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미국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7. 11. 21.


■ 미국

ㅇ 트럼프 대통령,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로이터)

- 이와 함께 추가 제재도 발표할 예정. 아울러 북한은 핵 미사일 개발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 또한 의료보험과 인프라 관련 개편은 공화당의 세제개혁 실시 이후에 단행할 것이라고 언급

ㅇ 뉴욕 연은 조사, 소비자의 신용카드 이용 개선(로이터)

- 1년 간 신용신청에 매우 소극적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월에 4.9%로 낮아져 2013년 이후 최저치. 자금대출 확률도 70%로 이전의 67%에서 상승


ㅇ 우량회사채 시장, 투기등급채와 같이 우려요소는 유사(WSJ)

- 지난 10년간 강세장이 지속되어온 채권시장의 방향성이 전환될 경우, 시장의 평가 이상으로 우량회사채 시장까지 큰 타격을 받게 될 전망. 투자적격채의 미국 국채대비 가산금리는 100bp까지 하락해 2007년 여름 이후 최저

- 장기간 지속되어온 저금리 여건을 활용해, 기업들이 가격의 금리민감도가 높은 장기 채권발행을 확대해오면서 금리 상승에 노출된 위험 수준은 더욱 증가. 결국 신용위험과 이자율 위험이 기업(차입자)에서 투자자(대출자)로 이전된 상황

- 지금까지는 완만한 인플레이션과 세계경제 성장세, 낮은 부도율로 인해 회사채와 주식이 모두 수혜 받을 수 있었으나, 가산금리의 추가하락 여지가 크지 않아 회사채 투자자들은 주식투자자들에 비해 성장세의 수혜를 받기 어려워질 전망

- 아직까지 고수익 추구(search for yield) 투자가 여전히 성행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채시장의 위험이 단기간 내 현실화되지 않을 수 있으나, 향후 고금리 채권투자의 위험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을 전망


ㅇ 정부, NAFTA 재협상에서 캐나다 농업시장 개방 압력 등 새로운 목표 설정(닛케이)

- 트럼프 행정부는 캐나다 농업시장 개방 요구 외에 기업 투자와 지적 재산권의 보호에 조건을 강화. 해당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탈퇴도 불사할 태세. 이에 제5차 회의도 어려운 협상이 지속될 전망

ㅇ 10월 주택착공건수, 연율 환산 전월대비 13.7% 증가(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가 발표한 같은 달 주택착공건수는 129만가구로, 2016년 10월 이후 최고치. 이는 주택경기 전망이 긍정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건축착공의 선행지표인 건축허가건수는 5.9% 증가


ㅇ 금융여건, 금리인상 속에도 1994년 이후 가장 완화된 상태(WSJ)

- 시카고 연은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금융시장에서 자금조달 용이성을 측정하는 금융여건지수(NFCI)는 –0.93을 기록. 이는 금융여건이 평균보다 낮아 완화 수준에 있음을 의미

- NFCI의 흐름은 지난 1년 6개월 간 대부분 완화 경로에 위치. NFCI는 차입 비용과 주식시장의 변동, 달러화 가치 등 다양한 시장요인을 기반으로 산출. 정책당국과 시장도 금융여건을 주시

- 금년 들어 연준의 금리인상에 의해 통화정책 완화 기조가 반전되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 속에서는 차입비용이 오르는 한편 금융여건도 긴축기조로 전환될가능성이 있지만, 실제로는 이와는 반대

- 골드만삭스의 금융여건지수도 수년간 최저 수준. 기업의 차입비용은 여전히 낮은 편이며, 외환시장은 연초부터 달러화 약세가 진행. 하지만 NFCI는 경제지표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 이를 반영 시 금융여건 완화는 축소될 가능성 내재


ㅇ 시카고 연은 에반스 총재, 저물가 관련 우려 점차 확대(로이터, 블룸버그)

- 많은 전문가들은 최근 물가 부진이 일시적 요인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 다수의 경제지표가 하락의 모습을 나타내 이에 동의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

