정치적 입지에는 긍정적

- 따라서 시장관계자들이 원하는 단일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는 원활한 EU 이탈과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보수당의 EU 잔류파는 이행 기간 등을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요구하고 있으나, 영국 정부는 보다 강경한 태도를 견지

- 이는 영국의 EU 이탈과정이 정치적 갈등이 현실화하고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 

ㅇ 역내 선거 도래 국가, ECB 비판 강화 목소리가 커질 전망(WSJ)

- 2017년 총선이 실시되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정치권은 최근 ECB의 10조유로규모의 경제 지원에 대해서 부족하거나 과도한 수준이었다는 등 국별 상반된 비판을 전개

- ECB가 채권매입을 추가적으로 연장하거나 매입규모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면 독일의 극우정당의 비판에 직면. 채권매입을 종료를 시사하면, 이는 남유럽 국가의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이탈리아 등 경기둔화에 빠져있는 회원국의 반EU 정세 확대

- 도이체방크의 George Saravelos,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은 미국 경제성장의 가속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ECB의 금리인상은 이탈리아 등에는 부정적으로 작용 

- 시장에서는 ECB는 점차 양적완화를 축소할 것으로 예상. ECB의 채권매입 대상 채권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늘어나는 상황. 다만 양적완화 축소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드라기 총재는 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는 논의되지 않고 있다고 강조

ㅇ 유로존, 정치적 리더십이 향후 추가 경기상승 지속에 중요(FT)

- 프랑스 기업 Les Petits Chaperons Rouge의 Rodocanachi, 저금리는 매우 큰 도움이 되며, 장기적인 비전을 보유한 기업가라면, 이를 투자확대로 연결시킬 것이라고 주장 

- 기업의 투자 확대는 유로존 경기호조도 가세. 실업률이 10%를 하회하며 7년 내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생산에서도 독일뿐만 아니라 취약한 지역인 프랑스와 스페인도 개선되며,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경기회복세 지속

- ODDO 증권의 Bruno Cavalier, 유로존은 회복단계에 있으며, 정치적 위험은 기업여건에서는 부차적인 문제. 유로존은 지정학적 충격, 테러와 브렉시트를 경험했으나, 어떠한 문제도 유로존 경기에 장기적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평가

- 이러한 낙관적인 분위기에도 지역 간의 격차가 확대될 위험 상존. 대부분의 유럽국가에서 실업률이 떨어졌으나, 이탈리아에서는 작년 실업률이 상승. 비관론자들은 ECB의 조치가 일시적 유예를 가져왔을 뿐 장기전망은 여전히 취약하다고 지적

- 독일은 ECB가 유로존 경제의 근본적인 문제를 회피하는 느슨한 통화정책을 사용하고 있다고 깊은 의구심을 표명. 도이체방크의 David Folkerts-Landau, 중앙은행이 유럽의 미래를 위한 계획을 강요하는 시장의 압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주장

- Rodocanachi, 기업가들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유럽의 지도자들의 장기 계획의 부재가 투자를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 현재 부족한 것은 공통된 비전이라며, 지도자들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해야한다고 강조

ㅇ 생산성 둔화, 좀비기업으로 인한 기술혁신 침투 저해가 주요 원인(FT)

- 저조한 생산성 증가율은 유로존 경제가 직면한 큰 문제. 생산성 개선 없이는 적절한 정책이 시행되더라도 제로섬 게임에 이르면서 여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기대난. OECD에 따르면, 유럽 선도기업에서 여타 기업으로 혁신과 생산성 전파는 둔화세

- ECB의 드라기 총재와 잉글랜드 은행의 홀데인 정책위원은 2016년 연설에서 이 문제를 조명하면서 유로존과 영국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서 더 두드러진다고 제기

- 생산성 둔화가 중간 기업들이 노하우 및 기술혁신의 수용 실패와 연결될 경우, 혁신 자체는 고갈되지 않지만 생산활동에서 혁신의 활용이 어려워짐을 시사

- Phillip Coggan은 좀비기업들이 기술전파를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 유럽 9개국에서 좀비 기업이 차지하는 민간자본스톡 비중은 5~20%로 추정. 좀비기업은 신생기업의 시장진입을 저지하고 자본을 독점(zombie congestion)

