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17년] 세계 경제 소식들

by 성공의문 2017. 1. 5.

■ 미국, 향후 주택경기는 수요증가에도 금리상승이 제약요인(Goldman Sachs 등)

ㅇ 주택투자 확대 등 공급증가도 주택가격의 지속적 상승을 제한

ㅇ 2016년 미국의 주택가격(S&P 케이스 실러 기준)은 낮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높은 수준의 일자리 증가, 제한적인 신규주택건설 등의 영향으로 전년비 5.0% 오르면서 (추정치), 최근 2년 평균 상승률과 같은 수준으로 양호한 흐름 유지

ㅇ 향후 주택가격은 수급 불균형 완화와 금리상승 등의 여파로 오름세가 강하게 작용하며, 2017년 이후에는 이전 상승률을 하회할 전망

- 노동수요 증가에 따른 임금상승 압력 확대, 시장 관련 규제 완화, 베이비부머 자녀 세대의 본격적인 시장 진입 등은 주택시장에 호재

- 반면 30년 만기 대출비용의 증가(30년 주택담보대출 금리, 금년 12월:4.0%→내년 12월:4.4%)와 주택투자 확대(연율 환산 신규주택착공, 금년 11월:109만채→ 내년:150만채)에 따른 수급불균형 완화 등은 주택가격 하방 요인

ㅇ 아울러 트럼프 정부의 정책(감세, 재정지출 확대, 이민자 통제 강화)은 구매자의 소득 증가에도 금리인상 가속화와 인구증가 둔화 등 공급측면의 가격하락 요인이 우세한 편

- 골드만삭스의 주택가격에 미치는 요인별 추정치에 따르면, 감세와 세제 감소 효과는 0.9% 상승요인이나 금리상승과 인구 증가 둔화는 각각 –0.6%, –0.05%의 하락압력을 미치는 것으로 추산


<그림1>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추이


<그림2> 차기정부 주요 정책의 주택가격 영향 추정치


■ 세계경제 전반

ㅇ 바젤 III 승인연기, 은행 보유 자본 최저액 합의에 실패(로이터, FT)

- 바젤은행감독위원회는 금융위기 재발방지를 위한 새로운 자기자본비율 규제인 바젤 III의 승인 신청을 연기한다고 발표. 이는 은행이 보유해야 하는 자본의 최저액에 대한 최종합의를 얻지 못했기 때문

- 바젤 III 승인을 위해 8일 예정된 중앙은행 총재 및 금융감독당국 기관장 (GHOS: Governors and Heads of Supervision) 회의는 연기. 바젤 위원회는 협의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GHOS 회의를 3월 1~2일로 변경

- 승인연기 원인 중 하나는 리스크 계산에 활용되는 모형과 관계없이 은행이 보유해야 하는 최소영업자기자본액의 최저수준 대립이 컸던 것으로 평가. 최소영업자본액에 최저수준을 설정하는 것은 독자모델을 사용하는 독일 은행권 등에 큰 영향


■ 미국

ㅇ 2016년 12월 ISM 제조업 경기지수, 54.7로 2014년 12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 시장예상치(53.8)를 상회하였으며 전월(53.2)대비 1.5p 상승. 같은 기간 신규 주문(53.0→60.2)이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고용지수(52.3→53.1)가 크게 상승한 것이 주요 요인

- ISM의 Bradley Holcomb, 제조업 부문의 고용 견조하고 신규수주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그동안의 원유가 약세로 인한 제조업 부진 회복에 기여하였다고 평가

- 마킷에서 발표한 12월 제조업 PMI(확정치)는 고용지수 상승세로, 2년 만에 최고치인 54.3를 기록하여 속보치(54.2)에서 상향조정

ㅇ 애틀랜타 GDP Now, 4/4분기 성장률 연율 2.9%로 예측(로이터)

- 같은 기간 재고투자가 0.73%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난 예상치(0.35%)보다 상향 조정되었기 때문에 이전 전망치(2.5%)에서 상향 조정

ㅇ 11월 건설지출, 전월비 0.9% 증가·금액으로는 10년 7개월 만에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시장예상치(0.6%)를 상회했으며, 금액기준으로는 1조1821억달러로 2006년 4월 이후 최고 수준. 10월 건설지출도 0.1%p 상향조정되어 4/4분기 GDP 성장률 확대에 기여할 전망. 민간과 공공부문 모두 호조

- 민간부문 건설은 전월비 1.0% 증가하며 2006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공공부문 건설도 0.8% 늘어나며 3월 이후 최고 수준

ㅇ 포드, 멕시코 신규 공장건설 계획 철회(WSJ, FT)

- 포드사는 멕시코에 16억달러 규모의 신규 공장을 건설 계획을 철회하면서, 해당 투자금의 일부를 미국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 당초 2018년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었던 San Luis Potosi의 공장 설립 계획을 취소하며, 기존 멕시코공장에서 차량을 생산할 예정

- 또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량을 연구하기 위한 제조혁신센터를 설립을 위해 향후 4년간 7억달러를 투자할 계획. 이는 7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 트럼프 차기 대통령, 미국에서 판매하는 GM의 소형차의 일부가 멕시코에서 수입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과세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


■ 유럽

ㅇ 독일 2016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1.7% 올라 전월과 예상치 상회(로이터, 블룸버그)

- 통계청에 따르면, 같은 달 EU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예상치(1.3%)를 넘어, 2013년 7월 이후 최고치. 지난 11월(0.7%)보다 오름폭이 확대되면서, 독일의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ECB의 인플레이션 목표(2%) 달성에 긍정적이라는 평가

- DZ은행의 Michael Holstein, 이번 결과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유가하락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되고 있다고 지적. 향후 수개월 내 독일의 인플레이션율은 2%에 근접할 것이라고 주장

ㅇ 독일 2016년 12월 실업자 수, 263.8만명으로 경기회복으로 인해 최저수준(로이터, 블룸버그)

- 고용청에 따르면, 같은 기간 계절조정된 실업자수는 1만7000명 감소하면서 시장예상치(5000명)를 큰 폭으로 상회. 실업률은 통일 독일 이후 최저수준인 6.0%를 유지. 고용은 2016년에 4340만명 증대되면서, 노동시장은 10년 연속 증가세

ㅇ 프랑스 12월 소비자물가(속보치), 전년동월비 0.8% 상승(로이터, 블룸버그)

-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같은 달 EU 기준으로 11월(0.7%)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어 2014년 5월 이후 최고치. 이는 같은 달 에너지부문이 4.3% 오르면서 물가상승을 주도

ㅇ 스페인, 2016년 경제성장률은 정부 예상(3.2%)을 웃돌 가능성(로이터)

- 긴도스 재무장관, 2016년 GDP 성장률이 전년수준(3.2%)을 웃돌 가능성이 있으며, 2017년 국채 순발행액 목표를 350억유로로 유지할 방침이라고 제시. 스페인은 고용회복으로 가계지출이 호조. 물가는 유가상승으로 12월 크게 올라 2017년에는 연간 1% 정도를 예상