- 중앙은행의 주요 정책목표는 적정 수준의 물가 유지이며, 금융자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 관련 명확한 대응에 나서는 것은 어려운 과제

ㅇ 10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1% 올라 전월(0.5%)에 비해 하락(로이터, 블룸버그)

- 노동부,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도 2.0%를 나타내 전월(2.2%)에서 둔화. 허리케인 여파가 사라지면서 휘발유 가격이 전월에 비해 2.4% 하락한 것이 이번 결과의 주요 요인.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월비 0.2%로 전월(0.1%)에서 상승

ㅇ 10월 소매매출, 전월비 0.2% 늘어 전월(1.9%)과 비교하여 증가세 둔화(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 이번 결과는 허리케인 영향 감소로 자동차 및 휘발유 판매 둔화에 기인. 자동차 판매는 전월비 0.7% 늘어 전월(4.6%)에서 급감

ㅇ 9월 기업재고, 전월비 보합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 8월 기업재고 증가율은 0.7%에서 0.6%로 하향 조정. 소매재고는 0.9% 감소했고 기업매출은 1.4% 증가

ㅇ 공화당, 법인세율 인하 영구화‧오바마케어 폐지 담은 세제개편 수정안 제시(로이터)

- 상원 재정위원회 해치 위원장은 새로운 수정안이 중산층의 세금부담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주장. 민주당은 이에 반대하고 있어 의회 통과 여부는 불투명

ㅇ 페리 에너지장관, NAFTA 재협상의 성공을 확신(로이터, CNBC)

- 멕시코 및 캐나다와의 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질적으로 우수하고 공정한 합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ㅇ 정부의 주요 정책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 저해할 우려(FT)

- 트럼프 대통령의 법인세율 및 개인소득세율 인하 기대가 그 동안 경기호조의 주요 요인. 하지만, 이러한 세제개혁이 의회에서 통과되어 시행되면 단기적으로 경기부양 효과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재정적자 확대를 초래할 가능성

- 정부는 경제활동 증가가 세수감소의 여파를 줄일 것으로 주장하나, 의회예산국(CBO)은 재정적자 감소로 향후 30년 GDP의 3% 감소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

- 정부는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NAFAT의 재협상을 추진. 또한 이민자 억제 정책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을 줄여 노동인구 증가를 둔화. 반면 규제완화의 효과는 시장의 예상보다 미흡

- 파월 차기 연준 의장이 어떤 통화정책을 구사할 것인지도 중요. 시장 기대 달리 매파적 정책을 지지하면 이는 경고신호가 될 전망. Oxford Economics의 Gregory Daco, 경제회복의 실질적인 리스크는 정부가 추진하는 주요정책이 될 수 있다고 지적

ㅇ 미국 세제개혁안의 인플레이션 측정법 변화, 중산층의 세부담 증가 전망(WSJ)

- 트럼프 정부의 세제개편안 내용으로 인플레이션 측정법이 변화될 것으로 예고. 이는 소득세율을 정하는 연소득 기준에 대해 현행 소비자물가지수(CPI) 대신 연쇄방식 소비자물가지수(Chained CPI)의 인플레이션으로 변경하는 내용

- 시장에서는 기존 CPI보다 더 정확도가 높아 경제적 합리성을 갖는다고 주장. 연쇄방식 소비자물가지수는 특정상품 가격상승 시 소비자의 대체재 소비이동 등을 반영해 변화를 더 빠르게 감지. 현재 GDP와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 등도 연쇄지수에 근거

- 해당 변화는 인플레이션 측정치를 하락시켜, 보다 많은 가구가 이전보다 높은 과세구간으로 이동하는 결과 초래. 이는 중산층의 세부담 증가로 이어질 우려

- 공화당 American Action Forum의 Douglas Holtz-Eakin, 연쇄방식 소비자물가지수 적용이 정부세수 증가 및 지출 감소를 유도하여 긍정적이라고 평가

