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201

위기의 녹색혁명: 지속가능한 생태농업, 전통을 따르는 21세기 과학 아프가니스탄 Bamiyan에서 밀을 모으는 농부. UN Photo/Eric Kanalstein 요약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물 부족이 결합된 효과는 근본적으로 우리의 농업 체계를 재고하게 만든다. 각국은 그들의 농업 체계를 생산성이 높고 매우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으로 재조직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 2008년 지구적 식량 가격 위기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식량안보 정책을 채용하고 농업 체계에 많은 투자를 했다. 또한 세계적 기아는 다시 국제적 의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 문제의 핵심은 얼마만큼 이루느냐만이 아니라, 어떻게 이루느냐 하는 점이다. —그리고 식량 체계의 어느 정도는 현재 재건되고 있다. 연구, 설계, 지속가능한 농업의 경영에 생태학을 적용한 생태농업은 이러한 과제를 충족시키.. 2013. 1. 10.
일본 - 콩 다수확 재배법 이라는 책을 보면 이와사와 노부오 씨의 새로운 콩 재배법이 나온다(168쪽~). 이에 대해 사진은 없고 글만 있어, 그것만 읽어서는 머리에 쏙쏙 들어오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어 검색을 해보았다. 역시나 일본인! 그들답게 직접 실험하는 모습을 친절하게 단계별로 사진을 찍어 설명을 곁들여 놓은 글을 발견하여 옮긴다. 일반적으로 콩은 모종이나 곧뿌림으로 심습니다. 모종의 경우는 육묘상이나 포트에 상토를 넣어 씨를 심고, 2~5일 정도면 싹이 나와 7~10일 뒤에 성장점을 자르고 나서(순지르기) 밭에 옮겨심습니다. 이에 대하여 "옮겨심기 방법"에서는 육묘상에서 기른 대량의 모종을 일정 단계에서 순지르기・뿌리를 잘라서 큰 자극을 주고, 이것을 다시 꺾꽂이하여 더욱 생명력이 강한 모종으로 만들어 나중에 밭에 옮겨심는.. 2013. 1. 9.
농사에 있어서 인(燐)의 역활 인(燐, 영어: phosphorus)은 화학 원소로 원자 기호는 P(←라틴어: Phosphorus)이고 원자 번호는 15다. 질소족에 속하는 다가 원자로 인산염과 모든 생물 세포 내에서 발견된다. 반응성이 높아 자연 상태에서는 순수한 인의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 동소체가 존재하며, 비료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그밖에 화약, 성냥, 불꽃놀이, 농약, 치약, 세제 등에도 쓰인다.- 위키백과 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민물 다음으로, 인은 지구상에서의 인류의 서식에 대한 가차 없는 한계가 될 것이다.” 고 20년 전에 빌 몰리슨은 Permaculture: A Designers’ Manual에서 적었다. 우리의 식량 시스템에서 인 재활용을 고안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다. 인은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 2013. 1. 9.
옥수수밭, 생물다양성의 차이 어느 아름다운 날, 옥수수밭에서 시작할 것이다 — 지난 여름 아이오와의 옥수수밭이라 부를 것이다. 옥수수는 키가 크다. 대기가 반짝이고 있다. 단 하나 잊은 것이 있다 — 그건 매우 중요하다... ... 중요하지만, 아직은 말하지 않겠다. 대신 돌아가보자. 잠시 뒤 옥수수밭으로 돌아올 것이지만, 재미를 위해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 있는 공원으로 날아가겠다. 그곳에서 금속제 큐브가 잔디밭에 놓여 있는 걸 볼 것이다. 그 큐브는 사진작가 David Liittschwager 씨가 놓아둔 것이다. 그는 몇 년 동안 세계를 여행하면서 정원과 공원, 숲, 바다 등 사진을 찍는 곳에다 큐브를 하나씩 놓았다. 딱정벌레, 귀뚜라미, 물고기, 거미, 벌레, 새 —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큰 건 사진을 찍었다. 24시간 .. 2013. 1. 9.
미국, 대규모 목화 농업 막연히 '미국의 목화농사는 대규모로 이루어지니 기계를 쓸 거야'라고 생각했다. 세상에나 그 막연한 생각이 위 사진을 보며 확 깨버린다. 이건 뭐 어마어마한 규모의 농사구만! 이에 반해 제3세계의 목화농사는 주로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니 경쟁력이란 걸 따지자면 이런 대규모 농업에 비할 수 있겠는가? 거기에다 미국의 목화농업은 정부를 통해 보조금도 엄청 받는다는 사실. 세계의 주요 목화 생산국인 미국의 목화 가격에 따라 제3세계의 목화농민들이 살았다 죽었다 한다는 것이 이제야 실감난다. 이와 관련하여 요즘 라는 책을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몇 구절을 옮기면 이렇다. 아마두 투마니 투레 당시 말리 대통령은 "지원금이 없다면 미국 농민들은 우리 말리 농민보다 훨씬 비싼 값에 목화를 생산할 겁니다.. 2013. 1. 8.
한국 전통농법 - 벼농사와 물관리법 김재호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강사로 일하며 산골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 관심을 갖고 물레방아, 연자방아, 산간 농촌의 수리, 기우제 등에 관한 논문들을 발표해왔다. 쓴 책으로『생태적 삶을 일구는 우리네 농사연장』이 있다. 벼농사를 짓는 방식에는 크게 밭에서 기르는 것과 논에서 기르는 것 2가지가 있다. 옛날로 갈수록 찹쌀을 비롯한 밭벼를 재배하는 예가 많았으나 관개수리가 발달한 오늘날에는 그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예전에는 밭에서 재배하던 벼농사도 제법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벼 하면 논에서 기르는 것이 된 듯하다. 논벼, 즉 무논에 심는 수도(水稻)가 주종을 이룬 것이다. 수도재배 방식에도 역사적으로 보면 여러 가지가 있었다. 크게 보아 직파법과 이앙법이 있었다. 직파법에는 무논에 파종하는 법과 마른논.. 201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