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by 성공의문 2008. 11. 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Japanese Spice Bush 生薑木, 黃梅木
 

1. 쌍떡잎식물로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생강나무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는 3∼6m이고 생강나무는 자연 상태로 산의 계곡 냇가에서 자생하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매끄럽다.

2. 잎은 어긋나기하며 계란모양의 원형으로 윗부분이 3∼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여 뒷면에 긴 털이 있다.

3. 꽃은 암수 딴 그루로서 3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꽃자루가 없는 산형화서에 노랑꽃이 달린다. 생강나무는 산수유와 꽃 모양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생강나무는 꽃대가 짧고 꽃잎이 4장이며 산수유는 꽃대가 길고 꽃잎과 꽃받침이 합쳐진 화피(花被)가 6장이다. 매화나 산수유는 식재한 나무이다.

4. 열매는 둥글고 처음에 초록빛이나 노랑빛, 홍색으로 변하여 9월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가지나 잎을 자루면 생강 냄새가 나서 생강나무라 하였고 열매는 기름을 짜기도 한다.

5. 한방에서는 수피를 삼첩풍 이라는 약재로서 타박상의 어혈과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세에 효과가 있다.

6. 생강나무 종류
① 둥근 잎 생강나무(for. ovata)는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② 고로쇠 생강나무(for. quinquelobum)는 줄기 상부 잎이 5개로 갈라지고 중간 부분의 잎은 3개로 갈라지고 밑 부분의 잎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다.
③ 털 생강나무(for. villosum)는 잎 뒷면에 긴 털이 있다.

7.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 녹나무과의 낙엽관목
학명 :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분류 : 녹나무과
서식장소 :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

나무의 생태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길이가 5~15cm이고 윗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 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 꽃대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화피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헛 수술 9개가 있다. 작은 꽃자루는 짧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7~8mm이고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연한 잎은 먹을 수 있으며 잎이 떨어진 가지에는 콩알 굵기의 새까만 열매가 달린다. 처음에는 초록빛이나 노랑빛, 분홍색을 거쳐 가을은 검은빛으로 익는다.

나무의 전설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만큼 어린 가지의 색깔이 녹색을 약간 띠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름에서 말하듯이 가지를 꺾어 냄새를 맡으면 생강냄새가 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특성이다. 그런 특성 때문에 가지가 댕강댕강 잘라지는 아픔을 겪는 불쌍한 나무이기도 한데 실제로 냄새를 맡아보면 자세히 주의를 기울이기 전에는 전혀 못 맡을 정도의 연한 향기가 난다. 우리가 양념으로 먹는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풀의 일종으로 생강나무와는 전혀 관계가 없고 다만 이름만 비슷할 뿐이다. 생강나무라는 이름은 잎이나 꽃을 비비면 생강냄새가 나기 때문이다. 생각이 아주 귀하던 시절에는 밀린 이 잎을 가루로 만들어 생강 대신 쓰기도 했으며 어린 잎을 따서 차를 끓여 마시기도 했다. 차나무는 남중국에서 온지라 추운지방에선 재배가 불가능하니 값비싼 차를 못 구한 사람들이 작설차 대용으로 끓여 마시기도 했으며 요즘은 상추처럼 고기를 싸서 먹기도 한다. 강원도나 중부이북 지방에 살고  계시는 분들이 이 생강나무를 두고 산동백, 올동백, 동박나무 등으로 부른다.

동백나무라고 하면 요즈음은 꽃을 보기 위해 키우지만 예전에는 열매에서 기름을 짜는 것이 중요한 쓰임새였다. 하지만 동백나무는 따뜻한 남쪽지방에서만 자라므로 겨울이 추운 곳에는 이 생강나무의 씨앗에서 기름을 짜서 긴요하게 썼으니 그런 별명이 붙었다. 김유정의 동백도 바로 이 생강나무를 말한다. 