- New York University의 David Kamin, 새로운 인플레이션 측정법의 예상 결과가 중산층 혜택 확대라는 기존의 기본 정책방향과 다르다고 주장

ㅇ 정크본드 스프레드 확대, 금융시장 위험 신호라는 판단은 시기상조(WSJ)

- 11월에만 ICE BoA 지수가 1.15% 하락하는 등 최근 정크본드 매도가 크게 증가하면서 장기간 안정적 흐름을 나타냈던 금융시장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의견 제기.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하면 한계기업들의 파산이 늘어 실물경제에도 부정적 영향

- JPMorgan의 Bob Michele은 경기침체 기간을 제외하면 정크본드와 국채의 수익률 스프레드가 최근과 같이 확대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언급, 하지만, 정크본드의 매도 증가는 일부 통신주 채권에 집중된 결과이며 시장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 일부에서는 투자자들이 글로벌 저금리가 종료될 수 있다는 전망에 오랫동안 보유한 정크본드를 매도하여 나타난 결과라고 지적, 또한 시장에서는 정크본드 수익률이 크게 상승하면서 보다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다시 강화될 것이라는 의견도 등장

- 주요 신용평가기관들도 아직 최근의 정크본드 수익률 급등을 부실기업의 대규모 구조조정 혹은 파산의 증가 신호는 아니라고 평가. 미국의 채무불이행 비율은 금년 3%에서 내년 2.1%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

ㅇ 미국, 가계부채 최고치 경신하는 가운데 오토론 연체율 상승 주시 필요(WSJ)

- 뉴욕 연은에 따르면, 3/4분기 가계부채는 12.96조달러로 사상최고치를 갱신하여 13분기 연속 증가.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66%로 2009년 87% 대비 아직까지 낮은 수준이나 2013년 1분기 이후 16% 증가

- 특히 서브프라임 오토론 연체율의 지속적 상승이 우려 사항. 뉴욕 연은은 전반적인 연체율이 낮아 서브프라임 오토론의 심각한 악화 상태가 가려지고 있다고 (masks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those loans) 평가

- Oxford Economics의 Adam Slater, 서브프라임 오토론의 규모가 무시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2007년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비해 현저히 작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같은 대규모 손실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

- 뉴욕 연은은 서브프라임 오토론이 대형 금융부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되고 있지만 2300만명 이상의 소비자들이 서브프라임 오토론에 연계되어 있는 점을 우려. 오토론 전체 규모는 3분기에 230억 달러 증가한 1.21조달러 기록


ㅇ 트럼프 대통령, 아시아 순방을 통해 공정한 무역의 중요성 강조(로이터)

- 일부에서 미국 제일주의에 따른 보호주의를 우려하지만, 공정성만 확보된다면 미국은 다른 국가와의 무역에 적극적이라고 주장

ㅇ 연준 옐런 의장, 통화정책 관련 인사의 이견은 시장에 혼란 초래(로이터, CNBC)

- 연준의 구조와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문제를 완전히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가능성 상존 

ㅇ 시카고 연은 총재, 미래 위기 대비한 새로운 금리설정 방법 필요(로이터)

- 에반스 총재는 금리인하만으로 대응할 수 없는 미래의 경제위기를 대비해야 하며, 일례로 연준이 인위적으로 일시적인 고물가 상황을 용인하는 물가수준 목표 (price-level targeting) 방법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언급

ㅇ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당분간 현 기준금리 유지가 타당(로이터)

- 불라드 총재, 물가상승이 좀 더 강하게 발생하기 전까지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는 것이 합리적. 한편, 2018년 혹은 2019년 이전에 연준의 물가목표가 달성될 가능성은 낮은 편

ㅇ 댈러스 연은 총재, 12월 금리인상 지지를 적극적으로 검토(로이터)

- 카플란 총재, 역사적으로 경기의 오버슈팅(over shooting) 상황에서는 연준이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조치를 시행