ㅇ 그리스, 금융지원 협의를 위해 재정조정 메커니즘 연장 준비(로이터, 블룸버그)

- 차칼로토스 재무장관, 금융지원 관련 제2차 협의 위해 2018년 이후에도 재정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긴급 메커니즘을 연장할 수 있다고 주장. 현재 그리스 중기 기초 재정수지 흑자 목표를 두고 유럽위원회와 IMF 간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

ㅇ 영국 2016년 12월 제조업 PMI, 56.1로 2014년 6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 마킷/CIPS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제조업 PMI는 전월(53.6) 및 시장예상치(53.3)를 상회. 신규수주가 내수와 수출의 증가로 늘어났으며, 제조업 생산은 전기비 1.5% 상승 예상

- 마킷의 롭 돕슨, 파운드화 절하에 따른 경쟁력 증가가 주요 원인이며, 내수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상황. 다만 파운드화 약세가 제조업체들의 비용상승 압력으로 작용


■ 중국

ㅇ 차이신/마킷 제조업 PMI, 2016년 12월 51.9로 2013년 1월 이후 최고치(로이터, 블룸버그)

- 이는 전월(50.9)보다 오른 것이며, 경기확대와 축소의 분기점인 50을 6개월 연속 상회. 산출지수는 53.7로 2011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신규수주지수도 큰 폭으로 상승. 다만 고용지수는 11월보다 빠른 속도로 축소

- CEBM, 제조업 경기는 12월에도 개선되고 있지만, 재고증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이 지속 가능한지 불투명하여 경기의 안정이 견고한지 여부는 알 수 없다고 지적

- UBS의 Geoffrey Yu, 경제활동이 연말 이후 견고한 것은 명백하여, 유동성, 규제, 환율 등 미시적 문제와 같은 안정성은 커다란 과제가 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

ㅇ 인민은행, 중기유동성지원기구(MLF)를 통해 유동성 공급(블룸버그)

- 자본유출의 가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6년 12월 MLF 계정이 7215억위안(1040억달러) 순증. 이는 2014년 12월 MLF에 대한 정보 공개 이후 최대 상승폭이며, 현재 MLF의 총운용자금은 3조4600억 위안

- 인민은행은 중립적인 통화정책과 높은 부채 수준에 따른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위해 시장에 충분한 자금 공급 시도

- 블룸버그의 Tom Orlik, 중국 당국은 자본유출 가속화에 따른 위안화 약세 압박에 다양한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고 주장

ㅇ 국가정보센터, 2017년 경제성장률 6.5% 전망(로이터)

- 신규 기술이 지속적으로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둔화 추세를 막을 수는 없다고 지적. 위안화와 관련해서는 당국이 시장의 역할을 강화해야하며, 1차례의 평가절하와 유연성 확대를 통해 균형 수준에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

- 또한 자본도피를 적절하게 제어하고, 국유기업의 핵심 사업을 제외한 부문에서 해외투자를 엄격하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ㅇ 인민은행 정책위원, 성장목표를 낮춰 개혁 여지를 확대할 필요(로이터)

- 황이핑(黄益平) 정책위원, 개혁의 여지를 넓히기 위해서는 중국정부가 더욱 유연한 성장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 2016년 성장목표가 6.5~7%였다며, 2017년은 6~7%로 낮춰 성장을 위한 노력보다는 개혁에 더 집중할 필요

- 또한 인민은행의 통화정책의 대규모 완화 가능성은 낮은 반면 긴축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성장목표에 영향. 위안화는 미국 금리 인상의 압력을 단기적으로 받고 있으나,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투자자의 관점에서 큰 영향은 없다고 강조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싱가포르, 2016년 4/4분기 성장률은 제조업 회복에 힘입어 플러스로 전환(로이터)

- 통산성이 발표한 같은 기간 GDP 성장률(속보치)은 전기비연율 9.1%로 3/4분기(-1.9%)에서 호전. 전년동기비로는 1.8%를 나타내, 시장예상치인 전기비연율 3.7%, 전년동기비 0.6%를 모두 상회. 3/4분기 마이너스였던 제조업 성장률은 4/4분기에 전기비연율 14.6%로 호조

- 서비스업 성장률도 4/4분기에 9.4%를 나타냈으며, 2016년 연간 성장률은 1.6%를 나타내, 정부의 예상(1.0~1.5%)을 상회했지만, 2009년 이후 저조. 스탠다드 차타드 Edward Lee, 수출이 중국대상으로 호조였지만,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지적

- 또한 싱가포르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고, 저수준의 안정이라면서 2017년 성장률은 전년 수준을 하회할 것이라고 예상. 시장에서는 4월 통화정책 유지 견해가 다수이나 성장 전망 불확실로 완화를 예상하는 지적도 상존

ㅇ 인도네시아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3.0% 올라 전월보다 상승폭 둔화(블룸버그, 닛케이)

- 통계청에 따르면, 11월(3.6%)보다 상승세가 저하되면서, 중앙은행의 물가목표 하한(3~5%)에 근접. 이에 따라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낮추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의 경기부양책 요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


■ 세계경제 전반

ㅇ 트럼프 효과, 5가지 함정으로 지속적 실효성에 의문(로이터)

- 미국 대선 이후 미국의 장기금리, 주가지수, 달러화 가치가 상승. 이처럼 정권교체는 game change의 기점이 될 수 있으나, 트럼프 효과의 함정이 없는지 냉정하게 정리할 필요성 대두. 첫째, 정책의 격차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은 상이한 영향을 미칠 전망

- 트럼프가 내세우는 재정확장 정책은 금리인상 압력을 높이는 한편 강달러로 연결. 미국의 달러화 가치 상승은 설비투자와 해외수요를 중심으로 경제에 악영향. 외환시장 정책의 동력 부재도 미국경제에 우려 요소

- 트럼프 정책은 재정확장과 규제완화에 축을 두고 있지만, 보호무역주의가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어 마이너스 내용도 내재. 둘째, 금리와 주가의 상승은 양립하지 않아 경기상승세가 약화될 가능성

- 법인세 인하 등으로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되지만, 기업수익에 금리상승과 강달러의 역풍도 잠재. 보호무역주의 대두는 수입제품의 관세인상과 기존 구축된 세계 공급망 분열을 통해 비용 상승이 커질 우려

- 또한 금리상승 압력이 완화되면 주가에 호재. 하지만 이는 트럼프 차기 정부의 재정지출이 당초 기대에 이르지 못할 경우, 주가하락 리스크로 연결될 가능성. 셋째, 신흥국 불안 지속으로, 금리와 달러화 가치 상승은 다수 신흥국 통화에 영향

- 통화가치 하락은 신흥국의 수출경쟁력 개선으로 이어지나 세계무역 감소로 수입가격, 외화표시 대외부채 상환 부담 증가, 외환보유액 감소 등을 유발. 2016년 FOMC는 해외여건을 이유로 금리인상을 보류한 바 있어, 2017년에도 반복될 가능성이 존재

