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

김매기 - 논 10㎡당 11포기를 기준으로 관리

by 성공의문 2013. 1. 10.

논밭에서 흔히 보는 잡초 ‘피’를 확대한 모습. 

왼쪽부터 돌피, 강피, 물피.


농과원 “논 10㎡당 11포기 이내땐 안뽑아도 수량 큰 차이없어”

 

벼의 생육을 방해해 쌀 수확량과 품질을 떨어뜨리는 잡초인 ‘피’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경제적 방제시점이 제시됐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은 2004~2007년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피의 발생밀도에 따라 쌀 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논 1㎡당 피가 1~4본 발생할 때 쌀 수확량은 그렇지 않은 정상 논에 비해 2~8% 적었다. 피가 16~24본 발생할 경우 수확량은 27~35%, 96본가량일 때는 69%가 감소했다.


이 수치를 기계이앙 논에 적용해 생산 및 증수에 드는 비용 등을 종합해 따져본 결과 논 10㎡당 피의 발생밀도땐 12본이 넘었을 때 방제작업에 돌입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피의 발생밀도가 11본 이하일 경우에는 굳이 뽑아내지 않더라도 쌀 수확량 감소에 큰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잡초 방제에 대한 일반 농가의 생각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논 10㎡당 피가 12본 정도 발생했다는 것은 1㎡당 적어도 1본 이상이 나왔다는 것인데 이 정도면 ‘논이 아니라 피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인용 농업과학기술원 잡초관리과 연구관은 “피는 쌀의 수확량과 품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농가들은 피가 조금이라도 발생하면 별도의 비용과 노력을 들여 방제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가 나옴에 따라, 관행농가는 물론 제초제를 뿌릴 수 없는 친환경 실천농가의 방제 수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농민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