ㅇ 애틀랜타 연은 총재, 물가 수준 낮지만 완만한 금리인상 지지(로이터)

- 보스틱 총재, 최근 수개월 경제활동이 꾸준히 확대되었기 때문에 향후 수년에 걸쳐 완만한 금리인상이 적절. 경제가 완전고용에 가까운 상황에서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이 결국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여전히 유효

- 미국채 수익률곡선의 평탄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반드시 경기침체의 신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견해 피력

ㅇ 10월 생산자물가, 전년동월비 2.8% 올라 2012년 2월 이후 최고 수준(로이터)

- 상품 및 서비스 부문의 물가 상승이 이번 결과의 주요 요인.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비 2.4% 상승

ㅇ IEA, 2025년 미국이 세계 최대 원유 및 가스 수출국에 오를 전망(FT)

- 기술의 발전에 따른 셰일원유 생산이 크게 늘어날 것이며, 원유, 컨덴세이트, 천연가스액의 일일 생산량은 2025년에 1300만배럴에 이를 것으로 추정


ㅇ 제조업, 세계경제 성장 등으로 지난 1년간 성장세 가속화(WSJ)

- 지난 1년간 미국 제조업의 성장이 가속화. 시카고 연준의 William Strauss, 1년 전과 비교하여 제조업 부문의 상황이 절대적으로 개선되었다고 발언

-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부터 현재까지 미국 제조업 부문의 고용자 수는 15만6천명 증가. 금년 1/4분기 공장 투자가 전년동기비 14.8% 늘어 2014년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기업의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 이는 세계경제의 꾸준한 성장, 에너지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 시장의 신뢰 회복 등이 배경. Rockwell Automation의 Blake Moret, 강력한 신규수주와 긍정적인 GDP 및 산업생산 등 세계의 거시경제 여건이 매우 양호하다고 평가

- 다만 일각에서는 무역 혹은 지정학적 관련 위기가 발생하면 제조업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으며,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될 경우에도 수출 경쟁력 약화와 환율 변화에 따른 해외사업 이익 감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


ㅇ 트럼프 대통령, 의회에 세제개편과 오바마케어 철폐 촉구(로이터)

- 의회의 세제 관련 논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평가하면서 오바마케어는 불공평하고 인기가 없으며 개인소득세 최고 세율도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

ㅇ 필라델피아 연은 하커 총재, 12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로이터, 블룸버그)

- 다만, 저물가 지속 현상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고 금리인상을 가볍게 예상 (lightly penciled in)한다고 밝혀 12월 인상에 대한 확신은 이전에 비해 다소 감소했음을 시사

- 경제성장이 높은 수준에 있고 유휴노동력도 적은 편이어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필요. 최근의 물가상승률이 지속된다면 내년에 3번의 금리인상이 가능

ㅇ 10월 재정수지, 630억달러 적자로 전년동월비 170억달러 증가(로이터, WSJ)

- 재무부, 같은 달 세수와 지출이 각각 6%, 12% 증가. 세수는 개인소득세가 7% 늘어난 영향이 컸고, 지출은 국토안보프로그램 확대가 주요 원인


ㅇ NAFTA 철회하면 경기후퇴에 직면할 가능성(WSJ)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분기와 3/4분기 경제가 3%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는 점과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시현하고 있는 점을 강조. 그러나 NAFTA 철회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WSJ의 이코노미스트 서베이 결과를 주목할 필요

-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NAFTA 철회가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한 이코노미스트는 한 명도 없었으며 82%는 NAFTA 철회 시 성장세 둔화를 예상. 7%는 경기침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했으나 이는 오히려 과소평가된 수치

-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가 미국의 제시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믿고 있으나 이들 국가는 이미 무역경로 다변화에 나서고 있으며 NAFTA 재협상에 대한 자국 내 정치적 압력도 상당

- NAFTA 철회 시 정치적 충격은 물론 북아메리카 공급체인에 타격을 가해 경제에 악영향 예상. 트럼프 대통령은 규제완화, 세제개혁 등의 측면에서 경제를 원만하게 운영하고 있으나 보호무역주의와 세계경제에 대한 무지가 아킬레스건