강원도 정선 아리랑의 한가락을 들어보면 "떨어진 동박은 낙엽에 쌓이지 사시사철 임 그리워서 나는 못 살겠네"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 역시 아우라지 나룻터에서 강건너 피어 있는 생강나무의 꽃을 보며 열매를 주으며 만났던 님을 그리워 하는 사연이 담긴 노래다. 창경궁 경춘전 옆 낙석재 경계 담장 밑에는 생강나무로서는 거목이랄 수 있는 제법 커다란 나무가 자라고 있다. 왕비나 빈의 품계에 오르지 못한 이름 없는 궁녀들은 동백기름을 얻어 멋 낼 차례는 오지 않았을 것이니 아마 생강나무 기름으로 머리단장 하고 꿈처럼 찾아줄 임금님을 기다렸는지 모른다.

또한 옛 멋쟁이 여인들의 삼단 머리를 다듬던 진짜 동백 기름은 양반네 귀부인들의 전유물이고 서민의 아낙들은 생강나무 기름을 애용하였다. 그래서 일부 지방에서는 개동백나무 혹은 아예 동백나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생강나무를 황매목이라고 하며 생강나무로 이쑤시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그 향기가 일품으로 요즈음 간혹 민트향이 묻어나는 이쑤시개를 볼수 있는데 혹 생강나무를 이용하는 옛 어른들에게서 힌트를 얻은 것은 아닐까 한다.

여름의 시원한 그늘나무로서의 역할을 거치고 나면 꽃을 보고 잊어버린 생강나무는 가을 단풍 일때 다시 한번 우리의 눈길을 끈다. 곱게 물든 샛노란 생강나무 단풍은 푸른 가을하늘과 기막히게 조화를 이룬다. 붉은 잎만이  아름다운 단풍이 아니라는 것을 생강나무 단풍을 보면 금세 알아차릴 수 있다. 생강나무는 타박상이나 어혈, 멍들고 삔데 등에 신통한 효력이 있는 약나무로 나무를 달인 것을 조금씩 늘 마시면 두통, 기침, 복통 등에 효과가 있다. 생강나무는 아이를 낳고 나서 몸조리를 잘 못해서 생기는 산후풍에도 효험이 크다.

아이를 낳거나 유산을 하고 나서 온 몸에 찬바람이 들어오는 듯하고 식은땀에 나서 온 몸의 뼈마디가 쑤시고 시리고 아프며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고 갈증이 심하게 나서 찬물을 많이 마시게 될 때에는 생강나무 달인 약과 함께 메추리알을 한 번에 5개씩 하루 세번 날 것으로 먹으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생강나무의 씨앗도 약효과 좋은데 까맣게 익은 씨앗을 술에 담가 두었다가 마시면 근육과 뼈가 튼튼해지고 머리가 맑아지며 황달에도 효과가 있다. 산골의 아낙들은 봄에 새순이나 어린 잎을 채취하여 나물로 무치거나 찹쌀가루에 묻혀 튀기면 그 상큼한 향기를 입안에서 즐길 수 있다.



Lindera obtusiloba
Japanese spicebush
조록나무목 녹나무과
다른 이름 : 개동백, 황매목(黃梅木), 단향매, 새양나무, 아기나무, 산동백, 동백, 동박
생김새 -  높이 3m. 잎지는 작은키나무. 줄기가 깨끗함.
잎 - 크기 10cm 내외로 윗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함.
꽃 - 노란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서 달림. 수꽃은 화피편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편 6개와 1개의 암술, 헛수술 9개가 있음.
열매 - 장과. 1cm 가량으로 9월에 검은색으로 익음.
쓰임새 - 약용, 식용

생강나무는 꽃이 피는 시기와 꽃의 색깔이 비슷하기 때문에 산수유나무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꽃잎이 4장인 산수유나무에 비해 생강나무는 꽃잎이 5장이며, 생강나무는 줄기가 깨끗한 반면 산수유나무는 줄기가 벗겨져 지저분해 보인다. 
산수유나무 잎은 긴 세로줄 맥이 뚜렷하고 윤기가 나는 긴 타원형이지만, 생강나무 잎은 털이 약간 난 공룡 발바닥 모양이다.