- 좀비기업 확산은 2008년 이후 경기침체, 통화정책 완화기조, 부실여신에 대한 은행 등 채권자들의 관대한 태도에서 기인

■ 중국

ㅇ 시진핑 주석 다보스 포럼 참석, 세계화에 대한 중국의 입장에 주목(로이터, 블룸버그)

- 중국 사회과학원 관계자는 시진핑의 이번 다포스 포럼 참석에 대하여, 세계화로 큰 수혜를 입은 중국이 글로벌 거버넌스의 주요 일원임을 보여줄 수 있는 일종의 돌파구와 같은 기회로 평가 

- 또한 시장은 지난 G20 회의에서 시진핑의 세계적인 경제 개방 기조의 유지와 고립의 단점에 대하여 역설한 것을 기억하며, 그간 미국과 다른 국가들이 중국에 요구한 책임감 있는 국제적인 리더로서 역할을 보여줄 것 기대

- 특히 중국은 최근 미국이 주도한 국제무역과 금융질서가 후퇴하고 있는 일련의 상황이 보호무역주의의 본격적인 대두 혹은 시장혼란 상황으로까지 변모하는 것을 경계. 이는 트럼프의 당선으로 TPP 협정이 위기에 빠진 것과 달리 FTAAP 협정은 지속 논의 되고 있는 모습이 이러한 상황을 반증

- 현재 지정학적인 긴장 상태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진핑은 보다 안정적인 입장을 견지할 가능성도 있지만, 기후변화 관련 미국과의 협의를 통해 작년 파리 기후협정의 기반을 다진 사례와 같이 국제적 관심을 활용한 대담한 제안을 할 가능성 역시 존재

■ 일본

ㅇ 일본, 세계경제 급변에 대비할 필요·보호무역주의가 리스크(닛케이)

- 세계경제는 회복되고 있지만, 리스크가 현저하다는 평가가 우세. 중국은 부실채권 문제와 자본유출이라는 위협요인이 분명. 그러나 가을 시진핑 체제가 안정되면, 다시 성장시장으로 부상할 여력이 내재

- 중국은 개인소비가 매우 안정적이며, 고부가가치의 유아용품이나 화장품 등의 판매가 호조. 부유층은 물론 중산층도 보다 나은 제품 구입의사가 높은 편. 경기부양 효과는 확실하며, 과잉설비 해소 등 구조개혁 착수가 시급

- 다만 중국은 내수지향이 강화되면, 해외기업을 배제하는 문제가 잠재. 미국은 트럼프가 주장하는 대폭 감세와 인프라 투자는 기대난. 일부 실시되면 2017년 미국 성장률은 2%를 넘고, 물가상승률은 2017년 중 2%에 달할 가능성

- 이에 금리인상은 3차례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경기확장을 모색하는 트럼프와 금리인상을 추진하는 연준과 대립하여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잠재. 유럽은 프랑스의 극우정당 승리와 독일 메르켈 총리 패배가 가장 큰 충격 요인

- 여타 우려 요인은 미국과 중국의 대립. 트럼프의 대만 친화정책과 남중국해에 대한 강한 신호 등에 중국이 반발. 아울러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 최종단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도 문제

- 일본 경제는 소비심리가 개선. 향후 스마트폰이 소비의 중요한 열쇠. 청년층은 소비패턴을 변화시켜 일본 기업이 이에 대응할 필요. 아베노믹스의 성패는 잠재성장률 제고에 역부족이며, 임금인상이 아베노믹스에 관건

- 다만 노동생산성과 부가가치 향상이 연동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존재. 외국인이 일하기 쉬운 여건 조성과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에서 금융업계의 편의성 제공도 중요. 고용 유연화와 서머타임 도입 등 규제개혁 실행도 과제

- 일본은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이 중요. 일본은 단기간 성과를 창출하는 근로자보다 긴 시간 일하는 근로자 임금이 높은 수준. 근로시간이 정해져 있지만 자유롭게 일하면 더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가설도 검증할 필요성 존재

- 아울러 일본은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대응이 미흡. 금융과 IT를 조합합 핀테크 투자는 일본이 1이라면, 중국은 35, 인도 25, 미국은 100. 일본은 ATM 구축이 확실하여 새로운 기술도입 유인이 낮은지 검토가 필요

- 일본은행 마이너스 금리는 부작용도 있지만, 통화정책은 효과가 존재. 향후 무리한 자산매입보다 국채매입액 축소와 장기금리 유도 목표 수준의 조정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