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미국의 교육 시스템은 '노예가 되는 법'을 가르키고 있다.

by 성공의문 2012. 1. 28.


오늘은 John Kozy라는 전직 철학/논리학 교수가 쓴 글을 올려 봅니다. 논란의 소지가 있을 듯 한데요, 저 역시 이 사람의 주장에 100%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감되는 부분도 많이 있어서 올립니다. 종교에 대한 언급도 있는데, 그건 핵심이 아니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으셨으면 합니다.(어쨌든, 저자는 종교인은 아닌 듯)

 
The Crisis of Education in America: "How to Become a Serf"
A society in which people exist for the sake of companies is a society enslaved
 
미국 교육 시스템의 위기: “노예가 되는 방법”
기업을 위해 인간이 존재하는 사회는 노예 사회다
 
Man is a pathetic creature; a brute trying to be god but traveling in the wrong direction.

인간은 참으로 한심한 존재다; 신이 되고자 노력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짐승이다.
 
For many years, I have been troubled by what I saw as the results of what passes for education in America and perhaps elsewhere too. Why is it, do you suppose, that one generation does not seem to get any smarter than the previous one? Oh, it may know more of this or that, but what it "knows" does not translate into smarts. In other words, why don't people ever seem to get wiser? Why do they repeat the same mistakes over and over?
 
나는 지난 수년간 미국(외국 국가들도 해당될 것으로 생각됨)의 교육 시스템이라는 것의 실체를 지켜보며 근심해 왔다. 여러분은 새로운 세대가 앞선 세대보다 똑똑해지지 않는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시는가? 물론 새로운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이것저것 더 많은 지식으로 무장을 하고 있다 – 하지만 “안다”는 것과 “똑똑하다”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즉, 왜 새로운 세대들은 이전 세대보다 더 현명해지지 않고 있는 것일까? 왜 그들은 같은 실수를 계속 반복해서 하는 것일까?
 
For centuries, an education was thought to be comprised of considerably more than one providing the skills and requirements needed to carry on a trade or profession. For instance, consider this passage:
 
지난 수백 년 동안 교육은 단순히 어떤 일이나 직업상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기술이 아니라, 이보다 훨씬 크고 광범위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다음 인용문을 한 번 읽어보자:
 
"Education is not the same as training. Plato made the distinction between techne (skill) and episteme (knowledge). Becoming an educated person goes beyond the acquisition of a technical skill. I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one’s place in the world - cultural as well as natural - in pursuit of a productive and meaningful life. And it requires historical perspective so that one does not just live, as Edmund Burke said, like 'the flies of a summer,' born one day and gone the next, but as part of that 'social contract' that binds our generation to those who have come before and to those who are yet to be born.
 
“교육과 훈련은 다른 개념이다. 플라톤 역시 기술(techne)과 지식(episteme)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한 기술의 습득을 넘어서는 것이다. 교육의 본질은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자신이 이 세상에서 문화적으로, 그리고 자연적으로 어떤 존재인지를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Edmund Burke가 얘기했던 것처럼, 인생은 하루살이처럼 어느 날 태어났다가 어느 날 부질 없이 죽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세대를 이전 세대/다음 세대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사회적 계약과 역사 인식을 필요로 한다.
 
An education that achieves those goals must include the study of what Matthew Arnold called 'the best that has been known and said.' It must comprehend the whole - the human world and its history, our own culture and those very different from ours. . . ."
 
이와 같은 교육의 진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Matthew Arnold가 얘기했듯이,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축적되어 온 최고의 지식과 지혜”가 습득되어야 한다. 즉, 인간의 세계와 역사, 우리의 문화, 그리고 남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이해가 요구된다는 얘기다.”
 
This idea of an educated person was often summarized in the phrases, a Renaissance man, and un homme du monde. But these expressions are hardly heard any more. Educated people no longer exist. We are nothing but the monkeys of hurdy gurdy grinders, tethered to grinders' organs with tin cups in hands to be filled for the benefit of the grinders.
 
과거의 식자들은 이처럼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사람을 “르네상스 맨”, 또는 “un home du monde(The man of the world)”라 칭했다. 하지만 요즘은 이런 표현을 좀처럼 들을 수 없다. 제대로 교육을 받은 사람이 드물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 연주자의 악기에 묶여 철제 캔을 들고 재주를 부리며 연주자의 배를 불려주는 원숭이들에 불과하다.
 