보통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피는 산수유나무와 달리 생강나무는 암꽃이 피는 암나무와 수꽃이 피는 수나무가 따로 있어, 모든 생강나무에서 열매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방에 따라서는 동백나무라고도 부르는데, 아마도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가 분포하지 않았던 지역에서 생강나무 열매의 기름을 짜서 머릿기름으로 사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김유정의 단편소설 <동백꽃>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알싸하고 향긋한 노란 동백꽃 냄새” 또한 이 생강나무를 말하는 것으로, 생강나무 꽃이 필 때면 특유의 향기로 근처에 생강나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꽃이 진 후 나오는 어린 잎이 참새 혓바닥만큼 자랐을 때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하는데, 참새의 혓바닥이라는 의미의 작설(雀舌)차라고 한다. 또한 잎을 말려 나물로 먹기도 한다. 

생강나무는 타박상이나 어혈, 멍들고 삔 데 신통한 효력이 있다. 산속에서 실족하여 허리나 발목을 삐었을 때 이 나무의 잔가지나 뿌리를 잘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면 통증이 없어지고 어혈도 풀린다. 
생강나무의 싹이 트기 전에 채취한 어린가지를 황매목(黃梅木)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하는데, 건위제ㆍ복통ㆍ해열ㆍ오한ㆍ산후풍 등에 좋다고 한다.


학명은 Lindera obtusiloba BL.이다. 높이는 8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 길이 5∼15㎝, 너비 4∼13㎝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2가화로서 3월에 잎보다 먼저 황색으로 핀다. 열매는 둥글고 흑색이며 9월에 익는다.
전국 어디에서나 자생하며 수직적으로는 높이 1,600m까지 분포한다. 추위와 건조에는 강하나 습한 곳에서는 잘 살지 못한다. 또, 내조성이 강하여 바닷가에서도 살 수 있고, 내음성이 강하여 나무 그늘 밑에서도 꽃과 열매를 맺을 수 있다.
나무의 열매가 녹색→황색→홍색→흑색순으로 익어가므로 한 나무에서 다양한 색의 열매를 즐길 수 있고, 가을에 물드는 단풍도 볼만하므로 관상수로 적합한 나무이다. 가지를 말린 것은 황매목(黃梅木)이라 하여 한열·신경통·어혈동통(瘀血疼痛)·질타손상(跌打損傷)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열매는 기름을 내어 머릿기름으로 사용하는데, 특히 이 머릿기름을 사용하면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막아준다고 믿어왔다. 어린 잎을 따서 음지에서 말린 뒤 찹쌀가루를 묻혀 기름에 튀기면 맛있는 부각이 된다.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이고, 나무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길이가 5∼15cm이고 윗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 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 꽃대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화피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그리고 헛수술 9개가 있다. 작은꽃자루은 짧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7∼8mm이고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새로 잘라 낸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고 한다. 연한 잎은 먹을 수 있다. 꽃은 관상용이고, 열매에서는 기름을 짠다. 한방에서는 나무 껍질을 삼첩풍(三 風)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타박상의 어혈과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세에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둥근잎생강나무(for. ovata)는 잎이 갈라지지 않고, 고로쇠생강나무(for. quinquelobum)는 줄기 윗부분의 잎이 5개로 갈라지며 중간 부분의 잎은 3개로 갈라지고 밑 부분의 잎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털생강나무(for. villosum)는 잎 뒷면에 긴 털이 있다.