- 다만 불확실성 속에도 FOMC는 재정확대로 인해 신흥국 불안과 관계없이 금리인상을 실시할 공산이 크고, 이는 다시 시장불안을 초래할 소지. 넷째, 재정확대에 대한 과도한 평가로, 공공부채 확대는 생산성과 성장의 지속성 미흡 시 부작용 내재

- 이는 장기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경기부양효과를 상쇄하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도 우려. 재정정책이 성장견인력이 있었다면 통화정책은 애초부터 불필요했다는 평가. 이에 트럼프 효과가 2017년 지속될 가능성은 기대난

- 트럼프는 취임 이후 100일 이내 재정정책을 구사하겠지만, 관련 효과가 미흡할 경우에 지지층과도 괴리가 발생하여 정책 지속성의 난맥이 예상

ㅇ 2017년 세계경제, 혁신 부재 등 성장엔진은 부족(FT)

- 세계대전 전후 세계경제는 지속적인 성장을 지속. Minsky에 의하면, 경기침체에 대응하여 효과적인 통화시스템, 재정수지 적자를 감내하면서도 GDP 규모를 상회하는 재정지출 정책 구사 등이 주요 배경이라고 설명

- 아울러 세계경제를 선도한 미국의 혁신과 신흥국의 추격이 핵심 성장동력이었다는 평가. 예를 들어, 후발주자였던 중국의 1인당 GDP는 1978년에서 2015년 간 23배 성장. 2015년 중국은 미국의 1/4 수준까지 확장한 가운데 인도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편으로, 미국의 1/10 수준(2015년 기준)

- Gavyn Davies는 세계경제가 금년 3% 이상의 성장을 보여 전년보다 호조를 예상. 1950년대 초반 이후 2% 이하 성장률은 나타낸 사례는 석유파동이 있었던 1975년, 1981년, 1982년, 금융위기직후 2009년등에 불과

- 향후 세계 금융위기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는 요소는 유로존의 해체와 중국의 위기로 실제 발생 가능성은 경미. 중국은 금융 불안을 억제할 수 있는 필요한 수단을 보유. 유로존도 역내 통합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편

- 하지만 미국의 트럼프 당선, 프랑스의 마린 르 펜 당선과 난민 유입 등의 EU 정치적 스트레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보복 정책, 트럼프 당선인과 중국 시진핑 주석의 정책차로 인한 균열, 핵 문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다수 상존 

- 중동의 정정불안, 북한의 핵위험, 인도와 파키스탄의 갈등도 잠재. 2016년에는 지정학적 문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낮았으나, 2017년에는 커질 우려 

- 금년에는 단기적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으로, 관련 위험은 장기화될 가능성 내재.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양국간 갈등을 비화시킬 소지

- 장기적으로 주목할 점은 성장 동력의 약화. 후발주자들의 추격은 여전히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세계경제는 생산성 성장 둔화와 초저금리 등 핵심에서 후퇴. 차기 트럼프 행정부가 약속한 미국 주도형 성장은 자국 보호주의 정책을 통한 성공 가능성이 미미

- Robert Gordon, 그럼에도 우려는 혁신의 부재로 인해 장기적인 성장 둔화가 문제라고 지적. 금년 세계경제가 3~4% 성장(PPP 기준)할 가능성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신흥국 경제가 선진국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

- 하지만 신흥국 성장 속에서도 앞에서 서술한 tail risk가 잠재. 수년간 양적완화 정책은 예상과 달리 물가를 끌어 올리지 못했고, 2017년 트럼프 정책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유발하여 실효성에 의문


■ 미국

ㅇ 트럼프의 초장기국채 발행 제안, 득보다 실이 크다는 평가(FT)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공공부채 문제에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저금리 자금조달을 위해 장기국채를 늘리는 방안 제시. 하지만 재무부는 증권 발행이 시장의 민감성을 자극하여 전세계 금융시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입장

- 므누신 차기 재무 장관은 지난 11월, 국채 만기를 50~100년까지 연장하기를 바란다고 언급.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 의장으로 고려되고 있는 Larry Kudlow도 빠른 시일 내에 100년만기 국채 발행이 필요하다고 주장

- 시장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 등으로 대규모 재정 적자가 유발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으며, 장기국채 발행으로 공공부채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하여 경제에 불확실성을 확대하여 득보다 실이 많은 정책이라는 평가

- 현재 미국의 가중 평균한 국채 만기는 69개월로 외국에 비해 매우 짧은 편. 그러나 장기국채를 새로 발행하려면 재무부와 예산관리국의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오랜 기간이 소요될 전망. 한 예로 지난 1997년 처음 제시되었던 변동금리부 채권도 2014년에서야 처음으로 발행

- 이는 재무부가 세밀한 검토를 거치지 않은 상품을 시장에 소개하는 것을 꺼리고, 초장기국채를 산발적으로 매도하면 재무부와 현재 주기적으로 운영되는 국채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 또한 초장기국채 매매에는 현재의 경매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 필요

- 과거 재무부에서 근무했던 Amar Reganti, 재무부에서도 초장기국채 발행을 고려해 보았지만 발행에 따른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고 언급

- 반면 재무부의 Brian Edmonds, 재무부가 과도하게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고 평가하며, 초장기국채 발행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고, 연기금과 같이 장기부채 상쇄가 필요한 기관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

ㅇ 루비니, 트럼프 무역정책은 현실성이 없다고 평가(블룸버그)

- 뉴욕주립대 루비니 교수, 향후 미국 경제정책이 보호주의적 성격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 브렉시트 협상은 다루기 힘든 주제이기 때문에 소요 기간은 2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향후 미국이 영국과 개별적으로 교역을 하게 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주장

- 브렉시트로 영국은 시장 접근 제한이라는 경제적 위험에 직면하겠으며, 유로존은 서서히 붕괴될 것으로 예상. 4개월 뒤 프랑스 대선에서 르펜이 승리하고 이탈리아 의회 선거에서 반유로 입장의 정당이 우세해질 경우 유로존 붕괴가 시작될 것이라고 언급

ㅇ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 전세계 중앙은행의 완화 압력 축소(블룸버그)

- 인도중앙은행 前 총재 라구암 라잔, 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이 예상되어 전세계 주요 중앙은행들은 완화 정책 지속 부담이 줄어들었다고 언급 

- 연준의 점진적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어 달러화 강세 지속 기대. 달러 강세와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수출에 타격이 예상되지만, 이는 차기 정부의 조세 삭감, 인프라 투자 등 완화적 재정정책으로 상쇄될 것이라고 전망

- 지금까지 경제에서 정부의 재정정책보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강조되었지만, 최근 정치 구조 변화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균형을 이루고, 향후 중앙은행의 역할은 인플레이션 억제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

- 다만 미국 일자리 감소의 원인은 자유무역보다는 기술진보와 자동화라고 주장하며, 자유무역이 경제에 불이익을 가져온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고 지적. 중앙은행은 정부 재정정책에 목표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판단에 따라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