"Governor Rick Snyder wants to tie retraining programs to companies' needs . . . and encourage more Michigan residents to earn math and science degrees under an initiative aimed at making workers mor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place."
 
“Rick Snyder 주지사는 기업들의 요구사항에 맞춰 재훈련 프로그램을 개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Michigan 주의 주민들이 글로벌 마켓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수학과 과학 분야의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The hurdy gurdy grinder's monkey exists for the sake of the organ grinder; Governor Snyder wants Michigan's residents to educate themselves for the sake of companies. Workers are to fulfill companies' needs rather than vice versa. President Obama has said similar things.
 
재주를 부리는 원숭이는 연주자를 위해 존재한다 – Snyder 주지사는 주민들이 기업을 위해 교육을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자를 위해 기업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위해 노동자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Obama 대통령도 이와 같은 뉘앙스의 발언을 한 바 있다.
 
But there's something wrong, something terribly wrong, with this picture. A society in which people exist for the sake of some non-human entity is a society enslaved. And this picture gets even more horrid with the realization that workers are expected to pay to acquire the required skills. Students are being asked to pay for the privilege of becoming serfs.
 
하지만 이 주장에는 아주 큰 오류가 있다. 인간이 아닌, 어떤 독립체를 위해 인간이 존재해야 하는 사회는 결국 노예 사회다. 게다가 노예 노릇을 하기 위해 노예가 자기 돈을 들여 기술까지 습득해야 한다는 현실은 더욱 소름이 끼치는 일이다. 지금 우리 학생들은 노예가 되기 위한 영광을 얻기 위해 큰 돈을 지불하고 있다.
 
Living things in the natural world exist as ends in themselves. Everything they do is done for their own benefit or the benefit of their offspring. Horses in the wild do not acquire skills in order to perform tasks that benefit other horses. When a human being acquires a horse and trains it to perform a skill for the person's benefit, the person provides for all the natural needs of his horse. Horses don't come begging to be trained to be ridden. What kind of perversion is the requirement that people should beg to be trained to be serfs?
 
자연의 세계에 서식하고 있는 생명체들은 말 그대로 매우 자연스러운 상태로 존재한다. 그들은 오로지 자신과 새끼들을 위해 일을 한다. 야생마는 동료 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기술을 연마하지 않는다.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말을 구입하여 훈련을 시키고, 말이 자연적으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들을 충족해 준다. 하지만 말이 자신을 훈련시켜 달라고 인간을 찾아오는 경우는 없다. 그런데 인간은 노예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기 위해 구걸을 하다시피 하고 있다. 이 얼마나 변태적인 현상인가?
 
But neither a hurdy gurdy grinder's monkey or a riding horse are educated; they are trained. There is no such thing as a Renaissance monkey!
 
하지만 재주를 부리는 원숭이도, 승마용 말도 교육을 받지는 않는다 – 오로지 훈련을 받을 뿐이다. “르네상스 맨”은 있어도, “르네상스 원숭이”는 없다!
 
Education in America, and perhaps other places too, is as fractured as shattered glass. The federal agency called the Department of Education's only power is the ability to cajole schools mainly by offering them money. There are public and private schools, and the public ones are governed by local school boards, the members of which are not even required to be able to read or write. State school boards exist to have some influence over local boards, but again, the power of the states is limited. Education in America is a local affair. The people on these school boards are the ones that control what is and how it is taught. For instance, creationism is often given equal standing with evolution. Students are often required to engage in practices that are clearly unconstitutional. All of this is done to suit the views of school board members, not society or even students.
 
오늘날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교육 시스템은 깨진 유리창이나 다름 없다. 교육부라 불리는 연방 기관이 가진 유일한 권한은 돈으로 학교들을 꼬드기는 것 뿐이다.

공립과 사립 중 지역 교육 위원회의 통제를 받는 곳은 공립학교이며, 위원회에서 활동하기 위한 채용 조건에는 글을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는 기본적인 요구사항 조차 명시되어 있지 않다. 지역 위원회들을 통제하는 주립 교육 위원회가 상위에 있긴 하지만, 역시 주 정부의 권한은 여로 모로 제한되어 있다. 오늘날 미국의 교육은 지역 레벨에서 모든 것이 좌지우지되고 있다. 지역 교육 위원회에 속해 있는 인사들이 사실상 어떤 것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을 세우고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창조론과 진화론을 동일한 비중으로 가르치는 학교들도 있다. 학생들이 위헌의 소지가 있는 활동에 참여할 것을 강요 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 모든 것들은 사회의 발전이나, 심지어 학생들을 위한 것도 아니고, 오로지 위원회를 위한 것들이다.  
 