해열 기침 피부병 혈액순환 산후풍의 특효약

▶ 산후증(산후풍, 산후통, 산후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 손발이 얼음짱처럼 찬데, 식은땀, 두통, 찬 바람이 들어오는 감,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는 증상 등), 허리를 삐거나 발목 관절을 삐었을 때, 근육통, 견근골, 활혈(活血), 어혈, 부종, 생강나무작설차용, 이쑤시개용, 여성들의 머릿기름용, 해열, 기침, 피부병, 손발냉한데, 혈액순환촉진, 타박상을 다스리는 생강나무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는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이다. 높이는 2~3미터 정도 자라고 개화기는 3~4월이며 결실기는 9월에 쥐눈이 콩알 만한 둥근 열매가 붉은색이었다가 점차 검은색으로 변하여 열매가 익는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부인들의 머릿기름으로 썼으며 잎이나 가지를 꺽으면 흔히 양념의 재료로 쓰이는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이름을 "생강나무"라고 부른다.  

나무껍질은 짙은 회색이지만 어린 나무 가지는 황녹색을 띄고 있다. 봄에 돋는 어린잎은 솜털로 덮여 있는데, 암수딴그루로 잎이 돋기 전에 자잘한 노란색 꽃이 꽃자루가 없이 가지에 촘촘히 붙어서 우산처럼 둥글게 모여 핀다.

생강나무의 다른 이름은 삼찬풍[三鑽風: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산호초[山胡椒, 승자수엽:昇子樹葉, 삼아오약:三椏烏藥, 향려목:香麗木, 삼아조장:三椏釣樟, 후추수:猴楸樹, 삼각풍:三角楓, 산강:山薑, 가산노산곤:假山勞山棍, 강양:薑羊: 중약대사전], 황매목(黃梅木), 삼첩풍(三鉆風), 황해목(黃海木), 단향매(檀香梅), d아기나무, 생강나무, 개동백나무, 산동백나무, 새앙나무 등으로 부른다.


생강나무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황매목(黃梅木) - 생강나무가지 [본초]

녹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인 생강나무(Benzoin obtusilobum O. Kuntz.)의 가지를 말린 것이다. 생강나무(개동백나무, 산동백나무)는 각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가을에 가지를 잘라 그늘에서 말린다. 가지와 잎에서 생강냄새가 난다고 하여 생강나무라고 했다. 주로 복통에 쓰며 해열제, 기침약으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해열제, 기침약으로 잎과 싹을 차처럼 달여 마신다. 열매에서 짜낸 기름은 동백기름 대용으로 머리에 바른다.


생강나무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약대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삼찬풍[三鑽風: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다른이름: 산호초(山胡椒), 승자수엽(昇子樹葉)
기원: 녹나무과 식물 삼아오약(三椏烏藥)의 나무껍질이다.
원식물: 삼아오약(三椏烏藥: Lindera obtusiloba Bl.=Benzoin obtusilobum {Bl.} O. Ktze.), 향려목(香麗木), 삼아조장(三椏釣樟), 후추수(猴楸樹), 삼각풍(三角楓), 산강(山薑), 가산노산곤(假山勞山棍), 강양(薑羊)이라고도 한다.

낙엽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높이는 3~10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6.5~12cm, 너비는 5.5~10cm이고 선단은 뾰족하거나 조금 무디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윗부분이 3개로 갈라져 있고 윗면은 녹색이며 처음에는 짧은 털이 있다가 나중에는 털이 없어지고 밑면은 회녹색이고 황갈색의 견모(絹毛)가 조밀하게 나 있거나 털이 없다. 3출맥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2~3cm이다. 꽃은 단일하게 나고 암수 딴그루이며 연한 황색이다. 취산 화서는 액생하며 총꽃자루는 짧다. 꽃덮이는 6개이고 정상적인 수술은 9개이며 꽃밥은 2실이고 안쪽을 향해 판열(瓣裂)하였다. 핵과는 구형이고 지름은 7~8mm이며 신선할 때에는 적색이고 마르면 회갈색이되며 털이 있다.