ㅇ 중산층 일자리 감소, 훈련 프로그램 등 정부의 대책 필요(WSJ)

- 중산층이 주로 종사하는 저숙련 단순반복직(routine jobs), 일자리 감소가 큰 우려. British Columbia 대학 보고서(Disappearing Routine Jobs)에 따르면, 경제 디지털화로 저숙련 노동이 자동화되거나 해외로 유출되고, 국내에는 저임금 서비스업과 고숙련 일자리만 남게 되었다고 분석

- British Columbia 대학의 Henry Siu, 단순반복직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으며 핵심생산인구 (prime age)의 노동 참여율이 감소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사회의 노동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지 못하는 노동자를 위해 정부에서 훈련 교육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

ㅇ 2017년 주식시장, 기업 이익성장률에 주목할 필요(WSJ)

- 대선 이후 주가는 6.7% 정도 반등하였으며, 이는 트럼프 정책 기대 뿐 아니라 기업 이익성장률 개선에 따른 결과. FactSet에 따르면, 2016년 3/4분기 S&P500 내 기업이익 성장률은 전년동기비 3.1% 올랐으며 이러한 상승세가 지속되어 4/4분기 성장률은 3.2%에 달할 것으로 예상

- JP모건, 골드만삭스 등의 이익은 8% 늘어날 것으로 예상. 다만 4/4분기 산업주가 다소 부진하며 강달러 지속으로 다국적기업 이익에 부정적 영향이 전망

- Univest Wealth Management Division의 Tom Cassidy, 장기적으로 주식시장 호황은 기업이익이라고 언급. 트럼프정책은 시행되더라도 하반기 이후 적용되어 시장은 기업이익 성장률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ㅇ 트럼프 취임에 따른 불확실성, 경제에 중요 위험으로 주목할 필요 제기(블룸버그)

- 트럼프 랠리에 대해 전 재무장관 서머스, 현 시장이 정권 교체에 따른 위험에 과도하게 안일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고 평가

-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외교 정책 변화, 국내 사회 정책 변경 등은 이념적·실질적 정책 면에서 75년 만에 가장 큰 변동으로 미국과 전세계 경제에 막대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

- 또한 차기 국가무역위원장 나바로와 차기 상무장관 로스의 공동 보고서(Navarro-Ross paper)에 대해 트럼프의 경제 정책을 미신적일 정도로 맹신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류 경제학적사고가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

- 조세 삭감이 기업의 국내 투자와 고용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도 기업들이 면제된 세금을 배당금 지불, 주식 재매입, 인수합병 등 재정 구조 재정비에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 신규 투자나 고용 증가는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


■ 유럽

ㅇ 영국의 EU 이탈과정, 투자결정 문제 등 과제산적(FT)

- 시장에서는 메이 총리가 약속한 3월 말 리스본조약 50조 발효는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평가. 대법원에서 어떠한 결정을 내려도 의원들이 국민투표에 의해서 결정된 국민의 의지를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

- 브렉시트 영향이 유럽 극우정당의 승리를 가져올지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평이 대세. 3월 네덜란드 총선, 4월 프랑스 대선, 가을 독일 총선에서 극우정당의 지지율이 높아지기는 했으나, 여전히 중도우파 성향의 정당 승리 가능성이 높은 상황

- 주요 은행들의 영국에서의 사업 재개 여부에 대해서는 금융기관들이 EU에 대한 패스포트를 잃지 않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전망

- 영국의 EU 이탈과정에서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판단. 높은 물가상승률에 따른 실질 소득증가세 둔화와 함께 기업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투자결정을 보류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영국의 금년 총선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전망이 우세. 현재 노동당의 지지율이 낮은 상황이라 총선을 요구할 가능성이 적은 편이며, 메이 총리도 2018년 말까지는 EU 이탈 협상에 집중할 것이라고 지적


■ 일본

ㅇ 채권시장, 금리인상으로 채권 발행 스프레드 확대 기대(블룸버그)

-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6년 회사채 발행액은 11조6939억엔으로 2012년 이후 최대치. 채권 발행자의 조달비용 상승 요인인 시장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2016년 12월 채권 발행액은 9820억엔으로 전년동월대비 112% 증가

- 회사채 평균 수익률은 2016년 7월 0.1%로 최저치를 나타낸 후 상승세로 전환. 발행자의 조달비용 상승에도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경기상승 기대로 평균 수익률은 현재 0.25% 상회

- 금리인상 기대가 반영되지 않으면, 2017년 공모 회사채 발행액 10조5000억엔으로 추정. 금리 인상 기대 반영 시 전체 발행액 규모는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

- 저금리 기조에서 전체 채권 발행 규모는 2016년과 비슷한 10조엔에서 11조엔 사이에 머무를 전망. 그러나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채권 투자자의 금리 스프레드를 통한 수익 기대가 예상

- 2016년에는 저금리 기조에서 높은 금리가 기대되는 초장기 채권과 후순위채 발행이 활발했지만,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로 회사채의 프리미엄이 확대 예상

ㅇ 미국 보호무역주의, 일본에도 여파 예상(닛케이)

-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 Lighthizer 임명. 보호무역주의에 우호적인 라이시저의 기용은 무역수지 적자 축소 실행을 위해 무역 상대국에 강경책 사용 가능성이 높은 편

- 아울러 나바로와 로스는 지난 미국 대선과정에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을 입안하고, 이들의 주요정책은 무역 불균형 해소를 통한 성장추진. 이를 위해 무역상대국에 미국 제품 수입목표 도입을 요구할 방침

- 시장은 라이신저에 대해 WTO 규정 확대 해석을 통한 對中 협상을 유리하게 진행했다고 평가. 또한 현재 위안화 약세를 반영해 반덤핑 과세 세율의 인상 혹은 중국제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과 같은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

- 트럼프 정권의 강경한 통상 정책의 적용 대상이 대규모 對美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일본에 해당될 가능성. 이는 트럼프의 일본 자동차에 대한 관세 인상 주장과 엔저 현상에 대한 비판이 실제 환율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면 우려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멕시코 경제전망, 통화가치 하락과 높은 물가상승률로 부정적(블룸버그)

-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 트럼프 당선인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철폐와 국경 장벽 건설 등의 정책이 자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발언. 애널리스트는 트럼프의 정책에 무관하게 멕시코 경제는 위기 상황이라고 평가

- 멕시코 경제는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출현 이전에도 페소화 가치 하락과 높은 물가 인상률로 3년 연속 성장 둔화가 예상되었으며 경제학자들은 금년 국내 총생산 확대는 1.7%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 이는 2013년(1.4%) 이후 가장 느린 속도

- 노무라의 Benito Berber, 정책입안자에게 힘든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제언. 성장 부진의 경제에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 물가 상승승률이 기관 목표치 범위의 최대인 4%를 계속해서 상회하여 중앙은행은 긴축정책을 추진할 가능성