Teachers are certified by subject matter. Perfectly good mathematics teachers may not be able to write literate essays. English teachers are not required to understand even elementary algebra. The schools do not employ hommes de monde. And what is tru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s also tru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Les specialistes rule the classroom. Trained monkeys all!
 
교사들은 오로지 자신이 가르치는 과목에 대해서만 평가를 받는다. 글을 못 쓰더라도 셈만 잘 할 줄 알면 수학 교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기초적인 대수학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영어 교사가 될 수 있다. 학교들은 “hommes de monde”라 부를 수 있을 만한 인재들을 채용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초등학교 1,2학년 과정 뿐 아니라, 대학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오로지 교과목 내용에 해당되는 지식만 가지고 있으면 교사가 될 수 있다. 모두 다 잘 훈련 받은 원숭이들인 것이다!
 
Now vocational training works, of course, if people know what industries need workers and if workers want those jobs. But often, especially in times of crisis, this knowledge doesn't exist. Yet there's a deeper problem with the notion that education should equal vocational training. To paraphrase a very famous and renowned person, man does not live by work alone. Indeed,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earn a living in a capitalist industrial economy are of little use in human relationships, and human relationships are the core of everyone's life.
 
물론 어떤 업계에서 인력을 필요로 하고, 어떤 구직자들이 어떤 직업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면 직업훈련도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위기 상황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교육과 직업훈련을 동일시하는 대중의 인식이다.

어느 유명한 인사의 말을 빌리자면, “인간은 직업만으로는 살 수 없다”. 자본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산업사회에서 생계를 꾸리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인간관계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하지만 모든 인간들의 삶의 핵심은 인간관계다.
 
Although the United States is often referred to as a multicultural melting pot, most highly developed nations today have multicultural populations. Different cultures embody different values. Those values often clash and erupt in violent behavior. If people understood these cultural differences, these clashes could be ameliorated. But schools devoted to vocational training provide no venue for teaching cultural differences, for trying to understand the person who lives next door or in another country. Various value systems are never evaluated, and alternatives are never considered. As a result, although we all live on the same planet, we do not live together. At best, we only live side by side. At worst, we live to kill each other.
 
가장 다양한 문화가 뒤섞여 있는 나라가 미국이라는 말을 흔히들 하지만, 사실 요즘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이러한 양상을 띠고 있다. 다양한 문화는 곧 다양한 가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처럼 다양한 가치는 언제든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으며, 가치의 충돌은 폭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사람들이 문화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충돌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문화의 차이를 가르치지 않는다 - 옆 집에 사는 이웃, 그리고 다른 나라에 사는 국민을 이해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지식을 가르치지 않는다. 가치 시스템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으며, 차선책도 고려되지 않는다. 그 결과, 우리는 같은 행성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살아가지 못하는 현실에 처하게 되었다. 기껏해야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수준이고, 최악의 상황에서는 상대방을 죽이기 위해 살아간다.
 
Education as vocational training reduces everything to ideology. Religion is an ideology and no one ever questions a person's right to her/his own. Economics, although often touted as a science, is an ideology. Part of free market economic theory is the belief that when an established industry falters and declines, some new industry will come forth and employ the newly unemployed. But nothing in economics can compel that to happen. This belief is akin to the belief in a Second Coming. It is purely ideological. Even science has become an ideology. People believe, for instance, that science will discover solutions to all of our problems. But again, there is nothing in science that compels that. It is perfectly possible that, as human beings destroy their environment, science will be unable to correct the damage and that life on this planet will perish. Worse, ideologies contribute to human stupidity; our devotion to them causes us to reject the stark realities that stare us in the face. (See here and here.)
 
직업훈련을 목표로 하는 교육은 모든 것을 이데올로기로 전락시킨다. 종교도 일종의 이데올로기이며, 어느 누구도 타인의 종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경제(비록 과학이라고 우기는 사람들도 있지만)도 이데올로기다. 자유시장 경제학 이론에서는 잘 나가는 업계가 위기를 맞아 휘청거리고 관련 직종 종사자들이 직업을 잃게 되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업계가 등장하여 실직자들을 다시 고용하게 된다고 얘기한다. 하지만 경제학의 어떠한 요소도 이를 보장할 수 없다. 이 이론을 믿는 것은 마치 예수의 재림을 믿는 것과 비슷하다. 어디까지나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과학도 이데올로기가 되어 버렸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과학을 통해 우리가 직면한 모든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으리라 믿고 있다. 하지만 과학의 어떤 요소도 이를 보장할 수 없다. 인간이 지금처럼 계속해서 지구의 환경을 파괴시키면 과학으로도 이를 고칠 수 없게 되고, 이 행성에는 더 이상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데올로기가 사람을 바보로 만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 이데올로기에 몰두하는 사람들은 코앞에 닥친 현실을 외면하게 된다.
 