산골짜기, 시냇가, 잡목림 속이나 숲의 주변에서 자란다.
중국의 호북, 사천, 강서, 안휘, 강소, 하남, 산동, 요녕, 산서, 섬서 등지에 분포한다.

채취: 1년 내내 수시로 채취할 수 있다.
성분: 나무줄기에는 sitosterol, stigmasterol 및 campesterol이 들어 있다. 가지와 잎은 방향유 0.4~0.6%를 함유한다. 주성분은 linderol 즉 l-borneol이다. 잎은 탄소수가 16~33인 paraffine계 탄화수소를 함유한다. 종자 기름 가운데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linderic acid(cis-4-dodecenoic acid), 동백산(東柏酸: 4-decenoic acid), tetradecen-4-dodeceno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등이 들어 있다.
성미: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활혈(活血)하고 근육과 힘줄을 풀며 어혈을 없애주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타박상, 어혈 종통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외용: 짓찧어 바른다.


생강나무에 대해 류상채의 <만병만약(萬病萬藥)>에서는 생강나무에 대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황해목(黃海木)

이 생약은 단향매, 또는 새앙나무, 생강나무라 부르며 씨앗을 산 후추라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산야나 숲 속에 흔하게 있다. 꽃이 노랗게 피는 활엽수이다. 전체가 민간요법에 쓰인다. 채취하는 시기는 일년 내내 아무 때나 할 수 있다. 이 생약은 도가(道家)에서 귀하게 여기는 생약재이다. 성전이나 사당, 신당에 차를 올릴 때 이 생약재를 달여 찻잔에 부어 단상에 올리면 신령이 기뻐한다고 한다. 차를 끓여 마시면 은근한 향기가 있어 맛이 독특하다. 또한 산중에서 무술 수련을 하는 사람이 실수로 허리를 삐거나, 발목 관절을 삐었을 때, 높은 곳에서 낙상하여 심한 타박상을 입었을 때, 뿌리 잔가지 등의 생약재를 모두 사용한다. 잘 게 썰어 생으로 짓찧어 환부에 두껍게 붙인다. 그리고 잔가지, 잔뿌리, 수피를 잘 게 썰어 진하게 달여 마시고 땀을 푹 내고 나면 심하던 통증이 싹 가신다.

아무튼 이 생약재는 삐고, 멍든 데, 타박상의 통증으로 오는 두통, 오한 등에 신효한 약재임이 틀림없다. 씨앗을 술에 담가 마시면 근육이 발달하고 뼈가 튼튼해지며 정신이 맑아진다. 술을 담는 법은 재료의 3~4배 정도 되게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6개월간 보관한 후 1일 3회 조금씩 상음하면 좋다.]


생강나무에 대해서 최영전씨가 쓴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생강나무(黃梅木:황매목)

생강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녹나무 과에 속한 낙엽관목으로서 옛적부터 우리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맺어 많은 공헌을 했으므로 곳에 따라 많은 이름 즉 방언이 붙여져 있는 실용적인 나무의 하나이다.

생강나무란 이름을 얻게 된 것은 가지를 꺽어보면 생강냄새가 난다고 해서 생강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데 생강을 [생]이라 하는 지방에서는 이 나무도 [생나무]라 했고 [새양]이라 하는 곳에서는 [새양나무]라 한 것은 매우 재미있는 명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생강나무의 특징이 이름으로 불리는 곳도 적지 않으나 이 나무는 이른 봄 산골짜기에서 가장 일찍 꽃이 핀다 하여 노소(老少)를 연상하여 [아기나무]라고 하는 곳도 있는가 하면 볼품은 없어도 황금색의 향기로운 꽃이 매화보다도 일찍 꽃핀다 하여 황매목(黃梅木)이니 단향매(檀香梅)라는 중국명을 그대로 적용시켜 부르는 곳도 적지 않다. 그러나 생강나무에 가장 보편적으로 부르는 또 하나의 이름은 [개동백나무]이다.