- 트럼프의 국경 장벽 건설 보다는 기업의 해외 이전 반대가 멕시코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측. 2015년 해외 직접 투자 금액인 300억 달러의 절반 이상은 미국에서 유입. 씨티는 금년 총 해외 투자 예상치를 358억 달러에서 250억 달러로 하향조정

- 가장 큰 영향은 트럼프 당선 이후 달러화 대비 11% 추락하면서 역대 최저치 가까이 하락한 페소화 가치. 이는 물가 상승률로 이어져 중앙은행 개입에 압력



■ 세계경제, 미국 주도의 성장 견인에도 정치 및 금융불안 등이 잠재(J.P. Morgan 등)

ㅇ 미국의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수요증가가 각국 경기활성화에 긍정적

ㅇ 2016년 하반기부터 미국, 유럽, 일본 제조업 PMI의 상승세가 가시화된 가운데 2017년에는 미국 신정부의 재정지출 증가 효과가 신흥국 경기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

- 최종 수요가 늘면서 아시아 수출국 경기도 호전되는 한편 물가상승 압력 확대로 기업 수익성도 전년보다 개선될 가능성

ㅇ 향후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향방,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 중국경제의 금융시장 불안 등이 세계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

- 트럼프가 내세우는 보호무역주의는 실현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규제완화, 세제변화 등이 미국경제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 유럽의 선거결과는 EU 통합 문제를 둘러싼 위협요인. 다만 재정건전성을 위한 대차대조표 개선, 유럽재정안정화기구(ESM)의 금융 안정화 조치 등 EU의 제도적 대응은 관련 리스크를 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대외수요 증가로 2017년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재정지출 확대가 긴요. 아울러 위안화 가치 하락에 따른 자본유출 등 금융불안 대응이 중요한 정책과제


<그림 1> 선진국 및 신흥국 GDP 성장률 추이


<그림 2> 세계 소비자물가지수(CPI) 추이

■ 세계경제

ㅇ 2017년 세계경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옐런 의장 등의 영향력은 큰 편(로이터)

- 2017년 금융시장에 주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은 트럼프 차기 대통령, 옐런 연준 의장, 메르켈 독일 총리. 트럼프는 최초의 기업가 출신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 경제정책은 전세계 경제에 큰 영향력 행사

- 환율의 관점에서는 옐런 연준 의장과 더불어 므누신 차기 재무장관과 구로다 일본은행 총재가 주목할 만한 인물. 므누신 차기 재무장관은 최근 자본 유입으로 인한 달러 강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통화약세보다는 경제성장과 고용확대가 정책적 우선순위라는 의견

- 다만, 달러 강세가 제조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입장 변화 가능성. 또한 므누신은 트럼프 정부의 인프라 지출 계획에서 자금조달을 담당하기 때문에, 많은 우려를 받고 있는 인프라 투자계획 실행에 중요한 역할 담당.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간주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자세

- 따라서 일본은행은 단기금리 인하를 위한 추가 완화, 장기목표금리 인하, 자산매입 확대, 본원통화 확대 등을 대안으로 고려. 하지만 앞의 두 대안은 금융주 하락과 추가 완화 수단 한정 등의 문제가 있고, 나머지 두 대안은 일본은행의 수익률곡선조작 정책에 모순되어 어려움 예상


■ 미국

ㅇ 트럼프 정부 출범, 통화 및 재정정책의 균형 전망(FT)

-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전세계 경제 전반에 4가지 거시적 변화가 예상. 첫째, 트럼프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정책 시행에 따라 연준도 발표되는 수치 자료에 단순 반응하기보다는 더욱 적극적이고 전략적으로 통화정책 시행 전망. 둘째,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재정·통화 정책의 균형이 예상. 이제까지 경제 정책 시행에 있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만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으로 비용과 위험성 증가. 셋째, 여타 국가의 성장부진으로 미국과의 금리 차에 따른 달러 강세 심화 가능성. 넷째,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대중영합주의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에도 미국은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균형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 예상. 반면 영국, 프랑스 등 유럽의 국수주의적 움직임은

지역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내며 불확실성 확대의 원인


■ 유럽

ㅇ 유로존 2016년 12월 제조업 PMI(확정치), 54.9로 5년 8개월 만에 최고 수준(블룸버그)

- IHS Markit에 따르면, 같은 달 제조업 PMI는 전월(53.7)을 넘어서며 예상치(54.9)와 일치. 이는 유로화 약세에 따른 생산 및 신규수주의 상승 등이 주요 요인

- 독일의 12월 제조업 PMI는 55.6으로 2014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고, 프랑스도 53.5를 나타내며 2011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독일과 프랑스 모두 신규수주가 상승을 견인

- IHS Markit의 Chris Williamson, 생산량 증가로 작년을 마무리하고 금년에도 경기 상승국면을 지속할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현 추세 지속 시 금년 연간 제조업생산 증가율이 4%에 이를 것으로 추정

ㅇ Ifo, 이탈리아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 제시(로이터)

- 경제연구소 Ifo의 Clemens Fuest, 현재 이탈리아 생활수준이 2000년과 비슷하며, 이에 대한 개선이 가시화되지 않으면 더 이상 유로존 잔류가 무의미하다고 지적

- 또한 독일이 이탈리아 구제금융에 찬성한다면, 독일의 조세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어 의회가 이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

ㅇ 도이체방크, 여타 은행과의 합병 또는 구제금융 필요 없다고 강조(로이터)

- CEO인 Paul Achleitner, 미국 법무부와 벌금 합의 이후 경영 건전화를 위해 모든 방법을 고려. 현재는 합병과 구제금융 요청보다는 다른 대응책에 우선순위

- 또한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직 단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투자은행 부문을 유지하고 다양한 규제들을 이행할 것이라고 약속

ㅇ 이탈리아 12월 자동차판매, 전년동월비 13.1% 증가(로이터)

- 교통부에 따르면, 같은 달 판매대수는 12만4438대. 2016년 전체 자동차판매는 182만대로 전년비 15.8%증가 

ㅇ 영국 메이 총리, 브렉시트 앞두고 국민의 단합을 강조(블룸버그)

- 신년사를 통해 EU 탈퇴를 위한 공식 대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는 어느 시기보다 더 많은 기회가 많은 시기라고 주장. EU와의 협상에서 인력이동과 관련하여 보다 나은 협상 결과를 도출하고, 국가의 이익을 얻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


■ 중국

ㅇ 인민은행 황이핑(黃益平) 위원, 중국 성장률 목표 6~7%에서 설정할 필요(블룸버그)

- 6.5%라는 성장 목표는 평균치에 지나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고용이 안정된 이상 단기적으로 성장 목표를 다소 확대하는 것은 성장 지향의 대응 필요성을 줄이고, 당국이 개혁에 집중하는 여지를 넓힌다고 강조

- 아울러 좀비 기업은 경제적으로 존속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되고 있지만, 당국과 은행의 지원으로 생존하고 있어 중국경제의 자원배분에서 효율성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고 주장

ㅇ 인민은행, 환전규제 강화에는 자본통제 목적 의도와 무관(블룸버그)