ㅇ 미국, 정부의 무역정책 및 세제개혁은 저소득층의 어려움 가중시킬 가능성(FT)

- 장기간 소득불균형이 지속되면서 대중영합주의가 확산되었고 이에 자유무역을 반대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중산층을 더 많이 돕겠다고 약속했으며 구체적으로 감세, 규제완화, 무역장벽 강화 등을 추진,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이 오히려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경고. 정부는 공급측 요인으로 혜택이 다수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시장에서는 세제개편이 부유층의 혜택을 높일 것이라고 비판

- NAFTA 탈퇴는 잠재적으로 캐나다와 멕시코와의 무역에 의존하는 200만명의 일자리를 빼앗아 갈 전망. 중국과의 무역전쟁 위협은 감소하고 있지만 중국산 수입품 감소에 따른 소비재물가 상승이 저소득층의 소비를 위축시킬 가능성

- 이외에도 공화당은 200만명의 추가 의료보험 가입자를 유발하여 대중의 지지를 얻은 오바마케어도 철회할 계획


ㅇ 트럼프 대통령,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파트너라고 강조(로이터, 닛케이)

- 미국이 앞으로 해당 지역 참여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표명. 아울러 경제면에서는 호혜적인 무역원칙을 지키는 국가는 양국 사이의 무역 협정을 체결하겠다고 주장하여 미국제일주의 견지를 재확인

- 트럼프가 아시아 정책에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은 처음으로, 아시아 지역을 두고 미국과 중국이 패권을 다투는 구도가 심화되는 양상


ㅇ 미국 대선 경과 1년, 변화를 기대하는 소득계층의 기대는 여전(닛케이)

-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혼란 속에도 지지자들의 변화 기대는 위축되지 않았다는 평가. 여전히 지지자들은 트럼프가 공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인식, 하지만 트럼프 정부는 정책구사에 어려움 직면. TPP와 온난화 대책 등에서는 거부감을 보이는 가운데 감세와 인프라 투자 등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이러한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은 당연한 현상. 그러나 공화당의 지지율은 80% 정도를 유지. 국가형태의 불만이나 불안 등에도 지지기반은 확고한 상태

- 전세계적으로도 독일, 오스트리아, 체코 등에서 극우정당이나 대중영합주의 정당 세력이 여전히 건재. 이러한 맥락에서 트럼프의 미국 제일주의는 유효할 전망. 이에 트럼프 정부 출범을 유발한 원인은 쉽게 소멸되지 않을 가능성

ㅇ 미국 주택업계, 공화당 세제개혁안에 따른 주택경기 냉각 우려(FT)

- 주택건설업체는 주택구매자에게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공제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세제혜택을 줄이는 하원의 계획에 반대 입장. 공화당은 법인세 감세를 추진하는 가운데 관련 세제 감면 축소에 주력

- 전미주택건설협회(NAHB)는 하원의 계획이 주택 가치를 낮추고 있다고 주장. 주택담보대출 이자와 재산세에 기초한 새로운 세제는 문제가 있음을 강조. 하지만 백악관은 해당 법안의 수정 의지가 거의 없는 상황

- 구체적으로 하원의 법안은 50만달러 이상 신규주택 구입자의 세제혜택을 줄이겠다는 내용. 전미부동산중개업협회(NAR)의 Elizabeth Mendenhall, 의회의 제안은 국민의 주택보유 의지를 상실시킬 수 있음을 지적, 아울러 NAR은 세제개혁이 중산층 주택보유자의 세부담 인상으로 이어져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표명. NAR의 Jamie Gregory, 주택시장은 그간 누려왔던 수혜를 지속하기 원한다고 강조

- NAHB의 Jerry Howard, 하원의 새로운 법안을 비판하면서, 결국 주택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 이는 모든 주택에 적용될 것임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