동백하면 옛날에 우아한 낭자머리를 머리털 한 올도 흐트림 없이 반 듯하고 곱게 매만져 주던 유명한 [동백기름]을 누구나 다 연상할 것이며 오늘날의 화장품 이상으로 애용했다. 그러나 동백나무는 남부 지방에만 국한되어 생장하고 있어 서북지방에서는 아주 귀한 존재로 동백기름이 행세했었다. 그래서 생강나무의 열매로 기름을 짜거 동백기름을 대용으로 머릿기름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므로 개동백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인데 생강나무 열매로 짠 기름은 오히려 더 향기로와서 동백 기름은 일반대중용 머릿기름인 반면에 이는 사대부집 귀부인들이나 고관대작을 상대하는 상류층에 속하는 명기들이 애용하는 고급 머릿기름으로 손꼽혔던 것이다.

그런데 하필이면 [개]라는 정관사를 붙였을까?  우리는 진짜도 아니고 또 좋은 것도 아닌 함부로 된 것을 말할 때 비하해서 [개]를 붙여 부르기를 좋아한다. 식물명에 [개]자가 많은 것은 [비슷하다]는 뜻이 주어져 있다고 풀이한다. 그러나 생강나무에 [개동백나무]라 한 것은 아무래도 옛날의 빈부귀천의 차가 심했던 시절의 고급 머릿기름을 시기한 서민의 저주 섞인 욕설이 그런 표현으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맵시와는 상관없이 두메 산골에서는 그을음나는 관솔불 아닌 어둠을 밝히는 등불로서 생강나무 기름은 귀중한 등유(燈油)였다고 하며 귀한 손님이 올 때만 켜는 1등 기름이라 한다.

[아주까리 동백꽃......]하는 속요(俗謠)가 모두 불 밝히는 유지식물을 노래한 것도 전기불 없던 옛날에 등불의 존재를 말해준다.

생강나무의 꽃은 그 피는 것에 따라 그 해의 농사를 미리 점친 농은목 구실도 했다는데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들고 띠엄띠엄 피면 흉년이 들겠다]고 염려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황금색이 동양에서 부귀와 연관시켜 생각하는 사고가 빚어낸 관념으로서 눈 덮인 산허리에 황금색 꽃이 만발하며 올해는 풍년이 들겠다고 기뻐했다니 그 시절의 하늘만 쳐다보고 땅과 씨름했던 옛조상의 풍요를 기원하는 애처로운 모습이 잘 나타난 민속이라 할 수 있다.

북쪽에는 생강나무의 꽃을 따서 그늘에서 말렸다가 주머니(향낭)에 넣어 방에 걸어두는 민속이 있는데 이는 추위 속에 꽃피는 강인함이 사기(邪氣)를 쫓는다고 믿은 유감주술적(類感呪術的)인 민속이다.

생강나무 잎은 꽃이 진 후에 돋아나는데 싹이 나와 참새의 혓바닥만큼씩 할 때 따 말렸다가 차로 이용했다. 그래서 차의 일등품인 작설차(雀舌茶)의 이름을 따붙여서 생강나무차를 작설차라고도 한다. 차나무가 남부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며 또 차가 귀했던 고로 옛날에는 북쪽 지방의 절간이나 풍류를 즐기는 가정에서는 즐겨 생강나무차를 작설차라 부르며 애용했다 한다. 또 불가(佛家)에서 공다(供茶)용으로도 흔히 쓰였다고 한다.

이른 봄에 차를 딴 후의 어린 잎은 따 말렸다가 튀각도 만들고 나물도 먹기도 했다 하니 자원의 활용은 오늘날의 우리가 따를 수 없는 것이 많다.

생강나무의 재목은 향기로와서 향을 만들어 기제사나 동제 등에 사용했다 하며 이는 앞서 말한 벽사의 뜻이 다분히 크게 작용한 흔적이 짙다.  