- 연구국의 마쥔(馬駿), 작년 말 발표된 환전규제의 강화 방침으로 자본통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는 지적과 관련하여, 이번 조치는 자금세탁이나 테러 관련 자금공급 방지 목적의 일환이라고 설명

- 또한 개인의 환전 한도액(연간 5만달러)은 이전과 동일하며, 새로운 환전규정이 기업투자, 유학, 해외여행 등의 정상적인 경제활동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지적

ㅇ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석탄 증산을 위한 5개년 계획 발표(블룸버그)

- 비효율적인 생산설비의 폐기를 진행하며 2020년까지 석탄 생산량을 39억톤까지 늘릴 방침. 2020년 소비량은 41억톤으로 설정. Argonaut Securities는 2018년 석탄생산량은 33억톤이 예상되어 2020년 목표치를 18% 상회한다고 추정


■ 일본

ㅇ 일본은행, 대출지원제도 연장 검토(닛케이)

- 금융기관의 대출지원제도 연장방안을 1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결정. 이는 금융기관의 대출확대를 유지하는 한편 디플레이션 탈피가 목적. 일본은행은 대출지원, 성장기반 강화 지원이라는 2가지 제도를 통해 대출에 적극적인 금융기관에 0% 금리로 대출

- 이는 7년 전 운용을 개시하고, 금년 3월말 만기가 도래. 일본은행은 금융기관에서 제도 연장이 기대되고 있다는 요청 등으로 2015년말에도 1년 연장. 관련 제도는 통화정책 완화 효과가 높은 편으로 실물경제에 자금을 융통하기 쉬운 편

- 대출지원은 작년 12월 기준 대출잔고가 대형은행에 20조8708억엔, 지역금융기관에 11조8112억엔이며, 126개 금융기관 대출잔고는 32조6820억엔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아시아, 통화가치 방어를 위해 금융안정망 확대(닛케이)

- 한·중·일과 ASEAN은 2017년에 각국 합의로 대차할 수 있는 달러화 조달범위를 현 720억달러에서 960억달러로 확대할 방침. 금년 미국 금리인상과 유럽 선거 등으로 신흥국 통화 급락 우려가 고조되고 있기 때문

- 아시아 역내 외환위기를 방어하기 위해 구축한 다자간 금융협력체계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에서 확보한 현재 기금 규모는 2400억달러이나 각국 합의만으로 가능한 대출은 30%(720달러)로 나머지 70%는 IMF 구제금융 지원 결정이 필요

ㅇ 브라질, 2016년 무역수지 흑자는 수입 감소 확대로 사상 최대(로이터, 블룸버그)

- 무역부 발표에 따르면, 같은 기간 경기침체와 헤알화 절하로 수입감소가 큰 폭으로 이루어지며 수출부진을 크게 웃돌아 무역수지 흑자는 이전 최대치인 2006년(464억5000만달러)를 상회하며 476억9000만달러를 기록. 작년 12월에는 44억2000만달러 흑자

- 수입감소는 고실업과 투자저조로 장기화된 경기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통화가치 하락에도 수출은 증대되지 않았다고 평가. 다만 무역대상국의 경기개선으로 2017년 수출과 수입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

ㅇ 인도 2016년 12월 닛케이/마킷 제조업 PMI, 49.6로 1년 만에 최저 수준(로이터, 블룸버그)

- 이는 모디 총리의 고액지폐 회수로 유동성 부족 발생이 주요 원인. 마킷의 Pollyanna De Lima, 유동성 부족 문제가 2016년 지속되던 성장여력을 훼손하고, 생산과 신규 수준을 악화시켰다고 지적

- 지방 수요의 주요 지표인 오토바이 판매도 18% 감소하며 경기위축을 반영. 인도 최대 규모 자동차 회사인 Maruti Suzuki는 작년 판매가 전년대비 1% 줄었고, 12월 판매량은 4.4% 감소


■ 세계경제 전반

ㅇ 2017년 금융시장, 트럼프 정책·유가 안정·유동성 여건 등이 주요 현안(블룸버그, FT)

- 작년에 예상과 다른 정치적 사건들이 발생했지만 주가는 상승하고 채권가격은 하락. 금년 금융시장 전망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들이 시장의 주요 현안으로 부상할 전망

- 첫째, 트럼프 정책. 투자자들이 트럼프 정권의 경기부양책과 규제완화가 경제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면서 주가상승과 채권가격 하락이 발생. 하지만 최근 달러화 강세에 따른 미국 기업의 수익 악화 가능성 상존

- 또한 그 동안 주가가 큰 폭으로 올라 부담스러운 수준에 있다는 의견도 제기. Schroders의 Jenny Jones, 트럼프 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믿지만, 주가가 이를 이미 반영하고 있어, 오히려 투자자의 실망이 향후 시장에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

- 둘째, 유가 안정. OPEC과 비OPEC 국가들이 감산합의를 준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국 셰일 업체들의 산유량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발생도 가능. 원유시장의 수급 균형이 이루어지면 유가는 배럴당 50달러 이상에서 유지될 전망

- 셋째, 은행권 실적 회복. 규제강화와 저금리 장기화로 오랫동안 실적 부진을 겪었던 미국, 유럽, 일본 은행들의 주가는 작년 하반기에 상승. 이는 향후 성장 가속화와 금리상승에 따른 예대마진 확대 기대가 반영된 결과

- 하지만 아직까지 유럽 은행권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 상존. 2016년 유럽 은행지수의 주당순자산(PBR) 비율이 0.68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년비 높은 수준

- 넷째, 유동성 여건. 연준은 금년 3번 이상의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을 시사. 하지만 미국의 성장률이 2%대에 불과한 상황에서 3번의 금리인상에 따른 유동성 감소와 달러화 강세를 연준이 용인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확실

- 다섯째, 신흥국 자본유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이후 신흥국 자본유출이 크게 늘었고, 특히 멕시코 페소화와 터키 리라화 가치가 급락. 미국의 금리상승이 지속된다면 신흥국 자본유출은 더욱 심화될 전망

- 다만 러시아 루블화(미국과의 우호적 관계 유지), 멕시코 페소화(과도한 하락으로 저평가 국면), 칠레 주식(정부의 친기업 정책), 인도네시아 주식(양호한 내수 시장) 등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


■ 미국

ㅇ 달러화 가치 상승, 다수 국가에는 위협 요소(WSJ)

- 시장에서는 강달러가 미국경제의 낙관적 견해 확대를 시사하는 가장 명확한 신호로 간주. 2017년에도 달러화 가치 상승을 예상하고 있어 미국의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2011년 이후 33%나 오르고 있는 강달러 기조는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

- 운용액 7억달러의 Sunrise Capital의 Christopher Stanton, 지금은 모든 통화를 팔고 달러를 매입해야 하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 달러화 가치 상승은 수입제품이 저렴하게 되어 소비자와 기업의 구매력은 증가