So what is required if we are to make one generation smarter than the previous one? We need to educate Renaissance men who comprehend the whole human world, its history, our own culture, and those very different from ours. Vocational training will never produce such people.
 
그렇다면 새로운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똑똑해지기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될까? 우선 교육을 통해 인간 세계, 역사, 그리고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전체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르네상스 맨들을 길러내야 한다. 직업훈련을 통해서는 이러한 인재를 절대로 양성할 수 없다.
 
John F. Kennedy was glorified when he said,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but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 Shouldn't he have been vilified? Do countries exist to benefit their peoples or do their peoples exist to benefit their countries? What good is a country that requires the sacrifice of its people?
 
John F. Kennedy 대통령은 “국가가 나를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내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라”는 명언을 남겼다. 비난을 받아 마땅한 발언 아닌가? 국민을 위해 국가가 존재하는 것이 맞나, 아니면 국가를 위해 국민이 존재하는 것이 맞나? 국민의 희생을 요구하는 국가가 무슨 짝에 쓸모가 있나?
 
Since the Enlightenmen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legitimate governments are those that govern with the consent of their peoples. Does anyone really believe that people would consent to living in a nation that made it clear that the lives of most citizens would be fated to live for the benefit of the few who control the nation's institutions? Isn't that exactly what slavery is?
 
계몽주의 시대 이래로 국민의 동의 하에 통치를 하는 정부만이 합법적인 정부로 여겨져 왔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국가를 좌지우지하는 기관들을 소유한 극소수의 혜택을 위해 일해야 하는 체제의 국가를 국민들이 승인했으리라 생각 하시는가? 이게 노예제도가 아니고 뭐란 말인가?
 
Analytical thinking, even when valid, can lead people down invalid roads, because analysis alone tends to overly simplify questions. When used to answer the question, What must be done to put unemployed people to work?, it leads to attempts to make education equivalent to vocational training. But when put into practice, it results in people who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ir value systems and evaluate them properly. They end up being hurdy gurdy monkeys or, as Arnold put it, the flies of a summer, born one day and gone the next. If a nation's institutions do not exist to benefit its citizens, the institutions, not the people, are faulty.
 
유효하다고 여길 수 있는 분석적인 사고도 사람을 유효하지 않은 길로 인도할 수 있다 – 분석만으로는 주어진 과제를 지나치게 단순화시킬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실직자들이 새로운 직장을 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해 분석적인 사고를 대입하면, “직업훈련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자”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현실에 적용하다 보면 가치 체계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능력을 갖추지 못한 인력이 양성되는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재주를 부리는 원숭이, 또는 어느 날 태어났다가 어느 날 죽는 하루살이 신세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다. 국가의 기관이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는 국민의 잘못이 아니라 기관의 잘못이다.
 
In Classical Greece it was known that the unexamined human life is not worth living. Vocational training never presents people with opportunities to examine one's life; so people end up relying entirely on ideologies which have no intellectual basis and are often absurdly false, but "falsehoods are not only evil in themselves, they infect the soul with evil."
 
고대 그리스인들은 “의미를 조명할 수 없는 삶은 살만한 가치가 없다”고 여겼다. 직업훈련은 삶의 의미를 조명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 그래서 사람들은 지능과 무관하고 터무니 없이 잘못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이데올로기에 매달리게 된다. “거짓은 그 자체로서 악일 뿐 아니라, 영혼까지 악으로 전염시킨다.”
 
If human beings wish to endure, their ideologies must be subjected to serious criticism; otherwise, no generation will ever be smarter than its predecessors and continuing to refer to ourselves as sapient is a sheer delusion.
 
인류가 앞으로도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많은 이데올로기를 심판대에 올려 놓고 비판해보아야 할 것이다 – 그렇지 않을 경우 앞으로 다가올 세대들은 지금보다도 더욱 어리석어 질 것이다.

이러한 오늘날의 인간을 “현명하다(sapient – 즉, 호모 사피엔스)”고 칭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망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