이 나무로 이쑤시개를 만들어 사용하면 이틀이 좋아진다고 믿은 것은 같은 뜻이 함축되어 있다. 민간약으로 피부병에 줄기를 삶아 그 물로 씻으면 낫는다고 믿고 있다.


생강나무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기록한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삼첩풍(三鉆風)
녹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의 나무껍질이다. 황매목(黃梅木)이라고도 한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활혈서근(活血舒筋), 산어소종(散瘀消腫)
해설: ① 타박상으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하고, ②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성분: sitosterol, campesterol과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inderol이다.]


◆ 생강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산후풍(산후증, 산후통, 아이를 낫고 몸조리를 못해 손발이 냉한데 등)
생강나무 줄기를 잘 게 썬 것 5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임상자료: 산후증 환자 89례를 위의 방법으로 5~7일 동안 치료한 결과 찬 바람이 들어오는 감, 찬물에 손을 넣지 못하는 증상, 머리아픔, 식은 땀 등이 대상환자의 90% 이상에서 없어졌거나 덜어졌다. 30일 동안 치료한 다음 완전히 나은 환자가 17례, 좀 나은 환자가 8례였다. [누구나 할 수 있는 고려치료 474면]

이른 봄철에 산기슭에 잎이 나오기 전에 노란색으로 아름답게 물들이며 피는 모습이 멀리서 보면 산수유꽃과 비슷하게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데 생강나무는 말없이 보는이로 하여금 눈을 즐겁게 해 주고 봄이 왔다는 전령사의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다. 그 아름다운 모습에 취해서 꽃가까이에 가노라면 은은한 생강냄새가 나면서 그 향이 너무 진하다 못해 어딘가 모르게 비릿한 지린내가 나기도 한다. 

생강나무를 삼첩풍이라고도 불린다. 맛은 맵고 따뜻하다. 타박상으로 어혈이 진 것을 치료하고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열매에서 기름을 짜내어 부인네들이 머릿기름으로 써 왔기 때문에 산 동백나무라고도 부른다. 또는 황매목, 단향매, 산후추라고도 부른다.

봄에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이 마치 참새혓바닥을 닮았다고 하여 생강나무의 새순을 채취하여 작설차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맛과 향이 일품이다.  
 

2, 눈두덩이에 피멍이 들었을 때
저는 또 집회에서 한눈의 눈두덩이 맞아 피멍이들고 부어 앞이 보이지 않아 불편함은 물론 남보기가 미안해서 병원에가서 빨리 멍이나 부은것을 가라 않히고자 하였으나 약 3주일 정도 되어야 가라않는다는 의사의 말을 듣고 내가 약초를 실험하고자 검토하고 가까운 산에서 생강나무잎의 즙을 짜서 누워잘때 거즈에 적셔 눈위에 올리고 3일동안 했더니 부은것과 멍이 가시는 것을 보고 토종 산야초의 신기함을 느꼈습니다.

  
3, 사용부위는 주로 잔가지를 이용한다. 1년 내내 채취할 수 있으며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달여 먹는다. 잎과 열매도 말려서 달여 먹는다. 봄철에 연한 어린잎은 쌈을 싸서 먹어도 좋다. 해열, 소종의 효능이 있으며 멍든 피를 풀어주는 작용도 한다. 산후풍, 오한, 복통, 신경통, 멈든 피로 인한 통증, 타박상, 발을 헛디뎌 삔데 사용한다. 말린가지를 30~50그램 정도를 200cc의 물을 붓고 반으로 줄어들도록 달여서 하루 3번 식후에 복용한다. 멍든곳의 통증과 타박상이나 삔 상처에는 생것을 짓찧어 환부에 붙여 준다. 씨를 산후추라하여 약용으로 사용하며, 가지를 달여서 차 대용으로도 마신다.