- 반면 미국 제품의 경쟁력을 저하시켜 기업수익 감소와 주가하락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어 미국 수출업체에는 타격. 신흥국은 지속적인 강달러가 유가와 원자재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달러 기준 부채를 안고 있는 국가에는 부정적 영향

- 중국은 달러화 가치 상승이 자본유출 악화와 유동성 축소로 이어져 금융시장 불안 요소로 작용. 미국 금리인상은 중국 국채가격이 하락하는 동시에 주식시장도 변동성이 확대

- 도이체방크의 Alan Ruskin, 차기 트럼프 정부에서 실시될 예정인 재정정책이 달러화에 활력을 미친 것은 틀림없으며, 이는 정책 dynamics의 큰 전환이라고 지적, 주요 1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WSJ 달러화 지수는 2016년 3.1% 상승

- 씨티 은행의 조사에 의하면, 고객의 60% 정도가 2017년 달러화 가치가 선진국과 신흥국 통화에 대해 높아진다고 제시. 그럼에도 트럼프의 인프라 투자와 감세 방안은 성과를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하는 이들도 존재

- 과거 재정지출 확대가 달러화 가치에 미친 영향은 상이. 미국 ICE(Intercontinental Exchange)가 산출하는 달러화 지수는 1981~85년 중 레이건 정부가 실행한 재정부양책과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80%나 상승

- 그런데 도이체방크 보고서에 의하면, 조지 W 부시 정부에서 감세는 연준의 비둘기파 우세와 미국 증시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2000년대 달러화 가치 상승 여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

- 시장은 연준이 달러화 가치 상승을 주목하여, 관련 여파가 미국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면, 금리인상 속도를 완만하게 유지할 가능성도 제기. 자산운용사 Neuberger Berman의 Thanos Bardas, 단기간 달러화 상승에 우려를 표시

- Thanos Bardas는 시장에는 지나친 낙관적 견해가 존재한다고 밝히면서, 현명한 거래는 신뢰와 검증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

ㅇ 트럼프 랠리(주가·금리·달러화 가치 상승), 향후 지속 여부는 불확실(로이터)

-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정책 기대로 주가, 금리, 달러화 가치의 상승이 지속. 하지만 다음의 5가지 이유에서 트럼프 랠리의 지속 여부는 불확실

- 첫째, 재정지출 확대가 경기부양에 긍정적 역할을 하지만 금리인상은 경기상승을 저해하는 요인. 또한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재정지출 확대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달러화 강세를 초래하여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상존

- 일본에서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모두 저물가·저성장 탈피를 위한 엔화 약세를 유도. 반면 트럼프노믹스에서 재정지출 확대와 규제완화는 경기부양 압력으로 작용하나,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 둘째, 금리와 주가의 장기적인 동시 상승이 불가능. 현재 S&P500 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9로 IT 버블시기를 제외한 장기 추세의 상단에 위치. 법인세 인하 등으로 기업실적 개선이 기대되나 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 등의 역풍도 예상

- 금융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로 금융부문 주가는 이미 IT 버블기 수준에 있으며, 유가상승에 따른 에너지 관련주의 강세도 세계경제의 저성장 탈피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증시를 견인하기 어려울 전망

- 셋째, 달러화 강세의 여파로 신흥국 불안정이 지속. 일반적으로 통화가치 하락은 수출경쟁력 향상을 가져오지만, 지금과 같은 세계무역 축소기에는 대외부채 상환 부담 증가, 수입물가 상승 등의 부정적 영향이 부각

- 미국 연준은 신흥국이 다소 불안정하더라도 금리인상을 멈추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이는 시장의 불안을 초래. 이와 같은 여건에서 미국 증시만의 지속적 상승은 불가능

- 넷째, 재정지출 확대 효과의 과대평가. IMF는 2016년 미국의 공공부채 규모가 명목 GDP 대비 108.2%에 이르러 차기 정부가 출범하기도 전에 이미 선진국(35개) 가운데 5번째로 높은 수준에 있다고 발표. 1~4위는 각각 일본,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 공공부채의 증가가 반드시 생산성 향상과 지속적인 성장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장기금리가 상승하면 경기부양 효과는 급격히 감소. 이를 고려할 때, 트럼프 랠리가 2017년 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

- 마지막으로, 달러화 강세와 주가 상승에도 트럼프 지지층의 불만이 높아질 가능성. 지난 8년간의 민주당 정권에서 주요 주가지수가 3배 상승했지만, 민주당 후보가 대선에서 패한 것은 주가상승이 오히려 경제격차 확대를 조장했다는 비판 때문

- 유권자들은 당분간 트럼프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겠지만, 실제 효과가 실망스럽다면, 트럼프에 대한 지지율이 하락하고 공화당 의원들도 트럼프와 거리두기에 나서, 정부의 정책운영에 어려움이 가중될 전망


■ 유럽

ㅇ 2017년 유럽 경제, 극우정당 정당의 주요 선거 승리 여부가 변수(로이터, WSJ)

- 금년 유럽 경제는 대중영합주의를 내세우는 정당이 주요국의 선거에서 승리 여부에 따라 분수령을 맞을 전망. 터키 주재 러시아 대사의 피살사건은 1914년 사라예보에서 발생한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 암살을 연상시키며, 향후 정치적 충격 발생을 예고

-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는 세계화와 자유 민주주의, 미국과 유럽의 우위성을 제시했지만, 2016년은 이와는 다른 양상이 전개될 가능성 농후. 베를린의 트럭테러는 금년 총선에서 실현 가능성이 낮지만, 극우정당의 집권 확률을 높일 변수

- 이에 따라 메르켈의 이민정책에 반발하는 정치적 압력 고조는 거의 확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전역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정치의 장으로 변모. 이로 인한 문제로 유로존 통화의 내구성 문제가 제기

- 작년 12월 초 실시된 이탈리아의 국민투표에서는 오성운동이 정권 창출의 현실성이 커졌고, 이탈리아가 EU 이탈 시 유로화는 브렉시트가 사소한 문제였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전망

- 아울러 러시아는 유럽의 정치적 혼란에 개입할 가능성이 높고, 트럼프 미국 정부의 출범은 NATO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

- 경제적으로는 미국 연준과 ECB의 통화정책 차별화 영향으로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의 하락과 역내 자본유출이 지속.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선거에서 反유로 정당이 승리하면 EU의 유지 및 향후 경제성장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

- 또한 미국 트럼프 정부의 중국과의 대립은 유로존 대외여건 악화 요인, 중국이 국제사회와 제휴를 강화한 이유는 국제무역을 통해 수혜를 얻었기 때문. 하지만 트럼프는 자유무역체제 후퇴시키는 정책을 구사할 가능성은 분명

- 작년 12월 BofA의 투자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가 유로화 미래에 대한 회의적. 골드만삭스의 Andrew Wilson, 프랑스의 극우정당을 이끄는 르펜의 총선 승리 가능성을 tail risk로 지적

- 다만 최근 지지도 조사에 따르면,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모두 극우성향 정당의 승리 가능성은 낮은 편. 만일 정치적 불안감이 완화되고, 기업이익의 회복이 지속된다면 해외로 유출되었던 자본도 환류할 것으로 예상

- Prime Partners의 Francois Savary, 유럽이 그 동안 가장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인 지역은 맞지만 투자자들의 시각이 과도하게 부정적이라면서, 내년에는 미국증시보다 유럽증시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

ㅇ 포르투갈의 反긴축정책, 예상보다 양호한 경제성과 달성(FT)

- 2015년 11월 코스타 총리가 부임했을 때 반대파 인사들은 재정긴축을 거부한 그를 무모한 모험가라고 비난하고 국가에 다시 한 번 비상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 하지만 비상사태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고, 그의 지지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

- 코스타 총리는 긴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경기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 하지만 야당 지도자인 파소스 코엘료(Passos Coelho)는 또 다른 위기 발생을 확신한다고 반박했으며, 신용기관들도 아직 회의적 시각을 유지

- 이들은 1.2%의 낮은 경제성장률로 GDP 대비 130%를 넘어서는 공공부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지적. 또한 취약한 은행권으로 최근 국채 10년물의 수익률이 4%를 넘어섰으며, 이는 향후 정부의 이자부담을 크게 늘릴 것으로 예상

- 그러나 분명한 점은 포르투갈이 당초 예상보다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어내고 있다는 사실. IMF는 2016년 GDP 대비 재정수지 적자가 3.0% 이하로 낮아져 2015년(4.4%)보다 저하될 것으로 추정. 실업률도 2016년 10%로 2015년의 12.6%에서 낮아질 전망

- 리스본대학의 Ricardo Paes Mamede, 예산적자는 통제가능하고 유로존 연내 수출도 긍정적이라면서, 코스타 정부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지나치다고 평가


■ 중국

ㅇ 對美 직접투자, 미국 차기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등이 저해 요인(FT)

- Rodium Group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대미 직접투자는 456억달러로 전년비 3배 늘었지만, 트럼프 정부의 對中 통상정책을 고려할 때 지속적 증가는 기대난 

- 중국인 소유의 미국 내 실물자산은 1000억달러에 이르고, 중국 기업의 고용은 10만명을 상회. 과거에는 양국 간 투자에서 미국이 주도했지만 최근에는 중국의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늘어나는 등 장기간 지속된 불균형이 점차 해소

- 중국과 미국의 성장 차별화 가능성을 고려하면, 이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 하지만 중국정부는 자본유출 급증을 우려하며 해외투자 심사를 강화하고 있고, 미국정부는 안보문제를 이유로 중국의 자국 내 투자를 경계

- 또한 트럼프 차기 대통령은 일자리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중국을 지적하는 등 양국의 통상 관련 갈등은 점차 깊어질 것으로 예상. Rhodium Group, 양국 간 정치적 이해관계는 향후 해외직접투자에 부정적 요인이라고 강조

ㅇ 환전규제 강화, 위안화의 신뢰성을 측정하는 시험대(FT)

- 외환관리국(SAFE)은 개인의 연간 환전한도를 기존과 같은 5만달러로 설정했지만, 시중은행에 새해부터 금액이 많거나 의심스런 거래에 절차를 보다 철저하게 처리하도록 지시

- 연준이 작년 12월 금리를 인상하고, 차기정부가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에 나설 전망이어서 강달러와 그에 따른 달러화 매입 증가는 지속될 가능성. 금년 4월 이후 위안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8% 하락. 다만 다른 주요 통화대비로는 상승

-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산의 10% 이상을 외국통화 표시 자산으로 보유하기 원하는 가구의 비율이 55%로, 작년 1월(38%)에 비해 상승. 당국은 위안화의 약세를 막기 위해 달러화 매도에 나섰고, 이에 외환보유고는 4조달러에서 최근 3조달러로 감소

- Standard Bank의 Jeremy Stevens, 정부는 달러화 대비 가치를 통해 위안화의 신뢰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으며, 위안화는 여전히 엔화, 유로화, 파운드화 등 주요 통화대비 강세를 나타낸다고 지적 

- 국영매체들도 3조달러의 외환보유고는 적정한 수준이라고 주장. 하지만 SAFE는 환전규정을 강화할 것이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향후 환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는 등 자본유출의 급증을 경계


■ 일본

ㅇ 해외의존도 강화, 보호무역주의 추세로 불확실성 고조(닛케이)

-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유럽의 정치적 혼란 등의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나치게 빠른 유가 상승이 이어지면, 소비부진이 우려되며 예상 성장률 1%대 달성이 어려워질 전망

- 또한 중국 정부는 6.5%의 성장률을 제시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향후 재정 지출 축소를 예상. 이에 따른 위안화 약세와 아시아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으로 달러화 강세가 진행되면, 기업의 달러 표시 부채 증가로 경기는 둔화될 가능성

- 유가 상승과 엔화 강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은 일본은행이 2%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달성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물가관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 그러나 물가를 상회하는 실질임금의 상승이 없다면, 소비부진이 이어질 우려


■ 주요 신흥국·기타 선진국·원자재

ㅇ 아시아 기업의 성패, 미국의 트럼프 정책이 관건(닛케이)

- 금년 아시아 기업의 성과를 결정할 많은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시장에서는 미국의 트럼프 정권을 가장 중요한 변수로 지적

- Fubon Securities의 Charles Hsiao, 미국의 인프라 지출 확대는 철강 등의 주요 원자재와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며, 이에 미국에 생산시설을 확장하고 있는 대만의 Formosa Plastics 등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분석

- 강달러에 따른 아시아 통화 약세는 아시아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지만, 중국의 ‘하나의 중국’노선은 미국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수출 저하 요인 

- 애플의 협력업체인 Hon Hai는 미국 내 생산시설 이전을 검토. 이는 비용상승을 초래하여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 이민자 제한 강화 정책도 미국에 인력을 파견하는 인도 IT 서비스 업체 실적 부진 원인이 될 전망

- Reyl Singapore의 Darly Liew, 세계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해외 요인의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내수시장을 갖춘 기업이 유리할 수 있으며, 이에 베트남 기업들을 주목해야 한다고 평가

ㅇ 인도, 고액권 폐지에 대한 찬반양론이 대립(FT)

- 고액권 폐지 발표 후 경제 혼란이 지속되고 있지만, 모디 총리는 이번 조치로 인도의 지하경제 양성화 등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 하지만 2016년 초부터 시작된 다양한 개혁조치의 성과는 미흡한 상태

- 고액권 폐지 지지자들은 지하경제를 양성화시켜 세원이 늘어날 수 있다고 주장. Observatory Group의 Surjit Bhalla, 소비자들에게 심리적 충격을 주어 전자거래의 활성화 및 세원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

- 하지만 반대 측 인사들은 은행에 유입된 현금 규모가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등 소비자의 경제활동 자체가 위축되었으며, 모디 총리의 경제개혁 추진 능력에 대한 신뢰성도 상당한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